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839B1 -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839B1
KR100364839B1 KR1019950041229A KR19950041229A KR100364839B1 KR 100364839 B1 KR100364839 B1 KR 100364839B1 KR 1019950041229 A KR1019950041229 A KR 1019950041229A KR 19950041229 A KR19950041229 A KR 19950041229A KR 100364839 B1 KR100364839 B1 KR 10036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elevator do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880A (ko
Inventor
정유철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5004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839B1/ko
Publication of KR97002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리베이터 도어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센서의 작동시 검출되지 않는 에러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서 제어판넬로 부터의 DLD(Door Load Detector) 신호를 받아 강제닫힘 동작을 실행하는데 여기서 완전 닫힘,열림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고장상황을 판단하여 원격 감시반에 전송한다.
상기 원격 감시반에 전송된 신호로 기기의 손상을 줄이고 중대고장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틈새에 물체가 끼거나 센서의 작동시 검출되지 않는 에러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사람이 승차한 상태에서 완전 자동으로 운행이 되는 운송 수단으로 센서의 검출로 안전 도어 제어를 실행한다.
엘리베이터 도어는 카측 도어와 승강장측 도어가 있으며 목적층에 도착하여정지하면 상기 2개의 도어가 동시에 열린다.
제 1 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어위에서 초음파를 쏘아 왕복하는 시간변화에 따라 이상검출을 하는 초음파 검지센서(1)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는 카측 도어와 승강장축 도어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열림으로 반전되도록 하는 SDE(Safty Door Edge)(2)와, 병원이나 특수 건물의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며 내측도어 양옆에 구멍이 있어 한편에서 적외선을 쏘면 반대편에 수광된 적외선 양으로 이상검출을 하는 적외선 센서(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을 제 2 도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목적층에 도착하면 제어판넬(Control Pannel)에서는 도어 열림신호를 발생시켜 도어를 오픈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 닫힘신호를 발생시켜 도어를 닫게한다(21S).
상기 도어가 닫히는 중간에 계속적으로 안전에 관한 사항을 체크하는데 즉, 초음파 센서(1), SDE(2), 적외선 센서(3)에서 물체가 있는지를 검출한다(22S)(23S), 상기 센서에서 이상 검출이 되면 닫힘명령을 해제하고(26S)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문이 완전히 닫혔는지를 판단하고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으면 닫힘명령을 해제한다(24S)(25S).
상기 문이 완전히 닫히면 닫히기 시작한지 일정시간(t1초 : 15초에서 30초정도)이내인지를 판단하고(25S) 일정시간 이내에 닫히지 않았으면 닫힘명령을 해제하고(26S) 일정시간 이내에 닫혔으면 다음 목적층으로 출발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에서는 도어 문틈에 이물질이 끼어서 개폐에 방해가 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도 도어 완전 발생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어 열림을 실행하는 모드만 가지고 있어 사람이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기 전까지 도어 개폐동작을 계속 반복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시스템의 무리한 운행을 하면 제어판넬의 전기적소자가 소손되고 모터 온도상승 및 이로 인한 절연파괴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장상황을 알림으로써 관리인을 호출하여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은 닫힘명령에 의해 위치점 변동이 일정시간내에 없으면 과부하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과부하 검지신호에 의해 재반전 동작실행을 지령한 후 위지점 변동이 없으면 상기 제 2 단계를 반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일정 횟수이상 과부하 검지 신호가 발생되면 도어 강제닫힘 모드를 실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도어 강제닫힘 모드시, 모터와 토크 운전제어 및 부저를 울리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제어로 일정시간 이내에 도어 완전닫힘 또는 열림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면 도어 고장을 알리고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에 대한 구성도로써, 클로즈 지령에 의한 위치점의 변동에 따라 반복하여 DLD(Door Load Detector)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판넬(Control Pannel)(32)과, 상기 제어판넬(32)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울림 및 동작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 카(31)와, 상기 제어판넬(32)의 제어신호 전송으로 관리인 또는 보수요원에게 이상상황을 인식시키는 원격감시반(33)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에서 도어의 틈새에 물체가 끼거나 센서의 작동시 검출되지 않은 에러상황에서 제어판넬(32)의 제어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은 제 4 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에는 도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센서가 여러개(10∼20 포인트) 존재한다.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목적층으로 가기 위해 클로즈 지령을 주고 닫힘동작을 실행케 한다(41S).
상기 닫힘동작을 실행하면서 상기 위치센서들에 의한 위치점 변동을 감지하는데 상기 인치점 변동이 일정시간(t2sec)내에 없다면 제어판넬(32)에서 DLD(Door Load Detector) 신호를 발생한다(42S)(43S).
상기 DLD 신호는 지금 클로즈 동작을 오픈시켰다가 다시 클로즈하는 명령으로 재반전 동작실행을 지령한다(44S).
상기 DLD 신호로 재 클포즈동작시에도 일정시간내에 위지점 변동이 없으면 DLD 신호를 발생하고, 카운터에서는 상기 DLD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 한다(45S).
상기 DLD 횟수가 연속 일정횟수(n회) 이상이 카운트 되면(46S) 도어 강제닫힘 모드를 실행한다(47S).
여기서 도어 강제닫힘(Nudge) 모드란 이상상황 즉, 도어 하부틈새 등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평소의 도어 장치에서 낼수 있는 모터의 토크(Torque) 보다 더 내어 이를 극복하고 도어를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의 발생토크(T)를 모터 정격파워(P)와 기계각(회전속도 : Wm)으로 표현하면 다음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속도를로 떨어뜨리면 토크는 n배로 향상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강제닫힘 모드 실행중에 도어 모터속도를 줄이고 최대 토크운전 실행과 동시에 부저를 울려서 승객에게 주의를 요하게 한다(48S).
상기 도어 강제닫힘 모드 실행시에 일정시간(t3)내에 완전 열림,닫힘 신호유무를 감지하여(49S) 완전 열림,닫힘 신호가 없으먼 제어판넬(32)에서 도어 에러상황으로 판단한 후 그 신호를 원격 감시반(Monitoring System)(33)으로전송한다(50S).
상기 원격 감시반(33)이 설치된 관리실 등에서 관리인 또는 보수요원이 도어 에러발생을 인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상상황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기기의 손상을 줄이고 중대고장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어 에러시에는 엘리베이터 카(31)의 모든 동작을 중지시킨다(51S).
본 발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모터 온도상승 및 이로 인한 절연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위험요소를 미리 인지하여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관리인이나 보수요원을 호출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에 대한 모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엘리베이터 카 32 : 제어판넬
33 : 원격 감시반

Claims (1)

  1. 닫힘명령에 의해 위치점 변동이 일정시간내에 없으면 과부하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과부하 검지신호에 의해 재반전 동작실행을 지령한 후 위치점 변동이 없으면 상기 제 1 단계를 반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일정 횟수이상 과부하 검지신호가 발생되면 도어 강제닫힘 모드를 실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도어 강제닫힘 모드시, 모터와 토크 운전제어 및 부저를 울리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제어로 일정시간 이내에 도어 완전닫힘 또는 열림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면 도어 고장을 알리고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방법.
KR1019950041229A 1995-11-14 1995-11-14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KR10036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229A KR100364839B1 (ko) 1995-11-14 1995-11-14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229A KR100364839B1 (ko) 1995-11-14 1995-11-14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80A KR970026880A (ko) 1997-06-24
KR100364839B1 true KR100364839B1 (ko) 2003-05-12

Family

ID=3749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229A KR100364839B1 (ko) 1995-11-14 1995-11-14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717A (ko) * 2000-03-02 2001-09-15 박병근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3350A (en) * 1976-09-29 1978-04-19 Fujitec Co Ltd Door controlling system for elevator
JPS5465951A (en) * 1977-11-07 197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H01285580A (ja) * 1988-05-10 1989-11-16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656374A (ja) * 1992-06-01 1994-03-01 Kone Elevator Gmbh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940011331A (ko) * 1992-11-03 1994-06-21 지주현 엘리베이터도어의 자동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3350A (en) * 1976-09-29 1978-04-19 Fujitec Co Ltd Door controlling system for elevator
JPS5465951A (en) * 1977-11-07 197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Door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H01285580A (ja) * 1988-05-10 1989-11-16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656374A (ja) * 1992-06-01 1994-03-01 Kone Elevator Gmbh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940011331A (ko) * 1992-11-03 1994-06-21 지주현 엘리베이터도어의 자동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80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379B2 (ja) 自動的に閉じるドアシステムの機能性を決定する方法、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9804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0522783C (zh) 电梯控制装置
US1060500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oor arrangement, as well as a door arrangement of this kind and a safety device therefor
CN205739851U (zh) 一种具有故障脱困功能的电梯
JPWO2004002869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US9382746B2 (en) Door control device
EP2085348B1 (en) Elevator controller
JP651462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H04379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0364839B1 (ko) 엘리베이터도어제어방법
JP53808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140915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2845257B2 (ja) エレベーター用ドアー装置
JP201200675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の点検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2005053674A (ja) エレベータの戸制御装置
CN210103264U (zh) 一种自动扶梯与自动门联动系统
CN210048351U (zh) 一种自动门与自动扶梯联动系统
JP7253935B2 (ja) 検知装置、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自動ドア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WO2003097507A1 (ja) マンコンベアの自動運転装置
KR20090026395A (ko) 비상 열림이 가능한 건설 현장용 리프트의 출입문 및안전문 자동개폐 시스템
JP5874212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821395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91224B1 (ko)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CN116986429A (zh) 别墅电梯控制方法、装置及别墅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