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071B1 - 무선전화기크래들컨넥터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크래들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071B1
KR100367071B1 KR1019970702731A KR19970702731A KR100367071B1 KR 100367071 B1 KR100367071 B1 KR 100367071B1 KR 1019970702731 A KR1019970702731 A KR 1019970702731A KR 19970702731 A KR19970702731 A KR 19970702731A KR 100367071 B1 KR100367071 B1 KR 10036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contacts
shorting bar
connector
sh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666A (ko
Inventor
데르 헤이든 에릭 반
한스 스피에겔라
자코부스 니콜라스 투인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70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04M1/08Hooks; Cradles associated with switche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receiver or hand-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무선 전화기 베이스 스테이션용 크래들 컨넥터(2)는 절연 하우징들(4) 내에 장착된 다수의 터미널들(12)을 포함하며 단락 바(40)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는 터미널들은 하우징에 인모울드(inmoulded)된다. 터미널들(12)은 탄성부(20)와 베이스 스테이션에 대한 전화기의 위치시 비교적 큰 공차를 허용하기 위하여 탄성 작용에 대하여 압축 가능한 접촉부들(22)을 포함한다. 접촉부들(22)은 컨넥터가 분리될 때 단락 바(14)에 대하여 접촉하는 연장부들(38)을 포함하며, 그로 인하여 터미널들(12')중의 하나는 접지되며 따라서 정전기 방전은 베이스 스테이션 회로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만일 이러한 터미널들이 접지(예로 전원 터미널들)되지 않으면 특징 연장부들(38)은 일부 터미널들(12")을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비용 절감을 위하여 제조 및 취급시 단락 바(14)는 다수의 하우징들(4)을 상호 접속하는 와이어로 만들 수 있다. 크래들 컨넥터는 따라서 콤팩트하고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며, 정전기 방전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 크래들 컨넥터
전화기가 베이스 스테이션 상의 크래들(cradle) 위에 위치하는 동안 전원 및 신호 콘택트들과의 상호접속을 위하여 무선 전화기의 바닥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평면 접촉면들을 구비한 무선 전화기를 발견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전화기가 베이스 스테이션 상에 놓여져 있는 동안 이 전기적 접속은 무선 전화기의 밧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한 전원뿐만 아니라 전화기의 제어 및 통신용 신호도 제공한다. 전화기가 크래들로부터 제거되고 다시 재치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크래들 컨넥터(무선 전화기의 콘택트와의 접속을 위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내에 위치하는 컨넥터)는 컨넥터의 크기에 관련하여 무선 전화기 콘택트들의 위치에서 비교적 큰 공차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재치 상태에서 큰 공차를 조절하는 반면에 크래들상에서의 무선 전화기의 빈번한 제거 및 재 재치(reposition)로 인하여 전화기의 사용 수명 동안 신뢰성있는접속이 요구된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의 회로를 보호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전화기가 제거될 때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외부 장치 사이 또는 크래들 컨넥터들의 콘택트들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의 회로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물론 보다 콤팩트하고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접속 시스템의 제공도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radio-telephone)를 신호 및 전원 전송용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에 상호접속하기 위한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스테이션 회로 손상에 따른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갖는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크래들 컨넥터의 횡단면도;
도 2는 크래들 컨넥터의 다수의 콘택트들 및 단락 바의 사시도; 및
도 3은 크래들 컨넥터의 사시도.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complementary) 컨넥터의 재치시 비교적 큰 공차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고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며 신뢰성 있는 형태의 크래들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용면에서 효과적이고, 콤팩트하며, 신뢰성 있는 형태로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크래들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 및 제거 가능한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접촉단을 구비한 크래들 컨넥터를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지며, 유연한 탄성 수단들은 접속단과 접촉단 사이에 제공되고, 컨넥터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콘택트들은 컨넥터 내에 위치한 단락 회로 바(shorting circuiting bar)에 대하여 접촉하기 위하여 접촉부에 인접한 연장부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락 회로 바는 컨넥터의 하우징과 일체로 모울딩되며 콘택트들과 인접한 하우징의 상부벽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조시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운반 및 그 취급을 위하여 제조시 단로 회로 바는 다수의 크래들 컨넥터들을 상호 접속하는 와이어 형태일수도 있다. 단락 바는 콘택트들중 하나를 베이스 스테이션의 접지 회로에 접속함으로서 접지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전기 크래들 컨넥터 2는 결합단 8에서 부터 인쇄 회로 기판 장착단 10 까지 연장된 터미널 수용 캐비티들 6 및 캐비티들 6 내에 장착된 터미널들 12를 구비한 절연 하우징 4을 포함한다. 컨넥터 2는 또한 하우징 4의 상부벽 16에 접촉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단락 바(shorting bar) 14를 포함한다.
콘택트 12는 접속부 18, 탄성부 20 및 접촉부 22를 포함한다. 접속부 18는 인쇄 회로 기판의 도금된 관통 홀들 내로의 삽입을 위하여 장착면 10 하부로 돌출된 인쇄 회로 기판 장착 포스트 24를 포함한다. 그러나, 접속부 18는 또한 상대 컨넥터, 인쇄 회로 기판의 터미널들 또는 다른 장치와의 상호 접속을 위하여 다른 접속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터미널 12은 금속 판으로 부터 엣지 스탬프(edge-stamped) 되어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며, 따라서 컨넥터 2의 다른 콘택트들과 콤팩트한 병렬(juxtaposed) 상태로 장착 가능하다. 터미널 수용 캐비티들 6은 인접한 캐비티들 6 사이에 측벽들 26을 가지며, 또한 접촉 탄성부 20를 위한 측면 가이드를 제공한다. 접촉 탄성부 20는 탄성 빔들 28을 구비하며, 탄성 빔들 28은 구불구불한배열 상태로 탄성 빔들 28과 상호 연결된 교호적인 U형 벤드(U-bend)들 30, 32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 20의 상단 34은 접촉부 22에 부착되며, 접촉부는 접촉부 22가 최상단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결합 표면 8을 지나 돌출되는 호형 볼록 접촉 표면 36을 포함한다. 접촉 표면 36은 실질적으로 180° 이상의 원형 외관을 갖는다. 연장부 38은 탄성부 20의 상단 34에 대하여 접촉부의 대향 측부상에서 접촉부 22로 부터 돌출되며, 콘택트들 22이 최상단 위치에 있을 때 연장부 38는 다수의 터미널들 12의 연장부 38를 가로질러 연장된 단락 바 14와 접촉한다.
단락 바 14는 절연 하우징 4에 의하여 오버 모울드된(overmoulded) 금속성 와이어와 같은 도전성 부재일수도 있으며, 최상단 위치에 있을 때 연장부 38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단락 바 14의 일부 40는 캐비티 6 내로 돌출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컨넥터의 하우징 4이 제거된 상태에서 크래들 컨넥터 2의 다수의 터미널들 12, 12', 12"이 도시되어 있다. 단락 바 14는 다수의 터미널들 12과 연장부들 38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며, 그로 인하여 터미널들 12' 중의 하나는 접속부 18가 접속된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장치의 접지 회로(부호 42로 도식적으로 표현됨)에 접속된다. 따라서 후자는 단락 바 14에 의하여 상호 접속된 모든 터미널들 12을 접지시킨다. 그러나, 터미널들 12"의 일부, 예를 들어 전원 콘택트들을 접지에 단락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수 있으며, 이것은 이들 터미널들의 단락 연장부들 38을 제거함으로서 이루어진다. 후자는 스탬핑 공정이 실행되는 동안 이들 콘택트들의 단락 연장부 38를 간단하게 절단함으로서 매우 간단하게 실행될수 있다.
크래들 컨넥터 2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무선 전화기와 같은 장치는 터미널들 12, 12', 12"의 호형 접촉 표면들 36에 대한 접촉을 위하여 실질적인 평면 접촉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장치의 접촉 표면들은 탄성부 20의 탄성과 반대로 접촉부들 22을 가압하며, 단락 연장부들 38은 단락 바 14로 부터 분리된다. 무선 전화기는 일반적으로 크래들 컨넥터 2가 견고하게 장착된 베이스 스테이션상에서의 마지막으로 고정된 위치로의 무선 전화기의 안착을 위하여 접속을 하는동안 크래들 컨넥터를 향한 운동뿐만 아니라 진동운동을 갖는다. 따라서 큰 각도 이상의 호형 표면들 36은 상호 접속동안 상대 장치 콘택트들의 큰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구불구불한 탄성부와 다수의 탄성 빔들 28은 접촉부들 22의 큰 축 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며 그들과 관련된 상대 장치의 콘택트의 재치시 큰 공차를 용인할 수 있다. 접촉부들 22은 접촉부 22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 4의 축방향 안내 벽들 44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과도한 응력 또는 터미널들의 손상없이 접촉부들 22은 외부 물체가 축방향 안내 벽들 44의 결합단 8과 접촉할 때까지 외부 물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원통형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서 비용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단락 바 14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단락 바는 와이어에 오버모울드된(overmoulded) 다수의 하우징들 4을 상호 접속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와이어는 제조 및 취급시 하우징들을 서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소정의 조립단계 동안 인접된 하우징들과 상호 접속된 단락 바의 일부분을 잘라냄으로서 하우징은 분리될 수 있다. 단락 바는 또한 하나의 금속 판 스트립 이외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안내 구멍(pilot holes)들은 향상된 운반의 용이함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대 장치가 제거될 때 접촉부들 22의 보호를 위하여 하우징 4 앞으로 돌출된 접촉부들 22 상에 캡 50이 위치될 수 있다. 캡은 하우징 4에 탄성수단(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장착되며 크래들 내에서 상대 장치(예를 들어 무선 전화기)의 접속시 가압될수 있다. 캡 50은 슬롯들 52을 구비하여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콘택트들의 통과를 허용한다.
따라서, 크래들 컨넥터의 터미널들과 상호 접속되는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단락 바를 제공함으로서 무선 전화기와 같은 상대 장치가 제거될 때와 크래들 컨넥터의 터미널들이 노출될 때 크래들 컨넥터와 상호 접속된 전자회로의 정전기 방전 손상은 방지된다.
제조 및 취급시 이러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단락 바는 다수의 컨넥터 하우징들 또는 컨넥터들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 컨넥터는 신뢰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하고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다.

Claims (16)

  1. 빈번하게 제거 및 재 재치 가능한 장치를 베이스 스테이션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크래들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내부에 캐비티들(6)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4)과 상기 캐비티들(6) 내에 장착 가능한 터미널들(12, 12')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들은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기 회로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부들(18)과 제거 가능한 장치의 상대 콘택트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촉부들(22) 및 장치의 재치상태에서 비교적 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한 접촉부들(22)의 탄성 바이어싱을 허용하기 위하여 접촉부들과 접속부들을 연결하는 유연한 탄성부들(20)을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 컨넥터(2)는 상기 제거 가능한 장치와 분리될 때 터미널들(12, 12')을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하는 단락 바(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들(12, 12')은 상기 단락 바(14)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접촉부들(22)과 인접한 단락 연장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연장부(38)는 상기 접촉부(22)의 대향 측부로 부터 탄성부(34)로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2)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터미널(12")은 상기 단락 바(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며, 제거된 단락 연장부들(38)을 제외한 단락된 터미널들(12, 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는 U형 벤드들(30)에 의하여 구불구불한 배열 형태로 상호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탄성 빔들(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2)는 하우징(4)의 결합단(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안내 벽들(44)에 의하여 그 탄성 축 운동방향으로 안내되며, 안내 벽들의 결합단(8)은 터미널 탄성부들(20)의 과도 응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바(14)는 하우징(4)에 인모울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컨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바(14)는 상기 터미널들(12, 12')의 단락 연장부들(38)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바(14)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바(14)는 운반을 위한 안내 홀(pilot hole)을 구비한 스탬프된 금속판의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중 하나는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지 터미널(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바(14)는 제조 및 취급시 다수의 컨넥터들 사이로 연장되며, 그 일부는 컨넥터들(2)을 분리하기 위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래들 컨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바(14)는 결합단(8)에 인접한 상부 하우징 벽(16)에 접촉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크래들 컨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텍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상대 장치가 제거될 때 접촉부들(22)을 덮는 캡(50)을 포함하며, 상기 캡(50)은 크래들 컨넥터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하여 상대 장치를 연결하는동안 결합단(8)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크래들 컨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50)은 캡의 가압시 접촉부들(22)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슬롯들(52)을 그 상부 벽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컨넥터.
KR1019970702731A 1994-10-27 1995-10-17 무선전화기크래들컨넥터 KR100367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21663.7 1994-10-27
GB9421663A GB9421663D0 (en) 1994-10-27 1994-10-27 Radio-telephone crad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666A KR970707666A (ko) 1997-12-01
KR100367071B1 true KR100367071B1 (ko) 2003-05-09

Family

ID=1076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31A KR100367071B1 (ko) 1994-10-27 1995-10-17 무선전화기크래들컨넥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07123A (ko)
EP (1) EP0788703B1 (ko)
JP (1) JPH10508144A (ko)
KR (1) KR100367071B1 (ko)
CN (1) CN1114310C (ko)
AT (1) ATE198968T1 (ko)
DE (1) DE69519998T2 (ko)
ES (1) ES2154349T3 (ko)
GB (1) GB9421663D0 (ko)
NO (1) NO971953L (ko)
TW (1) TW322647B (ko)
WO (1) WO1996013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529A (en) * 1995-12-20 1999-09-21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 member and shorting means
US5967856A (en) * 1995-12-20 1999-10-19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 member and shorting means
US6268836B1 (en) 1999-04-28 2001-07-31 The Whitaker Corporation Antenna assembly adapted with an electrical plug
US6255999B1 (en) 1999-04-28 2001-07-03 The Whitaker Corporation Antenna element having a zig zag pattern
NL1012695C2 (nl) 1999-07-23 2001-01-24 Berg Electronics Mfg Contactelement,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en connector die hetzelfde omvat.
JP2001143802A (ja) * 1999-11-16 2001-05-25 Yazaki Corp 突き当て式接触端子構造
NL1014319C2 (nl) 2000-02-08 2001-08-09 Fci S Hertogenbosch B V Connector omvattende een ESD onderdrukker.
US6626708B2 (en) 2001-03-30 2003-09-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ingle piece spring contact
FR2849721A1 (fr) * 2003-01-07 2004-07-09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a fiches muni de bornes de contact a compression
CH697597B1 (fr) 2004-06-04 2008-12-15 Charmilles Technologies Organe de connexion électrique souple pour machine d'électroérosion par fil.
US20060079102A1 (en) * 2004-10-13 2006-04-13 The Ludlow Company Lp Cable terminal with flexible contacts
KR100714599B1 (ko) * 2004-12-21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CN2800520Y (zh) * 2005-04-28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270558B1 (en) * 2006-03-16 2007-09-1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M307885U (en) * 2006-06-05 2007-03-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US7527532B2 (en) * 2007-05-15 2009-05-0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Battery contact
US7607952B2 (en) * 2007-05-15 2009-10-2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Battery contact
JP5693266B2 (ja) * 2011-01-31 2015-04-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186117A (ja) * 2011-03-08 2012-09-27 Fujitsu Component Ltd インタポーザ及び中継端子
KR101817804B1 (ko) * 2011-08-03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단자
US9022666B2 (en) 2011-11-16 2015-05-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communication connectors with modules movable in a mating direction
JP5454646B1 (ja) * 2012-09-25 2014-03-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108462B2 (ja) * 2013-10-18 2017-04-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22298B2 (ja) * 2014-08-01 2019-05-29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
JP5887042B1 (ja) * 2014-08-19 2016-03-16 株式会社Gio コネクタ
WO2017073290A1 (ja) * 2015-10-28 2017-05-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
CN205385059U (zh) * 2015-12-21 2016-07-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CN205921172U (zh) * 2016-05-23 2017-02-01 龙门县佳茂聚氨酯橡胶有限公司 发光积木的导电底座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5516C (ko) * 1949-03-10
DE2302322C3 (de) * 1973-01-18 1975-06-05 Bosse Telefonbau Gmbh, 1000 Berlin Gabelumschalter für Fernsprechapparate
JPS6023924A (ja) * 1983-07-18 1985-02-06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イッチ
US4778404A (en) * 1983-12-27 1988-10-18 Amp Incorporated Spring terminal
US4734051A (en) * 1987-02-02 1988-03-29 G & H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butt contact
US4954087A (en) * 1988-04-27 1990-09-04 I-Stat Corporation Static-free interrogating connector for electric components
EP0620949A1 (en) * 1992-11-11 1994-10-26 Elco Europe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DE4319756A1 (de) * 1993-06-15 1994-12-22 Grote & Hartmann Elektrische Steckkontakthülse
EP0718919A1 (en) * 1994-12-20 1996-06-26 Connector Systems Technology N.V.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 member and shorting means
EP0718918B1 (en) * 1994-12-20 1997-08-06 Connector Systems Technology N.V.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 member and short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54349T3 (es) 2001-04-01
JPH10508144A (ja) 1998-08-04
GB9421663D0 (en) 1994-12-14
TW322647B (ko) 1997-12-11
CN1160465A (zh) 1997-09-24
EP0788703A1 (en) 1997-08-13
CN1114310C (zh) 2003-07-09
DE69519998T2 (de) 2001-06-13
NO971953D0 (no) 1997-04-25
WO1996013926A1 (en) 1996-05-09
KR970707666A (ko) 1997-12-01
US5807123A (en) 1998-09-15
NO971953L (no) 1997-04-25
ATE198968T1 (de) 2001-02-15
EP0788703B1 (en) 2001-01-24
DE69519998D1 (de) 200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071B1 (ko) 무선전화기크래들컨넥터
US10756466B2 (en) Connector
US6077130A (en) Device-to-board electrical connector
US4602842A (e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6165017A (en) Cable end connector
US5454734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CN100576657C (zh) 电转接器及其组件
MY10936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3035814B2 (ja) 表面係合式電気コネクタ
EP0902994A1 (en) Rechargeable battery connector
KR100404911B1 (ko) 휴대전화기접속시스템
EP0709931A2 (en) Surface mountable board edge connector
KR960706701A (ko) 고밀도 전기 조립체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KR100387910B1 (ko) 부동 가이드 커넥터 및 방법
US7241160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WO1999026321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1126552A3 (en) Circuit board straddle mounted connector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1995035550A1 (en) Sim card connector
EP145314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EP1041680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a coaxial connector
EP0924810B1 (en) Coaxial antenna connector for mobile phone
US6166892A (en) Connector with built-in resettable power regulation
CN114498169B (zh) 一种连接器、连接器组件及电子设备
CN218123760U (zh) 一种板端连接器及线对板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