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897Y1 -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897Y1
KR200170897Y1 KR2019950045849U KR19950045849U KR200170897Y1 KR 200170897 Y1 KR200170897 Y1 KR 200170897Y1 KR 2019950045849 U KR2019950045849 U KR 2019950045849U KR 19950045849 U KR19950045849 U KR 19950045849U KR 200170897 Y1 KR200170897 Y1 KR 200170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valve
throttle
engin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249U (ko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5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897Y1/ko
Publication of KR970041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2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05Details of the flap
    • F02D9/101Special flap shapes, ribs, bores or the like
    • F02D9/1015Details of the edge of the flap, e.g. for lowering flow noise or improving flow sealing in closed flap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arburettor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1/00 - F02M17/00
    • F02M19/02Metering-orifices, e.g. variable in diameter
    • F02M19/0221Metering-orifices, e.g. variable in diameter with a roughened spray stimulating surface or the like, e.g. sieves near to the nozzle orif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이 밸브의 가공면이 거칠어서 나타나는 흡기의 소용돌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의 부압에 의해 흡기가 이루어지는 스로틀 바디(2)와,
상기한 스로틀 바디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되어 가속페달에 연동하여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4)에 있어서,
상기한 스로틀 밸브에 흡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하여 급격한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는 유동장 형성수단(8)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유동장 형성수단(8)은 밸브의 1/2영역에서 제공되는 돌출부(10)와, 이 돌출부(10)로부터 밸브의 주변부로 이어지는 굴곡부(12)와, 이 굴곡부와 이어져 밸브의 주변부와 일치하는 면(14)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로틀 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스로틀 바디부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스로틀 밸브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스로틀 밸브를 통과하는 흡기의 흐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로틀 바디 4 : 스로틀 밸브
8 : 유동장 형성수단 10 : 돌출부
12 : 굴곡부 14 : 면
16 : 흡기 유도돌출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로틀 밸브를 통과하는 흡기의 흐름 상태가 부드러운 유동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하여 연료의 무화를 촉진시키고 연소효율을 증대시키며 응답성을 좋게하는 엔진의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차량의 흡기계는 에어 크리너에서 여과된 공기를 스로틀 바디를 통하여 서지탱크로 공급하고, 이 서지탱크에서 각각의 흡기관을 통하여 연소실로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스로틀 바디에는 가속페달에 연동하여 개도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가 설치되는데, 이 스로틀 밸브는 전자제어 엔진의 경우 스로틀 밸브 개도감지센서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연료의 분사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흡기계는 공기의 흐름이 신속하고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은 흡기가 이루어지면서 분사되는 연료의 무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또 엔진의 응답성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흡기계에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들이 제공되는 차량도 제안되고 있다.
특히 흡기관을 가변시키는 방식과 흡기포트의 형상을 엔진의 속도 영역에 따라 가변시키는 그러한 수단들이 많이 제공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스로틀 바디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충분하여야 가능한 연소실로 많은 양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또 이것의 공기 흐름이 신속하여야 응답성이 빠르게 되므로 이곳에서 흡기의 저항은 엔진에 나쁜 영향을 준다.
그리고 흡기관으로 분사되는 연료는 이 흡기와 혼합이 이루어져 연소실로 유입되는데, 이때 흡기와 연료가 균일하게 혼합되기 위해서는 양호한 무화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 바디(1)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상의 스로틀 밸브(3)가 조금 열린 상태에서 이곳을 지나는 흡기가 소용돌이(V)를 일으켜 흡기 손실을 초래한다.
이것을 스로틀 밸브(3)의 주변부가 기계가공시 가공 흔적이 남아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기 때문인데, 이와 같이 스로틀 밸브(3)의 뒷면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되면 흡기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분사되는 연료의 무화상태가 좋지 않게 되어 연소효율이 저하되며, 중고속에서 응답성이 느려지게 된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흡기의 흐름이 부드러운 유동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하여 연료의 무화를 촉진시키고 연소효율을 증대시켜 중고속에서 응답성을 좋게하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엔진의 부압에 의해 흡기가 이루어지는 스로틀 바디와,
상기한 스로틀 바디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속페달에 연동하여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스로틀 밸브에 흡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하여 급격한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는 유동장 형성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유동장 형성수단은 밸브의 1/2영역에서 제공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로부터 밸브의 주변부로 이어지는 굴곡부와, 이 굴곡부와 이어져 밸브의 주변부와 일치하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이다.
상기한 스로틀 밸브에는 흡기 유도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로틀 바디의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스로틀 밸브의 사시도로서, 스로틀 바디(2)의 내측에 가속페달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스로틀 밸브(4)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스로틀 밸브(4)는 통상 종래와 같이 원판상의 밸브판으로서, 회동축(6)을 중심으로 연소실측으로 기울어진 부위에 유동장 형성수단(8)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유동장 형성수단(8)은 흡기가 유입시 유선형의 궤적을 그리며 유입될 수 있도록 대략 스로틀 밸브(4)의 중심에서 시작하는 도출부(10)를 갖는다.
상기한 돌출부(10)는 스로틀 밸브(4)의 주변부로 이어지면서 점차적으로 돌출량이 적어지는 굴곡부(12)를 갖으며, 최종적으로 이 굴곡부(12)는 밸브의 주변과 거의 일치하는 면(14)을 갖는다.
이러한 유동장 형성수단(8)은 스로틀 밸브(4)의 1/2에 해당하는 영역에 제공되며, 또 그것은 양측면에 동일하게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스로틀 밸브(4)는 연소실과 가장 멀리 위치한 판체 부분의 저면에 흡기 유도돌출부(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흡기 유도돌출부(16)는 스로틀 바디(2)의 내면과 이 밸브의 주변부를 지나는 흡기가 판체의 내측으로 휘어지는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스로틀 밸브는, 엔진이 시동되어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스로틀 밸브(4)가 개방되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좌측의 흡기 흐름은 유동장 형성수단(8)의 돌출부(10)를 따라 휘어지면서 굴곡부(12)를 따라 아래측으로 유연하게 흐르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스로틀 바디(2)의 내면과 스로틀 밸브(4)의 주변부 사이를 지나면서 연소실 측으로 유동장을 형성하며 부드럽게 흐르게 된다.
이것은 상측에서 흡기의 흐름방향에 부드럽게 형성되도록 유도하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2)와 스로틀 밸브(4)의 주변부 사이를 통과하는 흡기는 아래측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고 그 반대측의 흡기는 스로틀 밸브(4)의 주변부와 스로틀 바디(2)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스로틀 바디의 저면측으로 휘어지는 성분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그 성분은 흡기 유도돌출부(16)에 의해 흐름이 저지되면서 아래측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유선형 궤적을 그리며 흐르게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로틀 밸브는, 유동장 형성수단과 흡기 유도돌출부에 의해 흡기의 흐름이 급격한 방향성을 갖지 않고 부드러운 유선형 곡선으로 흐르기 때문에 연료의 무화를 촉진하여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중고속에서 응답성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의 부압에 의해 흡기가 이루어지는 스로틀 바디(2)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속페달에 연동하여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4)에 흡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하여 급격한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의 1/2영역에서 돌출부(10)가 구성하고, 이 돌출부(10)로부터 밸브의 주변부로는 굴곡부(12)를 구성하여 이 굴곡부(12)와 이어져 밸브의 주변부와 일치하는 면(14)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밸브(4)에는 상기 면(14)의 반대측 일면에 흡기 유도돌출부(16)가 제공되어 상기 스로틀 바디의 저면측으로 휘어지는 흡기 성분을 일시 저지하여 아래측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유선형 궤적을 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KR2019950045849U 1995-12-22 1995-12-22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KR200170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849U KR200170897Y1 (ko) 1995-12-22 1995-12-22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849U KR200170897Y1 (ko) 1995-12-22 1995-12-22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249U KR970041249U (ko) 1997-07-29
KR200170897Y1 true KR200170897Y1 (ko) 2000-04-01

Family

ID=1943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849U KR200170897Y1 (ko) 1995-12-22 1995-12-22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8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249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3423B (zh) 内燃机的进气装置
US4308830A (en) Vane in the inlet passag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08829A (en) Vane in the inlet passag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70897Y1 (ko)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JP2704390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212154955U (zh) 进气控制装置
JPH0415939Y2 (ko)
JPS6113109B2 (ko)
KR100244395B1 (ko) 스월 포트를 가지는 자동차의 연료 분사 장치의 제어방법
KR100268987B1 (ko) 스월포트를가지는자동차의연료분사장치의제어장치
US4341191A (en) Fuel injection type carburetor
JPS6136764Y2 (ko)
JPH0430340Y2 (ko)
JPH0622138Y2 (ja) 可変ベンチュリ気化器
JPH0236926Y2 (ko)
JP2657691B2 (ja) 気化器
JP2024064137A (ja) スロットル装置及び吸気システム
JP2511006Y2 (ja) ダウンドラフト型ダイヤフラム式気化器
KR200155325Y1 (ko) 흡기관의 에어 제어덕트
JPH01290907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導入装置
KR960008545Y1 (ko) 내연기관의 흡기 흐름조절장치
JPS5937253A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還流装置
JPS58131314A (ja) 内燃機関のスワ−ル制御装置
JPS62237070A (ja) 可変ベンチユリ−形気化器
JPH0612062B2 (ja) 多吸気弁式エンジン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