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836B1 -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836B1
KR100357836B1 KR1020010022383A KR20010022383A KR100357836B1 KR 100357836 B1 KR100357836 B1 KR 100357836B1 KR 1020010022383 A KR1020010022383 A KR 1020010022383A KR 20010022383 A KR20010022383 A KR 20010022383A KR 100357836 B1 KR100357836 B1 KR 10035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nu
agent
cycle
bra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782A (ko
Inventor
최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머스
Priority to KR102001002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8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836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ingredient)를 유통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이러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포함하는 에이전트(agent)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사이클 메뉴 생성 조건을 에이전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사이클 메뉴 생성 조건에 응답하여 에이전트의 서버가 입력된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재료 유통 방법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용될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는 단계와,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생성된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를 요청하는 단계와, 에이전트가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에 재료 발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가 재료 납품 데이터를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CYCLE MENU AND DISTRIBUTING INGREDIENTS BASED ON THE CYCLE MENU}
본 발명은 메뉴 생성 방법 및 재료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ingredient)를 유통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체인형 외식 업체 본부 또는 단체 급식 업체 본부(이하, 케이터링 (catering) 업체 본부라고 지칭함)는 음식 재료(이하, 재료로 지칭함)를 일괄 구매하여 재료 구입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업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마다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판매물(즉, 음식 메뉴(menu))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재료 구매 부서 및 재료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의 재료 구매 원가는 이들 업체 전체 매출의 약 40 % 내지 60 %를 차지하기 때문에 재료 구입 비용이 사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중요하다. 또한, 소규모 케이터링 업체 본부의 경우에는 구매 전문가가 아닌 담당자가 재료를 구매함으로 인해 구입 재료에 대한 품질 및 가격을 점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종래의 재료 유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재료 유통 시스템은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 예를 들어 영업점 A 내지 영업점 Z로부터 필요한 재료의 구매 요청서를 접수한다.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는 재료의 일괄 구매를 위해,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으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집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전화, 팩스, 이메일(e-mail)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업체 내부적으로 구축된 인트라넷(intranet) 시스템, 예컨대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구매 부서에서 다수의 영업점으로부터의 구매 요청서를 취합한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구축된 인트라넷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업점으로부터 접수된 구매 요청서에 포함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팩스, 전화, 이메일 등과 같은 통상적인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구매 대행사 또는 물품 공급 업체에게 구매 요청을 의뢰하고 있다. 환언하면, 케이터링 업체 본부와 물품 구매 대행사 또는 물품 공급 업체간에 물품 구매와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물품 구매 과정을 온라인(on-line)을 통해 처리할 수 없었다.
상세하게, 케이터링 업체 본사의 구매 담당자는 인트라넷 시스템을 통해 취합된 구매 재료에 대한 발주 물량을 일일이 확인하고 이를 품목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물품 공급 업체나 구매 대행사로 발주한 다음, 각각의 영업점으로부터 실제로 입고된 재료 물품 품목과 발주한 재료 물품 품목이 일치하는지를 수작업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그러므로, 발주한 물품에 문제(예컨대, 배송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터링 업체 본사의 구매 담당자는 발주 데이터와 물품 공급 업자 또는 구매 대행사의 납품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이를 처리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일 수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적기에 발주 물품이 각각의 영업점에 도달하지 않거나 물품의 유통 과정에서 변질된 재료가 영업점에 입고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았다.
따라서,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는 효율적으로 필요한 재료를 발주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업점에서 요구한 재료의 발주 물량 및 재고 물량을 일, 월, 년 등으로 세분하여 관리하며, 더 나아가 케이터링 업체 본부간의 공동 구매를 통해 재료의 구입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케이터링 업체 본부 각각이 표준 메뉴를 설정하여 관리하고는 있지만, 각 영업점에 소속된 영양사 또는 조리사에 따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음식 메뉴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단체 급식 영업점을 운영하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의 경우, 소비자에게 제공할 음식 메뉴를 각각의 영업점에서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관리하는데에 필요한 인력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또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와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간에 구매할 재료와 연관된 수주 및 발주 데이터를 공유하여 수주 및 발주 과정을 온라인 상에서 처리함으로써, 재료의 신속하고 정확한 유통을 도모하고, 각각의 영업점에 입고된 재료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이 문제를 처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각각의 영업점에 재료를 적기에 공급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재료에 대해서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간에 공동 구매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마련된다. 또한, 각각의 영업점에서 판매하는 음식의 품질을 사이클 메뉴를 통해 케이터링 업체 본사에서 관리 및 감독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양질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영업점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음식의 메뉴를 사이클 메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음식 메뉴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영업점의 인력 및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케이터링 (catering) 업체, 이러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포함하는 에이전트(agent)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상에서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기 위해, a)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사이클 메뉴 생성 조건을 에이전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b) 생성 조건에 응답하여 에이전트의 서버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c)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검색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이러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상에서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용되는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해, a)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용될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는 단계와, b)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사용할 재료에 대한 발주를 해당하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에 요청하는 단계와, c)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다수의 영업점으로부터 발주 요청을 취합하고 발주 데이터를 작성하여 이 발주 데이터를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에이전트가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에 발주 데이터에 근거하는 재료 구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e)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가 재료 구매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료 물품을 대응하는 다수의 영업점에 납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필요한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해,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생성된 사이클 메뉴에 대응하는 음식 메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다수의 영업점과, 사이클 메뉴에 사용되는 재료를 다수의 영업점에 공급하는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와, 재료를 상기 다수의 영업점으로 운송하는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와 다수의 영업점과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와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및 재료의 유통에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에이전트를 포함하되, 에이전트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이 프로그램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제 2 코드 세그먼트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와 다수의 영업점과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와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제공하는 제 3 코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재료 유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메뉴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필요한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recipe)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재료 품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는 과정 및 이에 필요한 재료를 발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케이터링 업체의 영업점에서 사전설정된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를 발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 수행되는 재료 발주 과정을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1 및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에이전트(agent)내 서버(server)와 물품 공급 업체 및 물품 운송 업체 사이의 재료 유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인터넷(204)을 통해 상호 연결된 에이전트(agent)(202), 다수의 케이터링(catering) 업체 본부(210), 이러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 각각이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 (208),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를 포함하고 있다.
에이전트(20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00) 내에서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 서버(web server)(202_2), 방화벽(fire-wall)(202_1), 웹 서버(202_2)와 데이터 버스(data bus)(202_4)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202_3)를 포함하고 있는데, 여기서 방화벽(202_1)은 선택사양(option)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00)의 보안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웹서버(202_2)는 데이터 버스(202_4)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02_3)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 다수의 영업점(208),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 상호간에 교환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들이 요청한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에이전트(202)는 다수의 영업점(208)에서 발주한 재료를 시스템(200)을 통해 원활하게 유통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 각각이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208)에 제공하는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이클 메뉴는 다수의 영업점(208)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음식 메뉴를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 각각이 마련한 것으로서, 사전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주간, 월간, 계절별 등과 같은 기간 동안에 순차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일련의 메뉴 계획표를 지칭하는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도 2에서,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 다수의 영업점(208) 사이의 굵은 화살표는 실제로 재료가 유통되는 오프라인(off-line) 상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점선의 화살표는 재료 유통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이전트(202)에 의해 수행되는 문제 해결 과정 상의 온라인(on-line) 경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00)에서는 에이전트(202)에 의해 마련되는 사전설정된 형식의 데이터를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사(210), 다수의 영업점(208),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가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 유통 과정을 요약하면 1) 다수의 영업점(208)이 필요한 재료를 발주, 2) 해당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다수의 영업점(208)으로부터의 발주 취합, 3) 에이전트(202)가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로부터의 발주 요청을 수주, 4) 에이전트(202)가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로 필요 물품 발주, 5)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가 발주된 물품을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를 통해 다수의 영업점(208)에 납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도 2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202_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02_3)는 데이터베이스 엔진(database engine)(302)을 통해 상호 연결된 메뉴 데이터베이스(304), 케이터링 업체 데이터베이스(306), 통계 자료 데이터베이스(308),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02_3)의 구성 요소로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이전트(202)의 웹 서버(202_2)의 일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메뉴 데이터베이스(304)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메뉴 데이터 및 조리법 데이터(이하, 레시피(recipe) 데이터로 지칭함)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들 데이터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 각각으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뉴 데이터베이스(304)는 에이전트(202)에 의해 마련된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것은 이들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있지 않는 소규모 케이터링 업체 본부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메뉴 데이터는 "주메뉴", "부메뉴", "사이클 메뉴", "상시 메뉴", "세트 메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레시피 데이터는 이들 메뉴에 대한 사용 재료, 조리 방법, 규제 사항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 데이터베이스(304)는 케이터링 업체별로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예컨대, 폴더(folder)(400)를 마련하고 있다. 이 폴더(400)는 해당 케이터링 업체 본부 및 이 업체가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만이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케이터링 업체 본부 및 다른 영업점들은 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없다.
폴더(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케이터링 업체 본부를 나타내는 메인 디렉토리(main directory)(402)가 있으며, 이 메인 디렉토리(402) 내에 서브 디렉토리(sub-directory)로서 메뉴 데이터 디렉토리(404) 및 레시피 데이터 디렉토리(406)가 있다. 메뉴 데이터 디렉토리(404)는 하위 디렉토리로서 주메뉴 디렉토리(404_1), 부메뉴 디렉토리(404_2),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404_3), 상시 메뉴 디렉토리(404_4), 세트 메뉴 디렉토리(404_5)를 포함하고 있다. 부메뉴 디렉토리(404_2)는 주반찬 디렉토리 및 부반찬 디렉토리와 같은 하부 디렉토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404_3)는 고객군별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 및 계절별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와 같은 하부 디렉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메뉴 디렉토리(404_1), 부메뉴 디렉토리(404_2),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404_3), 상시 메뉴 디렉토리(404_4), 세트 메뉴 디렉토리(404_5)는 대응하는 "주메뉴", "부메뉴", "사이클 메뉴", "상시 메뉴", "세트 메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404_3)에 저장되는 "사이클 메뉴" 데이터는 주메뉴 디렉토리(404_1), 부메뉴 디렉토리(404_2), 상시 메뉴 디렉토리(404_4), 세트 메뉴 디렉토리(404_5)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반드시 일치하여야 한다. 환언하면, "사이클 메뉴" 데이터는 "주메뉴", "부메뉴", "상시 메뉴", "세트 메뉴" 데이터에 근거하여 액세스 권한을 갖고 있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에서 생성하는 것이다.
메뉴 데이터 디렉토리(404)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메뉴 코드", "고객군", "메뉴명", "메뉴 등급", "주품목 분류", "조리 형태", "메뉴색", "맛", "선호 계절", "선호 연령", "조리 기기", "배식 용기", "적정 배식 온도", "조리 시간", "선호도", "규제 사항", "규제 기간", "열량", "원가" 등과 같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음식 메뉴의 품질, 가격, 영양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를 포함하고 있다. "고객군" 필드는 소비자 계층에 따라 분류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공장군", "사무실군", "대학군" 등과 같은 분류가 있으며, "국적" 필드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음식 메뉴를 국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서 예컨대,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등과 같은 분류가 있다. 또한, "메뉴 등급" 필드는 메뉴의 적용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주메뉴", "주반찬", "부반찬" 등과 같은 분류가 있으며, "주품목 분류" 필드는 메뉴에 사용되는 주재료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서 예컨대, "육류", "야채류", "생선류" 등과 같은 분류가 있고, "조리 형태" 필드는 예컨대 "밥", "국", "볶음", "구이" 등과 같은 분류가 있다.
레시피 데이터 디렉토리(406)는 메뉴 데이터 디렉토리(404) 내에 저장된 각각의 메뉴에 대한 레시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 레시피 데이터는 예를 들어 "품목 코드", "품목명", "1인 소요량", "입고 구분", "레시피 수정 등급", "흡유율", "원가", "규제 사항" 등과 같은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품목 코드" 및 "품목명"은 후술할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되는 재료 품목 데이터의 필드에 포함된 "품목 코드" 및 "품목명"과 동일한 것으로서, 레시피 데이터는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재료 품목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된다. 여기서, 메뉴 데이터의 "규제 사항" 필드는 메뉴에 대한 규제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필드이고, 레시피 데이터의 "규제 사항" 필드는 메뉴 조리시 사용되는 재료 품목에 대한 규제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필드로서 서로 상이한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규제 사항은 계절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규제되어야 하는 사항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여름철에는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은 메뉴를 지양하고 구제역과 같은 질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돼지고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레시피 데이터는 메뉴 데이터 각각에 대해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메뉴 데이터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레시피 데이터가 링크(link)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계층적 구조의 디렉토리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디렉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터링 업체 데이터베이스(306)는 본 발명의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208)에 관한 데이터 및 이러한 다수의 영업점(208)을 고객군별 또는 지역별로 구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통계 자료 데이터베이스(308)는 본 발명의 시스템(200)을 통해 이루어지는 재료 유통, 사이클 메뉴 생성, 재료 수주, 재료 발주 등의 과정중에서 생성 및 전송되는 데이터, 예컨대 영업점별 재료 발주 현황, 영업점별 재료 재고 현황, 영업점별 영업 매출 현황, 재료 품목별 발주 현황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의 요청에 의해 주간, 월간, 분기별, 계절별, 연간 등의 기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통계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는 메뉴 데이터베이스(304)에 저장된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수의 영업점(208)에서 발주한 재료가 오프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과정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의 재료 발주 데이터, 각각의 물품 공급 업체(206)의 납품 데이터, 각각의 물품 운송 업체(212)의 운송 데이터, 각각의 영업점(208)의 입고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납품 데이터, 운송 데이터, 입고 데이터는 다수의 영업점(208) 각각이 발주한 재료 유통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에이전트(202)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이다.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사이클 메뉴의 조리시에 사용되며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200)을 통해 유통되는 재료에 관한데이터(즉, 재료 품목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폴더(500) 내에 재료 품목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폴더(500)는 도 5와 같이 재료 품목 데이터 디렉토리(502) 내에 재료 품목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재료 품목 데이터 디렉토리(502)는 농산물 재료 품목 디렉토리(504), 축산물 재료 품목 디렉토리(506), 수산물 재료 품목 디렉토리(508), 공산품 디렉토리(510)와 같은 서브 디렉토리를 구비하고 있다. 농산물 재료 품목 디렉토리(504)는 농산물 재료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로서, 예를 들어 나물류 품목 디렉토리, 청과류 품목 디렉토리, 야채류 품목 디렉토리 등과 같은 하부 디렉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축산물 재료 품목 디렉토리(506)는 소고기류 품목 디렉토리, 돼지고기류 품목 디렉토리, 닭고기류 품목 디렉토리, 유제품 디렉토리 등과 같은 하부 디렉토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산물 재료 품목 디렉토리(508)는 어류 품목 디렉토리, 패류 품목 디렉토리, 건어물 품목 디렉토리 등과 같은 하부 디렉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디렉토리에 저장되는 재료 품목 데이터는 "품목코드", "품목명", "단위", "단가", "과세구분" 등과 같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재료 품목 데이터는 에이전트(202)에 의해서만 갱신 및 수정될 수 있으며, 시스템(200) 내에서 사이클 메뉴 작성 및 이에 근거한 재료 유통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전술한 계층적 구조의 디렉토리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디렉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서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는 과정 및 이에 필요한 재료를 시스템(200) 상에서 발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의 단계(S602)에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208)에서 사용할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기 위해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사이클 메뉴중 주메뉴, 즉 사이클 주메뉴의 생성 조건을 입력한다. 이때,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인터넷(204)을 통해 에이전트(202)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통신 터미널(terminal)(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고 있다.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로부터 입력된 생성 조건은 도 2의 인터넷(214)을 통해 에이전트(202)로 전송된다.
단계(S604)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입력된 생성 조건에 일치하는 메뉴가 메뉴 데이터베이스(304)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을 통해 검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는 사이클 주메뉴의 생성 조건을 입력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액세스할 수 있는 폴더(400) 내에 저장된 메뉴 데이터 중에서 검색된다. 이때,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 의해 입력되는 사이클 주메뉴의 생성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공장군과 사무실군과 대학교군 등으로 분류되는 사이클 메뉴군, 계절, 조식과 중식과 석식으로 분류되는 끼니, 한식과 양식과 일식 등으로 분류되는 사이클 메뉴 유형, 사이클 메뉴 적용 기간 또는 일수, 메뉴 원가, 조리 형태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S604)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입력한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주메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S602)로 리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단계(S604)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입력한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주메뉴가 검색된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S608)로 진행한다. 단계(S608)에서,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검색된 주메뉴 중에서 사이클 주메뉴로 등록할 주메뉴를 취사 선택한 다음 단계(S610)로 진행한다. 이때, 검색된 주메뉴가 한 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608)를 실행하지 않고 검색된 주메뉴를 사이클 주메뉴로 등록한 다음 단계(S610)로 진행한다. 단계(S610)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사이클 주메뉴 생성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10)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사이클 메뉴 생성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602)로 리턴하여 전술한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단계(S610)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사이클 주메뉴 생성을 완료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612)로 진행한다.
단계(S612)에서,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생성한 사이클 주메뉴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한다. 단계(S612)에서, 서버(202_2)는 메뉴 데이터베이스(304)의 부메뉴 디렉토리(404_2) 내에 저장되어 있는 부메뉴 데이터를 검색하여 입력된 부메뉴 생성 조건에 일치하는 부메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14)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입력된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부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612)로 진행하고, 이와 달리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입력된 생성 조건과 일치하는 부메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616)로 진행한다. 단계(S616)에서,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검색된 부메뉴 중 사이클 부메뉴로 등록할 부메뉴를 취사 선택한 다음 단계(S618)로 진행하여, 사이클 메뉴로 제공할 상시 메뉴 및 세트 메뉴를 입력한 다음 탭(tap) A를 통해 도 7의 단계(S620)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시 메뉴는 예를 들어, 밥, 김치류, 절임류 등과 같이 소비자에게 상시 제공되는 메뉴를 의미하며, 세트 메뉴는 주메뉴와 부메뉴로 구분되지 않고 주메뉴와 부메뉴가 하나의 메뉴로서 마련된 메뉴를 의미한다.
도 7의 단계(S620)에서,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208)에 제공할 사이클 메뉴를 확정한다. 확정된 사이클 메뉴는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소비자에게 제공될 모든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이클 메뉴가 확정되면 이는 메뉴 데이터베이스(304)의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404_3)에 저장된다. 이때,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정한 사이클 메뉴를 세분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고객군 또는 계절별로 구분하여 이에 대응하는 고객군별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 또는 계절별 사이클 메뉴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생성한 사이클 메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다수의 영업점(208)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S622)에서, 접속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확정한 사이클 메뉴를 적용할 다수의 영업점(208)을 등록한다. 케이터링 업체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이클 메뉴 적용 영업점으로 등록된 영업점은 메뉴 데이터베이스(304)에 저장된 사이클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게 된다. 단계(S624)에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다수의 영업점(208)에서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에 대한 발주 요청을 접수하여 취합한 다음 단계(S626)에서 이를 에이전트(202)로 발주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208) 각각이 등록된 사이클 메뉴를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최종 메뉴를 작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를 발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의 단계(S802)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인터넷(204)을 통해 접속한 영업점(208)이 해당하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서 등록한 사이클 메뉴를 적용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S802)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영업점(208)이 등록된 사이클 메뉴를 사용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제공할 최종 메뉴를 독자적으로 작성하여 등록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S816)로 진행한다. 단계(S816)에서, 접속한 영업점(208)은 메뉴 데이터베이스(304)에 저장된 액세스 가능한 메뉴 데이터에 근거하여 최종 메뉴를 작성한 다음 단계(S806)로 진행한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접속한 영업점(208)이 사용할 최종 메뉴를 메뉴 데이터베이스(304)에 등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S802)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접속한 영업점(208)이 등록된 사이클 메뉴를 적용하는 경우, 단계(S804)로 진행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최종 메뉴로서 사이클 메뉴를 등록한다. 영업점(208)에서 등록한 최종 메뉴 데이터는 케이터링 업체 데이터베이스(306)의 사전설정된 장소에 저장된다. 다음에, 단계(S806)에서 영업점(208)은 등록한 최종 메뉴 각각에 대해 예상되는 소비자의 수요를 입력한다. 그러면, 서버(202_2)는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을 통해 재료 물품 데이터베이스(312) 내에 저장된 재료 품목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베이스(304) 내에 저장된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에 필요한 재료의 수량을 산출한다. 산출된 재료의 수량 데이터는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 내의 사전설정된 장소에 임시로 저장된다.
단계(S808)에서, 영업점(208)은 확정된 최종 메뉴의 색(color) 조합, 조리기기 중복 여부, 재료 품목 중복 여부 등과 같은 구색을 검색한다. 단계(S810)에서, 영업점(208)은 단계(S808)에서의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최종 메뉴 등록을 완료한다. 단계(S812)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영업점(208)에 의해 등록된 최종 메뉴에 규제 사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S812)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등록된 최종 메뉴에 규제 사항(즉, 메뉴 규제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816)로 리턴하여 규제 사항에 대응하는 메뉴를 영업점(208)이 다른 메뉴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단계(S812)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등록된 최종 메뉴에 규제 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S814)로 진행하여 영업점(208)이 확정된 최종 메뉴에 근거하여 발주 요청서를 작성하여 해당하는 케이터링 업체 본사(210)로 이를 전송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때, 발주 요청서에 포함된 재료 품목은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재료 품목에 존재하는 것이어야 한다. 즉, 발주 요청서에 포함된 발주 재료 품목은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 내에 저장된 재료 품목 데이터로 제한되는 것이다.
도 9는 도 8의 단계(S814)에서 접속한 영업점(208)이 수행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단계(S902)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영업점(208)이 기입고된 재료 물품의 재고를 검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902)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영업점(208)이 필요한 재료를 발주하기 이전에 재고를 검색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904)로 진행하고, 이와 달리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재고를 검색하지 않는 경우 후술할 단계(S906)로 진행한다.
단계(S904)에서, 영업점(208)은 이전 발주 물량 중 현재 남아있고 사용 가능한 재료, 즉 재고를 검사한다. 상세하게, 영업점(208)이 에이전트(202)로 재고 확인을 요청하면,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을 통해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 상에 마련된 각각의 영업점(208)에 대응하는 폴더에 저장된 재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고를 검색한다. 이 재고 데이터는 영업점(208)에서 재료를 사용한 내역을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에 의해 해당 영업점(208)에 입고된 재료 물량에서 차감하여 이를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 내에 저장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단계(S906)에서, 영업점(208)은 단계(S904)에서의 검색 결과를 참고하여 발주 물량을 생성한 다음 단계(S908)로 진행한다. 단계(S908)에서, 서버(202_2)는 영업점(208)이 생성한 발주 물량을 수정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S908)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영업점(208)이 생성한 발주 물량을 수정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후술할 단계(S912)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단계(S908)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영업점(208)이 생성한 발주 물량을 수정하는 경우, 단계(S910)로 진행하여 영업점(208)이 생성한 발주 물량을 수정한다. 단계(S912)에서, 서버(202_2)는 영업점(208)에 의해 수정된 발주 물량 중 규제 사항에 해당하는 품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환언하면, 단계(S912)에서는 품목 규제 사항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단계(S912)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영업점(208)에서 수정한 발주 물량 중 규제 사항에 해당하는 품목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S910)로 리턴하여 영업점(208)으로 하여금 발주 물량중 해당하는 품목을 다시 수정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단계(S912)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영업점(208)에서 수정한 발주 물량중 규제 사항에 해당하는 품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S914)로 진행하여 영업점(208)의 발주 물량을 확정한다. 여기서, 영업점(208)에서 필요로하는 재료의 특성상 사용될 날짜보다 먼저 입고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발주 물량 생성 시점과 추가 발주 시점 사이에 필연적으로 시간차가 존재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발주 물량 생성 단계(S906)와 발주 물량 수정 단계(S910) 각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규제 사항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지해야 한다.
다음에, 단계(S916)에서 영업점(208)은 확정한 발주 물량에 근거하여 발주 요청서를 작성하고 이를 해당하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로 전송한 다음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에이전트(202)에게 필요한 재료의 발주를 요청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10의 단계(S1002)에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영업점(208) 각각의 발주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세하게,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에이전트(202)로 다수의 영업점(208) 각각의 발주 현황 검색을 의뢰하면, 이에 응답하여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을 통해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 내에 저장된 발주 데이터에 근거하여 요청한 데이터를 케이터링 업체(210)에게 전송한다.
다음에, 단계(S1004)에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필요한 재료를 발주하지 않은 미발주 영업점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S1004)에서의 검사 결과가 긍정, 즉 필요한 재료를 발주하지 않은 영업점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S1010)로 진행하여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해당하는 미발주 영업점에 발주서를 요청한 후 단계(S1004)로 리턴한다. 이와 달리, 단계(S1004)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미발주 영업점이 없는 경우,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는 단계(S1006)로 진행하여 다수의 영업점(208) 각각으로부터 발주된 발주서를 취합한 후, 단계(S1008)에서 발주 데이터를 에이전트(202)로 전송한 다음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 발주 데이터는 소정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가 운영하고 있는 모든 영업점에서 필요한 재료의 품목 및 수량 등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에이전트(202)와 다수의 물품 공급업체(206) 및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재료 유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의 단계(S1102)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발주 데이터를 접수한 다음 단계 (S1104)로 진행한다. 이때, 접수한 발주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을 통해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의 사전설정된 장소에 저장된다. 단계(S1004)에서, 에이전트(202)의 서버(202_2)는 발주 데이터의 접수 마감 시각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1104)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발주 데이터의 접수 마감 시각이 아닌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단계(S1102)로 리턴하여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로부터 발주 데이터를 계속 접수한다. 이와 달리, 단계(S1104)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발주 데이터의 접수 마감 시각인 경우, 에이전트(202)의 서버 (202_2)는 단계(S1106)로 진행하여 데이터베이스 엔진(302)을 통해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어 있는 케이터링 업체별 발주 데이터를 검색한 다음 단계(S1108)로 진행한다.
단계(S1108)에서, 서버(202_2)는 재료 유통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케이터링 업체별 발주 데이터를 취합하여, 이를 재료 품목 데이터베이스(31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재료 품목 데이터에 근거하여 품목별로 구분한 품목별 발주 데이터를 작성한다. 여기서, 서버(202_2)에 의해 작성된 품목별 발주 데이터는 다수의물품 공급 업체(206)로 전송할 데이터이다. 단계(S1110)에서, 서버(202_2)가 동일한 재료 품목에 대해서는 공동 구매를 통해 구입 원가를 낮추기 위해,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로부터 발주할 재료 품목 각각에 대한 견적서를 수신한다. 다음에, 단계(S1112)에서 서버(202_2)는 수신한 견적서에 근거하여 재료 품목별로 물품 공급 업체를 선정한다. 이때, 물품 공급 업체 선정 기준으로는 예를 들어, 재료 물품의 가격, 공급 조건, 공급 기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종래의 역경매 방식과 같이 저렴한 가격으로 재료를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전에 각각의 재료 품목에 대한 물품 공급 업체가 선정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전술한 단계(S1110) 및 단계(S1112)를 수행하지 않고 후술하는 단계(S1114)로 진행한다.
단계(S1114)에서, 서버(202_2)는 단계(S1112)에서 선정된 물품 공급 업체에 해당하는 품목의 발주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물품 공급 업체(206)는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를 통해 수주된 물품을 각각의 영업점(208)에 납품한다. 이때,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는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로 출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근거하여 다수의 물품 운송 업체(212)가 수주된 재료 물품을 지정된 각각의 영업점(208)에 납품할 재료 품목을 포함하는 운송 데이터를 해당하는 물품 공급 업체(206)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하는 물품 공급 업체(206)는 이를 출고 데이터와 비교한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한 다음 이상이 발생한 경우 재료 물품이 정확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 후 납품 데이터를 에이전트(202)로 전송한다.
단계(S1116)에서, 서버(202_2)는 다수의 영업점(208) 각각으로부터 물품 운송 업체(212)를 통해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가 납품한 재료 물품에 대한 입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1118)에서, 서버(202_2)는 다수의 영업점(208)으로부터 수신한 입고 데이터와 물품 공급 업체(206)에 전송한 발주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들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S1118)에서의 검사 결과가 부정, 즉 발주 데이터와 입고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탭 B를 통해 도 12에 도시한 단계(S1202)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단계(S1118)에서의 검사 결과가 긍정, 즉 발주 데이터와 입고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서버(202_2)는 단계(S1120)로 진행하여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별로 통계 데이터를 작성한 후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12의 단계(S1202)에서, 서버(202_2)는 일치하지 않는 입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를 검색한 후, 단계(S1204)에서 검색된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에 해당하는 다수의 영업점(208)으로부터의 발주 데이터를 검색한다. 단계(S1206)에서, 서버(202_2)는 단계(S1204)에서의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사고 물품을 검색한다. 다음에, 단계(S1208)에서 서버(202_2)는 사고 물품을 공급한 물품 공급 업체(206)의 납품 데이터와 비교한다.
단계(S1210)에서, 서버(202_2)는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206)가 전송한 출고 데이터에 근거하여 납품 데이터 상의 사고 물품이 정상적으로 물품 운송 업체(212)로 출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210)에서의 판단 결과가 부정, 즉 사고 물품이 물품 공급 업체(206)에서 정상적으로 출고되지 않은 경우, 서버(202_2)는단계(S1216)로 진행하여 해당 물품 공급 업체(206)에게 사고 물품에 대한 조치를 요청한 다음 후술할 단계(S1214)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단계(S1210)에서의 판단 결과가 긍정, 즉 발주 재료 물품이 물품 운송 업체(212)의 운송 과정 중 문제가 발생한 경우, 서버(202_2)는 단계(S1212)로 진행하여 해당 물품 운송 업체(212)에게 사고 물품에 대한 대한 조치를 요청한 다음 탭 C를 통해 도 11의 단계(S1120)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이전트(202)의 제어하에 시스템(200) 상에서 온라인으로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210)의 사이클 메뉴 작성 및 이에 근거한 재료 유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소정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가 자체적으로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을 적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통상적인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와 유사하게 에이전트(202)가 해당하는 케이터링 업체 본부의 전용으로 운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고 예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본부, 다수의 영업점, 에이전트, 다수의 물품 공급 업체간에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이에 필요한 재료의 수주 및 발주와 연관된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여 재료의 수주 및 발주 과정을 온라인 상에서 처리함으로써, 동일한 재료에 대해서는 공동 구매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는 다수의 영업점 각각에 입고된 재료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각각의 영업점에서 발주한 재료를 적기에 해당하는 영업점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영업점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음식 메뉴의 품질을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사이클 메뉴를 통해 케이터링 업체 본사에서 관리 및 감독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양질의 음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다수의 영업점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음식의 메뉴를 사이클 메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영업점에서는 이에 필요한 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케이터링(catering) 업체,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포함하는 에이전트(agent)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상에서 사이클 메뉴(cycle menu)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사이클 메뉴 생성 조건을 상기 에이전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이클 메뉴 생성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이클 메뉴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음식 메뉴인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에 의해 마련되는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recip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및 상기 다수의 영업점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와,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에서 사용되는 재료(ingredient)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3 저장부
    를 포함하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이클 메뉴와 연관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 메뉴는 상기 제 1 저장부의 상기 메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와 연관된 데이터는 상기 메뉴 데이터 및 상기 레시피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에이전트에 의해 마련되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및 상기 다수의 영업점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에이전트에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데이터는 상기 메뉴 데이터 각각에 대해 마련되는 사이클 메뉴 생성 방법.
  8.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영업점,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상에서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용될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를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중 대응하는 케이터링 업체에 요청하는 단계와,
    c)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다수의 영업점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료 구매 요청을 취합하고 재료 구매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재료 구매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재료 발주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가 상기 재료 발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료 물품을 해당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에 제공한 다음 이에 대한 재료 납품 데이터를 상기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음식 메뉴인 재료 유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에 의해 마련되는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및 상기 다수의 영업점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부와,
    상기 에이전트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메뉴 데이터 및 상기 레시피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사이클 메뉴에서 사용되는 재료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3 저장부와,
    상기 재료 구매 요청과 연관된 데이터, 상기 재료 구매 데이터, 상기 재료 발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4 저장부
    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상기 에이전트에 의해 마련되는 메뉴 데이터 및 레시피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재료 유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 상에서의 재료 유통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5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납품 데이터가 상기 제 5 저장부에 저장되는 재료 유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이클 메뉴와 연관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재료 유통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사이클 메뉴의 생성 조건을 상기 에이전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a2) 상기 생성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 1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메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a3)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최종 메뉴로 상기 제 1 저장부에 등록하는 단계와,
    b2)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상기 등록한 사이클 메뉴에 대한 예상 소비자 수요 데이터를 상기 에이전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b3)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예상 소비자 수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레시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등록 사이클 메뉴에 사용될 재료의 수량을 산출하여 해당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b4) 상기 산출된 재료 수량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에 재료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4)는,
    b41)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 2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재고 물품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b42)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상기 검색된 재고 물품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산출된 재료 수량을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재고 물품 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사용한 재료의 품목 및 수량을 상기 에이전트로 제공하면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서버가 생성하는 데이터인 재료 유통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 4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재료 구매 요청과 연관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접수된 상기 재료 구매 요청의 현황을 검색하는 단계와,
    c2) 상기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 중에서 상기 재료 구매 요청을 수행하지 않은 영업점에게 재료 구매 요청을 요구하는 단계와,
    c3)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으로부터의 상기 재료 구매 요청을 취합하여 상기 재료 구매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
    c4)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작성된 상기 재료 구매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 4 저장부에 저장한 다음 상기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서버가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으로부터 상기 재료 구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d2)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 3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재료와 연관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재료 구매 데이터에 포함된 재료를 품목별로 분류하여 상기 재료 발주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
    d3) 상기 서버가 상기 재료 발주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중 해당하는 업체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3)은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로부터 상기 재료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재료 품목에 대한 판매 예정 가격을 수신하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 중 납품 업체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유통 방법은,
    f) 상기 다수의 영업점 각각이 요청한 상기 재료에 대한 입고 데이터를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g) 상기 서버는 상기 재료 납품 데이터, 상기 재료 발주 데이터, 상기 입고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고 물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단계 g)의 판단 결과 사고 물품이 발생한 경우,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중 상기 사고 물품을 납품한 물품 제공 업체에 상기 사고 물품에 대한 조치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료 유통 방법.
  2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필요한 재료를 유통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와,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고 있으며,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에 근거하여 필요한 재료를 구매하는 다수의 영업점과,
    상기 구매 재료를 상기 다수의 영업점중 해당하는 영업점에 제공하는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상기 다수의 영업점,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재료의 유통과 연관된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에이전트
    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된 사이클 메뉴는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운영하는 상기 다수의 영업점에서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음식 메뉴인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상에 구현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는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각각이 상기 사이클 메뉴를 작성하는 데 사용하는 제 1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제 2 코드 세그먼트와,
    상기 다수의 케이터링 업체, 상기 다수의 영업점, 상기 다수의 물품 제공 업체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제공하기 위한 제 3 코드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010022383A 2001-04-25 2001-04-25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35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383A KR100357836B1 (ko) 2001-04-25 2001-04-25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383A KR100357836B1 (ko) 2001-04-25 2001-04-25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782A KR20010087782A (ko) 2001-09-26
KR100357836B1 true KR100357836B1 (ko) 2002-10-25

Family

ID=1970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383A KR100357836B1 (ko) 2001-04-25 2001-04-25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664A (ko) * 2001-08-21 2003-03-04 명문넷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
KR100652510B1 (ko) * 2005-12-28 2006-12-01 박지훈 e-ERP개념에 의한 RTBD기술을 이용한식품모니터링시스템
KR100936397B1 (ko) * 2006-12-20 2010-01-12 최병철 식품 및 재료 관리장치
US8859047B2 (en) 2010-02-23 2014-10-14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Use of ruthenium tetroxide as a precursor and reactant for thin film depositions
KR20160023005A (ko) 2014-08-20 2016-03-03 이효섭 레시피 식재료 통합 구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6984B1 (ko) * 2020-04-10 2022-05-16 주식회사 리프이노베이션 케이터링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와 판매자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72A (ko) * 2000-09-26 2000-12-05 신동필 급식소 식자재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식자재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72A (ko) * 2000-09-26 2000-12-05 신동필 급식소 식자재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식자재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782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ters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roduction to logistics
Bovet et al. Value nets: breaking the supply chain to unlock hidden profits
CA2550852C (en) Integrated global tracking and virtual inventory system
KR101994607B1 (ko) 식음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식자재 유통 시스템
US7801776B2 (en) Method of controlling product inventory
WO2000068856A2 (en) Electronic commerce enabl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MXPA03000231A (es) Sistemas y metodos para la administracion en cadena del cumplimiento y suministro de extremo a extremo.
KR100357836B1 (ko) 사이클 메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재료를 유통시키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Dani Food Supply Chain Management and Logistics: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of Production, Operation and Sustainability in the Food Industry
Collins et al. The impact of coupled‐consolidation: experiences from the Irish food industry
Foulds et al. Value-added services for sustainable third-party warehousing
Shenoy et al. Inventory control systems: Design factors
US200600475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owering purchasers to maximize economies of scale
JP2008009670A (ja) 料理・食材の受注・配送方法及び配送システム
US202002655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Marketplace of Homemade Foods
KR20080040663A (ko) 재화의 특징 옵션에 따른 일자별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시스템
Memon Transportation interoperable planning in the context of food supply chain
JP4471296B2 (ja) 生鮮魚介類の流通システム
JP2004078469A (ja) 注文処理システム
Yuwono Distribution Systems as a Component of Supply Chain at Hypermarket: Does It Matter?
JP2003341847A (ja) 通いコンテナ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30032128A (ko) 예약주문 중개서비스 시스템 및 예약주문 중개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032133A (ko) 예약주문 중개서비스 시스템 및 예약주문 중개서비스 제공방법
JP2001265975A (ja) 物品仕入れシステム用サーバー
Rabinovich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e internet: transaction and product distribution effici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