KR100371978B1 -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978B1
KR100371978B1 KR10-2000-0005081A KR20000005081A KR100371978B1 KR 100371978 B1 KR100371978 B1 KR 100371978B1 KR 20000005081 A KR20000005081 A KR 20000005081A KR 100371978 B1 KR100371978 B1 KR 10037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ubrication
pump
lubrica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603A (ko
Inventor
허스 롤프
Original Assignee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0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8Devices for lubricating machin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5Intermittent grip type mechanical movement
    • Y10T74/1526Oscillation or reciprocation to intermittent unidirectional motion
    • Y10T74/1527Screw and nu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23Backlash take-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nt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Loom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특히, 직조기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에서, 분배 장치로도 동시에 기능하는 펌프 장치가 구비된다. 이 목적을 위해, 펌프 장치는 제어 홈을 구비하는 피스톤을 가진다. 대응하는 펌프 실린더는 하나의 입구 및 실린더 벽에 분포되는 다수의 출구를 가진다. 피스톤의 제어 홈이 어느 출구와 일치하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윤활 스테이션이 선택된다. 따라서 펌프 장치는 또한 분배 장치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LUBRICATING DEVICE FOR A PLURALITY OF LUBRICATING STATIONS AND A METHOD FOR THE LUBRICATION OF LUBRICATING STATION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일반적으로 정의되어 있듯이, 특히 직조기의 윤활 스테이션에 양호하게는 오일과 같은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조기에서, 예를 들면, 니들(needle) 구동은 계속적인 윤활을 필요로 하며, 이것은 니들 배드 또는 니들 실린더 내의 니들 가이드 또는 기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따라서, 충분한 규칙적인 윤활동작은 특히 현대의 고속 직조기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윤활 스테이션으로의 오일 공급에 높은 신뢰도가 있어야 된다. 대개는, 윤활이 잘못되면, 직조기 마모의 증가 및 조기 파손을 가져온다. 반면에, 윤활은 적절한 양 만큼만 공급되어야 한다. 윤활 스테이션에 너무 많은 오일을 공급하는 것은 역효과를 가져 온다. 따라서, 상기의 직조기는 오일을 압력 조건에서 적당한 라인을 통하여 중앙 지점에서 개별 윤활 스테이션으로 공급하는 소위 압력 오일 공급기 또는 압력 오일 윤활 시스템을 종종 구비한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0 499 810 B1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러한 목적의 윤활 장치는,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에 대해 신뢰도 높고 계량된 윤활을 가능하게 한다. 윤활 장치는 피스톤 펌프를 수용하는 윤활유 컨테이너를 가진다. 피스톤 펌프의 출력부는 모터 구동 분배 밸브에 연결되어, 펌프 출구가 한 그룹의 윤활유 라인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윤활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서두에서부터 강조하였듯이,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화된 윤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개선된 윤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윤활 장치 및 청구항 22의 윤활 방법에 의해 각각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윤활 장치에서, 분배 장치는 펌프에 의해 공급된 윤활유가 선택된 라인으로 유입되어 따라서 선택된 윤활 스테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분배 장치 및 펌프 장치는 하나의 유니트로 결합된다. 분배 장치와 펌프 장치를 하나의 유니트로 결합하는 것은 윤활 장치의 구조를 상당히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윤활 장치의 트리거링(triggering)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윤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윤활 장치의 축척을 달리한 세부 단면도이다.
도3은 윤활 장치의 펌핑 및 제어 장치를 통과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윤활 장치의 구동 장치를 통과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구동 장치의 로킹 휠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4의 구동 장치의 커플링 장치를 통과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7은 선형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커플링 장치, 로킹 휠, 나선형 요소와 연결된 상태의 도2의 윤활 장치의 펌프 장치이다.
도8은 주입 노즐로 유입되는 오일 유동 및 주입 노즐에 의해 유출되는 오일 유동의 주입 압력의 시간에 대한 경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9는 래칫으로 형성된 로킹 휠을 구비한 로킹 장치의 개선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10은 래칫으로 형성된 로킹 휠을 구비한 로킹 장치의 또다른 개선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펌프 장치는 피스톤 펌프로 형성되고 실린더 내에서 축방향으로 병진 운동이 가능한 피스톤을 가진다. 실린더와 함께 피스톤은 펌핑 요소로 작용한다. 실린더와 피스톤은 또한 제어 요소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어 표면 또는 도관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실린더 내에 배치된 제어 슬롯 또는 출구와 연결된다. 피스톤은 자켓 표면 상에 피스톤의 적절한 회전가능한 배치에 의해 상기 출구 도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정 시점에서 일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도관을 구비한다. 필요하다면, 제어 도관이 다수의 출구 도관과 일치하도록 변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 도관과 출구 도관은 피스톤과 실린더로 형성되는 작업실이 피스톤의 전체 스트로크를 통하여 선택된 어떠한 것에 대해서도 소통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피스톤에 의해 양호하게 이동된 모든 오일 용적이 출구 도관으로 펌핑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펌프는 펌프 장치인 동시에 분배 장치이다.
펌프 장치 및 분배 장치는 피스톤의 회전 및 병진 운동에 영향을 주는 구동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병진 운동은 펌핑 운동이며, 따라서 병진 구동은 펌프 구동을 형성한다. 만일 병진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피스톤의 회전 운동은 실린더의 용적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회전 운동에 의해서는 출구 도관의 개폐동작 만이 제어될 것이다. 따라서 회전 구동은 분배 구동이며, 피스톤은 제어 슬라이드이다. 따라서 펌핑 및 변환은 피스톤의 회전 및 병진운동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각각의 구동 장치 또는 회전 및 병진의 두 가지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조합된 구동 장치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
양호하게는 피스톤을 회전시키기 위해, 원하는 회전 자세 운동을 발생시키는 스탭핑 모터가 사용된다. 출구 도관의 선택 및 이에 따른 윤활 스테이션의 구동을 위해 취해지는 회전 자세는 스탭핑 모터에 의해 간단히 얻어진다. 그러나, 피스톤의 병진 운동도 또한 스탭핑 모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피스톤은 양호하게는 커플링을 통해 스탭핑 모터 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 모터에 연결되어 한 세트 또는 조정가능한 회전 동작을 처음부터 허용하고, 회전 유극 내의 상대적 회전이 기어 수단에 의해 원하는 선형 운동으로 전환된다.
회전 동작의 회전 각도는 선형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목적으로, 피스톤은 양호하게는 로킹 장치와 연결되는데, 이 로킹 장치는 피스톤에 대해 그 축방향의 병진운동은 막지 않으면서 임의의 또는 선택된 회전 자세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피스톤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로킹 장치는 로킹 부재와 결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로킹 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양호하게는 로킹 부재의 적당한 반경방향 운동에 의해 행하여지며, 예를 들면 견인 자석에 의한다. 피스톤이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 고정된 방법으로 유지된다면, 커플링 장치의 회전 작동과 관련한 스탭핑 모터의 회전이 가능하다. 병진 장치는 이제 기어에 의해 양호하게 형성되며, 피스톤과 회전 장치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피스톤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한다.
특히 지속적이며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로킹 휠이 래칫 휠(ratchet wheel)로 형성된다. 이후 로킹 요소는 선택된 방향으로의 로킹 휠의 회전을 허용하는 폴(pawl)로서 기능한다. 폴은 또한 예를 들어 리프팅(lifting) 자석에 의해 해제가능하며, 이로써 다른 방향으로의 로킹 휠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러한 배치는 예를 들어 폴을 해제하고 잠그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팅 자석의 단지 매우 작은 수의 구동만으로 윤활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허용한다. 간단하고 값싼 리프팅 자석이 사용된다면, 가동 수명을 매우 길게 할 수 있다.
기어는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나선형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요소의 나사산 피치는, 커플링 장치의 회전 작동과 관련한 피스톤과 제어 모터 사이의 상대 회전운동에 의해, 하나의 완전한 피스톤 스트로크가 실행된다. 피스톤은 제어 모터의 전방 및 그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또다른 장치들이 기어 수단으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부의 회전에 대한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특정한 단일 방향으로 가능하게 하는 캠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캠 구동부는 부시(bush)의 벽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식 환형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홈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핀 또는 프롱(prong)이 뻗어 있으며 제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선형 운동을 발생시키는 기어는 양호하게는 예비 응력을 받는 상태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서로를 지나 미끄러지는 기어의 플랭크(flank)를 서로 접촉하도록 유지하는 자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윤활유의 측정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만일 구동부가 그 회전 방향을 예를 들어 전방향 피스톤 스트로크로부터 역방향 피스톤 스트로크로 바꾸는 것과 같이 역으로 취한다면, 교체 지점이 정확히 한정되고 부정확한 측정이 회피된다.
실린더에서 도출되는 출구 도관 및 하나의 입구 도관은 각각 양호하게는 체크 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펌프 장치가 추가적인 제어 수단이 없이도 작동한다. 체크 밸브는 양호하게는 부가되는 분배 압력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 밸브이다. 이외에는 별도의 밸브 제어 배치가 필요하지 않다.
윤활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탐지하고 모니터하는 센서 장치가 양호하다. 이것은 피스톤이 소정의 스트로크를 달성하는지의 여부를 충분히 모니터한다. 예를 들어 만일 하나의 윤활 도관이 멈춘다면, 피스톤은 이 도관으로 어떠한 윤활유도 주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피스톤은 막힐 것이다. 센서 장치의 교체 지점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센서 장치가 이를 탐지하여 관련 기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펌프 장치 및 부착 라인의 분배 장치의 특정 구조 및, 연결된 윤활 스테이션의 수에 관계없이, 펌프 압력이 개별 윤활 펄스 동안에 조절되는 것이 유리하다. 만일 스탭핑 모터가 펌프 구동에 사용된다면, 개별 스텝은 마이크로 펄스로 전환될 수 있고, 일련의 마이크로 펄스가 윤활 펄스를 형성한다. 개별 마이크로 펌핑 펄스 사이의 간격은 라인의 압력이 최소 임계값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정해진다. 최소 압력은 연결된 노즐을 위한 필요한 주입 압력보다 약간 낮은 것이 양호하다. 이것은 라인의 어떠한 요동(탄성)도 초기 응력 이하로 충분히 유지한다. 또한 특히 작은 양의 윤활유의 측정 또는 윤활 과정의 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또다른 세부 사항에 관한 것이다.
도1에서, 오일과 같은 윤활유를 위한 공급 용기(2)를 포함하는 윤활 장치(1)가 도시된다. 분배 및 펌프 유니트(3)가 공급 용기(2) 내로 삽입되고, 소정 시간에 소정량의 윤활유를 분배 및 펌프 유니트로부터 도출되는 한 그룹(4)의 윤활 라인(5a 내지 5l)으로 분배한다.
도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펌프 및 분배 유니트(3)가 도2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펌프 장치(7a)인 동시에 분배 장치(7b)인 피스톤 펌프(7)가 윤활유의 펌핑 및 분배를 위해 사용된다. 도3 및 도7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펌프(7)는 원통형 관통 보어(9)를 구비하는 실린더 몸체(8)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는,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직경이 증가되는 부분(10)을 가지므로 계단식 보어로서 형성된다. 이 부분이 체크 밸브(12)를 접수하는 역할을 하는 데, 상기 밸브의 밸브 몸체(14)는 예를 들어 상기 부분(10)의 대응 나사산 속으로 나사 고정된다.
밸브 몸체(14)는 밸브 밀폐 부재(16)를 수납하기 위한 관통 도관(15)을 구비한다. 밸브 밀폐 부재(16)의 헤드는 내부 챔버를 향하고, 실린더 몸체(8)의 관통 보어에 의해 한정된다. 필요하다면, 스프링(도시 안됨)이 밸브 몸체(14) 상에 형성된 밸브 시트에 대해 밸브 밀폐 부재를 단단히 죌 수 있다.
밸브 몸체(14)는 다수의 반경 방향 보어(17)를 구비하며, 현재의 실시예에서는 그 갯수가 12 개(17a 내지 17l, 도3)이며, 관통 보어(9)와 수직하는 동일한 평면(18)에 모두 배치된다. 반경 방향 보어(17a 내지 17l)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며, 단지 반경 방향 보어(17l)과 반경 방향 보어(17a) 사이의 간격은 기타의 반경 방향 보어(17a 부터 17l) 사이의 균일 간격보다는 조금 크다. 참조 부호가 매겨지지 않은 체크 밸브가 반경 방향 보어[17, 참조 부호 뒤에 알파벳이 따르지 않는 참조 부호는 반경 방향 보어(17a 내지 17l)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속으로 삽입되며, 이들 체크 밸브가 반경 방향 외부로 즉 각각의 반경 방향 보어(17)에 의해 형성되는 출구 도관을 통해 관통 보어(9)로부터 외부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고, 그 반대 방향의 유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윤활 라인(5a 내지 5l)이 출구 밸브에 연결되고 윤활 스테이션으로 향한다. 체크 밸브는 분배 장치(7b)로부터 떨어진 각각의 라인(5a 내지 5l)의 한 단부 위에 또한 필수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 니플만이 반경 방향 보어(17) 속으로 나사 고정된다.
피스톤(21)이 관통 보어(9) 내부로 삽입되고, 그 외경은 관통 보어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여, 피스톤이 관통 보어(9) 내에서 병진 및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관통 구멍과 함께 작업실(22)을 비교적 빽빽하게 한정한다(도2). 피스톤(21)은 원통형 자켓면(23)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평한 단부면(24)을 가진다. 제어 홈(25)이 단부면(24)에서 시작하여 피스톤의 중심축(26)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켓면 위로 연장된다. 제어 홈(25)의 길이는 양호하게는 피스톤의 상사점(27)으로부터 평면(18)까지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상기 상사점은 도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다.
피스톤(21)은 작업실(22)이 최소로 되는 때, 또는 도2에서 피스톤(21)이 바닥 위치에 있는 때에 단부면(24)이 상사점(27)에 도달한다.
도3에서, 제어 홈(25)은 비교적 좁으며 관통 보어(9)의 벽에 위치한 반경 방향 보어(17)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원주 영역 상으로 자켓면(23)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홈(25)의 깊이는 제어 홈(25) 내부의 체류 유량이 반경 방향 보어(17) 내부의 그것보다 실질적으로 크지 않도록 정하여 진다.
실린더 요소(8) 외부로 돌출하는 한 단부 상에서, 피스톤(21)은 연결 커프(29, cuff)에 장착되고 핀(30)으로 핀 연결된다. 연결 커프(29)는 또한 추가 핀(31)을 통해 구동 장치(33)로 향하는 구동 로드(32)와 연결된다. 구동 로드(32)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형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리브(35, 36)를 가지는 커플링 반편(34)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들 리브 사이에서 도6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37, 38)가 형성된다.
커플링 반편(34)은 커플링 장치(39)에 속하는데, 이 커플링 장치의 나머지 커플링 반편(40)은 샤프트(41)에 의해 구동되는 반경방향 핀(42)에 의해 형성된다. 이 핀은 그 양 단부가 윈도우(37, 38)와 맞물리며, 여기서는 90。로 정의된 소정의 회전 동작을 각각 수행한 후, 각 리브(35, 36)의 하나의 플랭크와 접촉할 수 있다.
샤프트(41)는 또한 도7에 도시된 부쉬(43)를 가지고, 반경방향 핀(42)과 연결되고, 그 외측에 나선형 요소(44)를 구비한다. 이 나선형 요소는 다수의 회전을 가진 수나사선을 가진다. 피스톤(21)의 완전한 피스톤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축방향에 대해 피치 사이의 거리가 나선형 요소(44) 주위를 90。 이상 가로지르도록, 피치의 치수가 정해진다.
작동중, 나선형 요소(44)는 도5의 나선형 요소(45)와 상호 작용하며, 커플링 반편(34)의 리브(35, 36)에 의해 지지되는 환형 요소 또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플링(39)의 회전 동작이 실행될 때, 커플링 반편(34)은 커플링 반편(40)에 대하여 그 축방향 부분을 변경한다.
암나사선[나선형 요소(45)]을 구비하는 커플링 반편(34) 부분은 그 외측에 로킹 휠(46)로 형성된다. 이 로킹 휠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47)를 가지며, 이 톱니(47)는 사다리꼴 횡단면을 가지며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커플링 반편(34)을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은 도4로부터 알 수 있다. 로킹 바아(48)는 로킹 휠(46)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킹 바아(48)는 압력 스프링(49)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외부 위치를 향해 사전응력을 받으며, 그 위치에서 상기 로킹 바아는 로킹 휠(46)과 결합되지는 아니한다. 리프팅 자석(51)은 대응 로드(53)를 통해 전기자(52)를 제공하여 로킹 바아(48)가 로킹 휠(46)과 결합되도록 작용하여, 로킹 휠의 회전이 톱니(47)에 의해 특정되는 개별 위치에서 저지된다. 이러한 저지 또는 로킹 위치는 각각 제어 홈(25, 도3)이 반경 방향 보어(17) 중의 하나에 맞춰 정렬되는 회전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톱니 사이에 13 개의 틈새(interstices)가 존재하며, 이중 12개의 틈새는 방사상 보어(17)의 위치에 대응하며, 13번째 틈새는 방사상 보어(17l, 17a) 사이의 큰 틈새에 대응한다. 톱니 사이의 틈새의 크기는 방사상 보어(17)의 간격 크기에 대응한다.
커플링 반편(40)은 샤프트(41)의 상대적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되어, 스탭핑 모터(55)의 전원 시동 샤프트(the power takeoff shaft)를 형성한다. 이 모터는 구동 로드(32)와 동축 방향으로 배향되고 대응 마운트(56)에 의해 지지된다.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마운트(56)는, 리프팅 자석(51)을 또한 운반하고 평평하게 테이퍼된 연장부(57)를 가지는데, 이 연장부는 구동 로드(32)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그 하부 자유단 상에 펌프 유니트(7)를 운반한다. 거기에서, 마운트는 윤활 라인(5)이 보유될 수 있고 더욱이 미세 다공성 체(59, sieve)를 가지는 플랜지형 연장부(57)를 가진다. 이 체는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7)의 하단을 밀폐한다. 따라서 입력 밸브(12)로 유동하는 윤활유는 반드시 미세 다공성 체(59)를 통과하여야 하며 이로써 여과된다.
구동 로드(32)를 향하는 쪽에는, 커플링 반편(34)이 수나사(61)를 가지는 허브(60)를 구비한다. 허브(60) 상에서, 축방향으로 극성을 가지는 도7에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환형 영구자석(62)은, 상기 수나사(61)가 너트와 결합되는 식으로, 너트(63)의 보조로 인해 유지된다. 그 자속계에 의해, 영구 자석(62)은 나선형 요소(44)가 유극없이 다른 나선형 요소(45)와 결합하도록 유지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스탭핑 모터(55)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에서 기어의 원하지 않는 아이들 동작을 방지한다. 기어는 나선형 요소(44) 및 암나사(45)에 의해 형성되고, 회전 동작을 선형 동작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 로드(32)는 부쉬(65)의 연장부 상에 지지되며, 부쉬는 연장부(57)의 대응 파티션 내의 연결 커프(29)에 인접 배치된다. 부쉬(65)는 구동 로드(32)의 회전 동작 및 축방향 동작을 모두 허용한다.
피스톤(21)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를 들어 홀 센서(66)와 같은 자속 센서가 상기 연장부(57)의 내부에서 영구 자석(62)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것은 영구 자석(62)의 위치를 검출하고, 적어도 오버슈팅 및 언더 슈팅 사이에서 전환 위치를 구별한다. 필요하다면, 추가 홀 센서 또는 다른 종류의 위치 센서(67)가 핀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측방향 핀(42)의 근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 센서 및 스탭핑 모터(55) 및 리프팅 자석(51) 모두는 제어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윤활 장치를 제어한다:
올바른 작동을 기술하기 위해, 피스톤(21)은 초기에 도3의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고, 로킹 바아(48)는 견인 자석(51)의 트리거링의 결과로 로킹 휠(46, 도4)과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나선형 요소(44)의 나사선이 우회전 나사선이라면, 스탭핑 모터(55)는 적어도 만일 측방향 핀(42)이 도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지 않다면, 측방향 핀(42)이 시계방향으로 피봇팅되는 방식으로 회전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도6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로를 가로지르는 도중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요소(44)는, 피스톤(21)이 하나의 완전한 흡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커플링 반편(34)을 상승시킨다. 작업 챔버(22)가 커짐에 따라, 오일과 같은 윤활유는 작업 챔버(22) 내부로 입구 밸브(12)를 통해 유입된다.
로킹 휠(46)은 상대적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유지된다. 측방향 핀(42)이 리브(35, 36)에 대해 돌출하자마자, 스탭핑 모터(55)는 정지한다. 견인 자석(51)은 이제 비여자 상태가 되어, 그 결과 로킹 휠(46)이 해제된다. 지금까지는 왕복 운동을 피스톤(21)에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 스탭핑 모터(55)가 이제는 하나의 톱니에 의해 자유 회전식 로킹 휠(46)을 전방으로 배치한다. 과정 중에, 측방향 핀(42)은 리브(35, 36) 및 이에 수반하여 커플링 반편(34)도 따라서 운반한다. 제어 홈(25)이 그것에 의해 반경방향 보어(17a)와 일치하도록 내부로 이동한다. 일단 이 위치에 다다르면, 견인 자석(51)이 다시 트리거되고, 그 결과 로킹 바아(48)를 로킹 휠(46)의 톱니 사이의 대응 틈새 안으로 압축한다. 그 결과, 이 로킹 휠은 다시 한번 상대적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을 유지된다.
윤활유의 원하는 부분을 윤활 라인(5a)에 분배하기 위해, 스탭핑 모터(55)가 이제 반시계 방향으로 트리거된다. 윈도우(37, 38)의 크기로 인해, 회전 운동이 여기서는 4분의 1 회전으로 제한된다. 만일 스탭핑 모터(55)가 이 경로를 가로지르면, 나선형 요소(44)의 암나사선(45)의 동작으로 인해, 이 회전 운동은 도2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위치하는 축방향 운동으로 전환된다. 구동 로드(32)를 통해, 피스톤(21)이 회전없이 상사점(27) 방향으로 하방 이동한다. 명확히 교체된 오일이 윤활 라인(5a)에 대응하여 분배된다. 모든 경로를 가로지를 수 있도록 할 필요는 없다. 스탭핑 모터(55)는 또한 4분의 1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정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적은 양의 오일이 대응하여 분배된다. 결과적으로, 분배되어야 할 오일 부분의 미세 측정이 가능하다.
일단 피스톤(21)의 하방 운동이 끝나면, 스탭핑 모터(55)는 다시 리브(35, 36)와 만난다. 견인 자석(51)은 이제 해제되고, 그 결과 압축 스프링(49)이 로킹 바아(48)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로킹 휠(46)을 해제한다. 스탭핑 모터는 이제 하나의 톱니(또는 필요하다면 다수의 톱니)에 의해 회전을 진행시키고, 다음 윤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커플링 반편(34) 및 이에 따른 회전에 의한 피스톤(21)을 운반한다. 예를 들어, 제어 홈(25)은 이제 반경방향 보어(17b)와 일치하게 된다. 반경방향 보어(17a)와 연관하여 기술한 과정이 이제 다시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반경방향 보어(17)는 따라서 연속하여 도달할 수 있고, 따라서 모든 윤활 라인(5)이 적당한 오일 부분을 개별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오일 부분의 배분은 도8의 펄스식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펌프 장치(7a)에 의해 형성된 주입 압력(p)은 윤활 간격(t1t2) 내에서 조절된다. 이 목적으로, 스탭핑 모터(55)는 트리거되고 점진적으로 이동하여, 피스톤(21)이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짧은 휴지 기간 중, 압력(p)은 압력 제한값(p1)보다 약간 낮게 떨어질 수 있다. 연결된 노즐은 압력 제한값(p1)에서 주입을 시작한다. 만일 압력이 예를 들어 보다 작은 값인 p0로서 제한값보다 작다면, 노즐은 간헐적으로 주입을 행한다. 노즐로의 입력 유동(v1)이 결과적으로 라인의 탄성으로 인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요동한다. 노즐은 오일 스트림(v2)을 마이크로펄스 형태로 방울방울 주입하여, 각 방울 사이의 오일 스트림은 간단한 압력 강하로 인해 제로로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지되지 않을 정도의 상대적으로 대형의 노즐을 사용하여, 비교적 매우 작은 양의 오일이 주입 스트림에서 장시간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윤활 장치(1)가 작동 중에, 펌프 장치(7a)의 통풍이 초기에 요구된다. 이 목적으로, 피스톤(21)이 통풍 위치로 회전하고, 이 위치에서는 제어 홈(25)이 외측으로 개방된 반경방향 보어(17l)와 일치하며 아무런 체크 밸브도 배치되지 않는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완전한 피스톤 스트로크가 이제 공기를 배출시키고 펌프 용적을 오일로 채운다. 그후 적당한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로킹 매커니즘의 수정된 실시예가 도8에 도시된다. 여기서 로킹 휠(46)은 래칫 휠로 형성된다. 로킹 바아(48)는 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로킹 휠(46)이 전진하는 것으로 검색되는 매순간마다 견인 자석을 트리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로킹 바아(48)는 로킹 휠(46) 방향으로 스프링이 부하된다. 이것은 피스톤(21)의 회전 및 이에 따른 분배기의 구동을 위하여 래칫 휠(46)이 시계방향(화살표 70)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반해, 반대 방향(화살표 71)에서는, 어떠한 회전도 저지되어, 펌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리프팅 자석(51)을 매우 작은 예외적인 경우에서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다른 수정 실시예가 도10에 도시된다. 로킹 휠(46)의 톱니는 상대적으로 작은 플랭크 피치를 가진 톱니(47)를 구비한다. 로킹 바아(48)는 반경방향으로 복원력이 있는 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1)의 회전 운동의 제어는, 일단 커플링 장치(39)의 동작이 가로지르고 나면, 스탭핑 모터(55)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로킹 바아의 멈춤쇠 모멘트를 극복하도록 영향을 받는다.
특히 직조기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에서, 펌프 장치(7a)는 분배 장치(7b)로도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이 목적으로, 펌프 및 분배기 유니트(7)는 제어 홈(25)이 구비된 피스톤(25)을 가진다. 대응하는 펌프 실린더는 하나의 입구 및 실린더 벽에 분포되는 다수의 출구를 가진다. 피스톤(21)의 제어 홈(25)이 출구 중 어느 것과 일치하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윤활 스테이션이 선택된다. 따라서 펌프 장치(7)는 분배 장치를 동시에 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단순화된 윤활 장치를 제공하고, 개선된 윤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분배 장치는 펌프에 의해 공급된 윤활유가 선택된 라인으로 유입되어 따라서 선택된 윤활 스테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분배 장치 및 펌프 장치는 하나의 유니트로 결합된다. 따라서 분배 장치와 펌프 장치를 하나의 유니트로 결합하는 것은 윤활 장치의 구조를 상당히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윤활 장치의 트리거링(triggering)도 단순화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실린더(8)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스톤(21)을 가지는 윤활유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 장치(7a)와,
    피스톤(21)에 의해 펌핑된 윤활유를 분배 장치(7b)로부터 도출되는 한 그룹(4)의 라인(5) 중 하나 이상의 라인(5)으로 분배하는 분배 장치(7b)를 구비하며,
    특히, 직조기의 윤활 스테이션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에 있어서,
    분배 장치(7b)는 펌프 장치(7a)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8)는 피스톤(21)에 의해 제어가능한 다수의 출구 도관(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8)는 원통형 실린더 벽을 구비하고, 상기 출구 도관(17)은 실린더 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은 그 자켓면(23)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7b)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 도관(25)은 피스톤(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 도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은 실린더(8)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7a) 및 분배 장치(7b)는 구동 장치(33)에 연결되고, 이 구동 장치(33)는 회전 장치(55)와 병진 장치(44)를 포함하고, 피스톤(21)이 상기 회전 장치(55) 및 병진 장치(44) 양자 모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55)는 제어 모터, 양호하게는 원하는 회전 자세(rotary positioning) 운동을 발생시키는 스탭핑 모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탭핑 모터는 커플링 장치(39)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피스톤(21)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39)는 한정된 회전 유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은 로킹 장치(46, 48)에 연결되고, 이 로킹 장치는 선택된 회전 자세에서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시키고 축방향 운동은 허용하는 방식으로 피스톤(11)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46, 48)는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피스톤(21)에 연결되는 로킹 휠(46)과 결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로킹 부재(4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48)는 자세 구동부(51)에 의해 로킹 휠(46)과 결착 및 탈착의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휠(46)은 래칫 휠로 형성되고, 로킹 부재(48)는 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장치(44)는 회전 장치(55)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장치(44)는 피스톤(21)과 회전 장치(55)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피스톤(21)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하는 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두 개의 나선형 요소(44, 45)를 포함하고, 이 중 하나는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피스톤(21)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회전 장치(5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요소(44)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선형 요소(44)가 다른 나선형 요소(45)와 유극없이 결합하도록 유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자석(6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톤(21)의 스트로크를 규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8)로 통하는 입구 도관(12) 및 상기 라인(5)과 통하는 출구 도관(17)이 각각 하나의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 장치(66)가 피스톤(21)의 운동을 모니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22. 윤활유가 펌프에 의해서 라인을 통해 윤활 스테이션으로 불연속적으로 펌핑되고, 하나 이상의 윤활 스테이션에 대한 윤활유 공급을 위해, 적용가능한 라인 또는 라인들이 펌프에 의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받으며, 라인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기계의 윤활 스테이션으로 윤활하는 윤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압력 조절형 윤활을 위해, 윤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공정은 개별 펄스 사이에서 최소 압력 레벨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 강하를 허용하는 일련의 개별 펄스로 이루어진 압력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방법.
KR10-2000-0005081A 1999-02-05 2000-02-02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 KR100371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4647A DE19904647A1 (de) 1999-02-05 1999-02-05 Schmiereinrichtung für mehrere Schmierstellen
DE19904647.6 1999-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03A KR20010006603A (ko) 2001-01-26
KR100371978B1 true KR100371978B1 (ko) 2003-02-14

Family

ID=789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081A KR100371978B1 (ko) 1999-02-05 2000-02-02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6322336B1 (ko)
EP (1) EP1026300B1 (ko)
JP (1) JP3842000B2 (ko)
KR (1) KR100371978B1 (ko)
CN (1) CN1188597C (ko)
AT (1) ATE314513T1 (ko)
BR (1) BR0000306A (ko)
CA (1) CA2298296C (ko)
CO (1) CO5231265A1 (ko)
CZ (1) CZ294191B6 (ko)
DE (2) DE19904647A1 (ko)
ES (1) ES2255900T3 (ko)
HK (1) HK1030040A1 (ko)
ID (1) ID24778A (ko)
MY (1) MY123504A (ko)
PE (1) PE20010158A1 (ko)
PL (1) PL338066A1 (ko)
RU (1) RU2185566C2 (ko)
SK (1) SK284957B6 (ko)
TR (1) TR200000298A3 (ko)
TW (1) TW473603B (ko)
UA (1) UA5940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4085B2 (ja) * 2004-07-15 2011-02-1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多チャンネルポンプ、燃料電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8163440B2 (en) * 2004-07-15 2012-04-24 Nidec Sankyo Corporation Fuel cel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DE202005018630U1 (de) * 2005-11-30 2006-03-09 Lincoln Gmbh & Co. Kg Förderpumpe und modulares Pumpensystem
US9140407B2 (en) * 2010-11-29 2015-09-2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Pump having stirrer and direct feed
US9222618B2 (en) 2010-11-29 2015-12-29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providing uninterrupted lubricant flow
US9388940B2 (en) 2010-11-29 2016-07-1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Variable speed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system
US8590562B2 (en) 2010-12-17 2013-11-26 Lincoln Industries Corporation Fluid flow detection device
US9086186B2 (en) 2011-10-14 2015-07-21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System having removable lubricant reservoir and lubricant refilling station
US9388941B2 (en) 2011-10-17 2016-07-1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Compact lubricant injector and injector system
ITMI20120288A1 (it) * 2012-02-27 2013-08-28 Dropsa Spa Dispositivo di lubrificazione con misuratore di portata
US8978825B2 (en) 2012-04-19 2015-03-17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Dual-line pump unit, lubrication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
DE102012220297A1 (de) * 2012-11-08 2014-05-08 Lincoln Gmbh Schmiervorrichtung
KR101287069B1 (ko) * 2013-05-02 2013-07-17 김민호 원단공급기용 오일공급유닛
CN103256363B (zh) * 2013-05-30 2015-06-17 东北大学 一种单向单步传动机构
US9671065B2 (en) 2013-10-17 2017-06-06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Pump having wear and wear rate detection
CN106164351B (zh) * 2013-12-20 2019-03-05 美名格-艾罗有限公司 用于针织机的直接喷射润滑系统
US11031772B2 (en) * 2017-04-11 2021-06-08 Hove A/S Protection earth connection detector
DE112018002899B4 (de) * 2017-06-09 2022-09-01 Denso Corporation Elektrische Pumpenvorrichtung
CN110578204A (zh) * 2018-06-07 2019-12-17 广东南豆科技有限公司 一种针织机针道润滑机构
CN109681759A (zh) * 2019-02-25 2019-04-26 山西日盛达新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压延机轴瓦自动润滑装置
US11435028B2 (en) 2019-04-30 2022-09-06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Lubricant injector
CN110307465B (zh) * 2019-07-30 2024-01-26 王定根 一种顺序供油装置及挖掘机全自动润滑剂注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55608A (ko) * 1928-01-12
US2039941A (en) * 1934-10-10 1936-05-05 Ingersoll Rand Co Locking device
DE908689C (de) * 1950-12-11 1954-04-08 Eugen Ludwig Mueller Dipl Ing Mechanische Schmierpumpe
FR1094985A (fr) * 1953-11-30 1955-05-25 Distributeur électro-mécanique de lubrifiant pour machines à tricoter
FR1450316A (fr) * 1964-10-20 1966-05-06 Allis Chalmers Mfg Co Pompe d'injection de carburant
CS170564B1 (ko) * 1975-01-14 1976-09-15
JPS57181935A (en) * 1981-05-06 1982-11-09 Diesel Kiki Co Ltd Fuel injection device
US4412519A (en) * 1982-09-13 1983-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esel fuel distributor type injection pump
CH667702A5 (de) * 1984-02-15 1988-10-31 Barmag Barmer Maschf Zahnradpumpe.
US4528965A (en) * 1984-03-27 1985-07-16 Caterpillar Tractor Co. Rotor balancing for distribution valve
US4632648A (en) * 1985-06-24 1986-12-30 Goyne Thomas S Grease pumps
US4944367A (en) * 1988-12-13 1990-07-31 Watts Fluidair Div. Of Robertshaw Controls Company Injection lubricator with plural outlets
JPH0388957A (ja) * 1989-08-22 1991-04-15 New Zealand Government 圧縮点火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
DE4021557C2 (de) * 1990-07-06 2000-08-17 Sipra Patent Beteiligun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s Durchflusses eines fließfähigen Mediums durch einen Strömungsraum
DE4104793A1 (de) * 1991-02-16 1992-08-20 Memminger Iro Gmbh Schmiereinrichtung zur versorgung mehrerer schmierstellen, insbesondere einer strickmaschine, mit schmiermittel, vorzugsweise oel
EP0639696B1 (en) * 1993-04-02 1998-01-2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lubric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000298A2 (tr) 2000-09-21
EP1026300A2 (de) 2000-08-09
USRE40898E1 (en) 2009-09-01
CN1264007A (zh) 2000-08-23
DE50011936D1 (de) 2006-02-02
EP1026300A3 (de) 2001-04-11
JP2000230695A (ja) 2000-08-22
TR200000298A3 (tr) 2000-09-21
UA59404C2 (uk) 2003-09-15
MY123504A (en) 2006-05-31
CA2298296A1 (en) 2000-08-05
CA2298296C (en) 2005-05-10
SK284957B6 (sk) 2006-03-02
DE19904647A1 (de) 2000-08-31
ES2255900T3 (es) 2006-07-16
ATE314513T1 (de) 2006-01-15
SK1192000A3 (en) 2000-11-07
ID24778A (id) 2000-08-10
EP1026300B1 (de) 2005-12-28
CN1188597C (zh) 2005-02-09
CZ2000270A3 (cs) 2001-04-11
CO5231265A1 (es) 2002-12-27
JP3842000B2 (ja) 2006-11-08
BR0000306A (pt) 2000-10-17
CZ294191B6 (cs) 2004-10-13
TW473603B (en) 2002-01-21
US6322336B1 (en) 2001-11-27
PL338066A1 (en) 2000-08-14
HK1030040A1 (en) 2001-04-20
KR20010006603A (ko) 2001-01-26
PE20010158A1 (es) 2001-02-28
RU2185566C2 (ru) 200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978B1 (ko) 다수의 윤활 스테이션을 위한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
DE3239190C2 (ko)
RU2280769C2 (ru) Доз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US6698551B2 (en) Modular lubricating system and injector
JPH0816520B2 (ja) オイルのような潤滑剤を機械の複数の潤滑箇所に供給する潤滑装置
US11125226B2 (en) Adjustable stop for check valve
DE2649539A1 (de) Fluessigkeitschromatographie-system
US11370596B1 (en) Micro-volume dispense pump systems and methods
US5255827A (en) Sealless modular positive displacement dispenser
DE60021226T2 (de) Schmiermittelfördereinrichtung
EP0775260A1 (de) Kraftstoffeinspritzpumpe
US4858789A (en) Sealless modular positive displacement dispenser
CN110671249A (zh) 一种装有出油阀的分配泵柱塞及其工作方法
MXPA00001345A (en) Lubricating device for a plurality of lubricating stations
EP0628390B1 (de) Dosier- und Förderpumpe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Pumpe in einer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Giessharzkörpers
KR0129583Y1 (ko) 시일이 없는 양변위 모듈식 분배기
DE8516167U1 (de) Schmiervorrichtung für die Laufbahn eines Umlauf-Steppstichgreifers einer Näh- oder Stickmaschine
DE4108842A1 (de)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EP1411245A1 (de) Hydraulische Kolben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