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50B1 -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450B1
KR100362450B1 KR1020000052786A KR20000052786A KR100362450B1 KR 100362450 B1 KR100362450 B1 KR 100362450B1 KR 1020000052786 A KR1020000052786 A KR 1020000052786A KR 20000052786 A KR20000052786 A KR 20000052786A KR 100362450 B1 KR100362450 B1 KR 10036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signal
input terminal
inver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358A (ko
Inventor
기쿠치지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사이즈의 전용 집적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검출전압과 송신신호가 직선적이고, 제어부(12)에서 넓은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을 수 있는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송신기 출력단과 송신기 제어부(12)사이에 접속되어 송신기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신호검파부(1), 기준전압 발생부(2), 비반전 입력단, 반전 입력단, 출력단을 가지고, 출력단으로부터 제어부(12)에 검출전압을 공급하는 차동 증폭기(31), 반전 입력단과 기준 전위점 사이에 접속된 전압제한소자(32)를 구비하고, 비반전 입력단에 신호 검파부(1)의 출력검파 전압이 공급되며, 반전 입력단에 기준전압 발생부(2)의 출력기준전압 및 제어부(12)의 출력 송신 레벨상 지시전압의 가산기준 전압이 공급되고, 전압제한소자(32)에 의해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는 가산기준 전압을 제한하여 검파전압의 증대에 따라 증대하는 검출전압을 제어부(12)의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내에 받아들이고 있다.

Description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CURCUIT FOR DETECTING OUTPUT POWER OF TRANSMITTER}
본 발명은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의 출력신호레벨이 증대하였을 때 출력전력 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이 지수 함수적으로 증대하여 제어부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초과하는 것을 억제하는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시스템 등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은 고정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과, 각 이동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이동국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통신이 행하여지는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거리가 항시 변화하고 있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동국에서 송신되고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송신신호의 레벨, 즉 기지국에 있어서의 수신전파의 전계강도는 통신시의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크게 변동하고,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정상적인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휴대전화시스템 등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질 때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레벨을 감시하고 그 신호레벨이 정상레벨범위보다도 낮거나 또는 높은 경우에 그 이동국앞으로 송신신호레벨의 증대를 지시하는 또는 송신신호레벨의 저감을 지시하는 송신레벨지시(TX-AGC)신호(이하, 이것을 TX-AGC 신호라 함)를 일정주기, 예를 들어 1.25 밀리초마다 송신하고, 이동국은 TX-AGC 신호를 수신하면 TX-AGC 신호의 지시내용에 따라 송신신호레벨을 증대 또는 저감시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정상적인 통신이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2는 종래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국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은 신호송신계(20T)와, 신호수신계(20R)와, 송수공용계(20C)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신호송신계(20T)는 아이솔레이터 (22)와, 전력증폭기(PA)(23)와, 구동증폭기(DA)(24)와, 신호혼합기(MIX)(25)와, TX-AGC 증폭기(TX-AGC AMP)(26)와, 변조기(MOD)(27)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D/A)(28)와, 출력전력 검출회로(29)로 이루어지고, 이들 구성요소(22 내지 29)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신호수신계(20R)는 저잡음 증폭기 (LNA)(30)와, 신호 혼합기(MIX)(31)와, 대역통과필터(BF)(32)와, RX-AGC 증폭기 (RX-AGC AMP)(33)와, 원상 회복기(DEM)(34)와, 저대역통과필터(LF)(35)와,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D/A)(36)로 이루어지고, 이들 구성요소(30 내지 3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또 송수공용계(20C)는 듀플렉서(21)와, 제어부(CPU)(37)와, 송수신 안테나(38)로 이루어지며, 이들 구성요소(21, 37, 3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종래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국은, 개략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송신은 제어부(37)에 있어서 송신용 베이스밴드신호가 형성되고, 이 베이스밴드신호가 변조기(27)에 공급되어 베이스밴드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얻어진 변조신호는 제어부(37)로부터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28)를 통하여 TX-AGC 증폭기(25)로 공급되는 TX-AGC 신호에 따른 신호레벨이 되도록 증폭되고, 신호 혼합기(25)로 국부 발진신호와 주파수 혼합되어 고주파신호로 변환된다. 이 고주파신호는 구동증폭기(24)로 소정레벨로 증폭되고, 이어서 전력 증폭기(23)로 송신신호에 적합한 레벨로 까지 증폭된다. 그리고 증폭된 고주파신호는 송신신호로서 아이솔레이터(22)를 통하여 듀플렉서(21)에 공급되고, 듀플렉서(21)로부터 송수신 안테나(38)에 공급되어 송수신 안테나(38)로부터 신호전파로서 송신된다.
한편 이동국에 있어서의 신호수신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전파가 송수신 안테나(38)로 수신되면 그 수신신호는 듀플렉서(21)에 공급되고, 듀플렉서(21)로부터 저잡음 증폭기(30)에 공급되어 소정 신호레벨이 되도록 증폭된다. 증폭된 수신신호는 신호 혼합기(31)에 의해 국부 발진신호와 혼합되어 주파수 혼합신호로 된 후, 대역통과필터(32)에 공급되어 주파수 혼합신호중의 중간 주파신호가 추출된다. 추출된 중간 주파신호는 RX-AGC 증폭기(33)로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증폭된 중간 주파신호는 원상 회복기(34)에 공급되고 베이스밴드신호로 복조되어 수신용 베이스밴드신호가 얻어진다. 얻어진 수신용 베이스밴드신호는 저대역통과필터(35)로 불필요 주파수성분이 제거되어 제어부(37)에 공급되고, 제어부(37)로부터 도시 생략한 이용회로에 공급된다.
이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일정주기로 예를 들어 1.25 밀리초의 주기로 이동국이 송신해야 할 신호레벨을 지정하는 TX-AGC 신호가 공급된다. 이동국은 자기국앞의 TX-AGC 신호가 송수신 안테나(38)로 수신되면 수신신호와 동일한 신호수신계(20R)를 통하여 제어부(37)에 공급된다. 제어부 (37)는 공급된 TX-AGC 신호와 뒤에서 설명하는 출력전력 검출회로(29)로부터의 검파전압에 의존한 디지털 TX-AGC 신호를 발생한다. 이 디지털 TX-AGC 신호는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28)에 공급되어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되고, 얻어진 아날로그 이득 제어전압이 TX-AGC 증폭기(26)에 공급되어 TX-AGC 증폭기(26)의 신호이득을 아날로그 이득 제어전압으로 결정되는 값, 즉 TX-AGC 신호로 지시한 값이 되도록 설정한다.
또 전력증폭기(23)의 출력에 얻어진 송신신호의 일부는 출력전력 검출회로 (29)에 공급된다. 출력전력 검출회로(29)는 공급된 송신신호를 검파하여 송신신호에 대응한 검파전압을 형성하고, 이 검파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검출전압을 발생하여 제어부(37)에 공급된다. 제어부(37)는 공급된 검출전압을 연산처리하여 TX-AGC 증폭기(26)의 이득을 제어하는 디지털 TX-AGC 신호를 발생한다. 이 디지털 TX-AGC 신호는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28)를 통하여 TX-AGC 증폭기(26)에 공급되고, TX-AGC 증폭기(26)의 이득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37)는 수신 베이스밴드 신호레벨을 연산처리하여 RX-AGC 증폭기 (33)의 이득을 제어하는 디지털 RX-AGC 신호를 발생한다. 이 디지털 RX-AGC 신호는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36)에 공급되어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되고, 아날로그 RX-AGC 신호로서 RX-AGC 증폭기(33)에 공급되어 RX-AGC 증폭기(33)의 신호이득을 적정레벨로 조정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이동국에 사용되는 출력전력 검출회로(29)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출력전력 검출회로(29)는 신호 검파부(37)와, 기준전압 발생부(36)와, 전압 비교부(39)와, 신호입력단자(40)와, 검출전압 출력단자(41)를 구비한다. 이 경우 신호 검파부(371)는 결합 콘덴서(37)와, 제 1 다이오드(372)와, 제 2 다이오드(373)와, 바이패스 콘덴서(374)와, 분로 콘덴서(375)와, 제 1 직렬저항(376)과, 제 1 분로저항(377)으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요소(371내지 37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기준전압 발생부(38)는 제 3 다이오드(381)와, 제 4 다이오드(382)와, 버퍼저항(383)과, 직류전원(384)과, 제 2 직렬저항(385)과, 제 2 분로저항(386)으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요소(381내지 386)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압 비교부(39)는 차동 증폭기 (391)와 대수(對數) 증폭기(392)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전용 집적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391내지 39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출력전력 검출회로(29)는 개략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전력증폭기(23)의 출력으로 얻어진 송신신호가 신호입력단자(40)에 공급되면 그 송신신호는 결합 콘덴서(371)를 통하여 제 1 다이오드(372)와, 제 2 다이오드 (373)와, 바이패스 콘덴서(374)로 이루어지는 검파 회로부에서 검파되어 검파신호로 변환된다. 이 검파신호는 분로 콘덴서(375)로 평활된 후, 제 1 직렬저항(376) 과제 1 분로저항(377)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분에서 분압되어 검파전압으로서 차동 증폭기(391)의 비반전 입력단(+)에 공급된다. 또 직류전원(384)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버퍼저항(383) 및 제 3 다이오드(381)와 제 4 다이오드(382)의 직렬 접속회로를 통한 후, 제 2 직렬저항(385)과 제 2 분로저항(386)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분에서 분압되고, 기준 전압으로서 차동 증폭기(39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된다. 차동 증폭기(391)는 검파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들 전압의 차이와 동일한 비교전압을 발생하여 대수 증폭기(392)에 공급한다. 대수 증폭기(392)는 공급된 비교전압을 대수 증폭하여 그 증폭출력을 검출전압으로서 검출 전압 출력단자(41)에 공급한다.
이 출력전력 검출회로(29)에 있어서는, 전압 비교부(39)에 대수 증폭기(392) 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전압비교부(39)에 차동 증폭기(391)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송신신호가 데시벨 단위로 순차 증대할 때 검파전압의 증대의 비율이 송신신호에 대하여 지수 함수적으로 증대하기 때문에 송신신호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 제어부(36)에 공급되는 검출전압이 너무 커져 제어부(36)에 있어서의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의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전압 비교부(39)에 차동 증폭기(391)와 대수 증폭기(392)를 사용한 경우에는 대수 증폭기(392)에 있어서 검파전압의 증대의 비율이 송신신호에 대하여 지수 함수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전압과 송신신호가 대략 직선적으로 대응하여 변화하는 영역을 넓힐 수 있게 즉 제어부(36)에 있어서의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또 이 출력전력 검출회로(29)에 있어서는 기준전압 발생부(38)에 제 3 다이오드(381)와 제 4 다이오드(382)로 이루어지는 온도 보상부를 설치하고, 온도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온도특성을 제 1 다이오드(372)와 제 2 다이오드 (373)를 포함하는 검파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검파신호의 온도특성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검파신호 및 직류전압의 각 온도특성은 차동 증폭기(391)에 의해 전압비교시에 상쇄되어 차동 증폭기(391)의 출력에 온도특성을 가지지 않은 비교전압이 얻어지고, 검출전압 출력단자(41)로부터 온도특성을 가지지 않는 검출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출력전력 검출회로(29)는 전압 비교부(39)에 차동 증폭기(391)와 대수 증폭기(392)를 사용함으로써, 검출전압과 송신신호가 대략 직선적으로 대응하여 변화하는 영역을 넓히고, 제어부(36)에 있어서 넓은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나, 차동 증폭기(391)와 대수 증폭기(392)로 이루어지는 전압 비교부(39)를 구성하는 경우, 범용의 집적회로를 사용할 수 없고 전용 집적회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압 비교부(39)를 구성하는 전용 집적회로의사이즈가 대형이 됨과 더불어, 그 전용 집적회로를 얻는 데 높은 비용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출력전력 검출회로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거나 전체구조가 대형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형 사이즈의 전용 집적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검출전압과 송신신호의 관계가 직선적이고, 제어부에서 넓은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는 것이 가능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국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이동국에 사용되는 출력전력 검출회로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에 있어서, 송신신호와 공급되는 TX-AGC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호 검파부 11: 결합콘덴서
12: 제 1 다이오드 13: 제 2 다이오드
14: 바이패스 콘덴서 15: 분로 콘덴서
16: 제 1 직렬저항 17: 제 1 분로저항
2 : 기준전압 발생부 21: 제 3 다이오드
22: 제 4 다이오드 23: 제 1 버퍼저항
24: 직류전원 25: 제 2 분로 콘덴서
26: 제 2 직렬저항 27: 제 2 분로저항
3 : 전압비교부 31: 차동증폭기
32: 제너다이오드(전압제한소자) 33: 제 1 입력저항
34: 제 2 입력저항 35: 제 3 입력저항
36: 제 2 버퍼저항 37: 귀환저항
4 : 송신신호 입력단자 5 : 검출전압 출력단자
6 : 송신레벨지시(TX - AGC) 전압입력단자
7 : 아이솔레이터 8 : 전력증폭기(PA)
9 : TX - AGC 증폭기(TX - AGC AMP)
10 : 제 1 디지털 - 아날로그변환기(D/A)
11 : 제 2 디지털 - 아날로그변환기(D/A)
12 : 제어부(CPU)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는, 송신기 출력단과 송신기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어 송신기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신호 검파부와, 기준전압 발생부와, 비반전 입력단과,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출력단으로부터 제어부에 검출전압을 공급하는 차동 증폭기와, 반전 입력단과 기준 전위점 사이에 접속된 전압제한소자를 구비하고, 비반전 입력단에 상기신호 검파부로부터 출력된 검파전압이 공급되고, 반전 입력단에 기준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 및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송신레벨 지시전압의 가산 기준전압이 각각 공급되고, 전압제한소자에 의해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는 가산 기준전압을 제한하여 검파전압의 증대에 따라 증대하는 검출전압을 제어부의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내에 받아 들이도록 한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하나의 적합예에 있어서, 전압제한소자는 제너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다른 적합예에 있어서, 기준전압 발생부는 온도 보상 회로부를 포함하고, 온도 보상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온도특성을 가지는 기준 전압에 의해 신호검파부로부터 출력되는 검파전압의 온도특성을 상쇄하는 것이다.
이들 구성을 구비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에 의하면,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기준전압과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가산한 가산 기준전압을 가하여 기준전압의 상승을 행하고, 송신신호의 증대에 따르는 검파전압의 지수 함수적인 증대를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가산한 가산 기준전압에 의해 억제하여, 송신신호와 검출 전압과의 관계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하고, 또 반전 입력단과 기준 전위점 사이에 전압제한소자, 예를 들어 제너다이오드를 접속하고, 이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송신신호의 포화시에 있어서의 가산 기준전압의 더 이상의 증대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신호의 포화시에 있어서의 가산 기준전압의 더 이상의 증대에 의해 검출전압이 하강한 상태로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대수 증폭기를 사용하지 않고 송신신호의 증대의 비율과 검출전압의 증대의 비율을 대략 직선적으로 하여 제어부에서 넓은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을 수 있는 저렴하고 소형의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는 신호 검파부(1)와, 기준전압 발생부(2)와, 전압 비교부(3)와, 송신신호 입력단자(4)와, 검출전압 출력단자(5)와, 송신레벨 지시(TX-AGC)전압 입력단자(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신호 검파부(1)는 결합 콘덴서(11)와, 제 1 다이오드(12)와, 제 2 다이오드(13)와, 바이패스 콘덴서(14)와, 제 1 분로 콘덴서(15)와, 제 1 직렬저항 (16)과, 제 1 분로저항(17)을 구비하고, 이들 구성요소(11내지 1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기준전압 발생부(2)는 제 3 다이오드(21)와, 제 4 다이오드(22)와, 제 1 버퍼저항(23)과, 직류전원(24)과, 제 2 분로 콘덴서(25)와, 제 2 직렬저항(26)과, 제 2 분로저항(27)을 구비하고, 그중 제 3 다이오드(21)와 제 4 다이오드(22)의 직렬 접속회로가 온도 보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이들 구성요소(21내지 2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압 비교부(3)는 차동 증폭기(31)와, 제너다이오드(전압제한소자)(32)와, 제 1 입력저항(33)과, 제 2 입력저항(34)과, 제 3 입력저항(35)과, 제 2 버퍼저항(36)과, 귀환저항(37)을 구비하고, 이들 구성요소(31내지 3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신신호 입력단자(4)는 송신기의 신호송신계(3)를 구성하는 전력증폭기(PA)(8)의 출력단과 아이솔레이터(7)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되고, 검출전압 출력단자(5)는 제어부(CPU)(12)의 제어 입력단(121)에 접속되고, 송신레벨 지시전압 입력단자(6)는 제 2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D/A)(11)를 통하여 제어부(12)의 제 2 제어 출력단(123)에 접속된다. 제어부(12)의 제 1 제어 출력단(122)은 제 1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D/A)(10)를 통하여 TX-AGC 증폭기(TX-AGC AMP)(9)의 이득제어단(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송신신호 입력단자(4)에 전력 증폭기(8)의 출력단에서 얻어진 송신신호가 공급되면, 이 송신신호는 결합 콘덴서(11)를 통하여 제 1 다이오드(12)와 제 2 다이오드(13)와 바이패스 콘덴서(14)로 이루어지는 검파 회로부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검파되어 검파신호로 변환된다. 이 검파신호는 제 1 분로 콘덴서(15)에 의해 불필요한 신호성분이 제거 평활된 후, 제 1 직렬저항(16)과 제 1 분로저항(17)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분에서 분압되고, 검파전압으로서 제 1 입력저항(33)을 통하여 차동 증폭기(31)의 비반전 입력단(+)에 공급된다. 또 직류전원(24)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버퍼저항(23)과, 제 3 다이오드(21) 및 제 4 다이오드(22)의 직렬 접속회로를 통하여 제 2 분로 콘덴서(25)에 의해 불필요한 신호성분이 제거된 후, 제 2 직렬저항(26)과 제 2 분로저항(27)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분으로 분압되어 직류전압으로서 제 2 입력저항(34)을 통하여 차동 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된다. 이것과 동시에 송신레벨 지시전압 입력단자(6)에 제 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1)의 출력단에 얻어진 TX-AGC 전압이 공급되면, 이 TX-AGC 전압은 제 3 입력저항(35)을 통하여 차동 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차동 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에는 직류전압과 TX-AGC 전압이 가산된 가산 기준전압이 공급된다.
차동 증폭기(31)는 비반전 입력단(+)에 공급된 검파전압과 반전 입력단(-) 에 공급된 가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검파전압과 가산 기준전압과의 차(差)전압과 같은 검출(비교)전압을 출력단에 발생한다. 이 검출전압은 검출전압 출력단자(5)를 통하여 제어부(12)의 제어 입력단(121)에 공급된다. 제어부(12)는 공급된 검출전압을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에 따라 공급된 송신레벨 지시전압에 대응한 디지털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형성한다. 얻어진 디지털 송신레벨 지시전압은 제 1 제어 출력단 (122)으로부터 제 1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D/A)(10)를 통하여 TX-AGC 증폭기 (9)의 이득 제어단에 공급되어 TX-AGC 증폭기(9)의 신호이득을 제어한다.
차동 증폭기(31)의 반전입력단(-)에 공급된 가산 기준전압은, 반전 입력단(-)과 접지점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32)에 의해 그 제너전압(Vt)을 넘지 않도록 억제된다. 이 경우 제너전압(Vt)은 TX-AGC 전압이 이 이상 증대한 경우에 전력증폭기(8)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가 포화한다고 할 때의 TX-AGC 전압과 대략 같아지도록 선택된다.
여기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에 있어서, 송신레벨 지시전압 입력단자(6)에 공급되는 TX-AGC 전압과 전력 증폭기(8)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의 특성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검출회로는 TX-AGC 전압이 제너다이오드(32)의 제너전압(Vt)을 초과하여 증대하여도 차동 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된 가산 기준전압이 제너전압(Vt)으로 규정된 일정 전압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송신신호가 포화상태, 즉 검파전압이 포화상태로 된 후, TX-AGC 전압이 더욱 증대하였다 하더라도 차동 증폭기(31)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이 대략 일정하게 되어 그 결과로서 TX-AGC 전압이 더 이상 증대하여도 검출 전압출력이 감소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제어부(12)의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실질적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는, 기준 전압발생부(2)에 신호 검파부(1)에 있어서의 제 1 다이오드(12)와 제 2 다이오드(13)와의 회로접속과 동일한 회로접속을 구비한 제 3 다이오드(21)와 제 4 다이오드(22)로 이루어지는 온도 보상부를 설치하고 있고, 이 온도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에 신호 검파부(1)로부터 출력되는 검파전압의 온도특성과 대략 동일한 온도특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차동 증폭기(31)로 검파전압과 직류전압을 비교 증폭할 때 그들 온도특성이 상쇄되어 차동 증폭기(31)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비교)전압은 이와 같은 온도특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 되고, 동시에 TX-AGC 증폭기(9)의 증폭특성도 이와같은 온도특성을 가지지 않은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에 의하면, 송신신호의 포화시에 있어서의 가산 기준전압의 더 이상의 증대에 의해 검출전압이 하강한 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대수 증폭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송신신호의 증대의 비율과 검출전압과의 증대의 비율을 대략 직선적으로 하고, 제어부(12)에 있어서 넓은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을 수 있는 저렴하고 소형의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송신레벨 지시전압 입력단자(6)에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11)를 통하여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공급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는 이와 같은 구성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10)에서 얻어진 전압을 송신레벨 지시전압으로 하여 송신레벨 지시전압 입력단자(6)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11)가 불필요하게 되어 회로구성이 약간 간단하게 됨과 더불어, 사용부품 개수가 저감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압제한소자로서 제너다이오드(32)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는 전압제한소자로서 제어다이오드(32)를 사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제너다이오드와 동등한 전압제한 기능을 하는 구성, 예를 들어 제너다이오드(32) 및 저항(36)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제어부(12)를 동작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차동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자에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기(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제너다이오드(32)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전압이 되 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동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기준전압과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가산한 가산 기준전압을 가하여 기준전압의 상승을 행하여, 송신신호의 증대에 따르는 검파전압의 지수 함수적인 증대를 송신레벨 지시전압을 가산한 가산 기준전압에 의해 억제하여 송신신호와 검출전압의 관계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하고, 또 반전 입력단과 기준 전위점 사이에 전압제한소자를 접속하고, 이 전압제한소자에 의해 송신신호의 포화시에 있어서의 가산 기준전압의 더 이상의 증대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신호의 포화시에 있어서의 가산 기준전압의 다른 증대에 의해 검출전압이 하강한 상태로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대수 증폭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송신신호의 증대의 비율과 검출전압의 증대의 비율을 대략 직선적으로 하므로써 제어부에 있어서 넓은 이득제어용 다이내믹 레인지를 얻을 수 있는, 저렴하고 소형의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송신기 출력단과 송신기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송신기의 출력신호를 검파하는 신호 검파부와,
    기준전압 발생부와, 비반전 입력단과,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고, 상기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어부에 검출전압을 공급하는 차동 증폭기와,
    상기 반전 입력단과 기준 전위점 사이에 접속된 전압제한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비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신호 검파부로부터 출력된 검파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송신레벨 지시전압의 가산 기준전압이 각각 공급되고, 상기 전압제한소자에 의해 상기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는 상기 가산 기준전압을 제한하여, 상기검파전압의 증대에 따라 증대하는 상기 검출전압을 제어부의 이득제어용 다이내믹레인지내에 받아 들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어소자는 제너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출력전력검출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는 온도보상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보상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온도특성을 가지는 기준전압에 의해 상기 신호 검파부로부터 출력되는 검파전압의 온도특성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 회로.
KR1020000052786A 1999-09-07 2000-09-06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KR100362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45899A JP2001077709A (ja) 1999-09-07 1999-09-07 送信機の出力電力検出回路
JP11-253458 1999-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358A KR20010050358A (ko) 2001-06-15
KR100362450B1 true KR100362450B1 (ko) 2002-11-23

Family

ID=1725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786A KR100362450B1 (ko) 1999-09-07 2000-09-06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53213B1 (ko)
JP (1) JP2001077709A (ko)
KR (1) KR100362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473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 및 방법
KR100397332B1 (ko) * 2001-06-11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 자동이득제어기의 온도보상회로
US7015755B2 (en) * 2001-08-31 2006-03-21 Nokia Corporation Stacked modulator and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JP2003110434A (ja) * 2001-09-28 2003-04-11 Alps Electric Co Ltd 送信レベル設定方法
US6741840B2 (en) * 2002-03-13 2004-05-25 Motorola, Inc. RF transmitters with satura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and methods therefor
US20050075809A1 (en) * 2003-09-18 2005-04-07 Ewc Control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iltering and conditioning AC voltage signals
US7693491B2 (en) * 2004-11-30 2010-04-0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er output power compensation
JP4632882B2 (ja) * 2005-07-05 2011-02-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器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538354B2 (en) 2011-04-04 2013-09-17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80210477A1 (en) * 2015-07-17 2018-07-26 Closed-Up Joint-Stock Company Drive Direct voltage - direct current converter control circu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703A (ko) * 1991-05-23 1992-12-19 정용문 이동체 무선전화기의 송신출력 자동 제어회로
KR0144202B1 (ko) * 1995-06-29 1998-08-01 구자홍 통신기기의 자동 송신출력 조절장치
KR19990061186A (ko) * 1997-12-31 1999-07-26 유기범 이동단말기에서의 온도보상장치
KR100221843B1 (ko) * 1996-12-30 1999-09-15 유기범 위성통신시스템의 송신전력레벨 검출회로
KR20000067420A (ko) * 1999-04-28 2000-11-15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회로 및 방법
KR100310797B1 (ko) * 1997-07-25 2001-11-15 야마우치 아쓰시 차동 증폭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136A (en) * 1973-04-23 1975-02-11 Motorola Inc Amplifier protection circuit
JP2800500B2 (ja) * 1991-10-01 1998-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ースト送信出力制御回路
JPH0555936A (ja) * 1991-08-21 199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装置
JPH06177684A (ja) 1992-12-10 1994-06-24 Nec Eng Ltd 送信電力制御装置
JPH07249942A (ja) 1994-03-08 1995-09-26 Fujitsu Ltd 送信機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US5697074A (en) 1995-03-30 1997-12-09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rate power control loop for a transmitter
JPH1022756A (ja) * 1996-07-04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機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JPH11312988A (ja) * 1998-04-30 1999-11-09 Nec Corp マイクロ波・ミリ波送信方法と送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703A (ko) * 1991-05-23 1992-12-19 정용문 이동체 무선전화기의 송신출력 자동 제어회로
KR0144202B1 (ko) * 1995-06-29 1998-08-01 구자홍 통신기기의 자동 송신출력 조절장치
KR100221843B1 (ko) * 1996-12-30 1999-09-15 유기범 위성통신시스템의 송신전력레벨 검출회로
KR100310797B1 (ko) * 1997-07-25 2001-11-15 야마우치 아쓰시 차동 증폭 회로
KR19990061186A (ko) * 1997-12-31 1999-07-26 유기범 이동단말기에서의 온도보상장치
KR20000067420A (ko) * 1999-04-28 2000-11-15 김영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77709A (ja) 2001-03-23
KR20010050358A (ko) 2001-06-15
US6553213B1 (en) 200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332B1 (ko) 송신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KR100362450B1 (ko)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KR100193842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전력조절 회로 및 방법
JPH11187463A (ja) 移動体無線受信機
US5507022A (en) Electric field level detecting apparatus
AU716099B2 (en) Circuit for eliminating external interference signals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phone
US6683925B1 (en) Wireless terminal device
KR101118487B1 (ko)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이득 제어
JPH10107566A (ja) 増幅システム
US20070147554A1 (en) Receiver and transmitter/receiver
EP0795967A1 (en) Power saving method for radio receiver
JP2009177568A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931242B2 (en) Down converter using C/N ratio correcting circuit of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B2362523A (en) A transceiver with the bias of an amplifier in the receiver controlled by a baseband processor
KR100743589B1 (ko)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JPS639233A (ja) 送信電力の制御検出回路
KR200368938Y1 (ko)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1002931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제어 장치
JPH109348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US20040029539A1 (en) Receiver
KR1003777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믹서 신호손실 보상장치
KR100592589B1 (ko) 수신기의 상호변조 신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자동이득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100216B2 (ja) 無線調整システム、無線調整方法
JPH04354210A (ja) 通信装置の受信回路
JPS58138113A (ja) 送信機の自動電力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