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589B1 -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589B1
KR100743589B1 KR1020000059973A KR20000059973A KR100743589B1 KR 100743589 B1 KR100743589 B1 KR 100743589B1 KR 1020000059973 A KR1020000059973 A KR 1020000059973A KR 20000059973 A KR20000059973 A KR 20000059973A KR 100743589 B1 KR100743589 B1 KR 100743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ilter
signal
filter un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168A (ko
Inventor
홍석준
Original Assignee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5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1 구조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수신신호의 전력과 송신신호의 전력을 공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RF 수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는 Rx 필터부와, 상기 Rx 필터부를 통과한 RF 수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증폭하는 가변 저전력 증폭기와, 기지국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RF 송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는 Tx 필터부와, 상기 Tx 필터부를 통과한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감쇄하는 가변 감쇄기와, 2:1 구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전력 검출경로에 따라 입력되는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선형 검출기와, 상기 선형 검출기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증폭하는 비반전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POWER DETECTOR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DOUBLE USE IN BASE STATION}
도 1의 (가)는 종래 기지국내 수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나)는 종래 기지국내 송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의 (가)는 도 2의 비반전 증폭기의 회로 구성도이고, (나)는 비반전 증폭기의 입출력 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Rx 필터부 12 : 가변 저전력 증폭기
13 : Tx 필터부 14 : 가변 감쇄기
15 : 스위치부 16 : 선형 검출기
17 : 비반전 증폭기
본 발명은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1 구조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수신신호의 전력과 송신신호의 전력을 공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는 수신신호의 전력과 송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검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전력 검출장치는 도 1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측과 송신측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 기지국내 수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는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Rx 필터 및 LNA(Low Noise Amplifier)(1)와, 제1,제2 혼합기(3,4) 및 AGC(Auto Gain Controller)(5)를 구비한 DNCU(DowN Converter Unit)(2)로 이루어지고, 기지국내 송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는 도 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 필터(6)와 전력 검출기(8)를 구비한 BTRU(BTS Transceiver Unit)(7)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는 상기 AGC(5)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된 수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는 상기 BTRU(7)내 자체 전력 검출기(8)를 통해 기지국에서 송신한 송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력 검출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전력 검출장치의 경우 기지국에 수신되는 수신신호가 Rx 필터 및 LNA(1), 제1,제2 혼합기(3,4) 등의 내부 디바이스(Device)들을 통과함에 따라 감쇄되므로 부정확한 전력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력 검출장치가 수신측과 송신측마다 별도로 구현됨에 따라 각각의 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한 채널의 수신신호 및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만을 검출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1 구조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수신신호의 전력과 송신신호의 전력을 공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주파수 전 대역의 수신신호와 송신주파수 전 대역의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이 가능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채널의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이 가능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주파수 대역 이외의 간섭성 스퓨리어스(Spurious)에 대한 전력 검출이 가능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RF 수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는 Rx 필터부와, 상기 Rx 필터부를 통과한 RF 수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증폭하는 가변 저전력 증폭기와, 기지국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RF 송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는 Tx 필터부와, 상기 Tx 필터부를 통과한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감쇄하는 가변 감쇄기와, 2:1 구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전력 검출경로에 따라 입력되는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선형 검출기와, 상기 선형 검출기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증폭하는 비반전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RF 수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Rx 필터 또는 Rx 채널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는 Rx 필터부(11)와, 상기 Rx 필터부(11)를 통과한 RF 수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Range)에 맞게 가변 증폭하는 가변 저전력 증폭기(12)와, 기지국에서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RF 송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Tx 필터 또는 Tx 채널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는 Tx 필터부(13)와, 상기 Tx 필터부(13)를 통과한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감쇄하는 가변 감쇄기(14)와, 2:1 구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할 것인지 아니면 송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한 것인지에 대한 전력 검출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15)와, 상기 스위치부(15)에서 선택된 전력 검출경로에 따라 입력되는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선형 검출기(Linear Detector)(16)와, 상기 선형 검출기(16)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증폭하는 비반전 증폭기(17)로 구성된다.
도 3의 (가)는 상기 도 2의 비반전 증폭기(17)의 회로 구성도로서, 두 개의 저항(R1,R2)과 하나의 OP 앰프(OP)로 이루어지며, 도 3의 (나)는 상기 도 2의 비반전 증폭기(17)의 입출력 관계를 보인 그래프로서, 입출력 관계가 비례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부(15)내 2:1 구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력 검출경로를 선택한다.
즉, 2:1 구조의 스위치를 수신측 경로 또는 송신측 경로로 온/오프시킴으로써 수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할 것인지 아니면 송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한 것인지를 선택한다.
여기서, 수신신호의 전력을 먼저 검출하고자 한다면, 동작은 다음과 같다.
Rx 필터부(11)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RF 수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는데, 이때 검출 조건이 수신주파수 전 대역의 수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에는 Rx 필터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RF 수신신호를 필터링하고, 한 채널의 수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에는 Rx 채널 필터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RF 수신신호를 필터링한다.
이어, 가변 저전력 증폭기(12)는 상기 Rx 필터부(11)를 통과한 RF 수신신호의 전력을 상기 선형 검출기(16)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증폭한다.
이때, 상기 선형 검출기(16)는 0.1GHz∼2.5GHz 주파수 대역에서 선형성(- 70dBm∼-10dBm)이 60dB 범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100dBm∼-40dBm의 수신신호 전력을 검출하려면 상기 가변 저전력 증폭기(12)의 이득을 30dB로 설계해야 한다.
이후, 상기 선형 검출기(16)는 상기 가변 저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된 RF 수신신호를 스위치부(15)를 통해 입력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선형 검출기(16)는 -70dBm∼-10dBm의 RF 수신신호를 0.45∼1.7V의 DC 전압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비반전 증폭기(17)를 통해 상기 선형 검출기(16)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증폭하여 최종적으로 RF 수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비반전 증폭기(17)는 도 3의 (가)에 도시된 OP 앰프(OP)를 통해 Vout=(1+R1/R2)Vin 만큼 증폭하게 되며, 저항(R1,R2)의 값을 변경함에 따라 원하는 Vout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송신신호의 전력 검출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Tx 필터부(13)는 기지국에서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RF 송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는데, 이때 검출 조건이 송신주파수 전 대역의 송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에는 Tx 필터의 커플링 테스트 포트(Coupling Test Port)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RF 송신신호를 필터링하고, 한 채널의 송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에는 Tx 채널 필터의 커플링 테스트 포트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RF 송신신호를 필터링한다.
이어, 가변 감쇄기(14)는 상기 Tx 필터부(13)를 통과한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상기 선형 검출기(16)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감쇄한다.
즉, RF 송신신호 전력의 최대값이 -10dBm이 되도록 가변 감쇄기(14)의 이득을 감쇄시키고, 상기 가변 저전력 증폭기(12)의 설계와 마찬가지로 가변 감쇄기(14)의 이득을 30dB로 설계한다.
이후, 상기 선형 검출기(16)는 상기 가변 감쇄기(14)에서 감쇄된 RF 송신신호를 스위치부(15)를 통해 입력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후, 비반전 증폭기(17)를 통해 상기 선형 검출기(16)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증폭하여 최종적으로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한다.
즉,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전압 단위로 검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Rx 필터부(11)에서 Rx 노치(Notch) 필터를 사용하여 수신주파수 대역 이외의 간섭성 스퓨리어스에 대한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1 구조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수신신호의 전력과 송신신호의 전력을 공동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때 한 채널의 수신신호와 송신신호는 물론 수신주파수 전 대역의 수신신호와 송신주파수 전 대역의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주파수 대역 이외의 간섭성 스퓨리어스에 대한 전력 검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검출장치를 기지국내 FEU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이때, 필터부는 제외하도록 함), 휴대용으로 개발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RF 수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Rx 필터 또는 Rx 채널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는 Rx 필터부와,
    상기 Rx 필터부를 통과한 RF 수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증폭하는 가변 저전력 증폭기와,
    기지국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RF 송신신호를 검출 조건에 따라 Tx 필터 또는 Tx 채널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하는 Tx 필터부와,
    상기 Tx 필터부를 통과한 RF 송신신호의 전력을 선형 검출기의 선형성에 따른 범위에 맞게 가변 감쇄하는 가변 감쇄기와,
    2:1 구조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에 대한 전력 검출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된 전력 검출경로에 따라 입력되는 RF 수신신호 또는 RF 송신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선형 검출기와,
    상기 선형 검출기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증폭하는 비반전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 필터부의 검출 조건이 수신주파수 전 대역의 수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 Rx 필터를 사용하여 해당 RF 수신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 필터부의 검출 조건이 한 채널의 수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 Rx 채널 필터를 사용하여 해당 RF 수신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 필터부의 검출 조건이 송신주파수 전 대역의 송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 Tx 필터의 커플링 테스트 포트를 사용하여 해당 RF 송신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 필터부의 검출 조건이 한 채널의 송신신호 전력 검출일 경우 Tx 채널 필터의 커플링 테스트 포트를 사용하여 해당 RF 송신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 필터부에서 Rx 노치 필터를 사용하여 수신주파수 대역 이외의 간섭성 스퓨리어스에 대한 전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KR1020000059973A 2000-10-12 2000-10-12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KR100743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73A KR100743589B1 (ko) 2000-10-12 2000-10-12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73A KR100743589B1 (ko) 2000-10-12 2000-10-12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68A KR20020029168A (ko) 2002-04-18
KR100743589B1 true KR100743589B1 (ko) 2007-07-27

Family

ID=1969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73A KR100743589B1 (ko) 2000-10-12 2000-10-12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44B1 (ko) * 2001-01-06 2007-02-12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휴대용 알에프 파워 측정기
KR100528781B1 (ko) * 2003-09-29 2005-1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선형적인 출력파워 검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68A (ko)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6387B2 (ja) 受信器の干渉イミュニティ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193848B1 (ko) 대역확산통신기에 있어서 수신신호 이득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US7639998B1 (en) RF receiver utilizing dynamic power management
KR100299025B1 (ko) 기지국에서송수신기의장애진단방법및장치
AU716099B2 (en) Circuit for eliminating external interference signals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phone
EP1361666A1 (en) Time division multiplexing connection transceiver and its receiving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US20060291540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f signals capable of detecting jamming signals
KR100743589B1 (ko) 기지국내 송수신 겸용 전력 검출장치
JP2001077709A (ja) 送信機の出力電力検出回路
KR101118670B1 (ko) 시분할 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272007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디지틀셀룰라기지국에서수신전압정재파비측정방법
WO2021245820A1 (ja) 無線受信回路
US7103323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RF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303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신호 수신 회로 및 장치
KR1003037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파우어 부스터 회로
KR1003777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믹서 신호손실 보상장치
JPH11122132A (ja) 無線装置
KR200211726Y1 (ko) 모의 실험용 기지국 무선주파수 수신장치
JP2855652B2 (ja) 送信装置
KR100252784B1 (ko) 이동통신기기의송신출력제어회로
KR2001008814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JPH0548554A (ja) デイジタル多重無線方式
KR20010036251A (ko) 이동 전화 단말기용 전파 신호 레벨 증폭 시스템
KR20060099152A (ko) 통신 단말기에서 감쇠기를 이용한 크로스 변조 방지 장치및 방법
JPH05327379A (ja) 受信入力電界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