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906B1 -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906B1
KR100367906B1 KR1019950036303A KR19950036303A KR100367906B1 KR 100367906 B1 KR100367906 B1 KR 100367906B1 KR 1019950036303 A KR1019950036303 A KR 1019950036303A KR 19950036303 A KR19950036303 A KR 19950036303A KR 100367906 B1 KR100367906 B1 KR 10036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ternary ammonium
reaction
ammonium salt
general formula
alky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057A (ko
Inventor
성봉훈
신용덕
장택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3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906B1/ko
Publication of KR97002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2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아크릴레이트 3급 아민과 알킬할라이드를 부가반응시켜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매인 물은 3급 아민 화합물 대비 8∼25중량% 범위의 양을 알킬할라이드 부가 반응전에 주입하고, 반응속도에 따라 40∼65중량%의 물을 추가적으로 분할 주입하여 반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알킬아크릴레이트 3급 아민과 알킬할라이드를 부가 반응시켜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안정제를 적당량 주입하고 용매로서 물(H2O)을 적당한 시점에 분할 주입하므로 짧은 반응시간에 높은 수율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으로서 제조코자 하는 농도의 제품을 단일 공정으로 얻을 수 있고 미반응 원료를 회수함으로서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여러문헌에 개시된바 있으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 공개특허 소52-27712호에서는 용매인 아세트나이트릴 하에서 4급 암모늄염을 침전으로 합성한 후 염을 석출시켜 다시 수용액으로 필요한 농도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과 일본 공개특허 소52-31018호에서는 반응용매로 물을 반응초기 원료인 3급 아민과 함께 주입하는 방법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이때 두 화합물의 사용비율은 1몰의 3급 아민에 알킬할라이드 1∼2몰을 반응시킨다. 아세트나이트릴, 아세톤 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생성된 4급 암모늄염을 석출하는 경우에는 용매를 여과시켜 제거한 후 염을 다시 수용액으로 제조한다.
아세트나이트릴 용매하에서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일본 공개특허 소52-27712호)은 환류 냉각기, 교반기, 온도계, 가스 흡입관이 설치되고 모든 습기를 차단시킨 용적 1L의 반응기에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DMAEM) 157.2g(1.0mole)과 아세트나이트릴 400ml 및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이하 HQME) 0.97g을 넣은후 반응기를 외부에서 55℃로 가열하여 액상을 격렬히 교반시키면서 메틸클로라이드(이하 CH3Cl) 78g(1.5mole)을 6시간에 걸쳐 주입시켰다. 이때 반응의 진행에 따라 결정의 석출량이 많게 된다. 메틸클로라이드의 주입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 시키면서 석출 결정을 여과한 후 결정을 50℃의 온도에서 감압 건조시켜 잔존하는 용매 및 기타 휘발분을 제거해야 한다. 이때 4급 암모늄염의 회수율은 95%(회수량 197.1g) 였다. 반응시간이 길며 석출된 염을 여과후 감압 건조시켜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해야 하므로 공정상 복잡하고 용매의 완벽한 제거가 요구 된다. 또한 석출된 염은 다시 수용액으로 제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물을 용매로 4급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방법(일본 공개특허 소52-31016호)은 교반기를 갖춘 4L의 4구 플라스크에 DMAEM 500g과 물 167g을 넣고 중합 방지제로 HQME을 200mg을 가한다. 30℃에서 메틸클로라이드를 강력한 교반하에서 가스상태로주입하여 6시간 반응 시킨다. 이때 미반응 원료 DMAEM가 0.17%이고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유리산인 메틸아크릴산이 0.15% 였다. 상기 방법에선 반응시간이 길며 미반응 DMAEM을 완벽하게 반응시키기 어려을 뿐만 아니라 초기에 주입된 물로 인하여 원료 DMAEM을 가수분해시켜 유리산의 증가를 초래한다.
일본 공개특허 소52-31016호에 개시된 방법은 반응 초기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면에서는 본 발명과 유사하다. 그러나 원료인 3급 아민과 함께 용매인 물을 주입하므로써 물로 인하여 가수분해가 일어나 제품의 산도를 높이고 3급 아민에서 4급 암모늄염으로의 전환 속도가 느려 반응시간이 길며 미반응 3급 아민이 많이 잔류하게 한다. 유리산과 미반응 3급 아민은 암모늄염 수용액 속에 계속 잔류하게 되므로 최대한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메틸클로라이드를 부가하는 반응은 발열 반응이며 이때 발생되는 반응 온도의 상승을 냉각수로 냉각하며 반응시키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후 미량의 3급 아민을 충분히 전환시키기 어렵다. 또한 반응온도 조절이 정확하지 않으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자체가 폴리머를 형성하거나 메틸클로라이드는 상온에서 2∼6kg/㎠의 증발압을 유지하므로 반응초기 메틸클로라이드의 부가 속도가 빨라 순간적으로 반응온도가 올라가며 반응의 조절이 어려워 가교반응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가지 기존의 방법을 참고로 보다 우수하고 안전한 제조방법을 모색하던중 발명된 새로운 제조방법이다(비교예 1∼4 참조).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I)으로 표시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3급 아민과 하기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알킬할라이드를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율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R4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벤질기이고,
X는 염소, 브롬과 같은 할로겐원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기존의 반응에는 다량의 용매를 반응전에 원료인 3급 아민과 함께 투입함에 따라 반응물질들의 희석 효과로 반응속도의 감소를 초래하였고 반응초기에 용매인 물의 양 증가에 따른 가수분해 증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초기에 3급 아민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면서 4급 암모늄염의 생성 속도에 비례하여 물을 추가적으로 주입하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함으로서, 암모늄염이 수용액으로 용해되어 제거되면서 상간이동 촉매적 역할에 의한 알킬할라이드의 용존량을 증가시켜 3급 아민과 효과적으로 반응할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4급 암모늄염으로의 전환율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매로 물을 사용하나 원료 3급 아민과 함께 주입하지않으므로 3급 아민의 가수분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발열반응으로 인한 반응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반응속도의 효율적 조절이 가능하며 반응시간을 4시간 이내로 줄여 경제적인 공정을 확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미반응 3급 아민을 완벽하게 전환시키기 위하여 반응액을 가온하고 알킬할라이드로 반응기내의 압력을 1∼15kg/㎠ 가해 숙성 반응시킨다. 또한 원하는 제품의 농도를 합성시 용매 주입량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므로 농축 및 희석할 필요가 없어 일관성 있는 생산이 가능하다. 합성 반응후 과잉 주입된 알킬할라이드는 회수하여 원료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반응액에 함유된 미반응 알킬할라이드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4급 암모늄염이 폐수처리 고분자 응집제 원료로 사용될 경우 수처리용 미생물에 독성을 유발하므로 미반응 알킬할라이드를 저온 진공 제거법을 사용하므로 50ppm 이하 극미량 까지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다.
부가 반응에는 다양한 안정제(하이드로퀴논, 파라메톡시하이드로퀴논, 페노티아진 등)를 사용하나, 수처리용 고분자 응집제 원료로 사용될 경우 같은 안정제로 사용될수 있도록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HQME)을 사용 하였다. 이는 제조후 제품에서 안정제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하는 안정제의 양은 소량으로 3급 아민 화합물 대비 0. 1중량%에서 0.35중량% 사이의 양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0.15∼0.25중량% 이다. 주입용매인 물은 3급 아민 화합물 대비 8∼25중량% 범위의 양을 알킬할라이드부가 반응전에 주입한 후 반응을 시작하고 반응속도에 비례하여 40∼65중량%의 물을 추가적으로 주입한다. 이때 알킬할라이드 부가 반응전에 주입하는 물(H2O)량은 바람직하게는 3급 아민 화합물 대비 10∼20중량% 이고, 반응중에 주입되는 나머지 물은 3시간 이내에 주입 완료한 후 30분간 숙성 반응시킨다.
알킬할라이드 부가 반응시 반응온도는 10∼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60℃ 이다. 반응온도가 10℃ 이하 일때는 알킬할라이드 부가반응 속도가 매우 느려 반응기안에 주입된 물(H2O)로 인해 가수분해를 일으키고 90℃ 이상일 경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폴리머를 형성하거나 가교반응을 일으키므로 반응액이 굳을 수 있다.
이하 일반식(II)의 화합물중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일반식(III)의 화합물중 메틸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메타아크릴로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합성하는 방법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부가 반응전 질소로 반응기내의 혼합 기체를 치환한 다음 CH3Cl 가스를 서서히 주입하고 소량의 물(3급 아민 화합물 대비 10∼20중량%)을 반응전에 주입하고 나머지 50∼60중량%를 반응속도에 비례하여 주입하므로 급격한 초기반응을 조절할 수 있고 반응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반응액의 압력을 CH3Cl로 가압한다. 반응압력은 1∼15kg/㎠가 좋으나 가장 좋기는 2∼8kg/㎠가 가장 좋다. 이러한 반응들은 상압에서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반응기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야하고 내부에 발생되는 열은 외부로 손쉽게 배출될수 있도록 자켓타입 고압반응기(Autoclave)를 사용한다. CH3Cl 부가 반응후 미반응 3급 아민은 0.1N 염산으로 자동적정기기에서 산염기 적정하여 아민값(Total amine value)으로 확인하며, 가수분해 정도는 0.1N NaOH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산가(acid value)를 측정하므로 알 수 있다.
4급 암모늄염은 50% 에서 85% 수용액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농도의 제품을 단일공정에서 농축이나 희석없이 제조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60% 에서 80%의 제품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4급 암모늄염은 미반응 3급 아민과 유리산이 거의 없으며 반응액에 잔류된 CH3Cl는 진공으로 제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료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체 용량은 1L인 유리 반응기로 냉각과 가온이 가능하게 하고 반응기내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계를 설치하고 CH3Cl를 가스로 주입할 수 있는 배관을 설치한다.
준비된 반응기에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157.21g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HQME) 0.38g을 분할해서 넣고, 물(H2O) 28g(3급 아민대비 18중량%)을 주입한 후 반응액의 온도를 25∼65℃로 유지하며 메틸클로라이드로 부가 반응시킨다. 이때 반응압력을 메틸클로라이드로 3∼6kg/㎠으로 유지한다. 3급 아민이 4급 암모늄염으로 전환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반응액에 물 83.7g(3급 아민 대비 53중량%)을 주입하며 4시간 반응시킨다. 반응후 미반응 메틸클로라이드는 회수하여재사용하고 반응액에 잔류한 메틸클로라이드는 저온에서 진공으로 제거한다. 이때 수율 99%(원료 DMAEM 기준) 미반응 DMAEM 0.05%, 유리산 0.02% 이고 메틸클로라이드는 극미량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반응압력을 1∼2kg/㎠로 변화시킨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급 암모늄염 203.4g(수율 98%)을 회수했으며 이때 미반응 DMAEM은 0.4% 이고 유리산 0.8% 였다.
(실시예 3)
반응전에 물 60g을 주입하고 DMAEM 전환속도에 따라 물(H2O) 51.7g을 주입하며 메틸클로라이드를 부가반응 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급 암모늄염을 수율 96.9%로 회수했으며 이때 미반응 DMAEA는 0.15% 이고 유리산 1.1% 였다.
(실시예 4)
준비된 반응기에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143.2g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HQME) 0.72g을 넣고, 물(H2O) 12g(3급 아민 대비 8.4중량%)을 주입한 후 반응액의 온도를 25∼65℃로 유지하며 메틸클로라이드로 부가반응시킨다. 이때 반응압력을 메틸클로라이드로 3∼6kg/㎠으로 유지한다. 3급 아민이 4급 암모늄염으로 전환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반응액에 물 36g(3급 아민 대비 25 중량%)을 주입하며 4시간 반응시킨다. 반응후 미반응 메틸클로라이드는 회수하여 재사용하고반응액에 잔류한 메틸클로라이드는 저온에서 진공으로 제거한다. 이때 수율 98.9%(원료 DMAEA 기준) 미반응 DMAEA 0.19%, 유리산 0.14% 이고 메틸클로라이드는 극미량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실시예 5)
DMAEA 전환속도에 따라 물(H2O) 20g을 반응전에 주입하고 반응속도에 비례하여 60g의 물을 주입하며 부가반응 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급 암모늄염을 수율 97.9% 회수했으며 이때 미반응 DMAEA는 0.3% 이고 유리산 0.9% 였다.
(실시예 6)
반응온도를 20℃로 변화시킨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급 암모늄염을 수율 96.5%로 회수했으며 이때 미반응 DMAEA는 1.3% 이고 유리산 1.4% 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같이 준비된 반응기에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MAEM) 157.21g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HQME) 0.38g을 넣고, 물(H2O) 28g(3급 아민 대비 18중량%)을 주입한 후 반응액의 온도를 25∼65℃로 유지하며 벤질클로라이드로 부가 반응시킨다. 3급 아민이 4급 암모늄염으로 전환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반응액에 물 83.7g(3급 아민 대비 53중량%)을 주입하며 4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수율 98.1%(원료 DMAEM 기준) 미반응 DMAEM 0.6%, 유리산 0.7% 였다.
(비교예 1)
물(H2O) 111g을 메틸클로라이드 부가 반응전에 주입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급 암모늄염 198.8g(수율 96%)을 회수했으며 이때 미반응 DMAEM는 2.1% 이고 유리산 1.5% 였다.
(비교예 2)
부가반응전에는 물을 주입하지 않고 반응후 1시간 30분후 물(H2O) 111g을 주입하며 메틸클로라이드를 부가반응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3시간 반응후 폴리머 시드(Polymer seed)가 생성되었다.
(비교예 3)
반응온도를 95℃로 변화시킨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반응중 폴리머 시드(Polymer seed)가 생성 되었다.
(비교예 4)
물(H2O) 103g을 메틸클로라이드 부가 반응전에 주입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급 암모늄염 181.2g(수율 90.9%)을 회수했으며 이때 미반응 DMAEA는 2.25% 이고 유리산 4.85% 였다.

Claims (6)

  1. 일반식(II)으로 표시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3급 아민과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알킬할라이드를 반응시켜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매인 물은 3급 아민 화합물 대비 8∼25중량% 범위의 양을 알킬할라이드 부가 반응전에 주입하고, 반응속도에 따라 40∼65중량% 3급 아민화합물 대비의 물을 추가적으로 분할 주입하여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R4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벤질기이고,
    X는 염소, 브롬과 같은 할로겐원자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와 같은 안정제를 3급 아민 화합물 대비 0.1∼0.35중량%를 2∼5회 분할하여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메틸클로라이드 압력을 3∼8kg/㎠로 유지하여 반응속도를 조절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반응온도는 10∼90℃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일반식(II)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일반식(III)은 메틸클로라이드이며, 생성물은 메타아크릴로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II)이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이고, 일반식(III)은 메틸클로라이드이며, 생성물이 아크릴로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알킬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KR1019950036303A 1995-10-20 1995-10-20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KR10036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303A KR100367906B1 (ko) 1995-10-20 1995-10-20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303A KR100367906B1 (ko) 1995-10-20 1995-10-20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57A KR970021057A (ko) 1997-05-28
KR100367906B1 true KR100367906B1 (ko) 2003-03-04

Family

ID=3749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303A KR100367906B1 (ko) 1995-10-20 1995-10-20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83A (ko) * 1996-12-31 1998-10-07 박영구 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KR100491098B1 (ko) * 1997-10-15 2005-09-26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메타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4381A (en) * 1973-10-10 1980-11-18 Rohm And Haas Company Fibrous material made with polymers stabilized by polymerizable vinyl benzyltrialkyl ammonium salt surfactant
US4745214A (en) * 1986-06-20 1988-05-17 Norsolo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eous solution of unsaturated quaternary ammonium salts
EP0302122A1 (en) * 1987-02-18 1989-02-08 Kohjin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unsaturated quaternary ammonium salts
US4946996A (en) * 1985-08-08 1990-08-07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an allyl amine and quaternary diallyl ammonium compounds therefr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4381A (en) * 1973-10-10 1980-11-18 Rohm And Haas Company Fibrous material made with polymers stabilized by polymerizable vinyl benzyltrialkyl ammonium salt surfactant
US4946996A (en) * 1985-08-08 1990-08-07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an allyl amine and quaternary diallyl ammonium compounds therefrom
US4745214A (en) * 1986-06-20 1988-05-17 Norsolo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eous solution of unsaturated quaternary ammonium salts
EP0302122A1 (en) * 1987-02-18 1989-02-08 Kohjin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unsaturated quaternary ammonium sal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83A (ko) * 1996-12-31 1998-10-07 박영구 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KR100491098B1 (ko) * 1997-10-15 2005-09-26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메타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57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7381B2 (ja) 不飽和第四アンモニウム塩水溶液の製造方法
KR100367906B1 (ko) 알킬아크릴레이트4급암모늄염의제조방법
KR100526365B1 (ko)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류의 제조방법
US480628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id chlorides by phosgenation of acids, and catalysts for this process
US6379590B1 (en) Method for making unsymmetrically substituted fluorenyl compounds for nonlinear optical applications
US447900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carbamoyl-3-(3,5-dichlorophenyl)-hydantoins
KR100491098B1 (ko) 고순도 메타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JP3042122B2 (ja) N−シアノアセトアミ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S6059897B2 (ja) 末端アクリルもしくはメタクリル基を有するクロロホルメートの調製方法
EP0976733B1 (en) Process for producing 1-chlorocarbonyl-4-piperidinopiperidine or hydrochloride thereof
US4534909A (en) Process for producing a halogen-containing ethylbenzene derivative
KR19980059283A (ko) 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의 제조방법
US4556736A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line acrylamido alkyl trialkylammonium chlorides
JP2907520B2 (ja) 界面活性剤の製造方法
JPH02172969A (ja) ジチオールジ(メタ)アクリレートの製造法
JP3427518B2 (ja) ジアリルジアルキルアンモニウム化合物の製造方法
JP2657641B2 (ja) クロロアルキルアミン塩酸塩類の製造方法
JPH0632768A (ja) 不飽和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の製法
KR920000126B1 (ko) 디히드록시 벤조페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6192170A (ja) 4−ブロモメチルビフェニル化合物の製造法
JPH0552299B2 (ko)
HU207709B (en) Process for producing n-/n-propyl/-n-/2-/2,4,6-trichloro-phenoxy/-ethyl/-amine
JP2000229919A (ja) 高純度不飽和第四級アンモニウム塩水溶液の製造方法
KR840001563B1 (ko) 1-카르바모일-3-(3, 5-디클로로페닐)-히단토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10003635B1 (ko) 2-(2-나프틸옥시)프로피온아닐리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