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640B1 -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640B1
KR100366640B1 KR1019980017192A KR19980017192A KR100366640B1 KR 100366640 B1 KR100366640 B1 KR 100366640B1 KR 1019980017192 A KR1019980017192 A KR 1019980017192A KR 19980017192 A KR19980017192 A KR 19980017192A KR 100366640 B1 KR100366640 B1 KR 10036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andard
printing
identification sensors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052A (ko
Inventor
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6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비규격 용지 검지장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인쇄부를 거쳐 배지소로 이어지는 용지이송경로 상에서 용지에 대한 통과검출영역을 구획할 수 있도록 용지이송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용지 통과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용지통과 식별센서들과,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을 비교하여 이송되는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용지의 규격이상유무 정보를 인쇄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러에 출력하는 비규격용지 판단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비규격용지 검지 장치에 의해 비규격용지에 대해서는 이미지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어 비규격용지로의 이미지인쇄를 억제시켜 인쇄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of paper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defected paper}
본 발명은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부로 픽업되는 용지에 대해 그 크기가 비규격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광을 주사하여 감광매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와,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기, 감광 매체에 현상제로 형성된 이미지를 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장치,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계를 구비한다.
일반적인 인쇄방법에 의하면, 용지가 저장된 용지저장소로부터 용지를 이송하여 전사장치에 공급하고, 전사장치를 거쳐 이미지가 인쇄된 용지를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배지소에 배지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인쇄기는 용지이송에러에 의한 인쇄불량을 예방하기 위해서 도 1에서처럼, 용지(11)가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정상적으로 이송되고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용지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용지통과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12)들을 배치시켰다. 그러나, 용지(11)가 정상적으로 이송되고 있는지 또는, 잼(jam)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렬로 설치된 종래의 센서(12)들에 의해서는 이송되는 용지(11)가 불량인지 즉, 일부가 찢겨나간 용지(11)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그 결과, 픽업된 용지(11)가 설정된 규격을 벗어난 불량인 경우에 대해서도 용지(11)로의 인쇄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인쇄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불량용지로의 이미지 인쇄를 억제하여 인쇄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픽업된 용지가 불량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쇄기의 용지이송경로상에 용지의 잼(jam)발생 유무를 식별하기 위해 배치된 센서들을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가 적용된 인쇄기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비규경용지 검지장치의 용지 통과 식별센서가 용지통과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의 광검출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규격 용지 처리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내보인 플로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규격 용지 처리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내보인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31: 용지 12: 센서
20: 인쇄부 21: 광주사장치
22: 현상기 23: 감광벨트
25: 전사장치 32: 용지카셋트
33: 픽업롤러 34: 이송롤러
35: 용지이송경로 40: 콘츄롤러
41, 42, 43: 용지통과 식별센서 41a, 42a, 43a: 광원
41b, 42b, 43b: 광검출기 44: 비규격용지 판단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인쇄부를 거쳐 배지소로 이어지는 용지이송경로 상에서 용지에 대한 통과검출영역을 구획할 수 있도록 용지이송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용지 통과에 대응되는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용지통과 식별센서들과,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을 비교하여 이송되는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용지의 규격이상유무 정보를 인쇄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러에 출력하는 비규격용지 판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비규격용지 검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를 이용하여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인쇄작업요구가 있으면 상기 용지저장소로부터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지이송과정에서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이 각각 분할하여 담당하고 있는 용지의 각 영역에 대한 진행방향에서의 폭이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는 지에 대한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용지규격 판단단계에서 비규격용지로 판단되면, 용지 위에 이미지를 인쇄하지 않고 그대로 배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르게는, 인쇄작업요구가 있으면 상기 용지저장소로부터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상기 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이송되어 로딩된 상기 용지에 이미지를 인쇄하고, 배지하는 단계와, 상기 용지이송과정에서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이 각각 분할하여 담당하고 있는 용지의 각 영역에 대한 진행방향에서의 폭이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는 지에 대한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용지규격 판단단계에서 비규격용지로 판단되면, 상기 인쇄단계에서 용지에 기 인쇄했던 이미지정보를 새로운 규격용지에 다시 재인쇄하길 원하는 지를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단계에서 재인쇄를 선택하면, 상기 이미지정보를 새로운 규격용지에 재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가 적용된 인쇄기를 나나내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쇄기는 인쇄부(20)와, 용지공급부,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콘츄롤러(40)를 구비한다.
인쇄부(20)는 복수개의 광주사장치(21)들, 현상기(22)들, 순환되는 감광벨트(23), 전사장치(2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그 사이로 용지(31)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두 개의 롤러(25a)(25b)를 갖는 전사장치(25)는 감광벨트(23)에 대해 접촉 및 이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지공급부는 용지공급소인 용지카셋트(32)내에 적재된 용지(31)를 인출하는 픽업롤러(33)와, 용지카셋트(32)로부터 인쇄부(20)의 전사장치(25)를 거쳐 배지소(미도시) 까지의 용지이송경로(35)상에 용지(31)를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34)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는 복수개의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과, 비규격용지판단부(44)를 구비한다.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세 개의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 각각이 용지(31)의 좌/우측 가장자리영역 및 중앙부분영역을 상호 분할하여 그 담당영역에 대한 용지의 통과를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 각각은 용지(31)의 이송경로(35)상의 설정된 위치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41a)(42a)(43a)과, 광원(41a)(42a)(43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용지(31)의 이송경로(35)를 중심으로 광원(41a)(42a)(43a) 맞은편에 배치되어 수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비규격용지 판단부(44)로 출력하는 광검출기(41b)(42b)(43b)를 구비한다.
이러한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은 용지이송경로(35)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도 3에서와 같이, 용지진행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을 용지이송경로(35)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사선방향에 놓이도록 배치시키면, 용지(31)에 대해 규격 불량 검사대상영역을 구획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아니라, 용지(31)의 정상적인 이송여부를 알려주는 용도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는,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을 용지(31)의 규격 불량만을 검사할 목적으로 용지(31)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시켜도 된다. 용지(31)의 규격 불량판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용지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러한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의 배치간격을 좁혀 설치수를 늘리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에 의한 용지불량판정이 이송되는 용지(31)가 인쇄부(20)의 전사장치(25)에 도달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용지카셋트(3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용지이송경로(35)가 짧을 때는 전사장치(25)를 거친 용지이송경로(35)상에 용지통과 식별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비규격용지 판단부(44)는 이렇게 배치된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로부터 상호 분할 담당하고 있는 영역의 용지통과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용지(31)의 규격이 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났는지를 결정하는 불량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정보를 인쇄작업 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러(40)에 출력한다.
여기서, 픽업된 용지(31)가 도 3에서처럼, 일부가 찢겨져 나간 용지(31)일 경우 대해서는 도 4에서처럼, 제1용지통과 식별센서(41)의 제1광검출기(41b)에서 용지(31)가 통과하는 동안 출력되는 로우레벨신호의 폭(T1)과, 제1용지통과 식별센서(41)에 대해 이송방향 전방에서 오른쪽으로 배치된 제2용지통과 식별센서(42)의 제2광검출기(42b)에서 동일 용지(31)가 통과하는 동안 출력되는 로우레벨신호의 폭(T2)이 도 4에서처럼 다르다. 따라서, 비규격 용지 판단부(44)는 제1광검출기(41b)의 용지통과동안 유지되는 로우레벨 신호폭(T1)과, 제2광검출기(42b)의 용지통과동안 유지되는 로우레벨 신호폭(T2) 차이가 설정된 허용범위를 넘으면, 비규격용지 즉, 불량용지로 판정한다.
콘츄롤러(40)는 픽업된 용지(31)가 불량이라는 정보를 비규격용지 판단부(44)로부터 받으면, 인쇄부(20) 및 용지공급부의 각 롤러(33)(34)들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한다.
비규격용지에 대해 콘츄롤러(40)가 취하는 조치 즉, 픽업된 비규격 용지(31)에 대한 처리방법을 도 5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규격 용지 처리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내보인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100에서 인쇄작업요구가 있으면 용지저장소 즉, 용지 카셋트(32)로부터 용지(31)를 픽업하여 용지이송경로(35)를 따라 용지(31)를 이송시킨다(단계 110).
단계 110수행과정 즉, 상기 용지이송과정에서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용지통과 식별센서(41)(42)(43)들이 각각 분할하여 담당하고 있는 용지(31)의 각 영역에 대한 진행방향에서의 폭이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는 지에 대한 용지(31)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한다(단계 120). 이과정은 비규격용지 판단부(44)에서 수행된다.
상기 120단계 에서 픽업된 용지(31)가 비규격용지로 판단되면, 용지(31) 위에 이미지를 인쇄하지 않고 그대로 배지시킨다(단계140). 단계 140에서, 용지(31) 위에 이미지를 인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전사장치(25)를 감광벨트(23)로부터 이격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용지이송경로(35)가 짧아 픽업된 용지(31)에 대한 비규격여부 판단이 픽업된 용지(31)로의 이미지전사과정 이후에 이루어 지는 경우의 비규격용지 처리방법을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단계 100에서 인쇄작업요구가 있으면, 용지(31)를 픽업하여 용지이송경로(35)를 따라 이송시킨다(단계110).
이송된 용지에 이미지를 인쇄한다(단계 115).
단계 110과 단계 115가 진행되는 동안의 용지이송과정에서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이 각각 분할하여 담당하고 있는 용지(31)의 각 영역에 대한 진행방향에서의 폭이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는 지에 대한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한다(단계120).
단계120에서 비규격용지 즉, 불량용지로 판단되면 비규격 용지임을 인쇄기의 표시기(미도시)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150). 그리고, 다음 순서의 이미지에 대한 작업을 계속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또는, 상기 115단계에서 불량용지에 전사한 이미지정보를 새로운 규격용지에 다시 재인쇄하길 원하는 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한다(단계160). 이러한 메뉴선택과정은 사용자가 이미지정보 판독에 문제가 없고, 용지(31)의 불량정도가 이용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 재인쇄요구를 선택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게한다.
단계 170에서는 재인쇄요구가 선택됐는지를 판단하여, 재인쇄요구가 있으면, 불량용지에 전사한 이미지를 다시 감광벨트(23)에 형성시켜 규격용지에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170에서 재인쇄요구가 없으면, 다음 순서의 이미지에 대한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에 의하면, 비규격용지로의 이미지인쇄를 억제시켜 인쇄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인쇄부를 거쳐 배지소로 이어지는 용지 이송경로 상에서 인쇄작업을 위해 이송중인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지 이송경로상의 설정된 위치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를 중심으로 상기 광원 맞은편에 배치된 광검출기를 포함하여, 상기 용지에 대한 통과검출영역을 구획할 수 있도록 용지이송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거리 이격 배치된 복수의 용지통과 식별센서들과;
    용지 이송 시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의 각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을 입력받아서 이들 신호의 차이가 허용치를 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이송되는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인쇄작업 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러에 출력하는 비규격용지 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비규격용지 검지장치.
  2.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인쇄부를 거쳐 배지소로 이어지는 용지이송경로 상에서 용지에 대한 통과검출영역을 구획할 수 있도록 용지이송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용지 통과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용지통과 식별센서들과,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이송되는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인쇄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러에 용지규격이상유무 정보를 출력하는 비규격용지 판단부를 포함하는 비규격용지 검지장치를 구비하는 인쇄기의 상기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가. 인쇄작업요구가 있으면 상기 용지저장소로부터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나. 상기 용지이송과정에서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이 각각 분할하여 담당하고 있는 용지의 각 영역에 대한 진행방향에서의 폭이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는 지에 대한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다. 상기 나 단계에서 비규격용지로 판단되면, 용지 위에 이미지를 인쇄하지 않고 그대로 배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 처리방법.
  3.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인쇄부를 거쳐 배지소로 이어지는 용지이송경로 상에서 용지에 대한 통과검출영역을 구획할 수 있도록 용지이송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용지 통과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용지통과 식별센서들과,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이송되는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인쇄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러에 용지규격이상유무 정보를 출력하는 비규격용지 판단부를 포함하는 비규격용지 검지장치를 구비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가. 인쇄작업요구가 있으면 상기 용지저장소로부터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용지를 상기 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나. 상기 용지에 이미지를 인쇄하고, 배지하는 단계와;
    다. 상기 용지이송과정에서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상기 용지통과 식별센서들이 각각 분할하여 담당하고 있는 용지의 각 영역에 대한 진행방향에서의 폭이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는 지에 대한 용지의 규격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라. 상기 다 단계에서 비규격용지로 판단되면, 상기 나단계의 이미지정보를 새로운 규격용지에 다시 재인쇄하길 원하는 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마. 상기 라단계에서 재인쇄를 선택하면, 상기 나단계의 이미지정보를 새로운 규격용지에 재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에서 비규격용지로 판단되면, 상기 라단계에서 재인쇄 선택과정 이전에 비규격용지임을 먼저 인쇄기의 표시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 처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에서 재인쇄를 선택하지 않으면, 다음 순서의 이미지에 대한 작업을 계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용지저장소로부터 픽업된 비규격용지 처리방법.
KR1019980017192A 1998-05-13 1998-05-13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KR100366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192A KR100366640B1 (ko) 1998-05-13 1998-05-13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192A KR100366640B1 (ko) 1998-05-13 1998-05-13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052A KR19990085052A (ko) 1999-12-06
KR100366640B1 true KR100366640B1 (ko) 2003-02-19

Family

ID=3749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192A KR100366640B1 (ko) 1998-05-13 1998-05-13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775A (ko) * 2013-12-24 2015-07-02 송영숙 살구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살구 장아찌
KR20200120219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775A (ko) * 2013-12-24 2015-07-02 송영숙 살구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살구 장아찌
KR20200120219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052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998A (en) Sheet transport control method for copier and others
EP2455815B1 (en) Printing apparatus
JP200813312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体搬送装置
JP2007008725A (ja) 用紙検出装置および印刷方法
US119723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automatic detection and interruption of defective image forming operations
US548524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aper feeding device having improved paper jam detection capability
JP5200667B2 (ja) 透過光量測定装置、媒体識別装置、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66640B1 (ko) 인쇄기의비규격용지검지장치및이를이용한픽업된비규격용지의처리방법
JPH09100069A (ja) 画像形成装置
JP4701612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画像形成結果検査方法
JP2009162880A (ja) 記録紙検査装置
JP4525111B2 (ja) 画像形成装置、印刷結果検査装置、印刷結果検査方法
JP200000717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76967B1 (ko) 자동잼제거기능을 갖는 화상형성기 및 자동잼제거방법
JP723478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9217724A (ja) 画像検査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12598A (ko)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JP3745861B2 (ja) 給紙装置
KR100553870B1 (ko) 인쇄기의 용지 공급에러 처리방법
JP202400214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35897A (ja) 用紙搬送装置
JP2000226138A (ja) 斜行検知方法及び装置
JPS6077048A (ja) プリンタ装置
JPH0649566Y2 (ja) 複写機の制御装置
KR100477692B1 (ko) 용지검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