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384B1 - 원고독취장치 - Google Patents

원고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384B1
KR100369384B1 KR10-1999-0044683A KR19990044683A KR100369384B1 KR 100369384 B1 KR100369384 B1 KR 100369384B1 KR 19990044683 A KR19990044683 A KR 19990044683A KR 100369384 B1 KR100369384 B1 KR 10036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ain body
outside
light emitting
rea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270A (ko
Inventor
장흥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3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2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for displaying or indicating, e.g. a condition or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8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scanning head arranged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고독취장치는 본체,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스캔 작동시 원고가 안착되는 원고대,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원고대에 안착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수단, 독취수단을 원고대의 좌우방향으로 운송시키는 운송수단, 운송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운송수단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발광신호를 제공하는 작동표시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렛베드형 원고독취장치는 스캔동작과 함께 구동하는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의 빛을 외부에서 인식가능하게 하는 투시창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원고독취장치의 스캔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캔동작 중에 사용자가 원고독취장치의 오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고독취장치{Document scanning device}
본 발명은 원고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의 독취시 외부에서 사용자가 독취동작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작동표시수단을 가진 원고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랫베드형 원고독취장치(flatbed scanner)는 스캔 메카니즘과 인쇄 메카니즘이 함께 구비되어 스캔 메카니즘을 통하여 스캔된 원고의 화상정보가 인쇄 메카니즘을 통하여 인쇄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랫베드형 원고독취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으로 급지트레이(21)와 배지트레이(22)가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급지롤러(24), 피드롤러(25) 그리고 배지롤러(26)가 각각 설치되며 용지에의 화상의 기록을 위한 잉크헤드(23)와 그 외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 등으로 된 인쇄 메카니즘(20)이 구현되며, 이 인쇄 메카니즘(20)의 상측으로 스캔 메카니즘(10)이 마련된다.
이 스캔 메카니즘(10)은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된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상면에 마련된 평판형 유리로 된 원고대(12) 그리고 이 원고대(12)의 상면을 덮도록 된 덮개(13)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11)의 내부에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14)(CIS:Contact Image Sensor)와 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1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 그리고 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14)로 구동모터(15)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벨트(16)와 밀착형 이미지 센서(14)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17)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랫베드형 스케너장치는 원고대(12) 위로 원고를 놓고 덮개(13)를 덮은 후 스캔 작동이 실시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이 스캔 작동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캔동작 중에 덮개(13)를 열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미쳐 스캔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13)를 열게 되면 스캔 내부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14)로 외부의 자연광이 주사되어 원고의 스캔상태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동일한 원고에 대한 스캔작동을 재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원고독취장치의 작동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표시수단을 가진 원고독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고독취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원고독취장치의 단면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독취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독취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독취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독취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스캔메카니즘
110...본체
120...원고대,
140...밀착형 이미지 센서
150...구동모터,
300...운송함
330...발광소자,
400...투시창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스캔 작동시 원고가 안착되는 원고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원고대에 안착된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수단, 상기 독취수단이 내장되도록 된 운송함과, 상기 운송함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적소에 장착된 풀리에 걸리는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독취수단을 상기 원고대의 좌우방향으로 운송시키는 운송수단, 상기 운송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발광신호를 제공하는 작동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표시수단은 상기 운송수단의 일면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신호가 외부로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된 표시창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렛베드형 원고독취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상측으로 스캔 메카니즘(100)이 구현되고, 이 스캔 메카니즘(100)의 하측으로 인쇄 메카니즘(200)이 구현된다.
먼저 스캔 메카니즘(100)은 도 3과 도 4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함체 형상의 본체(110)와 이 본체(110)의 상면에 마련된 투명한 유리판인 원고대(120)를 구비하고, 이 원고대(120)의 상부를 덮는 덮개(130)가 본체(100)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고대(120)에 안착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140)(CIS:Contact Image Sensor)가 마련되고, 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140)를 본체(100) 내부의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밀착형 이미지 센서(140)가 장착되는 운송함(300)이 마련된다.
또한 이 운송함(300)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0)가본체(110) 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이 구동모터(150)의 회전축에 일단이 걸리고, 타단이 구동모터(150)의 반대측에 설치된 풀리(180)에 걸리는 동력전달벨트(160)가 마련된다. 여기서 동력전달벨트(160)는 운송함(300)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운송함(300)의 하부에는 운송함(300)이 원활히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샤프트(170)가 본체(1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운송함(300)에는 동력전달벨트(160)가 운송함(300)에 결합되도록 하는 벨트 걸이부(310)와 가이드 샤프트(170)가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 관통부(320)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한편, 운송함(300)의 전면에는 운송함(300)이 스캔동작을 위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빛을 발하면서 운송함(300)과 함께 이동하는 발광소자(330)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전면에는 이 발광소자(33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됨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가 스캔 메카니즘(100)의 독취 작동상태를 이 발광소자(33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400)을 장착된다. 여기서의 투시창(400)은 반투명창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인쇄메카니즘(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상의 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급지트레이(210)와 배지트레이(220)가 각각 마련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급지롤러(240), 피드롤러(250) 그리고 배지롤러(260)가 각각 설치되며 원고에의 화상의 기록을 위한 잉크헤드(230)가 장착된다. 그리고 그 외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 등의 구성품들이 내부에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랫베드형 원고독취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베드형 원고독취장치는 먼저 원고를 스캔 메카니즘(100)의 원고대(120)에 안착시킨후 덮개(130)를 덮는다. 덮개(130)를 덮은 후 스캔작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이때의 스캔작동의 개시와 동시에 발광소자(330)에서는 발광이 시작되고, 이때의 발광과 함께 구동모터(150)로부터 동력전달벨트(160)를 거쳐 운송함에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이때의 운송함(300)은 가이드샤프트(17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이 시작되고, 이에 따라 밀착형 이미지 센서(140)에 의하여 원고대(120)에 안착된 원고에 대한 독취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독취 동작시 발광소자(330)의 빛은 본체(110) 전면에 장착된 투시창(400)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게 되어 외부에서는 이 발광소(330)의 빛의 진행방향에 따라 스캔동작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스캔동작이 완료되면 기억된 독취화상에 대한 인쇄가 시작된다. 이때의 인쇄는 급지트레이(210)로부터 용지가 급지롤러(240)에 낱장씩 분리되어 공급되면 피딩롤러(250)에 의하여 정렬된 상태로 잉크헤드(230)의 하부로 공급되게 되고, 잉크헤드(230)에서 분사된 잉크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인쇄가 완료된 후에는 배지롤러(260)에 의하여 하우징 전방에 장착된 배지트레이(220)로 배지되어 다른 용지들과 함께 정렬된 상태의 적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렛베드형 원고독취장치는 스캔동작과 함께 구동하는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의 빛을 외부에서 인식가능하게 하는 투시창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원고독취장치의 스캔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캔동작 중에 사용자가 원고독취장치의 오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스캔 작동시 원고가 안착되는 원고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원고대에 안착된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수단,
    상기 독취수단이 내장되도록 된 운송함과, 상기 운송함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적소에 장착된 풀리에 걸리는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독취수단을 상기 원고대의 좌우방향으로 운송시키는 운송수단,
    상기 운송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발광신호를 제공하는 작동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독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표시수단은 상기 운송수단의 일면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신호가 외부로 주사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독취장치.
  3. 삭제
KR10-1999-0044683A 1999-10-15 1999-10-15 원고독취장치 KR10036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683A KR100369384B1 (ko) 1999-10-15 1999-10-15 원고독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683A KR100369384B1 (ko) 1999-10-15 1999-10-15 원고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270A KR20010037270A (ko) 2001-05-07
KR100369384B1 true KR100369384B1 (ko) 2003-01-29

Family

ID=1961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683A KR100369384B1 (ko) 1999-10-15 1999-10-15 원고독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3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974A (ko) * 1996-08-24 1998-05-25 김광호 핸드 스캐너의 스캔 속도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974A (ko) * 1996-08-24 1998-05-25 김광호 핸드 스캐너의 스캔 속도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270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33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blower to cool a scanning unit
JP4595425B2 (ja) 記録装置
US477914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12477B2 (ja) 記録装置
KR100369384B1 (ko) 원고독취장치
JPH071315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816058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60083834A (ko) 화상입출력모듈,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JP4078585B2 (ja) 操作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記録装置
US6305771B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KR100318732B1 (ko) 복합기
JP3944294B2 (ja) スキャナ装置
KR20080056035A (ko) 화상형성장치
JP2005079791A (ja) 画像入出力装置
JPS63206063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100209507B1 (ko) 복합기기의 잉크 분말에 의한 오염 방지 장치
US20050134885A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JP379891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KR100202269B1 (ko)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JPH044265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8058718A (ja) スキャ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9990051557A (ko) 복합기기의 스케너 오염제거장치
JPH0636541B2 (ja) 画像読取り装置
JPS6282755A (ja) 印字装置
JP2001197234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