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812B1 -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812B1
KR100360812B1 KR1019990039312A KR19990039312A KR100360812B1 KR 100360812 B1 KR100360812 B1 KR 100360812B1 KR 1019990039312 A KR1019990039312 A KR 1019990039312A KR 19990039312 A KR19990039312 A KR 19990039312A KR 100360812 B1 KR100360812 B1 KR 10036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transmission
crankshaft
combustion engine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141A (ko
Inventor
간베다카시
노무라아키후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7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f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08Number of cylinders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20SOHC [Single overhead cam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에 있어서, 후부 뱅크의 후측 경사 각도를 특별히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후부 뱅크의 후벽에 체인 텐셔너용 리프터를 미션 케이스부에 영향 받지 않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1차 전동 장치(54)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를 크랭크축(15)의 양단부에 연결하고, 미션 케이스(95)의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측 벽(95a)을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에서 1차 전동 장치(54)측으로 오프 셋한다. 이에 따라 후부 뱅크(42)의 후벽에 체인 텐셔너용 리프터(492)를 미션 케이스부(95)에 영향 받지 않게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MOTORCYCL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 프레임의 탑재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향해 배치되는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열린 전부 및 후부 뱅크를 가지고, 크랭크축을 수용하는 크랭크 케이스의 후부에 변속기를 수용하는 미션 케이스부를 일체로 연결 설치하고, 크랭크축에는 변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1차 전동 장치와, 전부 및 후부 뱅크의 동(動) 밸브용 캠 축을 각각 구동하는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를 연결하며, 각 뱅크의 후벽에 대응하는 타이밍 전동 장치의 체인 텐셔너를 가압하는 리프터를 부착한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은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4-83912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같이 공지이다.
종래의 이러한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에서는 후부 뱅크의 후벽에 부착되는 체인 텐셔너용 리프터와, 크랭크 케이스의 후부에 연결 설치되는 미션 케이스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후부 뱅크의 후측 경사 각도를 작게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면, 전부 및 후부 뱅크사이의 끼움각을 90°이하로 설정하거나 혹은 후부 뱅크의 후측 경사 각도의 감소에 따라 전부 뱅크의 앞측 경사 각도를 어쩔수 없이 크게 설정해도, 모두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후부 뱅크의 후측 경사 각도를 특별히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후부 뱅크의 후벽에 체인 텐셔너용 리프터를 미션 케이스부에 영향 받지 않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상기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V형 내연기관을 탑재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2는 상기 내연기관의 측면도,
도3은 도2의 3-3선 확대 종단면도,
도4는 도3의 4-4선 단면도,
도5는 도2의 5-5선 단면도,
도6은 상기 내연기관의 냉각수 계통도,
도7은 도2의 7-7선 단면도,
도8은 도3의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 주위의 확대도,
도9는 도3의 변속기 주위의 확대도,
도10은 상기 내연기관의 배기계 주위의 평면도,
도11은 상기 내연기관의 후부 뱅크의 실린더 헤드 평면도,
도12는 도9의 12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 내연기관 M : 자동 이륜차
1 : 차체 프레임 41: 전부(前部) 뱅크
42: 후부(後部) 뱅크 8 : 변속기
15 : 크랭크축 411, 412: 전부 및 후부 뱅크의 캠 축
461, 462: 전부 및 후부 뱅크의 타이밍 전동 장치
481, 482: 전부 및 후부 뱅크의 체인 텐셔너
491, 492: 전부 및 후부 뱅크의 리프터
54 : 1차 전동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의 탑재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향해 배치되는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열린 전부 및 후부 뱅크를 가지고, 크랭크축을 수용하는 크랭크 케이스의 후부에 변속기를 수용하는 미션 케이스부를 일체로 연결 설치하고, 크랭크축에는 변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1차 전동 장치와, 전부 및 후부 뱅크의 동(動) 밸브용 캠 축을 각각 구동하는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를 연결하며, 각 뱅크의 후벽에 대응하는 타이밍 전동 장치의 체인텐셔너를 가압하는 리프터를 부착한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에 있어서, 1차 전동 장치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를 크랭크축의 양단부에 연결하고, 미션 케이스부의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측 벽을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에서 1차 전동 장치측으로 오프 셋한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한다.
이 제1 특징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의 본체부와 미션 케이스부의 좌우방향에서의 미소한 오프 셋에 의해 후부 뱅크의 후측 경사 각도를 특별히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후부 뱅크의 후벽에 체인 텐셔너용 레프터를 미션 케이스부에 간섭되지 않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에 추가하여 크랭크축의 일단부에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를 상호 인접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를 전부 타이밍 전동장치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이 제2 특징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의 본체부와 미션 케이스부의 오프 셋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내연기관(E)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양 타이밍 전동 장치의 집중 배치에 의해 이들 조립성 및 유지성이 양호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V형 내연기관을 탑재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2는 상기 내연기관의 측면도, 도3은 도2의 3-3선 단면도, 도4는 도3의 4-4선 단면도, 도5는 도2의 5-5선 단면도, 도6은 상기 내연기관의 냉각수 계통도, 도7은 도2의 7-7선 단면도, 도8은 도3의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 주위의 확대도, 도9는 도3의 변속기 주위의 확대도, 도10은 상기 내연기관의 배기계 주위의 평면도, 도11은 후부 뱅크의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 도12는 도9의 12에서 본 도면이다.
단, 설명중 전후, 좌우란 자동 이륜차 차체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자동 이륜차의 전체 구성(도1, 도2 참조)〕
자동 이륜차(M)의 차체 프레임(1)의 전단에는 전륜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아무것도 도시하지 않음)가 조향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1)의 후부에는 후륜(2)을 지지하는 리어 포크(3)가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리어 포크(3) 및 차체 프레임(1)의 각 후단부사이에 리어 쿠션(7)이 끼워 장착된다.
차체 프레임(1)의 중간부에는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를 가지는 V형 내연기관(E)이 탑재됨과 동시에, 그 상방에 연료 탱크(5)가 부착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1)의 후부에는, 연료 탱크(5)의 후단에 연속하도록, 메인 시트(6a) 및 필리온 시트(6b)가 부착된다.
상기 내연기관(E)에 연결 설치되는 변속기(8)의 출력축(97) 및 후륜(2)의 허브사이를 연결하는 체인 전동장치(10)는 후륜(2)의 좌측에 배치된다. 시동 모터(11)는 크랭크축(15)의 전방 또한 하방에 배치된다.
내연기관(E)의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사이의 협곡(28)에는 대응하는 뱅크에 접속되는 전부 및 후부 기화기(121, 122)가 배치된다. 또한 전부 뱅크(41)의 전면및 후부 뱅크(42)의 후부에 각각 접속되는 전부 배기관(131) 및 후부 배기관(132)은 후륜(2)을 끼고 상기 체인 전동장치(10)와 반대측, 즉 후륜(2)의 우측에 배치되는 공통의 배기 머플러(14)의 전단에 집합하여 접속된다.
〔내연기관의 전체 구성(도2, 도3, 도5, 도8 참조)〕
내연기관(E)의 전부 뱅크(41) 및 후부 뱅크(42)는 좌우방향에 배치되는 크랭크축(15)의 주위에 90°로 개방되어 전후로 배치된다. 크랭크축(15)은 크랭크 핀(16a)을 가지는 단일 크랭크부(16)와, 그 양단부에 인접하는 좌우 한쌍의 져널(17, 18)을 구비하고 있고, 그 져널(17, 18)이 볼 베어링(19, 20)을 각각 통하여 크랭크 케이스(21)에 지지된다.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는 크랭크축(15)을 상기 크랭크 케이스(21)의 산형(山形) 상부의 전후 경사면에 각각 접합되는 실린더 블록(221, 222)과 이들 상단에 접합되는 실린더 헤드(231, 232)를 구비하고 있고, 각 실린더 블록(221, 222) 및 실린더 헤드(231, 232)에는 일련의 워터 쟈켓(241, 242)이 형성된다.
각 실린더 블록(221, 222)의 실린더 보어(251, 252)에 끼워 장착되는 피스톤(261, 262)은 콘 로드(271, 272)를 통하여 상기 크랭크 핀(16a)에 연결 접속된다. 이 때, 후부 뱅크(42)의 콘 로드(272)는 상기 크랭크 핀(16a)상에서 전부 뱅크(41)의 콘 로드(271)의 좌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들 콘 로드(271, 272)의좌우방향의 오프 셋량(S)(도8)에 대응하고, 후부 뱅크(42)의 축선은 전부 뱅크(41)의 축선에 대해 좌측방으로 오프 셋된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크랭크축(15)의 우측 져널(18)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우단부에는 그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시동 전동 장치(94)의 오버 러닝 클러치(53) 및 클러치(100)에 연속되는 1차 전동장치(54)의 구동 기어(54a)가 부착됨과 동시에, 상호 인접 배치된다. 이 때, 오버 러닝 클러치(53)는 그 아웃터 부재가 크랭크축(15)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그 내부 부재에 시동 기어(5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54a)는 크랭크축(15)에 키 결합된다.
또한 도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크랭크축(15)의 좌측 져널(17)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좌단부에는 그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부 뱅크(41)의 동(動) 밸브 캠축(411)을 구동하는 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1)의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후부 뱅크(42)의 동 밸브 캠축(411)을 구동하는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의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 및 발전기(30)의 로터(31)가 부착됨과 동시에, 상호 인접 배치된다. 이 때, 로터(31)는 크랭크축(15)에 키 결합된다. 2개의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422)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로터(31)에 둘러싸이는 발전기(30)의 스테이터(32)는 크랭크 케이스(21)의 좌단면에 접합되는 좌측 커버(33)의 내벽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로터(31) 외주면의 위치에는 돌기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이돌기부(35)와 협동하여 크랭크축(15)의 회전위치를 검지하는 크랭크 위치 센서(36)가 크랭크 케이스(21)의 좌단면에 고정 장착된다. 이 크랭크 위치 센서(36)의 출력신호는 점화장치의 제어신호나 타코미터의 입력신호로서 이용된다.
크랭크축(15)의 발전기(30)와 반대측의 우단부에는 우측 져널(18)에 인접하여 시동 기어(52)가 오버 런닝 클러치(53)를 통하여 지지되며, 또한 그 시동 기어(52)에 인접하여 1차 구동 기어(54a)가 키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크랭크축(15)의 좌단부측에서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1, 462)를 한번에 조립할 수 있어 이들 조립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1, 462)의 보수를 행할 시에는, 그들 외측의 발전기(30)만을 크랭크축(15)으로부터 제거하는 것만으로, 다른 것에 전혀 간섭되지 않고 그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30)의 양 타이밍 전동 장치(461, 462)에의 인접 배치에 의해, 운전중에는 양 타이밍 전동장치(461, 462)로부터 비산되는 기름방울이 발전기(30)에 닿으므로,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케이스(21)의 좌측부에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461, 462) 및 발전기(30)가, 또한 타단부에 시동 전동 장치(94), 1차 전동 장치(54) 및 클러치(100)가 배치되게 되므로, 크랭크 케이스(21)의 양측부의 중량 발란스가 양호하고, 따라서 차체 프레임(1)에의 탑재시에는 자동 이륜차(M)의 좌우 중량 발란스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동(動) 밸브계(도2∼도4, 도8, 도9 참조)〕
각 뱅크(41, 42)의 실린더 헤드(231, 232)에는 흡기밸브(371, 372) 및 배기 밸브(381, 382)가, 흡기 밸브(371, 372)를 양 뱅크(41, 42)사이의 협곡부(28)측에 붙여 설치한다. 또한 각 실린더 헤드(231, 232)에는 대응하는 흡, 배기 밸브(371, 372;381, 382)를 로커 아암(391, 392:401, 402)을 통하여 개폐 구동하는 캠축(411, 412)의 양단부를 크랭크축(15)과 평행으로 하고, 각각 볼 베어링(50, 50′)을 통하여 지지된다. 또한 크랭크축(15)의 좌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422)과 각 뱅크(41, 42)의 캠축(411, 412)의 좌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피동 타이밍 스플로켓(431, 432)에 타이밍 체인(441, 442)이 감긴다. 상기 양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422)은 크랭크축(15)의 좌측 져녈(17)의 외단에 인접하여 압입된 공통의 보스(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부 뱅크(41)의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타이밍 체인(441) 및 피동 타이밍 스플로켓(431)은 크랭크축(15)의 회전을 2분의1로 감속시켜 대응하는 캠축(411)에 전달하는 전부 타이밍 전동장치(461)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것은 전부 뱅크(41)의 발전기(30)측의 측벽에 형성된 전부 타이밍 전동실(471)에 배치된다. 또한 후부 뱅크(42)의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2), 타이밍 체인(442) 및 피동 타이밍 스플로켓(432)은 크랭크축(15)의 회전을 2분의1로 감속시켜 대응하는 캠축(412)에 전달하는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것도 후부 뱅크(42)의 발전기(30)측의 측벽에 형성된 후부 타이밍 전동실(472)에 배치된다.
이 때,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는 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1)에서 축방향 외측, 즉 발전기(30)측에 배치된다.
크랭크축(15)은 도4에 화살표R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따라서, 각 타이밍 체인(441, 442)은 후측이 느슨한측으로 된다. 이들 느슨한측에 일정한 팽팽함을 주기위해 각 타이밍 체인(441, 442)의 느슨한측에, 크랭크 케이스(21)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활형의 체인 텐셔너(481, 482)를 활주가 자유롭게 접촉시켜, 이들 체인 텐셔너(481, 48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타이밍 체인(441, 442)을 향해 일정 하중을 가지고 가압하는 공지의 텐셔너 리프터(491, 492)가 각 뱅크(41, 42)의 실린더 블록(221, 222) 후면에 형성된 부착면에 볼트(109)로 각각 부착된다.
크랭크 케이스(21)는 그 좌우방향 중앙부에서 좌 케이스 반체(半體)(21a) 및 우 케이스 반체(21b)로 분할되며, 이들에 상기 볼 베어링(19, 20)의 외부 레이스가 미리 가벼운 압입에 의해 장착되며, 양 케이스 반체(21a, 21b)의 결합시에, 크랭크축(15) 좌우의 져널(17, 18)이 상기 볼 베어링(19, 20)의 내부 레이스에 각각 가볍게 압입되는데, 이 때, 좌측 져널(17) 외측에 인접하여 크랭크축(15)에 공통의 보스(45)가 압입된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422)이 좌측 볼 베어링(19)의 내부 레이스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422)의 외경(d1)은 상기 볼 베어링(19)의 내부 레이스의 내경(d2)보다 조금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크랭크축(15)이 단체(單體)일 때, 양 구동 타이밍 스플로켓(421, 422)의 보스(45)의 압입이 가능해져 압입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볼 베어링(19, 20)을 좌우 케이스 반체(21a, 21b) 및 좌우 크랭크 져널(17, 18)에 가볍게 압입함으로써, 기관 운전중, 볼 베어링(19, 20)의 진동을 억제하고, 소음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배기계(도2, 도10 및 도11 참조)〕
전부 뱅크(41)의 배기 포트(511)의 출구는 그 실린더 헤드(231)의 전면에 개구되어 있고, 이에 전부 배기관(131)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후부 뱅크(42)의 배기 포트(512)의 출구는 그 실린더 헤드(232) 후부의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462)와 반대측의 우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여기에 후부 배기관(132)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전부 배기관(131) 및 후부 배기관(132)은 모두 전부 및 후부 체인 전동장치(461, 462)와 반대측의 내연기관(E) 우측방에 상하로 나란히 배관됨과 동시에, 하류단을 집합하여 후륜(2)의 우측방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14)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내연기관(E)의 전부 뱅크(41)에 대한 후부 뱅크(42)의오프 셋 방향측의 일측부에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1, 462)를 집중하여 설치하는 한편, 내연기관(E)의 다른쪽에 전부 및 후부 배기관(131, 132)을 상하로 나란히 집중 배관하였으므로, 양 타이밍 전동장치(461, 462)와 양 배기관(131, 132)의 간섭을 용이하게 피하면서, 양 배기관(131, 132)을 포함하는 내연기관(E)의 전폭을 크게 좁힐 수 있다.
또한, 후부 뱅크(42)의 실린더 헤드(232)의 후부 우측면에 개구하는 배기 포트(512)에 자동 이륜차(M)의 우측방으로 배관되는 후부 배기관(132)을 접속하므로 후부 배기관(132)의 휘어짐을 적게 하고, 그 관로 저항을 낮추어 출력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전동계(도2, 도3 및 도9 참조)〕
크랭크 케이스(21)에는 후부 뱅크(42)의 하부로 돌출되는 미션 케이스부(9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미션 케이스부(95)에는 크랭크축(15)의 바로 뒤에서 이와 평행하게 전후로 배열되는 변속기(8)의 입력축(96) 및 출력축(97)이 수용되며, 이들 양단은 각각 한쌍의 볼 베어링(98, 98′: 99, 99′)을 통하여 미션 케이스부(95)의 좌우 양측벽에 지지된다. 이 입력축(96)의 우단부에는 크랭크 케이스(21)의 우측면에 접합되는 우측 커버(34)에 덮여지는 클러치(100)의 인너 부재(101)가 스플라인 결합되며, 그 외부 부재(102)의 내측단에는 상기 1차 구동 기어(54a)와 맞물려 1차 전동 장치(54)를 구성하는 1차 피동 기어(54b)가 부착되며,또한, 입력축(96) 및 출력축(97) 사이에는 복수단(도시예에서는 5단)의 변속기어열(G1∼G5)이 선택 가능하게 설치된다.
입력축(96) 및 출력축(97)의 좌단부를 지지하는 미션 케이스부(95)의 좌측벽(95a)(도9 참조)은 후부 뱅크(42)의 타이밍 전동 장치(462)보다 우측방으로 오프 셋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후부 뱅크(42)의 타이밍 전동 장치(462)의 텐셔너 리프터(492)를 후부 뱅크(42)의 실린더 블록(222) 후면에 부착할 경우, 미션 케이스부(95)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후부 뱅크(42)의 타이밍 전동 장치(462)는 전부 뱅크(41)의 타이밍 전동 장치(461)보다 외측방, 즉 좌측방에 배치되므로, 크랭크 케이스(21)에 대한 미션 케이스부(95)의 우측방에의 오프 셋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내연기관(E)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차속 센서(도2, 도9 및 도12 참조)〕
미션 케이스부(95)의 후벽에 장착 구멍(103)이 형성되며, 이 구멍(103)을 통해 검지부(105a)를 미션 케이스부(95)내에 삽입시키는 차속 센서(105)가 미션 케이스부(95)의 후벽에 볼트(110)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이 차속 센서(105)는 그 검지부(105a)를 탑(top) 피동 기어, 즉 탑 기어열(G5)의 피동 기어(104)의 기어 끝에 대향시키도록 배치된다.
탑 피동 기어(104)는 출력축(97)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 되고, 좌측방에의 시프트에 의해 2속 기어열(G2)을 확립시키는 시프트 기어를 겸하고 있으며, 그 시프트에 의해서도 그 기어의 외주가 차속 센서(105)의 검지 영역으로 부터 일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차속 센서(105)는 그 검지부의 바로 앞을 가로로 자르는 탑 피동 기어(104)의 기어수에 따라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그 컴퓨터에서는 입력신호로부터 차속을 연산하고, 자동 이륜차(M)의 도시하지 않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의 스피드 미터(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이와같이 차속 센서(105)는 정상 상태 출력축(97)과 함께 회전하는 탑 피동 기어(104)의 회전수를 차속으로서 검지하는 차속 센서(105)가 미션 케이스부(96)의 후벽에 부착되므로, 그 부착을 미션 케이스부(95)측에 후측으로 경사지는 후부 뱅크(42)는 물론 그 후부에 부착되는 후부 배기관(132)에 아무런 방해없이 행할 수 있다.
미션 케이스부(95)의 후면에는 차속 센서(105)의 하면을 덮는 리브(106)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리브(106)의 중앙부에는 차속 센서(105)의 리드선(108)을 통과하는 통과 구멍(107)이 뚫려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미션 케이스부(95)의 후면에는 좌우 한쌍, 상하 한그룹의 행거부(1121, 1122)가, 또한 크랭크 케이스(21)의 전면에는 좌우 한쌍의 행거부(1123)가 각각 일체로 돌출 설치되며, 내연기관(E)의 차체 프레임(1)에의 탑재시, 이들 행거부(1121, 1122, 1123)가 차체 프레임(1)에 결합된다. 그 후부 두그룹의 행거부(1121, 1122)에 둘러싸이는 미션 케이스부(95) 후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차속 센서(105)가 배치되므로, 이에 의해 스페이스 효율을 높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106)는 자동 이륜차(M)의 주행 중, 하방으로부터 날아오는 자갈 등으로부터 차속 센서(105)를 보호하도록 기능하고, 또한 리드선(108)을 통과하는 통과 구멍(107)은 리브(106)내에 침입한 빗물, 세정수의 배출구로서도 기능한다.
〔윤활 및 냉각계(도2, 도3, 도5 및 도6 참조)〕
도2, 도3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크랭크축(15)의 우단부에 키 결합된 1차 구동 기어(54a)에는 그 주위 방향의 다른 2곳에 펌프 구동 기어(56) 및 1차 피동 기어(54b)가 맞물린다.
펌프 구동 기어(56)는 크랭크 케이스(21)의 우단면에 접합되는 우측 커버(34)에 베어링(86)을 통하여 지지되는 펌프축(61)에 키 결합된다. 이 펌프축(61)은 크랭크축(15)과 평행이고, 그보다 전방 및 상방에 오도록 배치된다.
이 펌프축(61)의 내측단에는 윤활용 트로코이드(trochoid)형 오일 펌프(57)의 내부 로터(58)가, 또한 외측단에는 냉각용 워터 펌프(62)의 임펠러(63)가 각각 고정 장착된다. 오일 펌프(57)의 외부 로터(59)를 수용하는 펌프 하우징(60)은 크랭크 케이스(21)의 볼 베어링(20)을 지지하는 격벽(65)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임펠러(63)를 수용하는 펌프 케이싱(64)은 우측 커버의 외측면에 볼트(87)로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는 크랭크축(15)보다 상방 및 전방으로 동축으로 배치되며, 또한 오일 펌프(57)는 상기 오버 런닝 클러치(53)의 반경방향 외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크랭크 케이스(21)에 설치된다.
오일 펌프(57)의 흡입 포트에는 크랭크 케이스(21) 저부의 기름 저장부(66)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67)(도2 참조)에 흡입관(68)을 통하여 접속되며, 또한 토출 포트는 급유로(69)를 통하여 크랭크축(15) 및 각 뱅크(41, 42)의 캠축(411, 412)과 그 이외의 윤활부에 연통된다.
급유로(69)의 도중에는 크랭크축(15)의 대략 바로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 필터(70)가 끼워 장착된다. 이 오일 필터(70)는 우측 커버(34)에 형성된 여과실(71)에 장착되며, 상기 여과실(71)의 개방구를 닫는 캡(72)이 우측 커버(34)에 고정 장착된다. 여과실(71)에 있어서, 오일 필터(70)의 외주측의 입구실(71a)은 크랭크 케이스(21)에 형성된 급유로(69)의 상류부(69a)를 통하여 오일 펌프(57)의 토출 포트에 연통되고, 또한 오일 필터(70) 내주측의 출구실(71b)은 캡(72)에 형성된 급유로(69)의 2개의 분기 유로(69b, 69c)에 연통하고 있고, 한쪽 분기 유로(69b)는 크랭크축(15)계의 윤활부(73)에 연통하며, 다른쪽 분기 유로(69c)는 다시 크랭크 케이스(21) 및 우측 커버(34)의 접합면에서 전후 분기 유로(69d, 69e)에 분기하고,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의 각 캠축(411, 412)을 포함하는 동 밸브계의 윤활부(741, 742)에 연통한다.
따라서, 크랭크축(15)의 회전에 의해 펌프 구동 기어(56) 및 펌프축(61)을통하여 오일 펌프(57)가 구동되면, 기름 저장부(66)내의 오일은 스트레이너(67)로부터 빨아 올려 여과실(71)로 압송되며, 오일 필터(70)에서 여과된 후, 크랭크축(15)계의 윤활부(73) 및 각 뱅크(41, 42)의 동 밸브계의 윤활부(741, 742)로 공급되며, 이들을 윤활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펌프(57), 여과실(71), 오일 필터(70) 및 급유로(69)의 상기 배치, 구성에 의해 급유로(69)의 길이를 매우 단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에 대한 윤활계를 대략 대칭으로 구성할 수 있어 양 뱅크(41, 42)의 균등 윤활이 가능하게 된다.
오일 필터(70)에는 그 필터 엘리먼트(70a)가 막혔을 때, 입구실(71a) 및 출구실(71b)사이를 단락(短絡)시키는 릴리프 밸브(70b)가 구비된다.
한편, 워터 펌프(62)에 있어서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흡입관(75)은 수관(水管)(771)을 통하여 라디에이터(29)(도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연기관(E)의 전방에 배치된다.)의 출구에 접속되며, 토출관(76)은 수관(772)을 통하여 전부 뱅크(41)의 워터 쟈켓(241)의 하부에 접속된다.
전술과 같이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는 각 실린더 블록(221, 222) 및 실린더 헤드(231, 232)에 일련의 워터 쟈켓(241, 242)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후부 뱅크(42)의 실린더 헤드(232)에는 그 전면에 개구되는 합류실(80)이 형성되며, 이 합류실(80)에 워터 쟈켓(242)의 상부가 연통된다.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의 대향면에는 대응하는 워터 쟈켓(241, 242)의 하부에 연통하는 하부 죠인트(781, 782)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죠인트(781, 782)에 협곡부(28)에 배치되는 하부 연통 수관(773)의 양단이 접속된다.
또한 전부 뱅크(41)의 후면에는 그 쟈켓(231)의 상부에 연통하는 상부 죠인트(791)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후부 뱅크(42)의 실린더 헤드(232) 하면에는 합류실(80)에 연통하는 상부 죠인트(792)의 플랜지가 나사 고정되며, 이들 상부 죠인트(791, 792)에 협곡부(28)에 배치되는 후부 연통 수관(774)의 양단이 접속된다.
합류실(80)에는 서모스탯(82)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를 지지하면서 합류실(80)의 개구부를 덮는 서모스탯 커버(81)가 실린더 헤드(232)의 전면에 접합된다.
서모스탯 커버(81)에는 서모스탯(82)의 출구에 연결되는 출구 죠인트(8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출구 죠인트(83)는 수관(775)을 통하여 라디에이터(29)의 입구에 접속된다.
또한 상부 죠인트(792)에는 연통로(84′)를 통하여 합류실(80)에 연통하는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는 바이패스 수관(85)에 의해 후부 뱅크(42)의 기화기(122)의 가온실, 전부뱅크(41)의 기화기(121)의 가온실 및 상기 흡입관(75)과 순차 연통된다.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는 서모스탯 커버(81)의 출구 죠인트(83)보다 훨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서모스탯(82)은 합류실(80)의 수온이 소정 온도 이하일 때는 합류실(80) 및 서모스탯 커버(81)사이를 차단함과 동시에, 합류실(80) 및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사이의 연통로(84′)를 열고, 또한 그 수온이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합류실(80) 및 서모스탯 커버(81)사이를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연통로(84′)를 닫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크랭크축(15)의 회전에 의해, 펌프 구동 기어(56) 및 펌프축(61)을 통하여 워터 펌프(62)가 구동될 때, 합류실(80)의 수온이 비교적 낮으면, 서모스탯(82)이 합류실(80) 및 서모스탯 커버(81)사이를 차단함과 동시에, 연통로(84′)를 개방하므로, 냉각수는 워터 펌프(62)에 의해 우선 토출관(76)으로부터 전부 뱅크(41)의 워터 쟈켓(241)으로 보내지고, 이어서 그 냉각수의 대략 반은 즉각 하부 연통 수관(773)을 거쳐 후부 뱅크(42)의 워터 쟈켓(242)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전부 뱅크(41)의 워터 쟈켓(241)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연통 수관(774)을 거쳐 후부 뱅크(42)의 합류실(80)로 옮겨져 후부 뱅크(42)의 워터 쟈켓(242)을 통과한 냉각수와 합류하고, 합류실(80)로부터 연통로(84′)를 거쳐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를 나와 후부 기화기(122) 및 전부 기화기(121)의 가온실을 순차 경유하여 워터 펌프(62)의 흡입관(75)으로 되돌아 오고, 이후, 같은 순환을 반복한다. 이와같은 냉각수의 라디에이터(29)를 경유하지 않는 순환에 의해 내연기관(E)의 난기(暖機)를 촉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화기(121, 122)를 가온하여 이들 연료 노즐 주위의 아이싱을 막을 수 있다.
내연기관(E)의 난기가 진행되고, 양 뱅크(41, 42)의 워터 쟈켓(241, 242)을 통과하여 합류실(80)에서 합류한 냉각수의 수온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서모스탯(82)은 합류실(80) 및 서모스탯 커버(81)사이를 연통함과 동시에, 연통로(84′)를 닫으므로, 상기 냉각수는 출구 죠인트(83)측으로 흘러 라디에이터(29)를 경유하여 워터 펌프(62)의 흡입관(75)으로 되돌아 온다. 이후, 같은 순환을 반복하므로, 라디에이터(29)의 방열 작용으로 냉각된 냉각수를 가지고 양 뱅크(41, 42)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그런데, 하부 및 상부 연통 수관(773, 774)은 비교적 짧아도 되는데 다가, 이들은 양 뱅크사이의 협곡부에 배치되므로, 양 뱅크(41, 42)사이에 숨어 눈에 띄지 않아 내연기관(E)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서모스탯(82)은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를 냉각한 냉각수가 합류하는 합류실(80)에 배치되므로, 서모스탯(82)은 양 뱅크(41, 42)의 평균 수온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양 뱅크(41, 42)의 적정한 수온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서모스탯(82)에 대한 배관이 불필요하여 배관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부 뱅크(42)의 상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출구 죠인트(83)를 구비한 서모스탯 커버(81)가 접합되므로, 그 출구 죠인트(83)가 라디에이터(29)의 입구에 연통하는 수관(775)의 구부러짐을 적게하고, 그 유로 저항을 작게 억제함과 동시에,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부 뱅크(42)의 상부 죠인트(792)에는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 합류실(80)에 연통하는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를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상부 죠인트(792) 및 바이패스 출구 죠인트(84)의 후부 뱅크(42)에의 부착을 한번에 행할 수 있어 배관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를 동축상에 배치하고, 이들을 1차 구동 기어(54a)에서 구동되는 공통의 펌프축(61)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였으므로, 이들 구동계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펌프(57)를 오버 런닝 클러치(53)에 반경방향으로 인접 배치하였으므로,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의 동축 배치에 의해서도 내연기관(E)의 횡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를 크랭크축(15)에서 전방 및 상방으로 배치하였으므로, 크랭크 케이스(21)의 후부 및 이에 연결되는 미션 케이스부(95)를 상기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에 전혀 간섭되지 않고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내연기관(E)의 지상 높이의 확보 및 승원용 시트(6a, 6b)의 높이 저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의 상기 배치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21)의 전부가 다소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도 그 돌출부는 전부 뱅크(41)의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에 흡수되므로, 내연기관(E)의 콤팩트화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크랭크축(15)보다 상방위치를 점유하는 양 펌프(57, 62)의 구동계는 기름 저장부(66)의 오일의 침지를 피하므로, 그 구동계에 의해 오일의 교반은 일어나지 않아 동력 손실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변속기(8)의 입력축(96) 및 출력축(97)을 상기 오일 펌프(57) 및 워터 펌프(62)에 전혀 간섭되지 않고 크랭크축(15)의 바로 뒤에서 수평으로 배열하고, 미션 케이스부(95)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그 상벽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 지고, 이에 따라 미션 케이스부(95)와 상기 후부 배기관(132)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 후부 배기관(132)으로부터 미션 케이스부(95) 및 그에 수용되는 변속기(8)에의 열 영향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시동계(도2 및 도7 참조)〕
크랭크 케이스(21)의 전부 저면에는 수용 오목부(88)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시동 모터(11)가 그 축선을 크랭크축(15)과 평행으로 하여 설치된다. 이 시동 모터(11)의 케이싱(89)은 그 일단의 통형상 지지부(89a)를 상기 수용 오목부(88)의 단벽에 형성된 관통공(90)에 액체 기밀 상태로 끼움과 동시에, 타단의 부착 숄더부(89b)를 크랭크 케이스(21)에 볼트(111)로 조임으로써, 크랭크 케이스(21)에 부착된다. 시동 모터(11)의 로터축(91)은 그 선단을 크랭크 케이스(21)내에 삽입시키고 있고, 그 선단에 형성된 피니언(92)이 감속 기어열(93)을 통하여 상기 시동 기어(52)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동 기어(52), 오버 런닝 클러치(53) 및 감속 기어열(93)은 시동 모터(11) 및 크랭크축(15)사이를 연통하는 시동 전동 장치(94)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시동 모터(11)를 크랭크축(15)의 전방 또한 하방에 배치하였으므로, 이 시동 모터(11)도 크랭크 케이스(21)의 후부 및 미션 케이스부(95)의 콤팩트화에 방해 되지 않고, 또한 전부 뱅크(41)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에 수용되게 되므로, 내연기관(E)의 콤팩트화에 방해 되지 않는다. 또한 시동 모터(11)의 상기 배치에 의해 감속 기어열(93)은 크랭크 케이스(21) 저부의 기름 저장부(66)내의 기름중에 침지되게 되는데, 이는 기관의 시동시에 작동하는 것으로, 기관의 운전중에 작동하여 오일을 교반하지 않으므로, 동력 손실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1차 전동 장치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를 크랭크축의 양단부에 연결하고, 미션 케이스부의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측 벽을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에서 1차 전동 장치측으로 오프 셋하였으므로, 크랭크 케이스의 본체부와 미션 케이스부의 좌우 방향에서의 미소한 오프 셋에 의해 후부 뱅크의 후측 경사 각도를 특별히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후부 뱅크의 후벽에체인 텐셔너용 리프터를 미션 케이스부에 간섭되지 않게 부착할 수 있어 V형 내연 기관의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크랭크축의 일단부에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를 상호 인접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를 전부 타이밍 전동 장치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하였으므로, 크랭크 케이스의 본체부와 미션 케이스부의 오프 셋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내연기관(E)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양 타이밍 전동장치의 크랭트축 일단부에의 집중배치에 의해 이들 조립성 및 유지성이 양호해진다.

Claims (3)

  1. 차체 프레임(1)에의 탑재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향해 배치되는 크랭크축(15)을 중심으로 전후로 열린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를 가지고, 크랭크축(15)을 수용하는 크랭크 케이스(21)의 후부에 변속기(8)를 수용하는 미션 케이스부(95)를 일체로 연결 설치하고, 크랭크축(15)에는 변속기(8)에 동력을 전달하는 1차 전동 장치(54)와, 전부 및 후부 뱅크(41, 42)의 동 밸브용 캠 축(411, 412)을 각각 구동하는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1, 462)를 연결하고, 각 뱅크(41, 42)의 후벽에 대응하는 타이밍 전동 장치(461, 462)의 체인 텐셔너(481, 482)를 가압하는 리프터(491, 492)를 부착한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491, 492)를 각 뱅크의 후벽에 외측으로부터 부착하는 동시에, 1차 전동 장치(54) 및 후부뱅크의 타이밍 전동 장치(462)를 크랭크축(15)의 양단부에 연결하고, 미션 케이스부(95)의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462) 측벽(95a)을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462)에서 1차 전동 장치(54)측으로 오프 셋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전부 및 후부 체인 텐셔너(481, 482)를 크랭크 케이스에 미끄럼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각 리프터를, 각 뱅크의 실린더 블록(221, 222) 후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기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랭크축(15)의 일단부에 전부 및 후부 타이밍 전동장치(461, 462)를 상호 인접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후부 타이밍 전동 장치(462)를 전부 타이밍 전동장치(461)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V형 내연 기관.
KR1019990039312A 1998-09-14 1999-09-14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KR100360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60696 1998-09-14
JP26069698A JP4015299B2 (ja) 1998-09-14 1998-09-14 自動二輪車用v型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141A KR20000023141A (ko) 2000-04-25
KR100360812B1 true KR100360812B1 (ko) 2002-11-13

Family

ID=1735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312A KR100360812B1 (ko) 1998-09-14 1999-09-14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87415B1 (ko)
JP (1) JP4015299B2 (ko)
KR (1) KR100360812B1 (ko)
CN (1) CN1113160C (ko)
AR (1) AR015320A1 (ko)
BR (1) BR9904130A (ko)
CO (1) CO4850637A1 (ko)
DE (1) DE699175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9541B2 (ja) * 2007-03-28 2012-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燃機関
JP6149705B2 (ja) * 2013-11-19 2017-06-2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9929A (ja) * 1982-01-08 1983-07-16 Honda Motor Co Ltd V型多気筒内燃機関
US4589382A (en) * 1982-01-08 1986-05-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type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772794B2 (ja) 1987-09-24 1998-07-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クランク軸と連接棒との連結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141A (ko) 2000-04-25
DE69917549T2 (de) 2004-09-23
EP0987415B1 (en) 2004-05-26
AR015320A1 (es) 2001-04-18
DE69917549D1 (de) 2004-07-01
CN1247938A (zh) 2000-03-22
BR9904130A (pt) 2000-09-05
CN1113160C (zh) 2003-07-02
EP0987415A3 (en) 2000-12-13
JP2000087757A (ja) 2000-03-28
EP0987415A2 (en) 2000-03-22
CO4850637A1 (es) 1999-10-26
JP4015299B2 (ja)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653B2 (en) Power unit having engine an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figuration thereof,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US7448355B2 (en) Integrated power unit including split crankcase with reinforced fastening arrangement,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100360811B1 (ko) 자동 이륜차용 내연기관
US7104355B2 (en) Snowmobile, and the arrangement of the engine and accessory components thereof
EP1826374B1 (en) Accessories arrangemen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motorcycle
US20080156563A1 (en) Power unit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KR100360809B1 (ko)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KR100360810B1 (ko)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KR100360812B1 (ko) 자동 이륜차용 브이형 내연기관
EP0987410B1 (en) Cooling device for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21069B2 (ja) 車両用v型内燃機関
JP4084480B2 (ja) 車両用v型内燃機関
JP4065068B2 (ja) 自動二輪車用内燃機関
JP3993328B2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