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362B1 - 접속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접속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362B1
KR100359362B1 KR1020000062261A KR20000062261A KR100359362B1 KR 100359362 B1 KR100359362 B1 KR 100359362B1 KR 1020000062261 A KR1020000062261 A KR 1020000062261A KR 20000062261 A KR20000062261 A KR 20000062261A KR 100359362 B1 KR100359362 B1 KR 10035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velope
connection management
pulse widt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188A (ko
Inventor
뉴다까유끼
스즈끼고이찌로
Original Assignee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5/00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detecting deviations in the electric input to the system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obtain a regulate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8Bus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25Discriminating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수신측 신호 (tone) 의 펄스폭이 송신측 신호 (tone) 의 펄스폭보다 넓은 등, 수신측 및 송신측 사이에서 신호 (tone) 의 펄스폭이 동일하지 않아도, 포트의 서스펜드 상태를 유지하여 고품질의 포트간 접속 서비스를 보증할 수 있는 접속제어회로 (포트) 를 제공한다. 전송로를 통해 대향하는 포트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포트의 수신회로 (3) 와 포트 사이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사이에 수신신호에서 생성되는 포락선신호의 펄스폭에 보정을 가하는 신호보정회로 (6) 를 구비한다. 신호보정회로는 자신의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에 의해 지정된 펄스폭을 갖는 신호 (tone) 에 적합하도록 펄스폭을 넓혀 입력되는 신호 (tone) 에서 생성되는 포락선신호의 펄스폭을 보정한다.

Description

접속제어회로{A CONNECTION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시리얼 인터페이스 (예컨대, IEEE Standard for a HighPerformance Serial Bus - IEEE Std 1394-1995 로 표준화되어 있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이하 1394 라 함) 를 사용하여 접속되는 2 개의 기기간의 접속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 (PC) 나 그 주변기기 혹은 음향·영상 (AV; Audio-Visual) 기기를 시리얼 인터페이스 (1394) 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4 개의 기기 (이하, 노드라 함)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 11 에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노드 (A, B, C, D) 는 포트 ((1), (2), (3)) 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각 노드 (A ∼ D) 의 물리계층에는 버스의 초기화나 버스에 대하여 송신권을 획득하는 아비트레이션·스테이트 머신 (101) 과, 각 포트에 설치되어 포트간의 접속관리를 실시하는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도 12 의 부호 5) 이 실장되어 있다.
접속제어회로로서 기능하는 각 포트 ((1) ∼ (3))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부호 처리회로 (1), 송신회로 (2), 수신회로 (3), 수신부호 처리회로 (4),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으로 구성된다. 도 12 는 대향하는 2 개의 노드 (A,D) 의 포트간 접속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노드 (A) 의 포트 ((3)) 와 노드 (D) 의 포트 ((1)) 의 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포트간의 접속은 각 포트 ((1) ∼ (3)) 에 실장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에 의해 그 동작이 규정되어 있다.
도 13 은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상태와 천이경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포트에 노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상태는 비접속상태 (P0) 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포트에 새로운 접속이 검출되면, 상태는 시동상태 (P1) 로 천이하여 포트 내부의 송신부호 처리회로 (1) 및 수신부호 처리회로 (4) 의 초기화처리가 실행된다. 초기화처리의 종료후에 있어서 상태는 액티브 상태 (P2) 로 천이한다.
포트의 절단을 검출한 경우에는, 서스펜드 상태 (P5) 를 경유하여 비접속상태 (P0) 로 천이한다. 또한, 포트를 서스펜드하기 위한 명령을 상위 계층에서 받은 경우, 상태는 액티브 상태 (P2) 에서 서스펜드 상태 (P5) 로 천이한다. 그리고, 포트를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명령을 상위 계층에서 받은 경우, 상태는 디스에이블 상태 (P6) 로 천이한다.
비접속상태 (P0) 는 물리적으로도 논리적으로도 접속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액티브 상태 (P2) 는 물리적으로도 논리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서스펜드 상태 (P4) 는 물리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으나 논리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디스에이블 상태 (P6) 는 포트내의 회로의 동작을 정지하고, 물리적 및 논리적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물리적 접속의 유무 및 논리적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은, 송수신회로가 DC 결합계 (P1394a Draft Standard for a High Performance Serial Bus 로 규정되어 있는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인 경우와, AC 결합계 (P1394b Draft Standardfor a High Performance Serial Bus 로 규정되어 있는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인 경우에서 다르다.
DC 결합계의 경우에는, 전압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물리적 및 논리적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AC 결합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DC 결합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AC 결합계에서의 물리적 및 논리적 접속의 유무의 검출방법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AC 결합계에 있어서, 물리적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톤 (tone) 이라 불리는 접속관리용 제어신호를 이용한다. 신호 (tone)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2.666 ms 의 주기를 갖고 있으며, 50 ㎒ 의 클록을 캐리어로서 온/오프 하는 변조신호이다. 포트의 상태가 비접속상태 (P0) 인 경우 또는 서스펜드 상태 (P5) 인 경우에 신호 (tone) 가 송신된다.
수신측에서 수신된 신호 (tone) 는 그 포락선신호만이 신호 (sgd ; signal detect) 로서 수신회로 (3) 에서 출력된다.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은 신호 (sgd) 에 의거하여 신호 (tone) 를 수신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한편, 노드끼리가 접속되어 있어서 양측 포트의 상태가 액티브 상태 (P2) 에 있을 (즉,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각 노드의 아비트레이션·스테이트 머신 (101) 으로부터의 신호가 포트의 송신부호 처리회로 (1) 로 전달되어 송신회로 (2) 에서 연속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연속신호란, 장시간 ‘0 ’이 연속하거나 ‘1 ’이 연속하는 일 없이 어느 일정 구간에서 ‘0’과 ‘1 ’의 비율이 1 : 1 인 랜덤신호를 말한다.
수신측에서 연속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sgd) 는 ‘1 ’고정으로 된다. 이 상태를 검출하여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은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신호 (tone) 수신시 및 연속신호 수신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포트의 상태가 서스펜드 상태 (P5) 에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태가 서스펜드 상태 (P5) 에 있고, 신호 (tone) 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태를 유지하고, 연속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동상태 (P1) 로 천이한다. 신호 (tone) 및 연속신호 모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비접속상태 (P0) 로 천이한다.
도 15a, 도 15b 는 포트의 상태가 서스펜드 (P5) 인 경우에 있어서의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a 는 신호 (sgd) (포락선신호 ; 제 1 신호) 를 신호 (sdd ; sd_detected) (제 2 신호) 로서 래치하는 처리이다. 또한, 도 15b 는 연속신호를 검출한 경우에 신호 (rok ; receive ok) 로 ‘1 ’을 세트하는 처리로서, 이들 도 15a 및 도 15b 의 처리는 병렬로 실행되고 있다. 이하, 이들 도 15a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에 나타낸 A 구간에서 신호 (sgd) 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sgd = ‘0 ’이기 때문에, sdd = ‘0 ’인 점에서 L51 의 루프처리가 실시된다 (단계 S111, S112). 한편, B 구간에서는 sgd = ‘1 ’이기 때문에 (단계 S101), 래치처리에 의해 sdd = ‘1 ’로 세트된다 (단계 S102 : 처리 1). 신호 (sdd) 가 ‘1 ’로 세트됨으로써, L51 의 루프처리 (도 15b 를 참조) 를 빠져나가서 count 1 이 Tc 로 될 때까지 L52 의 루프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113, S114). 여기서, Tc 는 신호 (tone) 가 ‘1 ’인 시간 (666 ㎲) 에 상당하는 카운트값을 나타낸다.
시간 (Tc) 의 경과후에는 신호 (sdd) 를 ‘0 ’으로 리세트한다 (단계 S115 : 처리 2). 또한, 신호 (sgd) 가 ‘1 ’로 세트되고 나서 시간 (Tc) 이 경과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sgd) 는 ‘0 ’으로 리세트되어 있으며, 따라서 신호 (sdd) 는 리세트된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S115 ; 처리 2). 따라서, 리턴 (R51) 의 경로에 의해 최초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116). 신호 (tone) 수신 중에는 이상의 처리를 반복하게 되며, 포트의 상태는 서스펜드 상태 (P5) 를 유지한다.
한편, 대향포트에서 연속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 (sgd) 는 ‘1 ’로 고정된다 (도 16 의 C 구간). 이 경우에는 도 15a 에 있어서 sgd = ‘1 ’로 세트됨과 동시에 신호 (sdd) 는 처리 1 에 의해 ‘1 ’로 세트된다 (스텝 S101, S102). 신호 (sdd) 가 ‘1 ’로 세트된 후 (스텝 S112, S113, S114), 시간 (Tc) 의 경과를 대기하고 나서 신호 (sdd) 를 ‘0 ’으로 리세트한다 (단계 S115 : 처리 2).
신호 (sdd) 를 ‘0 ’으로 리세트하여도, 연속신호 수신중에는 신호 (sgd) 가 ‘1 ’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 1 에 의해 신호 (sdd) 는 ‘1 ’로 다시 세트된다 (단계 S102). 따라서, 신호 (sdd) 가 ‘1 ’로 세트되고 나서 시간 (Tc) 의 경과를 대기하여 (루프 L53) 신호 (sdd) 를 ‘0 ’으로 리세트하고, 신호 (rok) 를 ‘1 ’로 세트한다. 이들 동작에 의해 포트의 상태는 서스펜드 상태(P5) 에서 시동상태 (P1) 로 천이한다.
그러나, 상기 관련기술에 의한 접속제어회로 (포트) 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tone) 의 포락선신호 (sgd 신호) 의 상승지연시간 (rd) 보다 하강지연시간 (fd) 이 큰 경우에는, 신호 (tone) 의 펄스폭 (Tc) 보다 신호 (sgd) 의 펄스폭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포트의 상태가 서스펜드 상태 (P5) 인 경우에는, 대향하여 접속되어 있는 포트와의 사이에서 신호 (tone) 를 송수신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 (sgd) 의 펄스폭이 시간 (Tc) 보다 커지면,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에 있어서 신호 (tone) 로 식별되어야 할 신호를 연속신호로 잘못 인식하여 신호 (rok) 가 ‘1 ’로 세트된다. 그 결과, 포트의 상태는 서스펜드 상태 (P5) 에서 시동상태 (P1) 로 천이하여 서스펜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접속제어회로 (포트) 에 있어서, 신호 (tone) 를 수신회로로 수신하였을 때에 이 수신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 (tone) 의 포락선신호의 펄스폭이 신호 (tone) 의 펄스폭보다 큰 경우라도, 포트의 서스펜드 상태를 유지하여 기대대로의 포트접속 관리동작을 보증할 수 있는 접속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접속제어회로 (포트)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신호보정회로 부착 포트가 2 개의 노드 사이에서 접속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신호보정회로 (6) 에 있어서의 연속신호 판별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신호보정회로 (6) 에 있어서의 보정신호 출력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접속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신호보정회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접속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a 및 도 9b 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80) 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1 은 복수의 노드가 실리얼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 는 관련기술에 있어서 2 개의 노드에 있어서의 각 포트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은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상태와 천이경로에 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 는 신호 (tone), 신호 (tone) 수신시의 신호 (sgd) 및 신호 (sdd)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5a 및 도 15b 는 포트가 서스펜드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의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 은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의 상태가 서스펜드 상태에서 시동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에 있어서의 신호 (sgd) 와 신호 (sdd) 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7 은 관련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신호 (tone), 신호 (tone) 수신시의 신호 (sgd), 신호 (sdd)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제어회로는 전송로를 통해 대향하는 기기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를 기초로 수신신호에 대응한 포락선신호를 생성하는 포락선신호 생성부와, 상기 포락선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에 대응한 포락선신호의 펄스폭보다 긴 소정 판별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신호가 연속신호인지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인지를 상기 포락선신호에서 판별하는 판별부와,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수신신호의 종별에 따라 자신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접속관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신측에서 출력되는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의 펄스폭보다 수신측에서 이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에서 생성되는 포락선신호의 펄스폭이 커지는 경우라도, 접속관리용 제어신호를 연속신호로 잘못 인식하는 일이 없어진다. 그 결과, 접속제어회로가 서스펜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접속관리부는 접속제어회로의 서스펜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접속제어회로 (이하, 포트라고도 함)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포트는 도 11 에 나타낸 각 노드 (A ∼ D) 에 있어서의 개개의 포트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 12 에 나타낸 관련기술에 의한 포트 대신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포트는 송신부호 처리회로 (1), 송신회로 (2), 수신회로 (3), 수신부호 처리회로 (4),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신호보정회로 (6)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포트에서는 전송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 (3) 와 포트의 접속동작을 제어하는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사이에 신호보정회로 (6)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신호보정회로 (6) 는 수신회로 (3) 가 전송로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는 포락선신호 (psd ; pmd_sd) 의 패널폭에 대하여 보정을 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부호 처리회로 (1) 는 상위장치 (상위 계층) 인 아비트레이션·스테이트 머신 (101) (도 11 참조) 에서 보내지는 신호에 대해 부호변환을 실시하여 송신회로 (2) 로 전달하는 회로이다. 송신회로 (2) 는 송신부호 처리회로 (1) 에서 보내지는 신호 혹은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에서 보내지는 신호 (tone) 를 전송로로 출력하는 회로이다.
수신회로 (3) 는 전송로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수신부호 처리회로 (4) 로 전파시킴과 동시에 수신한 신호에서 얻어지는 포락선신호 (psd) 를 신호보정회로 (6) 로 전달한다. 수신부호 처리회로 (4) 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상위장치인 아비트레이션·스테이트 머신 (101) 으로 전달한다.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은 포트 사이의 물리적 접속을 인식하기 위한 신호 (tone) 를 송신회로 (2) 에 대하여 출력하는 것 외에 신호보정회로 (6) 에서 보내져 오는 보정된 신호 (sgd) 를 수신한다. 신호보정회로 (6) 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져 오는 포락선신호 (psd) 를 원하는 신호로 보정하고, 이것을 신호 (sgd) 로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신호보정회로 부착 포트가 2 개의 노드 사이에서 접속되어 있는 구성예를 도 2 에 나타내 둔다.
이어서, 수신측 노드에 있어서의 수신회로 (3) 가 출력하는 포락선신호 (psd) 의 펄스폭이 송신측 노드에 있어서의 신호 (tone) 의 펄스폭보다 큰 경우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은 포트의 상태가 서스펜드 상태 (P5) 에 있는 경우, 그 동작은 도 15a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다.
현재, 전송로를 통해 대향하여 접속되어 있는 2 개의 포트에 있어서, 각각 의 포트의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은 모두 서스펜드 상태 (P5) 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이들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은 신호 (tone) 를 출력하고, 이들 신호 (tone) 는 각각 송신회로 (2) 를 경유하여 전송로상으로 출력된다.
전송로를 통해 신호 (tone) 를 수신한 수신회로 (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tone) 의 포락선의 펄스폭 (Tc = 666 ㎲) 보다 긴 펄스폭 (666 ㎲ + α) 을 갖는 포락선신호 (psd) 를 출력한다. 신호보정회로 (6) 에 입력된 포락선신호 (psd) 는 시간 (Tc) 의 기간중에 ‘1 ’이고, 또한 시간 (β) 의 기간중에 ‘0 ’인 신호패턴으로 치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 ’의 기간이 시간 (Tc) 으로 되도록 보정된 신호가 신호 (sgd) (포락선신호) 로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에 입력된다. 따라서, 신호 (tone) 수신시에는 도 15b 의 플로차트에 기재되는 동작에있어서, 반드시 리턴 (R51) 의 경로를 통과하는 것이 보증된다. 그 결과, 이 경우에는 신호 (rok) 가 ‘1 ’로 세트되는 일이 없어져서 시동상태 (P1) 로 잘못 천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보정회로 (6) 의 구체적인 동작수순을 도 4 및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실시예에 관한 신호보정회로 (6) 에 있어서의 연속신호 판별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연속신호 판별처리에서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지는 포락선신호 (psd) 에 의거하여 수신하고 있는 신호가 연속신호인지 신호 (tone) 인지를 식별하고, 연속신호인 경우에는 변수 (continue) 를 ‘1 ’로 세트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지는 포락선신호 (psd) 가 ‘0 ’인 경우에는 (단계 S1), 루프 (L1) 의 처리에 의해 변수 (continue) 에는 ‘0 ’이 세트된다 (스텝 S2). 이어서, 수신회로 (3) 가 연속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포락선신호 (psd) 가 ‘1 ’로 세트되면 (단계 S1), 변수 (continue) 의 값이 판정된다 (스텝 S3). 이 경우에는 루프 (L1) 의 처리에 의해 변수 (continue) 에 ‘0 ’이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변수 (count3) 을 ‘0 ’으로 초기화한다 (단계 S4). 이러한 단계 S3 및 단계 S4 의 처리를 거쳐 루프 (L2) 의 처리에 의해 수신하고 있는 신호가 연속신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 S6, S7).
즉, 값 (Tcont) 을 임계값으로 한 경우, 변수 (count3) 가 인크리먼트되어 값 (Tcont) 이상이 되기 전에 포락선신호 (psd) 가 ‘0 ’으로 리세트된 경우에는(단계 S5), 연속신호가 아니라고 인식하여 최초의 처리 (단계 S2) 로 되돌아간다 (리턴 R1). 한편, 변수 (count3) 의 값이 임계값 (Tcont) 로 될 때까지의 동안, 포락선신호 (psd) 의 레벨이 계속 ‘1 ’로 세트된 경우 (단계 S7) 에는 수신하고 있는 신호가 연속신호라고 판정하여 변수 (continue) 에 ‘1 ’을 세트한다 (단계 S8). 여기서, 신호 (tone) 를 연속신호로 잘못 인식하지 않도록 임계값 (Tcont) 은 시간 (Tc) 의 값보다 큰 값 (예컨대 3 ×Tc) 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변수 (continue) 가 ‘1 ’로 세트되면, 포락선신호 (psd) 가 ‘1 ’인 한은 루프 (L3) 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어서, 도 5 는 본 실시예의 신호보정회로 (6) 에 있어서의 보정신호 출력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보정신호 처리회로에서는 신호 (tone) 수신시에는 보정을 가한 신호 (sgd) 를 출력하고, 연속신호 수신시에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져 오는 포락선신호 (psd) 를 보정하지 않고 그대로 신호 (sgd) 로서 출력한다.
현재, 포트끼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포락선신호 (psd) 및 변수 (continue) 가 모두 ‘0 ’으로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패스 (PS2) 의 처리에 의해 신호 (sgd) 는 ‘0 ’으로 리세트되어 있다 (단계 S11 ∼ S13).
한편, 신호 (tone) 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변수 (continue) 는 ‘0 ’으로 리세트되고, 포락선신호 (psd) 는 ‘1 ’로 세트되어 있다 (단계 S11, S12, S14). 여기서, 루프 (L4) 의 처리에 의해 신호 (sgd) 가 ‘1 ’로 세트되는 시간이 Tc 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증하고 있다 (스텝 S15 ∼ S17). 또한,루프 (L5) 의 처리에 의해 신호 (sgd) 가 ‘0 ’으로 리세트되는 시간이 시간 (β) 으로 되도록 보증하고 있다 (단계 S18 ∼ S2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호보정회로 (6) 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져 오는 포락선신호 (psd) 가 ‘1 ’로 세트되었음을 검출하면, 어느 일정 기간 (시간 (Tc)) ‘1 ’로 세트되고 또한 그 후의 어느 일정 기간 (시간 (β)) ‘0 ’으로 리세트되는 보정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간 (Tc) 보다 긴 펄스폭을 갖는 포락선신호 (psd) 가 수신회로 (3) 에서 출력된 경우에도, 펄스폭이 시간 (Tc) 으로 제한된 신호 (sgd) 를 접속처리 스테이트 머신 (5) 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tone) 수신시에 수신회로 (3) 에서 출력되는 포락선신호 (psd) 를 신호 (tone) 가 갖는 펄스폭 이하의 펄스폭을 갖는 신호로 치환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이 래치한 신호 (sdd) 를 신호 (tone) 의 펄스폭의 시간 (Tc) 이 경과한 후에 ‘0 ’으로 리세트하는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도, 동일한 신호 (tone) (즉, 신호 (tone) 의 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이것이 하강할 때까지 동안의 신호) 에 의해 다시 신호 (sgd) (= ‘1 ’) 를 신호 (sdd) (= ‘1 ’) 로서 래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신호 (tone) 로 2 번 래치처리를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호 (tone) 를 연속신호로 잘못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포트의 상태를 서스펜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고정된 신호 (즉, 어느 일정 시간 (Tc) 동안 ‘1 ’로 세트되고, 그 후의 일정 시간 (β) 동안 ‘0 ’으로 리세트되는 시간) 로 치환하고 있다. 그러나, 적분회로와 비교회로를 사용해서 수신신호의 펄스폭을 변경하여 접속처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접속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신호보정회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접속제어회로 (포트) 의 구성은, 도 1 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의 신호보정회로 (6) 를 저항 (61) 및 콘덴서 (62) 로 이루어지는 적분회로 (60) 와 비교회로 (70) 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신호보정회로 (6) 에서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지는 구형파의 포락선신호 (psd) 를 적분회로 (60) 에 통과시킴으로써 그 상승 및 하강을 지연시켜 삼각파를 생성하고, 이 삼각파에서 비교회로 (70) 가 원하는 펄스폭을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의 신호보정회로 (6) 를 사용한 경우, 도 7 의 파형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Tc) (예컨대, 666 ㎲) 의 펄스폭을 갖는 신호 (tone) 가 수신회로 (3) 에서 수신되면, 수신회로 (3) 는 시간 (Tc+α) 의 펄스폭을 갖는 포락선신호 (psd) 를 출력한다. 이 포락선신호 (psd) 는 적분회로 (60) 를 통과함으로써 그 상승 및 하강이 완만해진다. 따라서, 적분회로 (60) 의 출력신호를 임계값 (Vth) 을 갖는 비교회로 (70) 에 입력하여 펄스폭이 Tc 값 이하인 신호 (sgd) 를 생성하고, 이것을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으로 출력한다.
(제 3 실시예)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진 포락선신호 (psd) 를 신호보정회로 (6) 로 보정하고 있다. 그리고, 보정결과인 신호 (sgd) 를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이 처리하는 신호로 함으로써,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수신회로 (3) 에서 출력되는 포락선신호 (psd) 는 그대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에 입력하고,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처리를 변경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접속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접속제어회로 (포트) 의 구성은 도 1 에 나타낸 구성중의 신호보정회로 (6) 를 제거하고,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구성을 변경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80) 을 설치하고 있다. 즉, 수신회로 (3) 에서 출력되는 신호 (sgd) 를 그대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80) 으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도 9a 및 도 9b 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80) 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80) 의 처리는 도 15b 에 나타낸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5) 의 처리에 있어서, 단계 S114 의 처리를 단계 S30 의 처리로 변경한 것이다. 즉, 도 15b 의 처리에서는 신호 (tone) 수신시의 처리에 있어서 조건 1 (단계 S114) 에 관한 루프 (L52) 의 지속시간이 Tc 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 지속시간의 값을 예컨대 2 배로 변경하고 있다 (단계 S30).
이어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폭 (Tc) 을 갖는 신호 (tone) 가 수신회로 (3) 에 입력된 경우에, 하강지연 (fd) 측이 상승지연 (rd) 보다 큰 신호 (sgd) 가 출력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신호 (sgd) 가 ‘1 ’로 세트되면 (단계 S101), 도 9a 의 처리 1 (단계 S102) 에 의해 신호 (sdd) 가 ‘1 ’로 세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 (sdd) 가 ‘1 ’로 세트되면 (단계 S111,S112), 루프 (L52) 의 처리에 의해 (단계 S113, S30) 2 ×Tc 에 상당하는 기간은 신호 (sdd) 가 ‘1 ’로 홀드되며, 그 후 처리 2 에 의해 신호 (sdd) 가 ‘0 ’으로 리세트된다 (단계 S115). 이 때, 이미 신호 (sgd) 는 ‘0 ’으로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sdd) 가 동일한 신호 (tone) 로 2 회 ‘1 ’로 세트되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 (L52) 의 지속시간을 Tc 의 2 배로 설명하였으나, 신호 (sgd) 의 펄스폭보다 큰 별도의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80) 은 수신회로 (3) 로부터의 포락선신호 (제 1 신호) 가 ‘1 ’로 세트된 경우에, 그 신호를 제 2 신호로서 래치하는 처리 (도 9a) 및 래치한 신호가 ‘1 ’로 세트되어 있는 것을 검토한 시점에서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지는 포락선신호의 펄스폭보다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래치한 제 2 신호를 ‘0 ’으로 리세트하는 처리 (도 9b) 를 갖고 있다. 그럼으로써,신호보정회로 (6) 를 설치하여 수신회로 (3) 에서 보내지는 출력신호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하여도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동일한 포락선신호로 래치처리가 2 회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tone) 와 연속신호를 잘못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포트의 상태를 서스펜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제어회로에서 전송로를 통해 대향하는 포트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포트의 수신회로와 포트 사이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관리 스테이트 머신 사이에 수신신호에서 생성되는 포락선신호의 펄스폭에 보정을 가하는 신호보정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수신측 신호 (tone) 의 펄스폭이 송신측 신호 (tone) 펄스폭보다 넓은 등, 수신측 및 송신측 사이에서 신호 (tone) 의 펄스폭이 동일하지 않아도, 포트의 서스펜드 상태를 유지하여 고품질의 포트간 접속 서비스를 보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대향하는 기기간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제어회로로서,
    전송로를 통해 대향하는 기기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신신호에 대응한 포락선신호 (psd, sgd) 를 생성하는 포락선신호 생성부 (3, 6, 80) 와,
    상기 포락선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에 대응한 포락선신호의 펄스폭 (Tc+α, Tc+fd-rd) 보다 긴 소정 판별시간 (Tcont, 2 ×Tc) 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신호가 연속신호인지 접속관리용 신호인지를 상기 포락선신호로부터 판별하는 판별부 (6, 80) 와,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상기 수신신호의 종별에 따라 자신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접속관리부 (5, 80) 를 구비한 접속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송로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포락선신호 (psd) 를 출력하는 수신부 (3) 와,
    상기 판별부 (6) 에 의해 상기 접속관리용 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있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상기 포락선신호의 펄스폭 (Tc+α) 을 상기 수신부로 입력되는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의 펄스폭 (Tc) 이하로 변경한 보정 포락선신호 (sgd) 를 상기 접속관리부로 출력하는 신호보정부 (6) 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 판별신호로서 상기 수신부로 입력되는 상기 접속관리용 제어신호의 펄스폭 (Tc) 을 넘는 제 1 일정 시간 (Tcont) 이 설정되어 있는 접속제어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포락선신호가 제 1 소정 레벨 ( ‘1 ’) 로 세트되어 있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 1 일정 시간 (Tcont) 이상 계속하여 상기 제 1 소정 레벨로 세트되어 있으면 상기 연속신호가 수신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접속관리용 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상기 신호보정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상기 접속관리용 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포락선신호가 상기 제 1 소정 레벨로 세트되었을 때, 제 2 일정 시간 (Tc) 에 걸쳐 상기 제 1 소정 레벨로 세트되고 또한 제 3 일정 시간 (β) 에 걸쳐 제 2 소정 레벨 ( ‘0 ’) 로 리세트되는 상기 보정 포락선신호로서 생성되는 접속제어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정부는, 입력되는 신호의 상승 및 하강을 지연시키는 적분부 (60) 와,
    상기 적분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소정 임계값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소정 펄스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 (70) 를 갖고,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포락선신호를 파형정형하여 펄스폭이 변경된 포락선신호를 상기 보정 포락선신호로서 출력하는 접속제어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송부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포락선신호 (sgd) 를 출력하는 수신부 (3) 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 (80) 는
    상기 수신부에서 보내지는 상기 포락선신호가 소정 레벨 ( ‘1 ’) 로 세트되었을 때, 상기 포락선신호를 래치신호 (sdd) 로서 래치하는 래치부 (S101,S102) 와,
    상기 래치부에 의해 상기 래치신호가 래치되고 나서 상기 소정 판별시간 (2 ×Tc) 대기한 후에 상기 래치신호를 리세트하는 리세트부 (S111 ∼ S113, S30, S115 ∼ S119) 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 판별시간으로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접속관리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때에 출력하는 상기 포락선신호의 펄스폭의 최대값 (Tc+α) 보다 긴 시간 (2 ×Tc) 이 설정되어 있는 접속제어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상기 접속관리부 (8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제어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신호 생성부는 상기 포락선신호에 더하여 상기 수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속관리부는 상기 접속관리용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위 계층에서 보내지는 신호의 부호처리를 실시하는 송신부호 처리부 (1) 와,
    상기 송신부호 처리부에서 보내지는 신호 또는 상기 접속관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접속관리용 제어신호를 상기 전송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2) 와,
    상기 포락선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수신신호의 부호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부호처리된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부호 처리부 (4) 를 더욱 구비하는 접속제어회로.
KR1020000062261A 1999-10-27 2000-10-23 접속제어회로 KR100359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6039 1999-10-27
JP30603999A JP3420136B2 (ja) 1999-10-27 1999-10-27 接続制御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188A KR20010051188A (ko) 2001-06-25
KR100359362B1 true KR100359362B1 (ko) 2002-10-31

Family

ID=1795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261A KR100359362B1 (ko) 1999-10-27 2000-10-23 접속제어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0767B1 (ko)
EP (1) EP1096678B1 (ko)
JP (1) JP3420136B2 (ko)
KR (1) KR100359362B1 (ko)
DE (1) DE600013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2260B2 (ja) * 2002-02-05 2007-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30095828A (ko) * 2002-06-14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에 적합한 우선 순위 제어방법
EP3552057B1 (en) 2016-12-08 2022-01-05 Magic Leap, Inc. Diffractive devices based on cholesteric liquid cryst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81A (en) 1980-06-26 1982-01-21 Toshiba Corp Corrector for video signal
US5384773A (en) * 1991-03-29 1995-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ulti-media analog/digital/optical switching apparatus
JPH0743456A (ja) 1993-07-30 1995-02-14 Nec Corp 衛星測距システムにおける遅延時間校正装置
JP3124717B2 (ja) 1995-01-10 2001-0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の伝送方法およびその受信装置
US5864677A (en) * 1996-07-01 1999-01-26 Sun Microsystems, Inc. System for preserving sequential ordering and supporting nonidempotent commands in a ring network with busy nodes
JP3159145B2 (ja) 1997-09-17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送受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6678B1 (en) 2003-02-12
US6380767B1 (en) 2002-04-30
EP1096678A1 (en) 2001-05-02
JP3420136B2 (ja) 2003-06-23
DE60001382D1 (de) 2003-03-20
JP2001127771A (ja) 2001-05-11
KR20010051188A (ko) 2001-06-25
DE60001382T2 (de)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423B2 (en) CAN and flexible data rate CAN node apparatus and methods for mixed bus CAN FD communications
US8296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ransceiver power consumption for a transceiver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0360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its power control method
EP2800313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driver mode for a shared bus
US20120082463A1 (en) Electro-optical communications link
US6802030B2 (en) Data transfer method
EP0739112B1 (en)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ng mode control thereof
US72925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rossover and parallel detect
KR100359362B1 (ko) 접속제어회로
US20060050731A1 (en) High-speed IEEE 1394 link interface
US6678477B1 (en) Spatial transmission optical transceiver
US7564904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tection of powered devices over a network
US7079717B2 (en) Control circuit for IEEE 1394b optical transmission protocol
CN100461065C (zh) 时钟/数据恢复电路的频率的调整方法与其装置
CN111049638B (zh) 降低车辆的以太网功耗的方法和装置
JP2001320436A (ja) Ieee1394装置
US20020150055A1 (en) Topology corr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JP698224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1535425A2 (en) Control circuit
KR100487367B1 (ko) Hldc 버스를 사용하는 통신 노드 네트워크
JP2003152728A (ja) データ通信方法、送受信回路、該送受信回路を備えた情報機器および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
US7091743B2 (en) Data acknowledgment using impedance mismatching
JP3604868B2 (ja) システムおよびエラー処理方法
JP3161243B2 (ja) 分散制御用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S61144940A (ja) 誤動作防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