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100B1 - 세경관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세경관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100B1
KR100357100B1 KR1019990058012A KR19990058012A KR100357100B1 KR 100357100 B1 KR100357100 B1 KR 100357100B1 KR 1019990058012 A KR1019990058012 A KR 1019990058012A KR 19990058012 A KR19990058012 A KR 19990058012A KR 100357100 B1 KR100357100 B1 KR 10035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s
heat exchanger
row
air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526A (ko
Inventor
진대현
나병철
장동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100B1/ko
Priority to JP2000372252A priority patent/JP2001194084A/ja
Priority to US09/732,903 priority patent/US6585037B2/en
Priority to CN00137608.XA priority patent/CN1205451C/zh
Priority to CNB2005100591125A priority patent/CN100350208C/zh
Priority to CN200510059111.0A priority patent/CN1654914A/zh
Publication of KR2001005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100B1/ko
Priority to US10/406,255 priority patent/US6698508B2/en
Priority to US10/406,228 priority patent/US6691773B2/en
Priority to JP2004003422U priority patent/JP3105901U/ja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8Fins with openings, e.g. lou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전열관을 5∼6㎜의 관경을 가지는 세경관으로 형성하여 압력손실을 저감하고, 열교환 성능의 저하는 방지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가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그 제조를 위한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대체냉매의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적치되어 있고, 면상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결합공(210)이 상기 면상에 대하여 최소 하나 이상의 단(段)을 이루도록 배치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210) 사이인 어느 한 측의 면상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개구된 상태로써 그 면을 기준으로하여 동일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편(220a) 및 상기 돌출편의 양측면을 이루면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입상편(220b)으로 이루어진 슬릿(220)이 전체적으로 4열(列)의 군(群)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4열의 군을 이루는 슬릿중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첫째 열과 넷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두개의 단위 슬릿(221a)(221b)(224a)(224b)으로 각각 분할되어 구성됨과 함께 둘째 열과 셋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단일화된 상태로 각각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진 냉각핀(200)과; 상기 각 냉각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대략 5∼6㎜의 관경을 가지며, 그 내부를 따라 냉매가 유동하는 전열관(10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경관형 열교환기{heat-exechanger is made up of pipe is formed of small diameter}
본 발명은 핀튜브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조비용의 저감을 이룸과 함께 그 효율은 종래 일반적인 열교환기에 비해 상승하고, 또한 압력손실로 인해 소요되는 모터의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그 크기를 소형으로 구성한 세경관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라 함은 냉ㆍ난방싸이클에 주로 적용되는 기기로써 주로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그 외부를 유동하는 기체간의 열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 등의 유체 사이에서 열의 수수(授受)를 행하면서 공조기기, 냉장고 등의 냉각 시스템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중 핀튜브형 열교환기(Fin-Tube type Heat-Exchanger)라 함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유체가 흐를수 있는 전열관(10)상에 판상의 냉각핀(20)을 다수개 고정하여 전열면적을 늘려줌에 따라 열교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 열교환기이다.
이 때, 상기 각 냉각핀(20)은 전열관(10)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된 상태를 이룸과 함께 상호간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적치된 상태로써 전열관(10)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핀의 면상에는 전열관(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공(21)이 도면상 냉각핀(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등 2개의 단(段)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단에 형성된 결합공(21) 및 동일단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공(21)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개구된 다수의 돌출편(22a)이 상기 냉각핀의 전면과 후면으로 교호(交互)된 상태로써 대응하여 돌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각 돌출편의 양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전열관의 주위를 원활하게 선회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유도하는 입상편(22b)이 상호 일체화된 상태로써 이루어지는 슬릿(2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싸이클의 동작에 의해 전열관(10)의 냉매유입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전열관을 통과하면서 전열관(10)을 냉각시켜 상기 전열관의 온도를 저하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온도 저감에 의해 상기 전열관과 접촉하고 있는 다수의 냉각핀(20) 및 상기 냉각핀에 형성된 각 슬릿(22) 역시 그 온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는 열교환기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원(공기)이 도시하지 않은 팬의 회전에 의해 각 냉각핀(20)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기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가 저감된 전열관(10), 냉각핀(20), 슬릿(22)과 접촉하면서 그 잠열과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 때에는 유동하는 공기가 각 냉각핀(20)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22)을 통과하는 도중 상기 각 슬릿에 부딪혀 기류의 난류화가 이루어짐과 함께 각 입상편(22b)에 의해 그 유동을 안내받아 전열관(10)의 둘레부위를 따라 흐름으로써 열교환 효과가 더욱 촉진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실내를 향하여 계속적으로 유동하면서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핀튜브형 열교환기중 냉각핀(20)에 형성된 각 슬릿(22)은 상기 냉각핀의 어느 한 단(段)에 형성된 결합공(21)의 중심과 그 측부에 형성된 여타 결합공(21)의 중심을 연결한 선상으로부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된 상태로써 3열(列)씩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각핀의 다른 한 단(段)에도 역시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냉각핀(20)의 각 단(段)에 형성된 6열의 슬릿(22)중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형성된 첫째 열의 슬릿과 그 반대측에 형성된 마지막 열의 슬릿은 세개의 세편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다른 열의 슬릿(22)에 비해 그 돌출 높이(h)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동하는 공기의 난류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기 전술한 바와 같이 핀튜브형 열교환기의 개선방향이 단순히 난류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주력하였으나 이는, 큰 압력손실의 상승으로 인하여 막대한 전력을 소비시킴과 함께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손상과 소음의 발생을 유발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그 제조비용 역시 과도하게 들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의 일반적인 추세가 소형화를 달성하도록 하는데 있음을 고려할 때 전술한 종래의 열교환기 구조로는 이를 달성하기가 불가능하여 결국, 소형화된 제품으로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다.
즉, 종래에는 전열관의 관경이9.52㎜,7㎜ 등으로 이루어진 전열관을 사용함으로써 각 냉각핀의 폭이 이에 맞게 설정되었으며, 또한 상기 각 냉각핀에 형성된 각 슬릿의 배치 및 그 형상 역시 이에 맞게 설정되어 있음에 따라 전열관의 관경을 축소시켜 보다 소형의 열교환기를 제조한다 하더라도 각 냉각핀의 폭()을 축소시키기에는 그 한계를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각 슬릿의 배치 및 구성에 따른 특성 때문으로써 그 형상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과도한 난류로 인해 팬동력의 증가를 유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막대한 전력 소비 및 모터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종래와 같은 냉각핀의 각 슬릿이 이루는 열수가 6열임을 고려할 때 상기 냉각핀의 폭을 좁히기 위한 공정이 상당히 어려워짐에 따라 생산적인 문제와 직결되어 현실적으로는 그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전열관을 5∼6㎜의 관경을 가지는 세경관으로 형성하여 압력손실의 저감을 도모하고, 열교환 성능의 저하는 방지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가 최적의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그 제조를 위한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대체냉매의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핀튜브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핀튜브형 열교환기의 냉각핀에 형성되는 슬릿의 형상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세경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 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 은 도 5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열관 200. 냉각핀
210. 결합공 220. 슬릿
230. 입상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적치되어 있고, 면상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결합공이 상기 면상에 대하여 최소 하나 이상의 단(段)을 이루도록 배치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 사이인 어느 한 측의 면상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개구된 상태로써 그 면을 기준으로하여 동일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의 양측면을 이루면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입상편으로 이루어진 슬릿이 전체적으로 4열(列)의 군(群)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4열의 군을 이루는 슬릿중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첫째 열과 넷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두개의 단위 슬릿으로 각각 분할되어 구성됨과 함께 둘째 열과 셋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단일화된 상태로 각각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진 냉각핀과; 상기 각 냉각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5∼6㎜의 관경을 가지며, 그 내부를 따라 냉매가 유동하는 전열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세경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6 은 도 5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은 종래 열교환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즉, 다수의 슬릿(220)이 군(群)을 이루면서 형성된 냉각핀(200)과, 상기 각 냉각핀에 형성된 각 결합공(210)을 관통하여 결합된 전열관(100)으로 크게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세경관형 열교환기의 전열관(100) 관경(;5∼6㎜)은 종래 열교환기의 전열관(10) 관경(;9.52㎜, 7㎜)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세경관형 열교환기의 냉각핀(200) 폭()은 종래 열교환기의 냉각핀(20)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됨에 따라 그 상세한 구조 역시 틀려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냉각핀(200)의 각 단(상부단 및 하부단)에 군(群)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각 슬릿(220)이 각 군마다 4열(列)을 이루도록 배치 형성하고, 냉각핀(200)의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210) 중 동일 단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결합공 중심과 그 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결합공 중심 사이의 거리()는 19㎜~20㎜를 이루도록 배치하며, 냉각핀(200)의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210) 중 서로 다른 단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결합공 중심과 그 하단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결합공 중심 사이의 거리()는 10㎜~11㎜를 이루도록 배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결합공과 결합공 사이의 단방향 거리 및 열방향 거리가 전술한 범위대의 이상, 혹은 그 이하의 범위대를 벗어나게 되면 급격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가 이루어짐과 함께 그 제조 비용면에서도 급격한 상승을 유발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대로의 구성이 가장 적절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최소한의 제조 비용을 사용하여 최대한의 열교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4열의 군(群)을 이루는 각 슬릿(220) 중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첫째 열과 넷째 열에 위치되는 슬릿은 두 개의 단위슬릿(221a)(221b)(224a)(224b)으로 각각 분할하여 구성하고, 둘째 열과 셋째 열에 위치된 슬릿(222)(223)은 일체로써 단일화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원활한 공기의 유동은 가능하되 각 슬릿(220)을 통과하게 되는 공기의 난류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열을 가지는 각 슬릿(220)은 냉각핀(200)의 어느 한 면을 기준으로하여 전체적으로 동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는 세경관형 열교환기의 특징상 각 냉각핀(200) 사이 사이의 간격이 좁음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급격한 압력손실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각각의 슬릿(220)을 구성하는 돌출편(220a)을 냉각핀(200)의 양 면중 어느 한 면을 기준으로 동일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냉각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각 슬릿의 돌출 거리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대략 각 냉각핀(200) 간의 간격인 냉각핀 피치()의 1/2로 이룸으로써 각 슬릿(220)이 공기와는 원활히 접촉하나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치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슬릿(220)은 전체적으로 냉각핀(200)의 각 결합공(2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전열관(100)의 둘레를 따라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슬릿(220)을 구성하는 각 입상편(220b)이 이루는 각각의 각도를 냉각핀(200)에 형성되는 결합공(210)의 주위를 따라 가상의 원(C)을 형성할 때 각슬릿(220)의 열(列)이 이루는 방향을 따라 가상으로 형성하는 선과 상기 가상의 원에 접하는 접선(각 슬릿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가상의 원 중심을 향하여 형성된 가상의 선)(L)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 혹은, 유사한 각도로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통과후 전열관(100) 후류측에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유동의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입상편(220b)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 슬릿의 형상은 도시한 도 4와 같다.
즉,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첫째 열 및 넷째 열에 배치되는 두 개의 단위 슬릿(221a)(221b)(224a)(224b)은 상호간의 중앙측을 향하여 내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둘째 열 및 셋째 열에 배치되는 각 슬릿(222)(223)은 상호간의 열측으로 갈수록 점차 개구부위가 축소되는 등각사다리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상기 두 단위 슬릿의 양측면을 이루는 입상편(220b) 중 각 단위 슬릿(221a)(221b)(224a)(224b)의 내측에 위치된 입상편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경사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기류의 난류화를 촉진시킴이 열교환 성능 향상을 위해 더욱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경관형 열교환기에 의해 실내 공기가 전열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전열관(100)의 냉매유입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전열관을 통과하면서 전열관(100) 및 이에 접촉된 상태로 적치되어 설치된 각 냉각핀(200)으로 그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팬의 회전에 의해 열교환기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동하여 각 냉각핀(200)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4열(列)의 군(群)을 이루고 있는 각 슬릿의 첫째 열에 배치된 슬릿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첫째 열의 슬릿은 두 개의 단위 슬릿(221a)(221b)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각각의 입상편(220b)은 유입되는 공기를 중앙측으로 모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각 단위 슬릿(221a)(221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 입상편(220b)에 의해 유로의 흐름을 안내받아 모아짐과 동시에 이로 인한 난류화가 이루어져 열교환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첫째 열의 각 단위 슬릿(221a)(221b)을 통과한 공기는 둘째 열 및 셋째 열의 각 슬릿(222)(2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슬릿의 각 입상편(220b)에 의해 그 유로를 안내받으면서 그 유속 분포의 균일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공기는 계속적으로 넷째 열에 배치된 두 개의 단위 슬릿(224a)(224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단위 슬릿의 입상편(220b)에 의한 유로의 안내를 받아 이 군(群)을 이루는 슬릿(220)의 각 양측부위에 위치되어 있는 전열관(100)의 후방측을 향해 분산되어 계속적인 열교환의 수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 군(群)을 이루는 각 슬릿(220)을 통과하는 공기는 각 슬릿을 구성하는 입상편(220b)에 의해 그 흐름의 안내를 받아 전열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열교환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작용으로 인해 기류의 영향이 전열관(100)의 후방측에 까지 원활히 미치게 되어 전열관(100)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기류의 사영역 발생은 방지될 수 있음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핀(200)에 다수의 군을 이루면서 형성된 각 슬릿(220)이 상기 각 군(群) 마다 각각 4열의 배치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보다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여 각 냉각핀(200) 사이로의 공기 유동에 따른 압력손실의 방지를 이룰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각 냉각핀(200)에 형성된 각 슬릿(220)이 상기 냉각핀의 어느 한 면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 방향으로만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더욱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작용에도 불구하고 열교환 성능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음은 본 발명에 따른 세경관형 열교환기의 구성이 각 냉각핀(200) 간의 간격()을 종래에 비해 좁게 배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 냉각핀(200)을 관통하는 전열관과 전열관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었음에 따라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전열관의 열(列)간 거리 및 단(段)간 거리를 종래에 비해 좁게 형성하고, 상기 각 냉각핀에 형성되는 각 슬릿의 열수를 줄이며, 상기 각 슬릿의 돌출 방향이 동일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함께 이에 안내되는 기류의 방향이 전열관의 주변부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열관의 관경이 5∼6㎜의 세경관형 열교환기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즉, 소형의 열교환기 구성을 위한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던 열교환 성능의 저하 및 공기의 난류화 촉진으로인한 과도 전력 소비의 문제점을 해결한 세경관형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으로 인하여 열교환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용상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가 있었고, 결국, 간결한 열교환기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그 적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음과 함께 대체냉매의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 역시 있다.

Claims (4)

  1.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적치되어 있고, 각각의 면상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결합공이 상기 면상에 대하여 최소 하나 이상의 단(段)을 이루도록 배치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 사이의 면상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개구된 상태로써 그 면을 기준으로하여 동일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의 양측면을 이루면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입상편으로 이루어진 슬릿이 전체적으로 4열(列)의 군(群)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하고, 상기 4열의 군을 이루는 슬릿중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 첫째 열과 넷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두개의 단위 슬릿으로 각각 분할되어 구성됨과 함께 둘째 열과 셋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단일화된 상태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 중 동일단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결합공 중심과 그 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결합공 중심 사이의 거리는 19∼20mm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냉각핀과;
    상기 각 냉각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5∼6㎜의 관경을 가지며, 그 내부를 따라 냉매가 유동하는 전열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첫째 열 및 넷째 열에 위치된 두개의 단위 슬릿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상호간의 중앙측으로 기울어진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그 입상편을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고,
    둘째 열과 셋째 열에 위치된 슬릿은 상호 대응된 상태로써 상호간으로 갈수록 개구부위가 축소되는 등각사다리꼴의 형상을 이루도록 그 입상편을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의 면상에 형성된 각 결합공 중 서로 다른 단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결합공 중심과 그 하단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결합공 중심 사이의 거리는 10㎜~11㎜를 이루도록 배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구성하는 각 입상편이 이루는 각각의 각도를 상기 냉각핀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주위를 따라 가상의 원(C)을 형성할 때, 각 슬릿의 열이 이루는 방향을 따라 가상으로 형성하는 선과 상기 가상의 원에 접하는 접선(L)이 이루는 각도(θ)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19990058012A 1999-12-15 1999-12-15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35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012A KR100357100B1 (ko) 1999-12-15 1999-12-15 세경관형 열교환기
JP2000372252A JP2001194084A (ja) 1999-12-15 2000-12-07 フィン・チューブ型の熱交換器
US09/732,903 US6585037B2 (en) 1999-12-15 2000-12-11 Fin and tube type heat-exchanger
CNB2005100591125A CN100350208C (zh) 1999-12-15 2000-12-15 翅片管型热交换器
CN00137608.XA CN1205451C (zh) 1999-12-15 2000-12-15 翅片管型热交换器
CN200510059111.0A CN1654914A (zh) 1999-12-15 2000-12-15 翅片管型热交换器
US10/406,255 US6698508B2 (en) 1999-12-15 2003-04-04 Fin and tube type heat-exchanger
US10/406,228 US6691773B2 (en) 1999-12-15 2003-04-04 Fin and tube type heat-exchanger
JP2004003422U JP3105901U (ja) 1999-12-15 2004-06-14 フィン・チューブ型の熱交換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012A KR100357100B1 (ko) 1999-12-15 1999-12-15 세경관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526A KR20010056526A (ko) 2001-07-04
KR100357100B1 true KR100357100B1 (ko) 2002-10-19

Family

ID=1962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012A KR100357100B1 (ko) 1999-12-15 1999-12-15 세경관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903B1 (ko) 2005-07-28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열 교환 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40B1 (ko) * 2005-02-25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903B1 (ko) 2005-07-28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열 교환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526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037B2 (en) Fin and tube type heat-exchanger
KR100225627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CN110726325A (zh) 用于管翅式换热器的翅片、管翅式换热器及空调器
KR100357100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357099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357134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357131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357132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KR100344801B1 (ko) 핀 튜브형 열교환기
KR100357133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JPH11141904A (ja) 熱交換器
KR19980086240A (ko)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KR100357101B1 (ko) 세경관형 열교환기
CN211425174U (zh) 用于管翅式换热器的翅片、管翅式换热器及空调器
JP2001041671A (ja) 空調用熱交換器
JP2000227230A (ja) 空気調和機用熱交換コイル
KR100498303B1 (ko)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JPH10220979A (ja) フィン形熱交換器
KR100484913B1 (ko) 열교환기
KR100484912B1 (ko) 열교환기
KR200319484Y1 (ko) 열교환기
KR19990047285A (ko) 핀-튜브형 열교환기
KR100388676B1 (ko) 열교환기
JPS63197884A (ja) フイン付熱交換器
JPH035694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