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986B1 - 교통표지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표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986B1
KR100358986B1 KR1020020027777A KR20020027777A KR100358986B1 KR 100358986 B1 KR100358986 B1 KR 100358986B1 KR 1020020027777 A KR1020020027777 A KR 1020020027777A KR 20020027777 A KR20020027777 A KR 20020027777A KR 100358986 B1 KR100358986 B1 KR 10035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traffic sign
rear cover
post clamp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936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프레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9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986B1/ko
Priority to JP2003136122A priority patent/JP3622922B2/ja
Priority to US10/439,986 priority patent/US6839996B2/en
Priority to CNB031237495A priority patent/CN1200400C/zh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표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지고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타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포스트 클램프와, 포스트 클램프의 어느 한 클램핑 밴드 외주에 일단이 반경 방향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 및 고정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체결되는 가동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지바와, 양 측단에 조립홈을 각각 갖는 소정형상의 고리형 밴드프레임 및 이 밴드프레임의 양 조립홈에 각각 삽입되어 스크류로 체결되는 스커트를 갖는 전면 및 후면 커버로 이루어진 표지판과, 지지바의 가동파이프 자유단을 표지판의 후면커버 중심에 동심으로 접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교통표지를 지주에 대해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표지판이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어 지지바와의 체결부위 노출이 최소화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도 증대됨은 물론, 각 구성부품들의 비철금속제로 구성되어 산화부식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항구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통표지 장치{A traffic sign device}
본 발명은 도로상의 지주에 장착되어 안전한 도로운영에 필요한 각종 규제사항·지시사항 및 주의사항 등을 나타내거나 도로 또는 건물의 위치정보 등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교통표지 장치(traffic sign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지판을 지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힘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항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교통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차도(車道)의 위쪽에는 도로상에서 발생될수 있는 각종 위험사항을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로구조의 보전(保全)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로의 이용에 필요한 각종사항을 알려주는 도로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표지는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제작·설치되며,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문자나 도형적(圖形的)인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전달사항의 성격에 따라 도로의 위험상태나 필요한 주의를 예고하는 주의표지와, 보행자나 차량에 대해 일정한 행동을 규제하는 규제표지 및 행동이나 지점을 지시하는 지시표지 등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도로표지는 인식하기 쉽고, 먼 거리에서도 표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단시간 내에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야간에도 판독(判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목적에 알맞게 적절히 배치되어야 한다.
한편, 도로상에는 위와 같은 도로표지 외에 도로에 관련한 각종 정보, 예컨대 도로의 진행방향이나 거리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위치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각종 안내표지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와 안내표지(이하 '교통표지'로 통칭함)는 도로의 규모에 따라 1개의 지주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돌출 지지되는 편주식(片柱式)과,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 바(bar)에 부착되는 복주식(復柱式)으로 그 형식을 달리하여 설치되는데, 대체로 고속도로를 제외하고 편주식이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에는 이러한 편주식 교통표지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도로가에 세워진 지주(P)의 적정높이 위치에 밴드클램프(band clamp:1)에 의해 행거(hanger:2)를 수평으로 결속하고, 표지판(sign plate:3)의 배면에 접합된 복수의 채널(channel)형 가이드레일(4)에 볼트(7)의 머리부를 끼운 뒤 복수의 U밴드(5)를 행거(2)에 걸어 그 양단의 플랜지(6)를 표지판(3)의 볼트(7)에 너트(8)로 체결함으로써 표지판(3)을 지주(P)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교통표지 장치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9-0079008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5042호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상의 교통표지 장치는 행거(2)를 지주(P)에 결속하고, 표지판(3)의 배면에 구비된 각각의 가이드레일(4)에 볼트(7)를 조립한 뒤 행거(2)에 복수의 U밴드(5)를 걸어서 너트(8)에 의해 볼트(7)와 체결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구성부품들을 철제로 구성하여 페인트로 도장처리하고 있는 바, 장기간 경과할 경우 날씨 등의 영향으로 페인트가 벗겨지면서 산화부식이 발생되어 녹이 슬게 되고,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페인트를 칠해야 하는 등 세심한 유지관리가 요구되었다.
특히, 표지판(3)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체결용 가이드레일(4)과 볼트(7) 들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이 상당히 흉해 도로의 미관을 크게 해칠 뿐 아니라, 강도가 취약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교통표지 장치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996-0009278호와,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00942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877호 및 등록번호 제20-026584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68835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996-0009278호는, 표지패널을 1쌍의 합성수지제의 분할체로 구성하고 각 분할체에 보스(boss)와 돌기를 형성하여 끼워 맞춤으로 상호 조립하고, 어느 한 분할체 내면에 지주삽입 보스를 구비하여 지주의 상단에 끼워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교통안내 표지패널은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부식의 우려가 없으면서 미려한 외관을 가지지만, 표지패널이 단순히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해체될 우려가 많을 뿐 아니라, 변형되기 쉽고 강도도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009420호는 표지판을 배면에 볼트 조립용 가이드레일을 각각 갖는 제1,2패널로 구성하여 지주에 고정된 수평바에 다수의 U밴드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5849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68835호는 통상의 표지판 배면에 별도의 커버를 설치하여 지주와의 체결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표지판들은 지주에 대해 밴드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번잡하고,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009420호의경우 볼트 체결부위가 완전히 가려지지 않아 여전히 산화부식의 문제가 상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지주와의 체결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교통표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힘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산화부식을 억제하여 미려한 외관을 항구적으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용이한 교통표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의 크기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표지판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교통표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교통표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와 요부 발췌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가 포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Ⅴ를 따라 취한 발췌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 표지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스트 클램프 11: 제1의 클램핑 밴드
12: 힌지홈 13: 플랜지
15: 제2의 클램핑 밴드 16: 힌지돌기
20: 지지바 21: 고정파이프
24: 가동파이프 30: 표지판
31: 밴드프레임 34, 35: 전면 및 후면 커버
36, 37: 스커트 38: 안착홈
40: 밀착돌기 50: 고정수단
51: 외부 고정판 52: 내부 고정판
53: 고정탭 55: 볼트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는, 일단이 상호 힌지(hinge)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clamping band)로 이루어지고,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타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포스트 클램프; 이 포스트 클램프의 어느 한 클램핑 밴드 외주에 일단이 반경 방향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와, 이 고정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일체적으로 체결되는 가동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지바(supporting bar); 양 측단에 조립홈을 각각 갖는 소정형상의 고리형 밴드프레임(band frame)과, 이 밴드프레임의 양 조립홈에 각각 삽입되어 접합되는 스커트(skirt)를 갖는 전면 및 후면 커버로 이루어진 표지판; 지지바의 가동파이프 자유단을 표지판의 후면커버 중심에 동심으로 접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고정수단은, 후면커버에 복수의 고정슬롯과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가동파이프의 자유단에 접합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복수의 체결구멍을 갖는 비철금속제의 외부 고정판과, 고정슬롯을 관통하여 절곡되는 복수의 고정탭(holding tab)을 구비하여 후면커버의 내면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복수의 너트를 일체로 갖는 금속제 내부 고정판 및 외부 고정판과 후면커버의 체결구멍들을 통해 내부 고정판의 대응하는 너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포스트 클램프와 지지바 및 표지판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치시 포스트 클램프를 지주에 장착한 뒤 표지판에 고정된 가동파이프를 포스트 클램프에 접합된 고정파이프에 끼워 체결하면 일체의 구조가 되므로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표지판과 지주의 체결부위 노출이 최소화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지판이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어 종래의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에 비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각 구성부품들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산화부식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항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교통표지의 품위와 신뢰성 및 설치작업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는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P)에 장착되는 포스트 클램프(10)와, 이 포스트 클램프(10)에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지지바(20)와, 이 지지바(20)의 자유단에 장착되어 도로교통에 대한 소정의 사항을 표시하는 표지판(30) 및 지지바(20)를 표지판의 배면에 동심으로 접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으로 구성된다.
포스트 클램프(10)는 일단이 상호 힌지 조립되고, 타단이 볼트(18)와 너트 (18a)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11)(15)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1의 클램핑 밴드(11) 일단에는 대략 C형 단면을 갖는 힌지홈 (12)이 형성된다. 힌지홈(12)의 근처에는 나사홈(11a)이 형성되고, 그 양단에 스크류(19)가 각각 결합되어 머리부의 일부가 힌지홈(12) 영역으로 침범함으로써 힌지홈(12)에 끼워진 제2클램핑 밴드(15)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1클램핑 밴드(11)의 타단에는 복수의 체결구멍(13b)을 갖는 플랜지(13)가 형성된다. 플랜지(13)에는 볼트(18)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안착 지지하는채널형의 볼트머리시트(13a)가 형성된다.
제1클램핑 밴드(11)의 외주 중간에는 지지바(20)를 접합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랜드(14)가 돌출 형성되며, 이 지지랜드(14)의 접합면 중간에는 후술하는 보강리브(rib:27)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홈(14a)이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클램핑 밴드(11)의 내주 중간에는 축방향으로 슬릿(slit)이 형성되어 지주(P)와의 체결시 지주(P)를 탄성적으로 압착하는 밀착돌기(4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돌기(40)는 지주(P)가 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포스트 클램프(10)와 지주(P)간의 갭(gap)에 의한 클램프(10)의 유동 내지는 회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밀착돌기(40)는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지주(P)의 형태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 원형의 지주(P)라 하더라도 양자의 지름에 작은 차이가 발생될 경우 포스트 클램프(10)를 지주(P)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해 준다. 이와 같은 밀착돌기(40)는 예컨대 적정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클램핑 밴드(15)의 일단에는 제1클램핑 밴드(11)의 힌지홈(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16)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복수의 체결구멍 (17a)을 갖는 플랜지(17)가 형성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클램핑 밴드(15)의 내주에도 축방향으로 슬릿(slit)이 형성되어 밀착돌기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포스트 클램프(10)는 바람직하기로 내부식성이 우수한 비철금속제, 예컨대 알루미늄을 압출가공(extrusion) 함으로써 제작된다.
지지바(20)는 포스트 클램프(10)의 지지랜드(14)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21)와, 이 고정파이프(21)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볼트(28)와 너트 (28a)로 체결 고정되는 가동파이프(24)로 이루어진다.
고정파이프(21)와 가동파이프(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그 일부에 상호 대응하는 가이드돌기(22)(25)들을 갖는다.
고정파이프(21)의 외주 일측에는 볼트(28)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안착 지지하는 볼트머리자리(21a)가 축방향을 따라 채널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볼트머리자리(21a)에는 복수의 체결구멍(21b)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파이프(21)의 외주 상측과 하측에는 바람직하기로 그를 포스트 클램프(10)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해 주기 위한 보강리브(27)들이 각각 접합된다.
보강리브(27)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돌기(27a)를 구비하여 지지랜드(14)의 조립홈(14a)에 끼워지고, 결합돌기(27a)와 인접한 일측 가장자리가 고정파이프 (21)의 외주 상측과 하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리브 조립홈(23a)(23b)에 각각 끼워져 용접된다.
가동파이프(24)는 고정파이프(2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되며, 그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구멍(24a)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고정파이프(21)에 대한 가동파이프(24)의 고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체 지지바(20)의 길이를 적절히 신축(伸縮)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바(20)도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재료를 압출 가공함으로써 제작된다.
한편, 표지판(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을 갖는 링형의 밴드프레임(31)과, 이 밴드프레임(31)의 양측에 부착되는 전면 및 후면 커버 (34)(35)로 구성된다.
밴드프레임(31)은 예컨대 표지내용의 성질에 따라 법에서 정해놓은 원형, 삼각 또는 사각 등의 각형으로 형성된다(도면에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도시됨). 이 밴드프레임(31)의 양 측단에는 전·후면 커버(34)(35)의 스커트(36)(37)들을 각각 끼워주기 위한 조립홈(32)(33)이 적정깊이로 형성되어 밴드프레임(31)은 대략 H빔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전면커버(34)는 그 외면에 표지내용이 인쇄 또는 부착되도록 평판으로 구성되고, 가장자리에 밴드프레임(31)의 대응하는 조립홈(32)에 끼워져 스크류(39)로 체결되거나 용접으로 접합되는 스커트(36)가 형성된다.
후면커버(35) 역시 가장자리에 밴드프레임(31)의 대응하는 조립홈(33)에 끼워져 스크류(39)로 체결되거나 용접으로 접합되는 스커트(37)를 갖는다. 후면커버 (35)의 배면 중앙부에는 바람직하기로 후술하는 고정수단(50)의 외부 고정판(51)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몸체가 안쪽으로 절곡됨으로써 안착홈(38)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커버(35)의 안착홈(38)에는 복수의 고정슬롯(35a)과 체결구멍 (35b)들이 적정각도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밴드프레임(31)과 전·후면 커버(34)(35)들 역시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제로 제작된다.
고정수단(50)은 용접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0)의 가동파이프(24) 자유단에 고정되는 외부 고정판(51)과, 표지판(30)의 후면커버(35)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고정판(52) 및 이들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55)로 구성된다.
외부 고정판(51)은 가동파이프(24)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제로 구성되며, 그 중심부가 가동파이프(24)의 자유단에 동심을 이루도록 용접된다. 외부 고정판(51)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볼트(55)가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구멍(51a)들이 후면커버(35)의 체결구멍(35b)들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내부 고정판(52) 역시 그 가장자리 부위에 후면커버(35)의 체결구멍(35b)들과 동심을 이루는 복수의 체결구멍(52a)들이 형성되고, 각 체결구멍(52a)들의 전면쪽에는 볼트(55)와 결합되는 너트(54)들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이러한 내부 고정판(52)은 철판으로 구성되어 가장자리에 복수의 고정탭(53)을 구비하며, 각 고정탭(53)들을 후면커버(35)의 대응하는 고정슬롯(35a)에 끼워 돌출부위를 절곡함으로써 후면커버(35)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는, 지지바(20)의 고정파이프(21)가 접합된 포스트 클램프(10)와, 지지바(20)의 가동파이프(24)가 고정된 표지판(30)의 두 단위 조립체로 제작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송되어 지주 (P)에 설치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포스트 클램프(10)를 지주(P)에 체결한 뒤, 단순히 표지판(30)에 고정된 지지바(20)의 가동파이프(24)를 포스트 클램프(10)에 접합된 고정파이프(21)에 삽입하여 볼트(28)와 너트(28a)로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포스트 클램프(10)가 상호 힌지 연결된 원호형의 두 클램핑 밴드 (11)(15)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주(P)에 대한 포스트 클램프(10)의 장착도 매우 간편해져 종래에 비해 교통표지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물론, 이때 설치장소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고정파이프(21)에 대한 가동파이프(24)의 고정위치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표지판(30)이 최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교통표지 장치는 표지판(30)이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고, 고정수단(50)의 외부 고정판(51)이 표지판(30) 후면커버(35)의 안착홈(38)에 삽입되는 바, 볼트(55)의 머리부를 제외한 체결부위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해짐은 물론,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 도로의 미관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각 구성부품들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의 비철금속의 재질로 제작되는 바, 산화부식이 발생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주기적으로 페인팅을 수행할 필요도 없어 유지관리도 한결 쉬워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포스트 클램프가 2개의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양단에 힌지홈과 힌지돌기가 각각 형성된 작은 원호길이를 갖는 적어도 1개의 보조 클램핑 밴드를 더 구비하여 지주의 지름크기에 따라 제1,2클램핑 밴드를 선택적으로 보조 클램핑 밴드를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또는 포스트 클램프를 2개이상의 클램핑 밴드로 분할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주의 지름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포스트 클램프를 모든 지주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구성부품들을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제 대신 고강도 플라스틱과 같은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 장치에 의하면, 포스트 클램프를 지주에 장착한 뒤 표지판에 고정된 가동파이프를 포스트 클램프에 접합된 고정파이프에 끼워 체결하면 일체의 구조로 되므로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표지판과 지지바의 체결부위 노출이 최소화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지판이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어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된 종래에 비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각 구성부품들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제로 구성되어 산화부식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항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교통표지의 품위와 구조적 안정성, 설치작업의 용이성 및 유지관리비용의 절감 등을 도모함과 더불어 도로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클램핑 밴드로 이루어지고,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타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포스트 클램프;
    상기 포스트 클램프의 어느 한 클램핑 밴드 외주에 일단이 반경 방향으로 접합되는 고정파이프와, 이 고정파이프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체결되는 가동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지바;
    양 측단에 조립홈을 각각 갖는 소정형상의 고리형 밴드프레임과, 이 밴드프레임의 양 조립홈에 각각 삽입되어 접합되는 스커트를 갖는 전면 및 후면 커버로 이루어진 표지판;
    상기 지지바의 가동파이프 자유단을 상기 표지판의 후면커버 중심에 동심으로 접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면커버에 복수의 고정슬롯과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자유단에 접합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복수의 체결구멍을 갖는 비철금속제 외부 고정판과, 상기 고정슬롯을 관통하여 절곡되는 복수의 고정탭을 구비하여 후면커버의 내면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복수의 너트를 일체로 갖는 금속제 내부 고정판 및 상기 외부 고정판과 후면커버의 체결구멍들을 통해 상기 내부 고정판의 대응하는 너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클램프의 적어도 1개의 클램핑 밴드 내주에 상기 지주를 탄성적으로 압착하는 고무제의 밀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클램프가 지주의 크기에 따라 각 클램핑 밴드 사이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보조 클램핑 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클램프와 지지바 및 표지판이 내부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배면에 상기 외부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 장치.
KR1020020027777A 2002-05-20 2002-05-20 교통표지 장치 KR10035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77A KR100358986B1 (ko) 2002-05-20 2002-05-20 교통표지 장치
JP2003136122A JP3622922B2 (ja) 2002-05-20 2003-05-14 道路標識装置
US10/439,986 US6839996B2 (en) 2002-05-20 2003-05-15 Traffic sign device
CNB031237495A CN1200400C (zh) 2002-05-20 2003-05-20 交通标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77A KR100358986B1 (ko) 2002-05-20 2002-05-20 교통표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332U Division KR200287803Y1 (ko) 2002-05-20 2002-05-20 교통표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36A KR20020060936A (ko) 2002-07-19
KR100358986B1 true KR100358986B1 (ko) 2002-10-30

Family

ID=2772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77A KR100358986B1 (ko) 2002-05-20 2002-05-20 교통표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55B1 (ko) * 2018-09-06 2019-06-13 박노준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표지판 설치대의 가로대 연결용 클램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36A (ko)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2921B2 (ja) 道路標識装置
JP3622922B2 (ja) 道路標識装置
US6880279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ign board
JP3622920B2 (ja) 標識装置
KR100450292B1 (ko) 표지판 지지구조
KR100566953B1 (ko) 교통표지 장치
KR100358986B1 (ko) 교통표지 장치
KR100358987B1 (ko) 교통표지 장치
KR200287803Y1 (ko) 교통표지 장치
KR100358988B1 (ko) 교통표지 장치
AU2006335004B2 (en) A cap and stiffener system for a guard rail post
US5974712A (en) Traffic sign
KR200285563Y1 (ko) 교통표지 장치
KR200376017Y1 (ko)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0358985B1 (ko) 교통표지 장치
KR200287804Y1 (ko) 교통표지 장치
KR200287802Y1 (ko) 교통표지 장치
KR200439689Y1 (ko) 표지판 현수장치
KR100705673B1 (ko) 도로표지장치
KR100522892B1 (ko) 표지판 설치구조
KR200347958Y1 (ko)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KR100705672B1 (ko) 도로표지장치
KR200436771Y1 (ko) 도로표지장치
KR100740901B1 (ko) 도로 교통 안내 시스템을 부착 및 지지하기 위한 게이트형상의 스탠딩 구조물
KR100432950B1 (ko) 도로지주용 깃발 게양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