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269B1 -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269B1
KR100202269B1 KR1019960070932A KR19960070932A KR100202269B1 KR 100202269 B1 KR100202269 B1 KR 100202269B1 KR 1019960070932 A KR1019960070932 A KR 1019960070932A KR 19960070932 A KR19960070932 A KR 19960070932A KR 100202269 B1 KR100202269 B1 KR 10020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der
data
document
image forming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000A (ko
Inventor
안병선
박헌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7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2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4Transpor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Feed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09Cleaning arrangements or preventing or counter-ac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32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 H04N1/03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using ink, e.g. ink-jet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형성체와 데이타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형성체와 셔틀방식의 데이터독취기가 각각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었으며,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가 각각 스캐너파트와 프린터파트의 상단에 위치함에 따라, 복합장치의 내부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증가되었으며,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를 이용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고, 잉크젯방식 상형성체를 이용하여 독취된 상기 데이타의 상을 형성시키는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독취기와 상기 상형성체가 각각 수직상태로 수납되며, 일측에 관통홈이 형성된 수납부재: 상기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설되고,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 상기 수납부재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모터; 및 상기 구동원과 상기 수납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재를 왕복운동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복합장치의 내부구조가 단순해지고, 하나의 구동원으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를 동시에 구동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되며, 복합장치의 부피가 감소되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를 동시에 구동시킴에 따라, 데이터독취시점과 상형성시점을 동기시킬 수 있으므로, 고속의 스캐닝 및 프린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본 발명은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를 일체화하여 구성하고,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할 때 데이터독취기를 상형성체와 동일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셔틀(Shuttle)방식으로 구동함으로써, 복합장치의 내부구조를 간소화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를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데이터독취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제거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공정을 간소화시킨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 스캐너 및 팩스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OA)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사무자동화기기들은 그 고유기능을 확장하기 위하여 더욱 고성능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어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사무자동화기기들이 하나의 복합적인 장치로 통합됨에 따라,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장치를 통상적으로 '복합장치' 또는 '복합기'라 칭한다.
일반적으로 복합장치는 별도의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의 독취하거나 독취된 데이터를 다른 상기록체에 인쇄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형성체'는 통상적인 프린터헤드를 의미하며, '상기록체'는 통상적인 인쇄용지 또는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여하한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합장치는 원고 이송용 구동모터와, 상형성체인 프린터 헤드의 왕복운동을 위한 캐리지모터 및 상기록체 이송모터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배열형태(Array Type)를 갖는 고정된 CIS(Contact Image Sensor)나 고정된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를 이용하여 중간 상축소용 거울(Mirror)을 통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해당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복합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복합장치는 대략 배열형태의 복합장치와, 셔틀방식의 복합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열형태의 복합장치는, 원고의 폭과 동일한 크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독취기가 복합장치내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스캐닝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또한, 셔틀방식의 복합장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서로 상이한 구동원에 따라 좌우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독취하고자 하는 해당라인이 데이터독취기가 설치된 위치로 세팅됨에 따라 데이터독취기가 해당원고가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해당라인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전술한 셔틀방식의 복합장치에 대한 구조 및 동작설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 제96-51893호(발명의 명칭: 잉크젯 인쇄수단을 이용하여 셔틀 스캐닝을 수행하는 복합기)와, 특허출원 제96-51894호(발명의 명칭: 셔틀 원고판독수단을 이용한 복합기)에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복합장치에 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형태의 복합장치는, 스캐너파트와 프린터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먼저, 스캐너파트를 보면, 해당원고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복수매의 원고를 적재할 수 있도록 복합장치(1)의 원고투입구(2)로부터 연장설치된 원고스태커(Stacker)(3)와, 원고스태커(3)에 적재된 복수매의 원고를 한 장씩 순차적으로 픽업(Pick-Up)할 수 있도록 원고투입구(2)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장착된 원고픽업롤러(4) 및 마찰패드(5)와, 원고픽업롤러(4)의 회전축상에 축설되어 원고투입구(2)에 투입된 원고가 존재하는가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센서(6)와, 원고픽업롤러(4)와 마찰패드(5)에 의해 이송된 원고의 현재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레지스터 센서(Register Sensor)(7)와, 레지스터 센서(7)에 도달한 원고를 이송시키는 레지스터 롤러(8)와, 이송된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데이터독취기(9)와, 데이터독취기(9)에 의해 독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와,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시키도록 데이터독취기(9)의 후단에 장착된 원고배출롤러(11)와, 원고배출롤러(11)에 의해 배출된 원고를 적재시키도록 원고토출구(12)로부터 연장 설치된 원고트레이(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파트를 보면, 인쇄용지등과 같은 상기록체(14)가 복수매 적재되고 복합장치(1)의 용지투입구(15)에 탈착 가능한 카세트(16)와, 카세트(16)에 적재된 복수매의 상기록체(14)를 한 장씩 픽업하도록 용지투입구(15)로부터 인접 장착된 용지픽업롤러(17)와, 용지픽업롤러(17)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된 상기록체(14)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레지스터 센서(18)와, 레지스터 센서(18)에 도달한 상기록체(14)를 이송시키는 레지스터 롤러(19)와, 레지스터 롤러(19)에 의해 이송된 상기록체(14)에 인쇄하고자 하는 상데이터를 형성시키는 상형성체(20)와, 상형성체(20)에 의해 상데이터가 기록된 상기록체(14)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형성체(20)의 후단에 장착된 용지배출롤러(21)와, 용지배출롤러(21)에 의해 배출된 상기록체(14)를 적재할 수 있도록 용지토출구(22)로부터 연장 설치된 용지트레이(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형성체(20)의 상세구조를 살펴보면, 상기록체(14)에 상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도록 프린터헤드(24)를 좌우왕복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모터(25)와,캐리지 모터(25)로부터 연장된 모터축상에 설치되고 프린터헤드(24)에 접촉되어 캐리지 모터(25)의 회전운동에 따라 프린터헤드(24)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26)와, 상기록체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축(27)과, 가이드축(27)이 관통되고 이송벨트(26)가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축(27)상을 왕복운동하는 프린터헤드(24)와, 이송되는 상기록체(14)에 대향되는 인접 위치에 프린터헤드(24)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상기록체(14)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데이터를 인쇄하는 잉크분사부(28)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복합장치(1)의 외관에는 복합장치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기능키가 배열 장착된 조작패널(29)이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복합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에 기록된 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10)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초기에 원고를 원고스태커(3)에 적재한 후 원고투입위치로 세팅시키면 원고감지센서(6)에 의해 원고가 감지되고, 이러한 감지신호는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았음)에 전달된다. 컨트롤러는 스캐너파트내에서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각 구동원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원고픽업롤러(4)가 회전되고, 원고픽업롤러(4)와 마찰패드(5)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원고픽업롤러(4)와 마찰패드(5) 사이에 위치한 복수매의 원고들이 한 장씩 순차적으로 픽업된다.
픽업된 원고는 레지스터 롤러(8)에 도달하여 원고의 현재위치가 감지되며, 레지스터 롤러(8)는 배열형태의 데이터독취기(9)로 원고를 이송한 후 해당원고의 초기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원고를 정지시킨다. 이때, 배열형태를 갖는 복합장치의 경우, 원고에 기록된 상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데이터독취기(9)의 길이가 원고의 폭과 동일하거나 혹은 원고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독취기(9)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이송된 원고로부터 라인단위로 데이터를 독취하고, 라인단위의 데이터가 독취되면 레지스터 롤러(8)가 재구동되어 다음 라인의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원고를 라인크기만큼 이송시킨다. 이렇게 독취된 라인단위의 데이터는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후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해당원고의 데이터가 모두 독취/저장되면 원고배출롤러(11)에 의해 해당원고가 원고토출구(12)로 배출되어 원고트레이(13)에 적재된다.
한편, 셔틀방식이 복합장치의 경우, 앞서 제시한 본 출원인의 선행자료에서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스캐너파트내에 데이터독취기를 원고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지모터와, 캐리지모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에 따라 데이터독취기를 좌우 왕복운동시키는 이송벨트와, 데이터독취기의 이송궤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이 별도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는 지점이 원고가 세팅되면 캐리지모터가 구동되어 이송벨트를 구동시키고, 이송벨트에 접촉된 데이터독취기가 가이드축을 따라 셔틀방식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수행하며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정면적단위로 독취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이후의 동작과정은 배열형태의 복합장치와 동일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원고배출롤러(11)에 의해 원고가 복합장치(1) 외부로 배출되면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각 구동원은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정지하게 되고, 데이터독취기(9)에 의해 독취된 후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뎀 또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Line Interface Unit)를 통하여 소정장치(예컨대, 프린터장치)에 전송된다.
한편, 메모리(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전송된 디지털데이터는 컨트롤러를 통하여 프린터파트로 전송된다. 메모리(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컨트롤러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원에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용지픽업롤러(17)가 구동되어 카세트(16)내에 적재된 복수매의 상기록체(14)를 한 장씩 픽업한다. 픽업된 상기록체(14)는 레지스터센서(18)에 도달하여 상기록체(14)의 현재위치가 감지된 후, 레지스터 롤러(19)에 의해 프린터헤드(24)에 의한 인쇄영역까지 이송된다. 이후, 레지스터 롤러(19)는 정지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록체(14)는 인쇄영역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록체가(14) 인쇄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는 프린터헤드(24)에 인쇄할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프린터헤트(24)는 정해진 위치에 상이 형성되도록 잉크분사부(28)의 잉크분사위치와, 잉크분사시점을 제어한다.
또한, 캐리지모터(25)가 구동되어 프린터헤드(24)를 상기록체(14)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시키면서, 일정폭의 인쇄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인쇄되면, 레지스터 롤러(19)는 구동되어 다음 한 라인에 해당하는 위치만큼 상기록체(14)를 이송시킨 후, 상기록체(14)가 용지토출구(22)를 통하여 용지트레이(23)에 배출될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상기록체(14)가 용지트레이(23)로 완전 배출되면,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모두 정지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먼저, 배열형태의 복합장치는, 한 라인 단위의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하여, 데이터독취기가 원고의 폭과 동일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크기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데이터독취기를 장착함에 따른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셔틀방식의 복합장치는, 첫째, 데이터독취기를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스캐너파트에 캐리지모터와 가이드축과 이송벨트 및 이러한 구성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프린터파트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복합장치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복합장치의 내부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둘째, 데이터독취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지모터와 가이드축과 이송벨트 및 구동원이 원고가 이송되는 궤적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복합장치의 부피가 증가되어 설치장소가 한정된다.
셋째, 데이터독취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 구성부품과, 상형성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 구성부품이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컨트롤러가 스캐너파트와 프린터파트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데이터독취시점으로부터 상형성시점까지에는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를 일체화하고, 하나의 캐리지모터와 하나의 이송벨트와 하나의 가이드축과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복합장치의 내부구조를 간소화시킨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데이터독취기를 상형성체의 구조물에 일체형으로 부착함으로써, 데이터독취기가 이송되는 원고의 하단에 위치함에 따라, 복합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적인 제약을 해소시킨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데이터독취기가 상형성체가 동일한 궤적에 따라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컨트롤러가 데이터독취시점과 상형성시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데이터독취시점과 상형성시점간에 시간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데이터독취기능과 상형성기능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데이터독취기를 셔틀방식으로 채용함으로써, 배열방식에 비하여 복합장치의 생산원가를 절감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통상적인 배열형태의 데이터독취기를 갖는 복합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구조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가 독취되고, 독취된 데이터가 인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장치 14 : 상기록체
20 : 상형성체 24 : 프린터헤드
25 : 캐리지모터 26 : 이송벨트
27 : 가이드축 28 : 잉크분사부
30 : 데이터독취기 31 : 트레이
32 : 커버 33 : 조명장치
34 : 이미지센서 35 : 대물렌즈
36 : 탄성부재 37 : 이송가이드
38 : 이송레일 39 : 돌기부
40 : 데이터독취기 케이스 41 : 요홈
42 :천공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를 이용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고, 잉크젯방식 상형성체를 이용하여 독취된 상기 데이터의 상을 형성시키는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독취기와 상기 상형성체가 각각 수직상태로 수납되며, 일측에 관통홈이 형성된 수납부재: 상기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설되고,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축; 상기 수납부재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모터; 및 상기 구동원과 상기 수납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재를 왕복운동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데이터독취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상기 상형성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상호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상형성체가 수납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로부터 수직되도록 연장설치되고,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수납되도록 그 종단이 개방된 제2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되는 데이터독취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제2 수납부의 일측에 소정 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이송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기 요홈에 장착되고,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설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송레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데이터독취기 사이에,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상기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영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상기 데어터독취기를 탄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데이터독취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수납되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된 상기 데이터독취기의 최상단이 상기 원고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홈은, 상기 제2 수납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되는 원고의 하단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독취기의 독취수단이 상기 복합장치의 상단으로 향하도록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되는 상기록체의 상단에 해당 데이터의 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록체의 상형성수단이 상기 복합장치의 하단으로 향하도록 상기 상형성체가 상기 제1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독취기와 상기 이송되는 원고 사이에,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상기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상기 원고가 이송되는 트레이에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왕복 운동하는 데이터독취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홈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홈에 투명재질의 커버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같은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장치는 원고 및 상기록체(14)의 이송에 관련된 기본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복합장치와 동일하다.
한편,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구조를 살펴보면, 캐리지 모터(25)는 데이터독취영역 및 상형성영역으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설치되어 원고로부터 상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셔틀방식의 데이터독취기(30)를 좌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록체(14)에 상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도록 상형성체(20)를 좌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이송벨트(26)는 캐리지 모터(25)로부터 연장된 모터축상에 설치되고 상형성체(20)에 고정 설치되어 캐리지 모터(25)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형성체(20)와 데이터독취기(30)를 좌우측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축(27)은 상형성체(20)와 데이터독취기(30)가 이송벨트(26)에 의해 좌우측으로 왕복운동함에 있어, 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록체(14)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형성체(20)는 가이드축(27)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을 가지며, 그 일측이 이송벨트(26)에 고정 설치되어, 이송벨트(26)가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축(27)상을 좌우 왕복운동한다. 여기서, 상형성체(20)의 하단에는 이송되는 상기록체(14)에 잉크를 분사시켜 인쇄하고자 하는 상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잉크분사부(28)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데이터독취기(30)는 상형성체(20)에 일체화된 상태로 상형성체(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벨트(26)가 구동됨에 따라 상형성체(20)와 연동되어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한다. 여기서, 데이터독취기(30)는 원고가 이송되는 트레이(31)의 하단에 설치되어, 데이터기록면이 하단으로 향한 상태(Face-Down)에서 이송되는 원고를 상방향으로 독취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데이터독취기(30)가 좌우 왕복운동하는 궤적을 따라 트레이(31)에 소정크기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홈에는 투명재질이 커버(통상적으로 유리재질을 사용함)(32)를 부착함으로써 이송되는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트레이(31)의 하부에서 용이하게 독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30)의 상세구조에 대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30)는 그 종단에 조명장치(33)가 설치되어, 조명장치(33)로부터 방사된 빛이 원고에 조사되도록 하였다. 또한, 조명장치(33)의 하부에는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상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34)가 장착되어 있고, 조명장치(33)와 이미지 센서(34) 사이에는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이 이미지 센서(34)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반사관을 집적화하는 대물렌즈(35)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33)와 이미지 센서(34) 및 대물렌즈(35)는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30)와 상형성체(20)의 상세구조에 대하여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는 제2도에 도시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구조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요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이미지 센서(34)의 하단에 이미지센서(34)와 대물렌즈(35) 및 조명장치(33)를 데이터독취면에 근접 고정시키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예컨대, 스프링)(36)를 장착하였다.
또한, 데이터독취기(30)의 최상단 배면에 좌우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상단에 소정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이송가이드(37)가 장착되어 있고, 이 이송가이드(37)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되고 데이터독취기(30)가 왕복운동하는 궤적상에 설치되어 데이터독취기(30)의 좌우측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레일(3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독취기(30)의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대략 띠 형상의 돌기부(39)가 형성되며, 상형성체(20)로부터 연장 설치된 데이터독취기 케이스(40)의 내주면을 따라 전술한 돌기부(39)가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요홈(41)이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요홈(41)은 돌기부(39)의 폭보다 큰 폭으로 가공되어, 돌기부(39)가 요홈(41)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초기에 데이터독취기(30)를 데이터독취기 케이스(40)내에 수납하면, 데이터독취기(30) 하단에 장착된 탄성부재(36)에 의해 데이터독취기(30)는 원고가 이송되는 트레이(31)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데이터독취기(30)에 형성된 돌기부(39)가 데이터독취기 케이스(40)에 형성된 요홈(41)의 최상단에 접촉되면 데이터독취기(30)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독취기(30)는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항상 일정한 이격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독취기(30)를 데이터독취기 케이스(40)에 고정 설치하고, 데이터독취기(30)가 좌우 왕복운동하는 궤적상에 원고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천공부(42)를 형성하여, 데이터독취기(30)의 최상단이 천공부(42)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독취기(30)를 좌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송가이드 및 이송레일을 구비하지 않고, 캐리지모터(25)와 이송벨트(26)에서 제공된 구동력만으로 데이터독취기(30)가 좌우 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전술한 제5도에 있어서, 천공부(42)의 투명재질의 커버(32)를 부착하고, 이 커버(32)의 하축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데이터독취기(30)의 최상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변형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천공부(42)에 부착된 커버(32)에 의해 데이터독취기(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독취기(30)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원고를 원고투입구(2)에 세팅하면, 원고픽업롤러(4)와 마찰패드(5)의 마찰력에 의해 원고가 한 장씩 픽업된다. 픽업된 원고는 원고감지센서(6)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미지센서 제어부(43)가 원고유무를 확인한 후, 스캐너모터 제어부(44)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캐너모터(도시되지 않았음)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원고는 레지스터 롤러(8)를 거쳐 레지스터 센서(7)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미지센서 제어부(43)가 원고위치를 감지한다. 그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원고의 선단이 데이터독취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스캐너모터는 정지되고, 캐리지모터(25)가 구동되어 데이터독취기(30)를 초기위치에서 좌 또는 우측으로 왕복운동시킨다. 여기서, 데이터독취기(30)가 한 라인분량의 데이터를 독취한 후 초기 위치로 귀환하면, 스캐너모터가 구동되어 데이터가 독취된 한 라인분량만큼 원고를 이송시킨 후 정지시키고, 앞서 언급한 데이터독취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한 페이지분량의 데이터를 독취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독취기(30)는 데이터독취기 케이스(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41)과 데이터독취기(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39) 및 이송레일(38)에 결합된 이송가이드(37)에 의해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최적의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송레일(38) 상을 좌우 왕복 운동하게 된다. 데이터독취기(30) 내부에 장착된 조명장치(33)로부터 방사된 빛이 원고의 소정위치에 조사됨에 따라, 반사된 광의 농도차에 따라 이미지센서(34)가 해당데이터를 감지하게 된다.
데이터독취기(30)가 좌우 왕복운동함에 따라 이미지센서(34)에 감지된 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45)와 제1 버퍼(46) 및 화상처리부(47)와 제2 버퍼(48)를 거쳐 화상데이터 송출부(49) 또는 저장매체(도시되지 않았음)로 전송된다. 여기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45)와 제1 버퍼(46) 및 화상처리부(47)와 제2 버퍼(48)를 통하여 신호처리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선행자료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컨트롤러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복수모드를 감지하여 용지픽업롤러(17)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용지픽업롤러(17)는 카세트(16)에 적재된 복수매의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레지스터 롤러(19)에 공급한다. 레지스터 롤러(19)는 이송된 용지를 레지스터 센서(18)로 이송시키고, 레지스터 센서(18)는 이송된 용지를 감지하여 용지선단으로부터 해당데이터에 의한 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해당 라인만큼 해당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제어한 후, 레지스터 롤러(19)를 정지시켜 한 라인분량의 데이터에 대하여 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즉, 화상데이터 송출부(49)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동기신호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혹은 화상데이터 송출부(49)에 전송된 데이터를 헤드 구동부(50)에 전송하고, 상형성체(20)의 잉크분사부(28)에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록체(14)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용지에 상형성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시간에 대하여 소정시간 지연된 후 상형성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형성작업과 독취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독취기(30)와 상형성체(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복합장치(1)의 내부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캐리지모터(25)와 하나의 이송벨트(26)를 이용하여 데이터독취기(30)와 상형성체(20)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복합장치(1)의 내부구조를 더욱 간소화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에 따르면,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를 일체화하고, 하나의 캐리지모터와 하나의 이송벨트와 하나의 가이드축과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복합장치의 내부구조를 간소화시키고,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독취기를 상형성체의 구조물에 일체형으로 부착함으로써, 데이터독취기가 이송되는 원고의 하단에 위치함에 따라, 복합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적인 계약을 해소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독취기와 상형성체가 동일한 궤적을 따라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컨트롤러가 데이터독취시점과 상형성시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데이터독취시점과 상형성시점간에 시간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데이터독취기능과 상형성기능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독취기를 셔틀방식으로 채용함으로써, 배열방식에 비하여 복합장치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셔틀방식 데이터독취기를 이용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고, 잉크젯방식 상형성체를 이용하여 독취된 상기 데이터의 상을 형성시키는 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독취기와 상기 성형성체가 각각 수직상태로 수납되며, 일측에 관통홈에 형성된 수납부재; 상기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설되고,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축; 상기 수납부재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모터; 및 상기 구동원과 상기 수납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재를 왕복운동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데이터독취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상기 상형성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상호 독립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상형성체가 수납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로부터 수직되도록 연장설치되고,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수납되도록 그 종단이 개방된 제2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되는 데이터독취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제2 수납부의 일측에 소정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이송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기 요홈에 장착되고,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설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송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데이터독취기 사이에,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상기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영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상기 데이터독취기를 탄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데이터독취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수납되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된 상기 데이터독취기의 최상단이 상기 원고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제2 수납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되는 원고의 하단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독취기의 독취수단이 상기 복합장치의 상단으로 향하도록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되는 상기록체의 상단에 해당 데이터의 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록체의 상형성수단이 상기 복합장치의 하단으로 향하도록 상기 성형성체가 상기 제1 수납부와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독취기와 상기 이송되는 원고 사이에,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상기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상기 원고가 이송되는 트레이에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왕복 운동하는 데이터독취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독취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홈에 투명재질의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KR1019960070932A 1996-12-24 1996-12-24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KR100202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932A KR100202269B1 (ko) 1996-12-24 1996-12-24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932A KR100202269B1 (ko) 1996-12-24 1996-12-24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000A KR19980052000A (ko) 1998-09-25
KR100202269B1 true KR100202269B1 (ko) 1999-06-15

Family

ID=1949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932A KR100202269B1 (ko) 1996-12-24 1996-12-24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000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2263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improved sheet handl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feeding and scanning over-sized media sheets
JP2960930B2 (ja) スキャニング機能および印刷機能を有する複合機,複合機のスキャニングおよび印刷方法
US7782504B2 (en) Image reading/recording apparatus
JP2006231820A (ja) 画像記録装置
US6264384B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having a small size and method for same
KR100202269B1 (ko) 상형성체와 데이터독취기가 일체화된 복합장치
US7695081B2 (en) Image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KR100788660B1 (ko)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US7597414B2 (en) Hybri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placeable scanning unit
EP1781007B1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222692B1 (ko) 잉크-젯 프린터와 셔틀 스캐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합장치.
JP2022103838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JP2006306065A (ja) 画像記録装置
JPH0818726A (ja) 記録媒体識別装置
KR100208697B1 (ko) 셔틀 원고 판독 수단을 이용한 복합기
KR100277775B1 (ko) 복합기기의 셔틀스케너를 이용한 용지감지방법
KR100288703B1 (ko) 복합기
KR100189762B1 (ko) 원고와 인쇄 용지의 복합 자동 급지 장치
KR200148815Y1 (ko) 복합기의 갭 유지 장치
KR100420811B1 (ko) 원고 저장고와 용지 가이드를 일체화한 복합기기
KR100229509B1 (ko) 셔틀 스캐너 방식 복합기에서 용지 선단 검출 및 정렬방법
KR100449989B1 (ko) 복합 인쇄기기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인쇄기기
JP2022087910A (ja) 画像読取装置
KR100193724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원고 이송장치
KR19980022839A (ko) 잉크젯 인쇄방식 복합기의 스캐닝장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