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178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9178B1 KR100359178B1 KR1020000041999A KR20000041999A KR100359178B1 KR 100359178 B1 KR100359178 B1 KR 100359178B1 KR 1020000041999 A KR1020000041999 A KR 1020000041999A KR 20000041999 A KR20000041999 A KR 20000041999A KR 100359178 B1 KR100359178 B1 KR 100359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louver
- switch
- drainage
- waste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유로전환장치를 사용해서 배수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정전시에도 배수처리장치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해서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디스포저)과, 그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전동전환수단에 의해 상기한 분쇄수단사용시의 배수의 유로를 하수도측으로부터 상기한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유로전환장치에 그 통전이 차단된 때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를 구비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포저(disposer) 등으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처리시스템으로서 실용화되어 있는 것은 일본국 특개평 9-155385호 공보(C02F 3/30)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포저 사용시의 배수와 디스포저 사용시 이외의 부엌 배수의 양쪽을 모두 처리하는 전량처리방식(정화조형)의 것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323657호 공보(B09B 5/00)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구동의 전환장치를 사용해서 디스포저 사용시의 배수를 처리장치에 도입해 넣어 처리하고, 디스포저 사용시 이외의 부엌 배수는 그대로 하수도로 배수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전량처리방식의 것은 정화조와 같이 큰 것이 되고, 지하에 매설하는 등의 대형의 설치공사가 필요하여, 기존주택에의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
또, 디스포저 사용시의 배수를 전환장치에 의해 처리장치로 도입해 넣어 처리하는 것의 경우, 정전시에는 전환장치의 전환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정지한 경우에는 배수처리장치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되어 처리능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로전환장치를 사용해서 배수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정전시에도 배수처리장치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해서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실시형태인 디스포저 배수처리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한 디스포저 배수처리시스템의 배수처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로전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4는, 상기한 유로전환장치에서 사용되는 기어드모터의 외관구성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표면측, (b, c)는 이면측을 나타낸다.
도 5는, 상기한 유로전환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디스포저가 운전되지 않은 통상의 부엌배수가 흘러오는 때를 나타내고, (b)는 디스포저가 운전되어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가 흘러오는 때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한 유로전환장치에 있어서의 복귀기구의 이상시의 수동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서, (a)는 유출선이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인 때에 스프링이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동조작에 의해 유출선을 하수도측 유출구로 전환 복귀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상기한 유로전환장치에 있어서의 분리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유로전환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
도 9는, 도 8의 화살표 B측으로부터 본 개략사시도.
도 10은, 상기한 유로전환장치에 사용되는 기어드모터의 외관구성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통전정지시, (b)는 통전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유로가 하수도측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유로가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유로전환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설거지대 2. 디스포저
3. 유로전환장치 4. 배수처리장치
5. 배수관 21, 31. 배관로
32. 하수방류관 33. 기어드모터
33a. 로터리 솔레노이드 34. 루버
34a. 전환판 35a, 35b. 좌우케이스
36. 분리기 37. 조인트 파이프
38. 엘보 파이프 39. 유로 분기부
41. 유량 조정조 42. 고체액체분리장치
43. 처리조 44. 침전 분리조
46. 퇴비화장치 47, 48, 49. 에어 리프트 펌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거지대에 접속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포함한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상기 설거지대로부터의 배수의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과 하수도측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시, 배수의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접속하도록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배수의 유로를 상기 분쇄수단의 작동시에,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하수측으로부터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유로전환장치는, 상부에 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부 한쪽에 하수도측 유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각 유출구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배수의 유로를 전환하는 루버(louver)와,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루버를 구동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루버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케이스의 상부 한쪽에 배수가 유입되는 조인트 파이프(joint pipe)가 부착되고, 상기 조인트 파이프는 그 선단측이 케이스의 다른쪽에 형성된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루버는, 그 양측에 케이스내 측면에 따라 형성된 측면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케이스는, 좌우케이스를 접합해서 형성되고, 그 접합부를 플랜지(flange)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루버는, 그 하부 일면측에 형성된 회전축이 케이스측의 축받이에 끼워 맞추어져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 맞춤부를 덮는 것처럼 스포일러(spoil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루버의 하단부를 상기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맞춤부를 넘어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각 유출구간에 위치해서 상기한 루버 측면벽의 양측 및 상부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하는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형성된 분리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복귀기구에 이상이 생긴 때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수동전환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분쇄수단으로부터의 배관에 관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굴곡관과,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굴곡관을 회전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굴곡관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유로전환장치는, 유로 분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전환판과,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판을 회전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한 전환판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실시형태인 디스포저 배수처리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디스포저 배수처리시스템은, 설거지대(1)의 싱크(11)에 접속된 디스포저(2)와, 디스포저(2)로부터의 배수를 흘리는 배관로(21)를 디스포저(2)의 사용에 따라 배관로(31) 또는 하수방류관(32)으로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3)와, 디스포저 사용시의 배수를 흘리는 배관로(31)에 접속되어 디스포저 분쇄물(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한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4)로 구성되고, 이 배수처리장치(4)로부터의 처리수가 하수방류관(32)에 합류해서 하수도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디스포저(2)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는 유로전환장치(3)의 전환에 의해 배수처리장치(4)로 유입되고, 여기서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하수방류관(32)으로 배출된다.
한편, 통상의 부엌배수는 유로전환장치(3)의 전환에 의해 하수방류관(32)을 거쳐 직접 하수도로 방류된다.
도 2는 상기한 배수처리장치(4)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수처리장치(4)는, 유로전환장치(3)를 거쳐 디스포저 사용시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41), 그 침전물의 고체분과 액체분을 분리하는 고체액체분리장치(42), 유량 조정조(41)로부터의 윗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43), 이 처리조(43)에서 발생한 오니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 분리조(44) 및 그 윗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장치(45),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서 분리된 고체분을 처리하기 위한 퇴비화장치(46), 각 조 사이 등의 반송에 사용되는 에어 리프트 펌프(air lift pump)(47, 48, 4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 리프트 펌프란, 수중에 삽입된 파이프 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그 공기의 상승력에 의해 물이나 고체를 올려 반송하는 원리의 펌프인 것이다.
도 2에서는 각 에어 리프트 펌프(47, 48, 49)를 백색 화살표로 약기하고 있는 바, 에어 리프트 펌프와 브로워 펌프로 이루어지고, 브로워 펌프는 다방향밸브 등을 사용해서 전환하므로서 공용화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유량 조정조(41)에는 그 침전물을 고체 액체분리장치(42)에 퍼올리는에어 리프트 펌프(47) 및 윗물을 처리조(43)에 퍼올리는 에어 리프트 펌프(48)가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한 고체액체분리장치(42)는, 예를들면 망으로 여과시키는 것이면 된다.
한편, 처리조(43)는, 예를들면 잘 알려진 활성오니법, 접촉 폭기법, 담체유동상 등의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처리하는 것이며, 브로워 펌프(431)와 산기관(432)에 의해 폭기 교반하고 있다.
도 2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서식하는 담체(433)가 피처리수 중을 유동하는 담체 유동상에 의한 처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포저 사용시 이외의 통상의 부엌배수는 유로전환장치(3)를 거쳐서 하수방류관(32)으로 흐른다.
한편, 디스포저 사용시에 있어서는 유로전환장치(3)가 유량 조정조(41)측으로 전환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고형물과 액체가 배관로(31)를 거쳐서 유량 조정조(41)로 흘러 들어간다.
유량 조정조(41)의 저면부로부터 에어 리프트 펌프(47)로 퍼 올린 고체와 액체의 혼합물을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 투입하여 고체와 액체를 분리한다.
즉, 액체는 유량 조정조(41)로 복귀시키고, 고체는 퇴비화장치(46)에 투입한다.
또, 윗물은 에어 리프트 펌프(48)로 처리조(43)로 보낸다.
처리조(43)에서는 전술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물처리에 의해 유기물성분을저감시킨다.
동시에 발생하는 오니에 대해서는 처리조(43)를 넘쳐 흘러 들어오는 침전 분리조(44)에서 침전 분리해서 제거하고, 그 침전 분리조(44)의 윗물(처리수)을 배수관(5)을 거쳐서 하수방류관(32)에 합류시켜서 하수도로 흘린다.
또한, 이 침전 분리조(44)의 상부에는, 만수시에 처리조(43)로부터 오니를 포함한 처리수가 유입되어도 이것이 배수관(5)으로부터 직접 하수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칸막이판(441)이 설치되어 있다.
침전 분리조(44)에서 제거한 침전 오니는 에어 리프트 펌프(49)로 유량 조정조(41)로 반송된다.
반송된 오니는 디스포저(2)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에어 리프트 펌프(47)로 고체액체분리장치(42)로 보내져서 고체로서 분리되어 퇴비화장치(46)에서 처리된다.
목질 칩(미생물 담체)을 수용하는 퇴비화장치(46)에 이송된 고체분은 목질 칩에 의해 배양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 처리되고, 퇴비화 되어 비료로서 회수된다.
여기서, 본 시스템 전체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일련의 동작은 본 발명과 직접 관계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하지만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는 설거지대(1) 근방에 구비된 조작표시부(도시생략)의 표시로 디스포저(2)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해서 디스포저(2)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조작표시부의 조작스위치를 ON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로전환장치(3)가 전환되어, 디스포저 분쇄물을 배수처리장치(4)[유량 조정조(41)]측으로 흘려 보낼 준비가 된다.
이 전환 후, 디스포저(2)의 운전이 개시되어, 분쇄물은 유량 조정조(41)로 흘러 들어간다.
그 후, 침전 분리조(44)의 침전 오니가 에어 리프트 펌프(49)에 의해 유량조정조(41)로 반송된다.
이로부터 30분 가량 경과하면, 유량 조정조(41)에서는 고체분이 침전 분리 되어 있다.
우선, 윗물을 처리조(43)로 에어 리프트 펌프(48)로 보내고, 그 후 침전한 고체분을 에어 리프트 펌프(47)로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 퍼올린다.
그리고, 침전 분리조(44)의 침전 오니를 반송한다.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서는 고체와 액체가 분리되고, 액체는 유량 조정조(41)로 복귀되고, 고체분은 퇴비화장치(46)에 투입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30분 마다 반복되어, 유량 조정조(41)에 저장된 디스포저 분쇄물은 서서히 처리된다.
퇴비화장치(4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체분(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미생물 담체인 목질 칩이 들어있고, 투입된 고체분과 칩을 정기적으로 교반하는 교반체가 내장되어 있다.
처리조(43)에서는 유량 조정조(41)로부터 보내진 윗물에 포함되는 유기물성분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여 넘쳐 흐름에 의해 침전 분리조(44)로 보낸다.
처리조(43)내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기 쉬운 환경을 형성하는 다공질 담체(433)가 들어있고, 브로워 펌프(431)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 해서 분출시키는 산기관(432)의 기포로 유동하고 있다.
처리조(43)에서 분해된 유기물은 오니로 전환되어 침전 분리조(44)에서 침강되고, 에어 리프트 펌프(49)에 의한 반송으로 유량 조정조(41)로 보내진 후,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서 고체(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와 함께 회수되며, 퇴비화장치(46)에서 다시 또 분해되어 퇴비화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로전환장치(3)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를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유로전환장치(3)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33)에 의해 구동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루버(34)가 좌우케이스(35a, 35b)내에 분리기(36)를 거쳐 내장되고, 디스포저(2)로부터의 배관(21)에 접속되는 조인트 파이프(37)가 상부 한쪽에 부착되어 저면부 한쪽에 하수도[하수방류관(32)]측으로 유출구(351)가, 다른 쪽에 배수처리장치(4)[배관로(31)]측으로 유출구(352)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루버(34)는 각 유출구(351, 352)간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칸막이벽(340)의 양측에 루버 측면벽(341, 342)이, 칸막이벽(340)의 한면측 중앙부로부터 하수도 유출구(351)로 향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스포일러(343)가, 루버 측면벽(341, 342)의 하부양측에 루버 구동핀(344, 345)이, 칸막이벽(340)의 하부의 상기 스포일러(343)측으로 회전축(34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상기한 기어드모터(33)의 외관구성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a)는 표면측, (b)와 (c)는 이면측을 나타내고 있다.
이 기어드모터(33)는 모터케이스 내부에 감속기어와 전자클러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모터케이스 이면측에 부착된 모터축(331)에는 로드(332)가 부착되고, 그 반대측에 모터케이스 이면에 일단이 부착된 스프링(333)의 타단이 걸려있다.
초기(비통전)상태에서는 도 4(a,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있다.
통전하면, 도 4(b)의 상태로부터 모터축(331)의 로드(3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333)을 당기면서 도 4(c)의 상태까지 회전한 곳에서 내장된 전자클러치가 ON이 되고, 도 4(c)의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드모터(33)에의 통전을 정지하면 내장된 전자클러치가 OFF로 되어, 스프링(333)의 장력에 의해 로드(3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도 4(b)의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또, 도 4(b)로부터 (c)의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서 정전 등에 의해 기어드 모터(33)에의 통전이 정지된 경우에도 즉시 도 4의 (b)의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어드모터(33)는 도 3에 나타낸 좌측 케이스(35a)의 외측면에 전술한 로드(332)가 좌측 케이스(35a)에 형성된 루버 구동핀구멍(353)을 관통하는 루버 구동핀(344)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좌우측 케이스(35a, 35b)에는 루버 구동핀구멍(353, 354), 분리기(36)가 삽입되는 홈부(355), 루버(34)의 회전축(346)이 삽입되는 슬리브 축받이(356)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기(36)는 실리콘 고무 등의 화학적 온도적으로 안정된 성질을 갖고, 또한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분리기(36)를 위쪽으로부터 루버(34)의 양측면벽(341, 342)에 외장한 상태에서 좌우측 케이스(35a, 35b)로 루버(34)를 끼워 넣어서 좌우측 케이스(35a, 35b)의 외주측 접합부(357)를 나사 조임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루버(34)의 회전축(346)이 좌우측 케이스(35a, 35b)의 슬리브 축받이(356)에 삽입되고, 또한, 분리기(36)가 홈부(355)에 수납되도록 조립한다.
그 후, 선단측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굴곡된 조인트 파이프(37)를 조립된 좌우측 케이스(35a, 35b)의 한쪽 상부에 형성되는 부착구에 장착 고정시킨다.
상기한 좌우측 케이스(35a, 35b)의 접합부(357)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플랜지 형상으로 하므로서 좌우측 케이스(35a, 35b)의 간극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조인트 파이프(37)에는 디스포저(2)로부터의 배관(21)이 접속되어, 디스포저(2)가 운전되지 않는 때에는 통상의 부엌배수가, 또한 디스포저(2)의 운전시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배수가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유로전환장치(3)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5(a)는 디스포저(2)가 운전되지 않을 때, 즉, 통상의 부엌배수가 흐르는 때를 나타낸다.
기어드모터(33)의 로드(332)는 초기상태이기 때문에 루버 구동핀구멍(353, 354)을 관통해서 나오는 루버 구동핀(344, 345)은 도 5(a)의 위치에서 고정되고,루버(34)의 칸막이벽(340)도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36)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통상의 부엌배수는 조인트 파이프(37)로부터 유입되고, 루버(34)에 닿아서 하수도측 유출구(351)로 자연 유출된다.
이때 본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면, 루버 측면벽(341, 342)에 의해 좌우측 케이스(35)(35a,35b)의 내측면에 부엌배수가 직접 닿지 않아 좌우측 케이스(35)의 내측면에 퇴적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스포일러(343)에 의해 슬리브 축받이(356)와 회전축(346)의 끼워맞춤부에 부엌배수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물려 들어감의 방지 및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352)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b)는 디스포저(2)가 운전되고 있은 때, 즉,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배수가 흘러오는 때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포저(2)가 운전되는 때에는 기어드모터(33)에 통전되어, 루버 구동핀(344, 345)은 도 5(b)의 통전상태의 위치에 있고, 루버(34)의 칸막이벽(3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 파이프(37)의 유입구를 넘어 경사진 위치에 고정된다.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한 배수는 조인트 파이프(37)로부터 유입되지만 조인트 파이프(37)의 선단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352)로 향해 자연 유출되기 때문에 케이스내 측면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이 직접 닿기 어렵게 된다.
그 외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의 유입속도가 저하되어 오면 루버(34)의 칸막이벽(340)에 따라 자연적으로 흘러 내리지만, 그때도 루버 측면벽(341, 342)에 의해 좌우측 케이스(35)의 내측면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이 직접 닿기 어렵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이 좌우측 케이스(35)의 내측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루버(34)의 하단측에 회전축(346)과 슬리브 축받이(356)와의 끼워맞춤부를 넘도록 뻗어있는 중첩부(347)를 설치하므로서 이 물질의 물려 들어옴의 방지 및 하수도측 유출구(351)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의 상태나 도 5(a)로부터 (b)로 전환되는 도중에서 정전이 된 경우에는 즉시 도 5(a)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부엌배수의 하수도에의 유로를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수처리장치(4)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해서 처리능력이 저하되거나 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333)의 절단 등에 의해 도 5(b)로부터 (a)로 복귀되지 않은 경우도 생각할 수가 있다.
도 6(a)는 유출선이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352)인 때의 스프링(333)이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대로는 배수처리장치(4)에의 처리용량 이상의 부엌배수가 유입되어 처리능력의 저하나, 부엌이 사용 불능으로 되어 버린다.
여기서 이 대책으로서 도 6(a)에 나타내는 루버 구동핀(345)[핀구멍(354)을 관통해서 우측 케이스(35b)의 표면측에 돌출하고 있다]을 수동으로 동작시키므로서 도 6(b)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루버 구동핀(345)은 손으로 조작하기 쉽도록 모터구동의 루버구동핀(344) 보다도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33)의 장력을 기대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이 도 6의 상태에서는 루버 측면벽(341, 342)은 그 형상으로부터 오는 중량균형에 의해 회전축(346)을 중심으로 도 6(a) 또는 (b)의 어느 것인가 하나의 상태로 밖에는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한번 수동으로 도 6(b)의 상태로 동작시키면, 그 후는 도 6(a)로 복귀할 염려도 없는 것이다.
또, 도 7(a)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 7(b)에 나타낸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측면벽(341, 342)의 양측 및 상부를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형성된 분리기(36)로 압축 접촉하도록 해두면, 만일 루버 측면벽(341, 342)의 외측이나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 등이 부착된 때에도 루버 측면벽(341, 342)과 분리기(36)간에 물려 들어가서 그들이 파손되는 일이 없을 뿐 아니라 부착물이 유연한 상태이면 긁어내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8∼도 12는 유로전환장치(3)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있고, 기타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포저(2)로부터의 배관(21)에 밀봉부재(22)를 거쳐서 관축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엘보 파이프(38)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엘보 파이프(38)의 굴곡부로부터는 관축의 연장방향으로 회전축(381)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축(381)이 스테이(334)에 부착된 기어드모터(33)의 모터축(331)에 연결되어 있다.
또, 엘보 파이프(38)의 개방 단말측에는 배수처리장치(4)에의 배관(31)과 하수도에의 하수 방류관(32)의 단말부가 일체화되어 엘보 파이프(38)의 개방단말의 회전반경에 맞추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유입구(311, 3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기어드모터(33)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것이지만, 모터축(331)에는 상기한 엘보 파이프(38)의 회전축(381)이 직결되어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면에 일단이 부착된 스프링(333)의 타단이 모터축(331)의 외부원주부에 걸려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어드모터(33)의 동작도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즉, 기어드모터(33)에 통전하면, 도 10(a)의 상태로부터 모터축(33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333)을 당기면서 도 10(b)의 상태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내장된 전자클러치가 ON이 되고, 도 10 (b)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기어드모터(33)에의 통전을 정지하면, 내장된 전자클러치가 OFF로 되고, 스프링(333)의 장력에 의해 모터축(33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0(a)의 상태로 복귀된다.
또, 도 10(a)의 상태로부터 (b)의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서 정전 등에 의해 기어드모터(33)에의 통전이 정지된 경우에도 즉시 도 10(a)의 상태로 복귀한다.
기어드모터(33)가 도 10(a)의 초기상태인 때에는 그 모터축(331)에회전축(381)이 연결된 엘보 파이프(38)는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통상의 부엌배수가 엘보 파이프(38)의 개방단말로부터 하수방류관(32)의 유입구(321)로 흘러 들어가 하수로 방류된다.
또, 기어드모터(33)가 도 10(b)의 통상상태인 때에는 엘보 파이프(38)는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디스포저(2)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가 엘보 파이프(38)의 개방단말로부터 배수처리장치(4)에의 배관(31)의 유입구(311)로 흘러 들어가 배수처리장치(4)에 투입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기어드모터(33)가 도 10(a)의 초기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엘보 파이프(38)도 도 11의 상태로 복귀하여, 통상의 부엌배수를 하수로 방류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정전시에 배수처리장치(4)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되어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3은 유로전환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있고, 기타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포저(2)로부터의 배관로(21)를 배수처리장치(4)에의 배관로(31)와 하수도에의 하수방류관(32)에 분기하는 유로 분기부(39)에 전환판(34a)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 전환판(34a)은 그 회전축(346a)이 로터리 솔레노이드(33a)에 접속되고, 또한 회전축(346a)의 주위에 설치된 토션스프링(비틀림 용수철)(333a)에 의해 배수처리장치(4)[배관로(31)]측으로의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다.
디스포저(2)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로터리 솔레노이드(33a)에도 통전되어, 전환판(34a)은 하수도[하수방류관(32)]에의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디스포저(2)가 운전되지 않는 때에는 로터리 솔레노이드(33a)에의 통전도 정지되어(정전의 경우도 포함함), 토션스프링(333a)의 가하는 힘으로 배수처리장치(4)측으로의 유로를 패쇄하도록 복귀 동작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정전시에 배수처리장치(4)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해서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분쇄수단으로서 디스포저(2)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미트 그라인더 등의 다른 분쇄수단을 사용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배수처리장치(4)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로전환장치(3)를 사용해서 소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각종 배수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에서는 유량 조정조(41)의 침전물을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 에어 리프트하여 액체분은 유량 조정조(41)에 복귀시키고, 유량 조정조(41)의 윗물은 처리조(43)에 별도의 에어리프트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유량 조정조(41)의 침전물을 고체액체분리장치(42)에 에어리프트로서 그 액체분을 처리조(43)에 투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 유량 조정조(41)의 전단에 통상의 부엌배수가 유입되는 탱크를 구비해서 탱크 저면부의 유기물성분이 진한 일부를 유량 조정조(41)에 도입해 넣고, 다른 탱크의 넘쳐흐르는 구멍으로부터 하수방류관(32)에 방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설거지대에 접속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포함한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상기 설거지대로부터의 배수의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과 하수도측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시, 배수의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접속하도록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배수의 유로를 상기 분쇄수단의 작동시에,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하수측으로부터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정전시에 배수처리장치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하여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가 있다.
또, 상기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부에 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부 한쪽에 하수도측 유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각 유출구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배수의 유로를 전환하는 루버와,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루버를 구동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루버에 힘을 가하므로서, 자연 유출을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기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케이스의 상부 한쪽측에 배수가 유입되는 조인트 파이프가 부착되고, 이 조인트 파이프는 그 선단측이 케이스 저면부 다른측에 형성된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로 향해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가 자연 유출되기 때문에 케이스내 측면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이 직접 닿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한 루버는 그 양측에 케이스내 측면에 따라 형성된 측면벽을 갖기 때문에 케이스내 측면에 배수가 직접 닿지 않고, 케이스내 측면에 퇴적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케이스는 좌우케이스를 접합해서 형성되고, 그 접합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좌우케이스의 간극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루버는 그 하부 일면측에 형성된 회전축이 케이스측의 축받이에 끼워 맞추어져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맞춤부를 덮는 것처럼 스포일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맞춤부에 배수가 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물려 들어감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루버의 하단부를 상기한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맞춤부를 넘어서 뻗어 설치한 것에 의해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 맞춤부에 배수가 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물려 들어감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유출구간에 위치해서 상기한 루버 측면벽의 양측 및 상부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하는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형성된 분리기를 구비하므로서,루버 측면벽의 외측이나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 등이 부착한 때에도 루버 측면벽과 분리기 사이에 물려 들어가서 그들이 파손되는 일이 없을 뿐 아니라, 부착물이 유연한 상태이면 긁어내는 효과도 기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복귀기구에 이상이 생긴 때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수동전환기구를 구비하므로서 만일 복귀기구가 파손되어도 수동으로 복귀시킬수가 있다.
한편,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분쇄수단으로부터의 배관에 관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굴곡관과,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굴곡관을 회전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굴곡관에 힘을 가하므로서도 정전시에 배수처리장치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해서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유로 분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전환판과,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판을 회전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판에 힘을 가하므로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전시에 배수처리장치에 처리용량 이상의 배수가 유입되어 처리능력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1)
- 설거지대에 접속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포함한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상기 설거지대로부터의 배수의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과 하수도측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유로전환장치는,상시, 배수의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접속하도록 가세하는 가세수단과,배수의 유로를 상기 분쇄수단의 작동시에,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하수측으로부터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부에 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부 한쪽에 하수도측 유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각 유출구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배수의 유로를 전환하는 루버와,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루버를 구동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루버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상부 한쪽에 배수가 유입되는 조인트 파이프가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 파이프는, 그 선단측이 케이스 저면부의 다른 쪽에 형성된 배수처리장치측 유출구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루버는 그 양측에 케이스내 측면에 따라 형성된 측면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좌우케이스를 접합해서 형성되고, 그 접합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루버는, 그 하부 일면측에 형성된 회전축이 케이스측의 축받이에 끼워 맞추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 맞춤부를 덮는 것처럼 스포일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루버의 하단부를 상기 회전축과 축받이의 끼워 맞춤부를 넘어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각 유출구간에 위치해서 상기 루버 측면벽의 양측 및 상부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하는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형성된 분리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귀기구에 이상이 생긴 때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수동전환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분쇄수단으로부터의 배관에 관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굴곡관과,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굴곡관을 회전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굴곡관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유로 분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전환판과, 통전시에는 유로를 상기 배수처리장치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판을 회전시키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통전 차단시에 유로를 하수도측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판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235868A JP2001058174A (ja) | 1999-08-23 | 1999-08-23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JP11-235868 | 1999-08-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9739A KR20010039739A (ko) | 2001-05-15 |
KR100359178B1 true KR100359178B1 (ko) | 2002-10-31 |
Family
ID=1699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1999A KR100359178B1 (ko) | 1999-08-23 | 2000-07-2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1079033B1 (ko) |
JP (1) | JP2001058174A (ko) |
KR (1) | KR100359178B1 (ko) |
CN (1) | CN1285317A (ko) |
AT (1) | ATE359405T1 (ko) |
DE (1) | DE60034280T2 (ko) |
TW (1) | TW52732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7744A (ja) * | 2001-09-21 | 2003-04-03 | Sanyo Electric Co Ltd | 空気流路切替装置 |
CN101658742B (zh) * | 2009-05-27 | 2011-06-29 | 北京嘉博文生物科技有限公司 | 餐厨垃圾受料机 |
IT1398211B1 (it) * | 2009-09-17 | 2013-02-14 | Architetto Chiavegato Adriano Ditta Individuale |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rifiuti |
FR2965737B1 (fr) * | 2010-10-06 | 2014-05-16 | Christophe Zyta | Installation de broyage et de recyclage de dechets organiques |
WO2013166600A1 (fr) * | 2012-05-09 | 2013-11-14 | Solucycle Inc. |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broyer et récupérer des déchets domestiques organiques |
CN103510592B (zh) * | 2013-10-24 | 2015-04-22 | 泰州市厨房宝电器有限公司 | 一种垃圾处理过滤装置 |
DE102014012242B4 (de) * | 2014-08-19 | 2021-03-04 | Dennis Rohde | Vorrichtung zur Notfallentwässerung |
CN105289069A (zh) * | 2015-10-16 | 2016-02-03 | 重庆光煦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小区的集中化污水处理系统 |
CN106113552B (zh) * | 2016-08-18 | 2018-12-28 | 深圳市格瑞汉兰科技有限公司 | 一种垃圾处理设备及垃圾处理方法 |
CN108744707A (zh) * | 2018-06-21 | 2018-11-06 | 温州市聚达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节能污水循环过滤机 |
CN109276219A (zh) * | 2018-09-14 | 2019-01-29 | 许昌涉步餐饮管理有限公司 | 一种厨房用具清洗装置 |
CN111576563B (zh) * | 2020-05-28 | 2021-05-28 | 嘉兴学院 |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4230B1 (ko) * | 1988-09-27 | 1991-06-24 |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99687A (ja) * | 1988-02-03 | 1989-08-11 | Hitachi Ltd | 厨芥処理装置および厨芥処理方法 |
US5127587A (en) * | 1991-05-14 | 1992-07-07 | Johnson Harold R | Kitchen composter |
DE9111155U1 (de) * | 1991-09-09 | 1991-11-14 | Chen, Charles, Tao-Yuan City | Wieder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die Küche |
US5971303A (en) * | 1998-03-23 | 1999-10-26 | Pugh-Gottlieb; Margaret | Waste router recycling system |
-
1999
- 1999-08-23 JP JP11235868A patent/JP2001058174A/ja active Pending
-
2000
- 2000-07-21 KR KR1020000041999A patent/KR1003591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03 CN CN00120975A patent/CN1285317A/zh active Pending
- 2000-08-16 TW TW089116504A patent/TW52732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21 AT AT00307130T patent/ATE35940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21 EP EP00307130A patent/EP107903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8-21 DE DE60034280T patent/DE6003428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4230B1 (ko) * | 1988-09-27 | 1991-06-24 |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359405T1 (de) | 2007-05-15 |
EP1079033A2 (en) | 2001-02-28 |
CN1285317A (zh) | 2001-02-28 |
TW527323B (en) | 2003-04-11 |
KR20010039739A (ko) | 2001-05-15 |
DE60034280T2 (de) | 2007-12-20 |
JP2001058174A (ja) | 2001-03-06 |
EP1079033A3 (en) | 2002-11-20 |
EP1079033B1 (en) | 2007-04-11 |
DE60034280D1 (de) | 2007-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5917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
KR101579966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50124295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372601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
KR100365479B1 (ko) | 배수처리시스템 | |
WO2012120371A2 (en) | Ecological toilet | |
KR20030023620A (ko) | 절수형 변기 장치 | |
KR100404668B1 (ko) | 배수처리 시스템 | |
JP4133365B2 (ja) | 生ゴミ処理システム | |
KR101507951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JPH1143202A (ja) | 生ゴミ粉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ゴミ処理装置 | |
JP2001104815A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
JP3473377B2 (ja) | 生ごみ処理装置の制御構造 | |
JP3651180B2 (ja) | 生ごみ処理装置 | |
EP1608823B1 (en) | Method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sewage in a transfer tank | |
JPH1133525A (ja) | 生ゴミ粉砕発酵処理装置 | |
JPH1157519A (ja) | 生ゴミ処理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ゴミ粉砕発酵処理装置 | |
KR0115012Y1 (ko) | 오물처리장치 | |
JPH10137726A (ja) | 生ゴミ粉砕発酵処理装置 | |
KR19980035020U (ko) | 음식물찌꺼기 자동분리 처리장치 | |
JP2002186951A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
JP2001353449A (ja) | 汚物流送処理装置 | |
JPH10137727A (ja) | 生ゴミ粉砕発酵処理装置 | |
JP2001300488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JP2003275708A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