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140B1 -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140B1
KR100369140B1 KR10-1999-0063626A KR19990063626A KR100369140B1 KR 100369140 B1 KR100369140 B1 KR 100369140B1 KR 19990063626 A KR19990063626 A KR 19990063626A KR 100369140 B1 KR100369140 B1 KR 10036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intake
swirl control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139A (ko
Inventor
정연만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1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02B31/06Movable means, e.g. butterfly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스월 컨트롤 밸브 어세이를 개선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헤드의 흡기포트측과 흡기 매니폴드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 통로 바디부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축과,
상기 밸브축에 흡기 통로 바디부의 흡기 통로를 개폐하게 가장자리가 체결되는 컨트롤 밸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SWIRL CONTROL VALVE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월 컨트롤 밸브 어세이를 개선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킨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스월 컨트롤 밸브(2)는 아이들, 또는 저,중속 저부하에서 연소 및 연비 개선을 위하여 적용되고 있다.
스월 컨트롤 밸브(2)는 저,중속에서 제1흡기 관로(4)중 제2흡기 관로(6)를닫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로, 이를 닫으면 나머지 다른 제1흡기 관로(4)를 통해 실린더(8) 내부의 한 방향으로 흡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흡기 매니폴드(10)에 설치되고 있다.
제1,2흡기 관로(4)(6)를 통해 공급된 흡기는 스월을 발생하게 되며, 제1,2흡기 관로(4)(6)중 제2흡기 관로(8)가 닫히면서 1/2로 단면적이 줄어 유속을 높히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의 무화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연료 분사를 가능해짐에 따라 희박 연소가 이루어진다.
스월 컨트롤 밸브(2)는 밸브축(12)에 설치되는데, 제2흡기 관로(6)에만 설치되며, 제1흡기 관로(4)를 횡단하게 설치된 밸브축(12)는 흡기 유동 방해를 저감하기 위해 A와 같이 가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스월 컨트롤 밸브는 흡기 관로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밸브축에 설치되기 때문에 흡기의 유동에 장애를 일으킨다.
그리고 스월 컨트롤 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흡기 관로의 직경 가공과 밸브축의 설치에 따른 내부 가공 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월 컨트롤 밸브 어세이를 개선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킨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의 흡기포트측과 흡기 매니폴드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 통로 바디부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축과,
상기 밸브축에 흡기 통로 바디부의 흡기 통로를 개폐하게 가장자리가 체결되는 컨트롤 밸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흡기 통로 바디부에는 흡기 통로 바디부의 흡기 통로 상부에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밸브축을 설치 형성한 축공간부와, 이 축공간부로부터 흡기포트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컨트롤 밸브를 위치시키는 밸브 챔버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흡기 매니폴드에는 컨트롤 밸브에 의해 정확한 접촉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흡기 통로에 스틸관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20)는 실린더 헤드(22)의 흡기 포트(24)측과 흡기 매니폴드(26)사이에 설치되는 흡기 통로 바디부(28)의 흡기 통로(30) 상부에 밸브축(32)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밸브축(32)에 흡기 통로(30)를 개폐하게 가장자리부분이 체결되는 컨트롤 밸브(34)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흡기 통로 바디부(28)는 흡기 통로(30)의 상부에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밸브축(32)이 설치되는 축공간부(36)를 형성하고, 이 축공간부(36)로부터 흡기 포트(24)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컨트롤 밸브(34)를 위치시키는 밸브 챔버(3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흡기 매니폴드(26)에는 컨트롤 밸브(34)에 의해 정확한 접촉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흡기 포트(24)측에 컨트롤 밸브(34)를 설치한 흡기 통로(30)상으로 스틸관(40)을 돌출시켜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컨트롤 밸브(34)는 아이들, 또는 저,중속 저부하에서 연소 및 연비 개선을 위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저,중속에서 흡기 관로중 한 관로(30)를 닫기 위해 컨트롤 밸브(34)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축공간부(36)에 설치된 밸브축(32)이 회전 작동하여 흡기 통로(30)를 컨트롤 밸브(34)로 하여금 차단하게 한다.
흡기 통로(30)를 차단한 컨트롤 밸브(34)는 스틸관(40)과 밀착하여 흡기의 유동을 정확하게 막는다.
이는 다시말해 컨트롤 밸브(34)에 의해 흡기 통로(30)가 차단되면 나머지 다른 한 관로(42)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한 방향으로 흡기를 유도하여 스월을 발생하게 한다.
또, 흡기 관로중 하나의 관로(30)가 닫히면서 1/2로 단면적이 줄어 유속을높히게 된다.
이때 흡기가 이루어지는 다른 한 관로(42)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는 종전처럼 유동을 방해하는 밸브축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좋아진다.
이에 따라 연료의 무화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연료 분사를 가능해짐에 따라 희박 연소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고속, 고부하시에는 컨트롤 밸브(34)가 밸브축(32)에 의해 개구되면서 밸브 챔버(38)에 위치하므로서 흡기의 유동을 역시 방해하지 않게 되어 흡기 유동성을 좋게 한다.
흡기 통로 외측으로 밸브축을 위치시킴에 따라 설치가 쉽게 이루어지고, 밸브축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어 비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컨트롤 밸브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종전 흡기 통로와, 컨트롤 밸브와의 가공에 있어 나타나던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Claims (3)

  1.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의 흡기포트측과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 통로 바디부의 흡기 통로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축과;
    상기 밸브축에 가장자리가 축결합되어 상기 밸브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흡기 통로를 개폐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통로 바디부는 상기 밸브축이 설치되는 축공간부와;
    상기 축공간부로부터 흡기포트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컨트롤 밸브를 위치시키는 밸브 챔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매니폴드 내의 흡기포트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의 닫힘동작시 상기 컨트롤 밸브와 접하는 스틸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KR10-1999-0063626A 1999-12-28 1999-12-28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KR10036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26A KR100369140B1 (ko) 1999-12-28 1999-12-28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26A KR100369140B1 (ko) 1999-12-28 1999-12-28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139A KR20010061139A (ko) 2001-07-07
KR100369140B1 true KR100369140B1 (ko) 2003-01-24

Family

ID=1963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626A KR100369140B1 (ko) 1999-12-28 1999-12-28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1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139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3339B2 (ja) 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41909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EP1464805B1 (en)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02209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idling rpm
KR100369140B1 (ko)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어셈블리
JPH08261080A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の圧力導入通路構造
JPH08135455A (ja)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07170349A (ja) 2燃料噴射弁型の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燃料供給管構造
KR100369142B1 (ko) 내연기관의 스월 컨트롤 밸브
JP7475359B2 (ja) 燃料噴射弁及び燃料噴射弁を備える内燃機関
JP2000073772A (ja) 筒内噴射式エンジン
JPH02176115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S61482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3329405B2 (ja) 2バルブエンジンの吸気制御構造
JPH0335492B2 (ko)
JPS6113710Y2 (ko)
KR970001519Y1 (ko) Lpg 엔진의 연료공급장치의 신기유도장치
KR100349849B1 (ko) 내연기관의 아이들 스피드 컨트롤 액츄에이터
JPH0248725B2 (ko)
JPH1113553A (ja) 排出ガス再循環装置
KR200170897Y1 (ko)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JPH06137229A (ja) 燃料噴射式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S6196133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1047167A (ja) 内燃機関のエアアシスト装置
JPH0242121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