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632B1 - 유리창와이퍼시스템용와이퍼아암 - Google Patents

유리창와이퍼시스템용와이퍼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632B1
KR100355632B1 KR1019960705096A KR19960705096A KR100355632B1 KR 100355632 B1 KR100355632 B1 KR 100355632B1 KR 1019960705096 A KR1019960705096 A KR 1019960705096A KR 19960705096 A KR19960705096 A KR 19960705096A KR 100355632 B1 KR100355632 B1 KR 10035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astening
wiper arm
nut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642A (ko
Inventor
에그너-발터 브루노
슈미트 에크하르트
숄 볼프강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59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mounting head and a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 Y10T403/1608Holding means or protector functioning only during transportation, 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부재(1)에 배치되고 적합하게는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되는 개구부(7)에 의해, 적합하게는 상응하는 수형 원추부(23)로서 형성되는 구동 스핀들(8)의 단부상에 끼워 넣어지거나 그 단부내에 밀어 넣어지며, 축방향으로 구동 스핀들(8)에 작용하는 고정 너트(9) 또는 고정 나사(13) 형태의 고정 수단에 의해 구동 스핀들(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 특히 차량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아암을 구동 스핀들(8)에 조립하는 작업을 간단히 할 뿐 아니라, 추가의 보조 수단 없이, 또한 와이퍼 아암 또는 구동 스핀들(8)의 손상 없이 와이퍼 아암이 구동 스핀들(8)로부터 간단히 분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고정 수단(9, 13)은 구동 스핀들(8)로부터 와이퍼 아암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적어도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유지된다.

Description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와이퍼 아암이 피벗식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조립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이다. 구동 샤프트의 피벗식 회전 운동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과 이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의 각도에 상응하게 피벗 운동을 수행한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와이퍼 아암은 개구부가 마련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이 개구부는 대개 암형 원추부로서 형성된다. 이 개구부는 구동 샤프트와 동축으로 연장되며, 이어서 그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와이퍼 아암이 고정된다. 구동 샤프트에 와이퍼 아암을 조립하기 위해, 고정 부재의 개구부는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진다. 별개의 고정 너트 또는 별개의 고정 나사를 구동 샤프트 또는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는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동 샤프트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고정 부재와 고정 너트 또는 고정 나사 사이에 와셔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와이퍼 아암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DE-GM 71 04 759에는 다이 캐스트 부품으로서 제작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고정 부재는 암형 원추부로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의 개구부는 중실(中實) 샤프트의 일단에 위치된 널링된(knurled) 원추부에 끼워 넣어지고 별개의 고정 너트에 의해 유지된다. 이 경우, 고정 너트는 널링된 원추부의 연장부 형태의 고정 부재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의 나사식 스템(stem)에 나사 결합된다. 합성수지제 커버 캡은 고정 너트를 포함한 조립된 고정 부재를 둘러싼다.
DE 41 40 959 A1에는 고정 부재가 금속제의 박판 본체로 제작된 다른 와이퍼 아암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박판 본체에는 금속 주조 부품이 고정된다. 이 금속 주조 부품은 와이퍼 샤프트의 원추형 단부에 상대 회전할 수 없게 조립되는 원추형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러함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샤프트에 조립하는 작업은 원추부와 원통형의 나사식 돌출부가 마련된 와이퍼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 부재를 삽입하고, 별도의 고정 너트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에 의하여, 고정 부재의 주조 부품은 와이퍼 샤프트 단부의 원추부에 끼워 넣어져, 그 와이퍼 샤프트 단부에 상대 회전할 수 없게 유지된다.
DE 41 17 107 A1 또는 DE 41 34 980 A1에는 다이 캐스트 부품으로서 제작되고 원추형 개구부가 마련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와이퍼 아암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퍼 아암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개의 고정 너트를 사용함으로써 와이퍼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와이퍼 샤프트는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다. 와이퍼 샤프트의 중공 공간은 유리창 세정액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샤프트에 조립한 후에, 고정 부재는 고정 너트와 와이퍼 샤프트 단부에 배치된 유리창 세정액 안내용의 호스 접속부를 포함하며, 이들은 커버 캡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이러한 공지의 와이퍼 아암은 각각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샤프트에 조립할 경우,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의 개구부를 와이퍼 샤프트의 단부에 장착한 후, 별개로 공급된 고정 너트를 와이퍼 샤프트 단부에 나사 결합시켜야 한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의 부가적인 운반 및 재고 관리가 필요하여 조립 비용이 높아진다.
일정한 작동 시간 후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와이퍼 아암을 분해하거나 교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차량 유리창의 파손, 제작 이후의 차량의 도색 또는 과부하에 의한 와이퍼 아암의 변형 등을 들 수 있다. 통상의 경우, 고정 부재가 와이퍼 샤프트의 단부에 압입되어 매우 견고히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 아암의 분해는 곤란하다. 물론, 고정 너트의 분리시에도 와이퍼 아암은 매우 큰 힘을 들여야만 와이퍼 샤프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그 때까지 온전한 와이퍼 아암까지도 쓸모 없게 되거나 새것으로 교체되어야 할 정도로 자주 구부러지거나 손상된다. 부적합한 공구나 수단을 사용할 경우에도 와이퍼 샤프트 또는 와이퍼 베어링이 자주 손상되어 새것으로 교환해야만 한다. 그 경우, 수리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특히, 내부에 세정액이 통과하는 중공의 와이퍼 샤프트는 특히 손상되기 쉽다. 와이퍼 아암의 분리시 이러한 중공의 와이퍼 샤프트가 손상되면, 수리 비용이 많이 든다.
도 1은 차량용 와이퍼 아암의 부분 단면도.
도 1a 내지 1e는 고정 수단(고정 너트 및 고정 나사)의 여러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3a는 또 다른 제거 가능한 스트퍼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기본 실시예의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고정 너트를 클립 고정체에 의해 고정 부재에 고정시킨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고정 너트를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도 9의 확대 절취도.
도 9b는 도 9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a는 도 11의 개별 부품인 스프링 와셔의 평면도.
도 12는 고정 수단으로서 고정 나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고정 부재의 개구부의 기하학적 중심축을 통과하고 고정 부재의 종방향 중심축에 직각인 평면에서 절취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a는 도 14 또는 도 15의 개별 부품인 개방 원반의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a는 도 20의 평면도.
도 21 내지 도 24a는 주물-고정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 내지 도 26a는 박판-고정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7 내지 도 30a는 주조 부품 삽입부를 가진 박판-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을 부분적으로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와이퍼 아암은 고정 부재(1)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1)에는 횡단면이 대략 U자형인 피벗 부재(2)가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샤프트(3)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피벗 부재(2)의 연장부에서 와이퍼 로드(4)가 피벗 부재(2)에 고정된다. 피벗 부재의 자유단에서, 와이퍼 로드(4)는 와이퍼 블레이드(도시 생략)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스트립, 즉 와이퍼 고무가 유리를 닦는다. 압축 스프링(5)으로서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은 미리 인장되어 있고, 그 일단부는 피벗 부재(2) 또는 피벗 부재(2) 내에 삽입된 와이퍼 로드(4)의 단부에 걸리고, 타단부는 C자형 만곡 부재(6)를 매개로 샤프트(3)의 배후에서 고정 부재(1)에 걸린다. 피벗 부재(2) 반대측의 고정 부재(1) 단부에 개구부(7)가 마련되며, 이 개구부(7)에 의해 와이퍼 아암이 구동 샤프트(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 수단으로서의 고정 너트(9)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10)에 의해 고정 부재(1)에 유지된다. 커버 캡(11)은 고정 부재(1) 전체를 둘러싼다.
두 단부 위치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8)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은 피벗식으로 선회 운동을 하며, 이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창의 세정 영역을 문질러 닦는다.
도 1a 내지 1e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에 사용될 수 있는 고정 수단의 여러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고정 너트(9)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하는 원주 칼라(12)를 구비한다. 이 원주 칼라(12)는 잔여 고정 너트(9)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칼라는 그 위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에 연결되는 스토퍼(10)와 연동할 수 있다.
도 1b에는 고정 나사(13)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고정 나사는 나사 헤드(14)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도 1a의 고정 너트(9)와 유사하게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하는 원주 칼라(12)를 구비하며, 이 고정 나사(13)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c에는 도 1a와 유사한 구성의 고정 너트(9)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고정 너트(9)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너트의 하면에는 와셔(15)가 유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와셔(15)의 단차가 있는 구멍에 맞물리는 고정 너트(9)의 축방향 돌기(16)가 외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만곡된 가장자리는 와셔(15)의 제1 계단부 뒤에서만 맞물리므로, 와셔(1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지는 않는다. 고정 너트(9)의 하면과 와셔(15) 사이에는 적어도 미세한 간극이 존재한다.
도 1a와는 대조적으로, 도 1d에는 안정된 개방 원반(17)으로 칼라(12)를 대체한 고정 너트(9)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방 원반은 별도의 부재로서 고정너트(9)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축방향 돌기(18)가 고정 너트(9)의 하면으로부터 개방 원반(17)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돌기(18)의 돌출 부분은 개방 원반(17)의 구멍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외측으로 만곡된다. 만곡된 돌기(18)의 하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개방 원반(17)은 필요에 따라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성형될 수 있다. 파선으로 도시된 접시형 개방 원반(17)의 하측 가장자리는 돌기(18)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 내에 있다. 필요에 따라서, 개방 원반(17)은 이동할 수 없게 또는 둘레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 너트(9)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e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 칼라(12)와 고정 너트(9)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도시한다. 이 고정 너트는 스패너(20; 도 2에 도시)가 작용하는 작용부(19)와 칼라(12) 사이에 원통형 샤프트(21)를 구비한다. 원통형 샤프트(21)의 직경은 칼라(12)의 직경보다는 작지만 상기 스패너 작용부(19)의 폭보다는 크다. 이러한 원통형 샤프트(21)는 스패너(20)에 대한 지지부 또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기본적인 예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는 고정 부재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부재(1)를 구동 샤프트(8)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7)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개구부(7)에는 암형 원추부(22)가 형성되며, 이에 대하여 구동 샤프트(8)의 상응하는 부분에는 수형 원추부(23)가 형성된다. 구동 샤프트(8)의 수형 원추부(23)의 단부측에는 나사 형성 연장부(24)가 접속된다.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는 개구부(7)와 동축을 이루며 바닥이 평탄한 오목 부분(26)이 형성된다. 개구부(7)는 암형 원추부(22)의 좁은부분이 오목 부분(26)의 바닥에 동심으로 개방되게 되어 있다. 고정 너트(9)는 그 하면이 오목 부분(26)의 바닥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적어도 조립 위치에 있다. 조립 위치에서는, 고정 너트(9)가 개구부(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고 개구부(7)와 동축을 이룬다. 고정 너트(9)를 적어도 동축으로 배치하는 것은 칼라(12)의 외측 가장자리와 오목 부분(26)의 벽부 사이에 단지 미세한 틈만을 남겨놓음으로써 달성된다. 스토퍼(10)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로 약간의 틈새를 두고 고정 부재(1)에 설치된다. 스토퍼(10)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2개의 핀(27)으로 형성되며, 이들 핀(27)은 오목 부분(26)을 둘러싸는 벽 내의 구멍(28; 도 3 참조)에 삽입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배치 구조와는 달리, 구멍(28) 및 핀(27)은 고정 부재(1)의 종방향 샤프트(29)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핀(27)은 오목 부분(26)과 협동하여 적어도 고정 너트(9)가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 부재(1)에 유지한다. 또한, 핀(27)은 스토퍼(10)로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한다. 도 2에는 고정 너트(9)에 체결되는 스패너(2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조립되기 시작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스토퍼(10)로서의 역할을 하는 2개의 핀(27)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핀(27)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단부에서 연결 브리지(30)에 의해 포크형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포크형 스토퍼 부재는 도 2 및 도 3의 2개의 별개의 핀(27) 대신에 구멍(28)에 삽입될 수 있다. 핀(27)이 평행하지 않고 그 자유단이 약간 수렴하거나 발산하면, 포크형 스토퍼 부재를 고정 부재(1)의 구멍(28) 내에 충분히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정한 탄성 인장이 발생된다. 와이퍼 아암이 구동 샤프트(8)에 조립된 후, 포크형 스트퍼 부재는 와이퍼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간단히 고정 부재(1)의 구멍(28)으로부터 그것을 인출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어떤 이유로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로부터 분리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 포크형 스토퍼 부재는 다시 구멍(28)내에 삽입된다. 결론적으로, 포크형 스토퍼 부재는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며,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로부터 제거한 후에는 전술한 방식으로 고정너트(9)를 고정 부재(1)에 유지한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 실시예의 고정 너트(9)는 그 하면에 너트의 나사부(32)에 접속되는 짧은 원통형 구멍부(31)를 구비한다. 구멍부(31)의 직경은 구동 샤프트(8)의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그에 따라, 고정 너트(9)가 나사 형성 연장부(24)에 대해 자동적으로 센터링되기 때문에,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4로부터, 고정 너트(9)가 나사 형성 연장부(24)에 나사 결합되기 이전에 고정 부재(1) 및 고정 너트(9)가 구동 샤프트(8)에 대하여 점유하는 위치를 잘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역시 도 2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개구부(7)내에는 암형 원추부(22)의 수렴하는 측부에 짧은 원통형 구멍부(33)가 접속된다. 이러한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구멍부(33)는 와이퍼 아암의 조립시 구동 샤프트(8)에 대해 고정부재 (1)를 센터링한다.
도 6은 도 2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고정 부재(1)는 그 하면(34)에 암형 원추부(22)의 발산 측부와 일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 연장부(35)를 구비한다. 이러한 원통형 연장부(35)는 와이퍼 아암의 조립시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대해 센터링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연장부(35)의 내면이 구동 샤프트(8)에 지지되며, 이에 의하여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상에서 경사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와이퍼 아암의 조립, 특히 너트의 나사부(32)와 나사 형성 연장부(24)가 체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실시예의 고정 너트(9)는 축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핀(27)으로 형성되는 스토퍼(10)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 상방으로부터 높이 H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높이 H는 나사 형성 연장부(24)가 고정 너트(9)에 나사 결합되는 깊이보다 짧아야 한다. 이로 인하여, 와이퍼 아암의 분해 시에, 고정 너트(9)가 나사 형성 연장부(24)로부터 나사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기 이전[고정 너트(9)의 이러한 위치는 도 7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고정 너트(9)의 칼라(12)가 스토퍼(10)에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구동 샤프트(8)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 부재(1)를 고정 너트(9)를 이용하여 분리하기 위해서는,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나사부가 여전히 유용하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와 고정 너트(9) 사이에 와셔(15)를 배치하거나 도 1c 내지 도 1e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너트(9)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는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조립된 상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부재(1)의 상면의 오목 부분(26)에는 도 1e에 따른 고정 너트(9)와 와셔(15)가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10)는 환형 클램핑 고정체(36)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클램핑 고정체는 그 외측 가장자리가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에서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고정되고 그 내측 가장자리가 고정 너트(9)의 칼라(12)와 중첩된다. 칼라(12)와 클램핑 고정체(36)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고정 너트(9)의 원통형 샤프트(21)는 클램핑 고정체(36)의 구멍에 배치되어 그 상면을 약간 넘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작용부(19)에 맞물린 스패너(도시 생략)가 클램핑 고정체(36) 상에 압력을 가하여 그 위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정 부재(1)의 하면에는 역시 전술한 기능을 가지는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배치된다. 클램핑 고정체(36)는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견고하게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9, 도 9a 및 도 9b에는 도 8과 유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a에는 도 9의 일부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원주 칼라(12)를 구비하는 간단한 고정 너트(9)가 사용되는데, 다시 말하면 와셔(15)가 생략된다. 고정 너트(9)의 칼라(12) 상방에 개방 원반(37)이 스토퍼(10)로서 배치되고 오목 부분(26)의 벽에 고정된다. 개방 원반(37)은 원형 형상을 가지며, 특히 도 9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면의 외측 부분이 오목 부분(26)의 바닥측의 가장자리에 있는 벽 계단부(38) 상에 배치된다. 벽 계단부(38)의 높이는 개방 원반(37)의내측 부분이 약간의 틈새를 두고 고정 너트(9)의 칼라(12)와 중첩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오목 부분(26)의 벽과 접하는 개방 원반(37)은 외측 가장자리가 코킹등에 의해 발생된 재료 변형부(39)에 의해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고정된다. 고정 너트(9)와 구동 샤프트(8)가 도시 생략된 도 9b로부터, 개방 원반(37)은 그 주위에 분포 배치된 4개 지점에서 재료 변형부(3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도록 개방 원반(37)은 충분하게 고정된다.
도 10에는 도 9와 유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경우, 도 9와의 차이점은 개방 원반(37)이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에 놓여지고 개방 원반(37)의 외측 가장자리가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느슨하게 접촉된다는 것이다. 개방 원반(37) 위에는 유지 원반(40)이 배치되며, 이 유지 원반은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고정 된다. 이때, 유지 원반(40)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둘레 방향으로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교대로 배치된 돌출부(41) 내지 오목부(42)에 의해 수행된다.
도 11은 고정 너트(9)가 고정 부재(1)의 오목 부분(26) 내에서 유지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고정 너트(9)의 원주 칼라(12)는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칼라(12)의 하측부(43)의 직경(d1)은 칼라(12)의 계단부(44)의 직경(d2)보다 크며, 칼라(12)의 하측부(43)는 원추형으로 하방으로 수렴된다. 오목 부분(26)의 바닥 위쪽의 소정의 높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절결된 스프링 와셔(45)는 둘레에 걸쳐 교대로 배치된 돌출부(41) 및 오목부(42)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지만, 반경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유지된다. 고정 너트(9)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하측부(43)가 그 하측의 스프링 와셔(45)를 일시적으로 확장시키면서 스프링 와셔의 구멍을 통과하고, 스프링 와셔(45)는 칼라(12)의 계단부(44)상에서 다시 원래의 형태 및 크기로 된다. 이 경우, 계단부의 직경(d2)은 스프링 와셔(45)의 구멍의 직경(d3)보다 약간 작으며, 오목 부분(26)의 바닥 위로부터 스프링 와셔(45)까지의 높이는 스프링 와셔(45)가 약간의 틈새를 두고 칼라(12)의 하측부(43)와 중첩되도록 정해진다. 칼라(12)의 계단부(44)의 높이는 계단부(44)가 스프링 와셔(45)의 상면에서 종료되거나 그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결정된다. 설명을 돕기 위해, 스프링 와셔(45)를 도 11a에 평면도로 단독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고정 나사(13)를 사용하여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고정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는 주조 부품으로 제작되고, 그 상면(25)에는 역시 오목 부분(26)이 마련된다. 고정 나사(13)는 해당 공구를 사용하기 위한 육각형 구멍 등이 마련된 원통형 나사 헤드(14)를 구비한다. 나사헤드(14)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원주 칼라(12)가 형성된다. 고정 나사(13)의 나사 형성 샤프트의 자유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짧은 원통부(46)가 배치된다. 이러한 원통부(46)의 직경은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 구동 샤프트(8)의 단부에 마련된 암나사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원통부(46)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조립할 때 고정 나사(13)를 구동 샤프트(8)의 암나사에 대해 센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나사(13)의 나사 형성 샤프트는 고정 부재(1)의 암형 원추부(22) 내에배치되고, 동시에 그 칼라(12) 및 나사 헤드(14)는 고정 부재(1)의 오목 부분(26)내에 배치된다. 도 2에서 설명한 형태의 2개의 핀(27)이 고정 나사(13)의 칼라(12)위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고정 나사(13)의 분리기능이 보장된다. 고정 부재(1)의 하면(34)에는 고정 부재(1)를 구동 샤프트(8)상에 센터링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배치된다.
도 13에는 박판 부재(47)와 주조 부품 삽입부(48)로 구성된 고정 부재(1)가 도시되어 있다. 박판 부재(47)는 후면부(49)를 수반하고 대략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 횡단면은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하방으로부터 형상 보완적으로 박판 부재(47) 내에 삽입되며, 이 삽입부는 고정 탭(50) 형태로 만곡된 박판 부재(47)의 영역에 의해 박판 부재(47)에 유지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7)를 구비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하면(34)에는 전술한 기능을 가지는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배치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면에는 개구부(7)를 둘러싸는 오목 부분(51)이 설치되며, 이 오목 부분(51) 내에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가 배치된다.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는 개구부(7)와 동심으로 개구부(52)가 마련된다. 이러한 개구부(52)의 가장자리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와 중첩되어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이 보장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는 개구부(52)를 통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곳에 스패너가 작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 너트(9)의 하면이 고정 부재(1)의 상면에(25)에 놓여진다. 이 경우, 고정 너트(9)는 암형 원추부(22)가 있는 개구부(7)와 적어도 대략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 14a에 별도의 사시도로 도시된 개방 원반(53)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 너트(9)의 칼라(12)와 중첩되도록 칼라(12) 위에 배치된다. 개방 원반(53)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향하며 일체로 형성된 2개의 고정부(54)가 마련된다. 고정부(54)는 고정 부재(1)의 측벽(56)을 따라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며, 고정부(54)의 단부(55)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고정 부재(1)의 하면 아래에서 맞물린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1)의 측벽(56)과 하측 가장자리에는 오목 부분이 형성되며, 이 오목 부분 내에는 고정부(54)가 연장되거나 그 단부(55)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개방 원반(53)은 고정 부재(1)에 견고히 고정되어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는 개방 원반(53)의 구멍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이곳에 스패너가 작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 부재(1)가 박판 부재로서 형성된 도 14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이 경우,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 놓인다. 개방 원반(53)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에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 놓인다. 개방 원반(53)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에 배치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 칼라(12)와 중첩된다. 개방 원반(53)의 양 고정부(54)는 고정 부재(1)의 측벽(56)을 따라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된다. 개방 원반(53)의 단부(55)는 각각 내측으로 만곡되어 측벽(56)의 가장자리 아래에 맞물리며, 측벽(56)의 하측 가장자리부에는 고정부(54)의 단부(55)가 끼워지는 오목 부분이 마련된다. 개방 원반(53)은고정 너트(9)에 대한 스토퍼(10)로서 작용하며, 이에 의해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이 보장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는 개방 원반(53)의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된다.
도 16에는 박판 부재로 제조된 고정 부재(2)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 즉 그것의 상면(25)에 개구부(7)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고정 너트(9)의 칼라(12) 상방에 배치된 개방 원반(53)은 반경 방향으로 칼라(12)와 중첩된다. 개방 원반(53)의 고정부(54)는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에 있는 해당 절결부를 통하여 연장하고, 그것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된 단부(55)는 각각 고정 부재(1)의 측벽(56)의 하측 가장자리 아래에 끼워져 있다. 이 경우, 상기 만곡된 단부(55)는 측벽(56)의 하측 가장자리에 있는 해당 오목 부분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9)의 고정 및 그 분리 기능이 충분히 보장된다.
도 17의 실시예는 개방 원반(53)의 고정부(54)의 단부(55)가 고정 부재(1)의 측벽(56)이 아니라 측벽(56)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57) 아래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도 1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돌기(57)는 박판 부재의 측벽(56)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일부는 3지점에서 박판 부재로부터 분리된 후 내측으로 만곡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기(57)의 내측 상면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방 원반(53)의 조립 시에 단부(55)는 돌기(57)에 마련된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고정부(54)가 돌기(57)를 둘러싼 후에 그 단부(55)에 의해 돌기(57)에 결합된다.
도 18에는 주물로서 제작된 고정 부재(1)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부재(1)의상면(25)에는 고정 너트(9)가 배치되며, 이 경우 개방 원반(53)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와 중복되게 이 칼라(12) 위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는 개방 원반(53)의 각각의 고정부(54)를 위한 채널(58)이 마련된다. 이 채널(58)은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개방되어 돌출부(59)를 형성한다. 개방 원반(53)의 고정부(54)는 이 채널(58) 내로 삽입되고, 고정부(54)의 외측으로 만곡된 단부(55)는 스토퍼(10) 아래에서 맞물린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9)의 고정 및 그 분리 기능이 보장된다.
도 14 내지 도 18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54)의 단부(55)가 상대적으로 짧더라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부(54)가 탄성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고정부(54)의 단부(55)와, 이 단부(55)에 맞물리는 부분 내지 돌기(57)는 상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고정 너트(9)를 고정 부재(1)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고정 너트(9)는 단지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 놓여지기만 하면 되고, 고정부(54)의 단부(55)가 고정 부재(1)의 대응하는 부분에 맞물릴 때까지 개방 원반(53)을 고정 부재(1)에 축방향으로 끼워 넣으면 된다. 이 경우, 나중에 고정부(54)의 단부(55)를 만곡시키는 것은 불필요하다.
도 19는 박판 부재(47)로서 제작된 고정 부재(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사용된 고정 너트(9)는 도 1e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다. 고정 너트(9)의 후면부(49)의 상면(25)에는 암형 원추부(22)가 있는 개구부(7)가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 14a에 따른 개방 원반(53)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에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박판 부재(47)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개방 원반(53)의 고정부(54)에 의해 수행된다. 분리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서는, 개방 원반(53)이 그 외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된 4개의 고정부(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고정부(54)는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 있는 절결부(60)를 통해 돌출되며, 이 경우 절결부(60)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에 인접한 후면부(49)에 설치된다. 고정부(54)의 단부(55)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만곡되어 후면부(49)의 하면 아래에서 맞물린다. 이에 따라, 고정 너트(9)는 대략의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 부재(1)에 유지될 뿐 아니라,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이 보장된다. 고정 너트(9)의 원통형 샤프트(21)는 실질적으로 개방 원반(53)의 구멍 내부에 배치되어 개방 원반(53)의 상면을 약간 넘어 돌출한다. 그에 의해, 스패너는 개방 원반(53)의 상부에서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에 자유롭게 접근될 수 있다. 원통형 샤프트(21)에 의하여, 스패너가 개방 원반(53)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원통형 샤프트(21)와 개방 원반(53)의 구멍의 가장자리 사이의 간극은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0 및 20a에 따른 실시예는 도 1d에 따른 고정 너트(9)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 19에 따른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이 경우, 개방 원반(53)은 고정 너트(9)에 직접 고정된다. 도 20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 너트(9)를 고정 부재(1)에 조립할 때 도 19에 따른 실시예에 비해 고정 너트(9)를 간단히 취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폭이 매우 좁은 와이퍼 아암에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개방 원반(53)이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 대해 매우적은 폭으로 돌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본적 구성의 실시예는 도 21 및 21a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가 주물로서 제작된다. 고정 부재(1)의 상면(25)에는 오목 부분(26)이 형성된다. 오목 부분(26)은 피벗 부재(2) 또는 와이퍼 로드(4)와 대향하는 상태로 고정 부재(1)의 단부(61)를 향하여 전체 폭에 걸쳐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 부분(26)의 횡방향 개방으로 인해, 고정 너트(9)가 삽입되는 영역(62)이 형성된다. 오목 부분(26)의 벽에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칼라의 상면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홈(63)이 가공된다. 고정 너트(9)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고정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삽입 영역(62)을 통해 횡방향으로 오목 부분(26) 내로 삽입된다. 이 때에, 고정 너트(9)의 칼라(12)의 일부는 홈(63)에 있다. 이 경우, 홈(63)의 상측 가장자리는 칼라와 중첩되어 스토퍼(10)로서 작용한다. 고정 너트(9)가 오목 부분(26)으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 영역(62)은 고정 너트(9)가 삽입된 후에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폐된다. 유지 부재(64)는 합성수지 성형 부품이고, 이 합성수지 성형 부품은 걸림 돌기(65)에 의해 삽입 영역(62) 내에 마련된, 언더컷이 있는 절결부(66)에 걸린다. 도 2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64)에는 커버 캡(67)이 선회 가능하게 피벗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64)는 커버캡(67)의 일체 부품이 된다. 커버 캡(67)이 도 21에 접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와이퍼 아암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조립한 이후에, 커버 캡(67)이 고정 부재(1)의 오목 부분(26)위로 선회되어 통상의 공지된 걸림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폐쇄 위치(실선위치)로 유지된다. 고정 부재(1)의 하면(34)에는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마련되며, 이 연장부(35)는 구동 샤프트(8) 상에서 고정 부재(1)를 센터링시켜 와이퍼 아암이 청소될 유리창에 대해 정확히 정향된다.
도 21a에는 삽입 영역(62)과 대향하는 홈(63)의 영역(68)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68)에서는 선택적으로 홈(63)이 생략될 수도 있다. 홈(63)의 잔여 영역은 스토퍼(10)로서 충분히 작용하며, 이에 따라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유지 부재(64)로서, 간단한 합성수지 성형 부품이 절결부(66)에 삽입 고정되며, 이 경우에는 커버 캡(67)이 생략된다.
도 22 및 도 22a에는 도 21 및 도 21a와 유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고정 부재(1)의 부분은 전체가 주물로서 제작되거나 전술한 형태의 박판 부재(47)에 결합되는 주조 부품 삽입부(48)이다. 도 21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도 고정 너트(9)는 삽입 영역(62)을 통해 횡방향으로 오목 부분(26)내로 삽입되고, 고정 너트(9)의 칼라(12)의 일부분은 오목 부분(26)의 벽부에 형성된 홈(63) 내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고정 너트(9)의 칼라(12)가 그 상면에 평탄한 모따기된 경사부(69)를 구비하기 때문에, 홈(63)도 이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특별하게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성형 부품(70)은 유지 부재(64)로서 삽입 영역(62)을 차단한다. 삽입 영역(62)을 완전히 차단하는 성형 부품(70)은 고정 너트(9)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고정 부재(1)에 스냅식으로 고정된다. 성형 부품(70)은 고정 부재(1)의 외측 윤곽과 조화를 이루게 전체적으로 보완된다. 고정너트(9)의 작용부(19)는 실질적으로 오목 부분(26) 내에 배치되며, 작용부(19)의 일부만이 고정 부재(1)의 상면(25)을 넘어 돌출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와, 오목 부분(26)의 벽부 내지 성형 부품(70)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의 폭은 스패너가 적절하게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에 체결될 수 있게 선택된다. 개구부(7)는 암형 원추부(22)의 수렴 부분에 센터링을 위한 짧은 구멍부(33)를 구비한다. 암형 원추부(22)의 발산 부분에는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연결되며, 이 연장부(35)는 그 내면이 구동 샤프트(8)에 지지될 수 있어 고정 부재(1)를 센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 원통형 연장부(35)에는 그 내경이 제1 중공 원통형 연장부(35)의 내경보다 큰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72)가 연결된다.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72)는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구동 샤프트(8)의 베어링 부품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이 제공되고,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72)에 의해 덮힌 부품이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오목 부분(26)의 벽에 마련된 홈(63)의 상면은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스토퍼(10)로서 작용한다.
도 23의 실시예는 도 21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고정 너트(9)는 측방향으로 오목 부분(26)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 고정 너트(9)의 칼라(12)는 홈(63) 내에 배치되며, 이 칼라는 스토퍼(10)로서 작용하는 홈(63)의 상면과 중첩된다. 삽입 영역(62)은 특별하게 형성된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폐된다. 유지 부재(64)는, 고정 부재(1)의 측벽에 배치되고 언더컷이 있는 절결부(66)를 통하여 연장하는 걸림 돌기(65)에 의해 고정 부재(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유지 부재(64)는 일부가 삽입영역(62)으로 돌출되어 고정 너트(9)의 칼라(12)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략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 21에서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도 커버 캡(67)은 선회 가능하게 유지 부재(64)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조립한 이후에, 커버 캡(67)은 오목 부분(26) 및 고정 너트(9) 위로 선회되어 걸림 돌기(73)가 고정 부재(1)의 상면(25)의, 언더컷이 있는 절결부(74)에 스냅 결합된다. 고정 너트(9)는 오목 부분(26)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원통형 샤프트(21)를 구비한다. 그에 의해 스패너는 소정 너트(9)의 작용부(19)에 자유롭게 접근될 수 있다. 고정 너트(9)의 원통형 샤프트(21)와 오목 부분(26)의 벽 사이의 틈새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1)의 하면에는 구동 샤프트(8)상에서의 센터링 및 지지를 위한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마련된다.
도 24 및 도 24a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3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도 24a는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의 실시예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유지 부재(64)의 구성에 있다. 커버 캡(67)과 일체로 형성된 2개의 피벗 핀(75)이 유지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피벗 핀(75)은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1)에는 피벗 핀(75)을 위한 2개의 정렬된 구멍(76)이 형성되며, 이 구멍(76)은 삽입 영역(62)의 홈(63)에 개방되어 있다. 피벗 핀(75)은 외측으로부터 구멍(76)을 통해 삽입되어, 홈(63) 또는 삽입 영역(62) 내로 돌출하며, 이에 의하여 고정 너트(9)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4에서, 커버 캡(67)의 폐쇄 위치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커버 캡(67)의 걸림 돌기(73)가 절결부(74)에 스냅 결합된다.
도 25 및 도 25a에 따른 실시예는 금속제의 박판 부재로서 제작되고 횡단면이 대략 U자형인 고정 부재(1)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이다. 도 1d에 따른 고정 너트(9)가 사용되며, 고정 너트(9)는 후면부(49)의 상면(25) 상에 암형 원추부(22)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칼라 대신 고정 너트(9)에 고정되는 개방 원반(17)은 접시형으로 형성되며, 그 개방 원반의 하측 가장자리는 후면부(49)의 상면(25)에 고정되지 않게 놓여진다. 외주에 걸쳐 4개 지점에 분배된 탭형 고정부(77)가 고정 너트(9)의 개방 원반(17)에 인접한 후면부(49)로부터 상방으로 만곡된다. 고정 너트(9)를 후면부(49)에 장착한 후에, 고정부(77)의 자유단은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개방 원반(17)의 가장자리와 중첩된다. 이러한 고정부(77)는 고정 너트(9)를 고정 부재(1) 상에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도록 고정 너트(9)에 대한 스토퍼(10)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고정 너트(9)가 개방 원반(17)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거나, 개방 원반(17)이 고정 너트(9)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고 고정부(7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퍼 아암에 에나멜을 도포하는 경우, 고정 너트(9)를 고정 부재(1)에 조립한 후에 에나멜 도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이유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고정부(77)의 만곡시 에나멜층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고정 너트(9)의 암나사에 에나멜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너트(9)의 개방 단부는 에나멜 도포 후 또는 추후의 시점에 고정 너트(9)로부터 제거 될 수 있는 커버 캡(78)에 의해 일시적으로 폐쇄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이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구동 샤프트(8)에도 조립될 수 있음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구동 샤프트(8)는 공지의 방식으로 세정액 관로를 통해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그 자체가 세정액 관로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5a는 도 25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원반(17)은 하방으로 만곡되며, 그 위에 고정부(77)가 중첩된다. 이 고정부(77)는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로부터 처음에 상방으로 만곡되고, 그후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되어 개방 원반(17)의 만곡 부분 위로 만곡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77)는 우선 3지점 상의 잔여 후면부(49)로부터 분리되고, 그후 전술한 방식으로 후면부(49)로부터 만곡된다. 개방 원반(17)상부에 만곡된 고정부(77)의 단부는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도록 스토퍼(10)로서 작용한다.
도 26은 도 25와 거의 동일한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5와의 차이점은 도 25에서 우측에 있는 고정부가 생략된다는 점이다. 3개의 잔여 고정부(77)는 고정 너트(9)의 조립 이전에 이미 적당한 해당 형태로 만곡된다. 우측 고정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 너트(9)는 개방 원반(17)과 함께 우측으로부터, 즉 측방향으로 3개의 고정부(77)의 하방으로 조립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너트(9)를 삽입한 후, 삽입 영역(62)은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단된다. 도 26a에 확대 단면도로 도시된 도 26의 부분으로부터, 유지 부재(64)를 명확히 볼 수 있다. 유지 부재(64)는 특별한 성형 부품이며, 이 성형 부품은 개방 원반(17)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64)의 고정은 일체로 형성된 걸림 돌기(65)를 후면부(49)의 절결부에 걸어 맞춤으로써 수행된다. 이 경우, 와이퍼 아암에 에나멜을 도포하는 것은 고정 너트(9)를 고정 부재(1)에 조립하기 이전에도 수행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고정부 등의 추가 변형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도 27에는 고정 부재(1)가 주조 부품 삽입부(48)를 구비한 금속제의 박판 부재(47)로 제작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박판 부재(47)는 횡단면이 대략 U자형이며, 후면부(49)에 비교적 큰 개구부(52)가 형성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암형 원추부(49)에 비교적 큰 개구부(52)가 형성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되고,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개구부(7)를 포함하다. 암형 원추부(22)의 발산 측에서 우선 제1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축방향으로 삽입부의 하면(34)에 접속되며, 이 제1 중공 원통형 연장부(35)에 다시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72)가 접속된다. 이러한 두 중공 원통형 연장부(35, 72)의 의의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되었다.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면에는 칼라(79)가 형성된다. 이러한 칼라(79)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어 고정 너트(9)가 조립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고정 너트(9)의 칼라(12)가 측방으로부터 칼라(79)의 아래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하방으로부터 박판 부재(47)에 형상 보완적으로 삽입되며, 칼라(79)가 형성된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부는 오목 부분(51)을 넘어 상방으로 돌출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유지 탭(80)에 의해 박판 부재(47)에 유지된다. 이를 위해, 박판 부재(47) 측벽(56)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지 탭(80)은 주조부품 삽입부(48)의 하측 가장자리 둘레에서 만곡되어, 이곳에서 주조 부품 삽입부(48)에 있는 해당 오목 부분에 맞물린다.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부는 적어도 고정 너트(9)의 칼라(12)를 측방향으로부터 칼라(79) 아래로 삽입될 수 있는 치수만큼, 박판 부재(47)의 상면(25)을 넘어 돌출된다. 고정 너트(9)를 삽입한후, 그 삽입 영역은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단된다. 유지 부재(64)는 칼라(79)의 측부 삽입 개구부를 완전히 차단하고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면의 외측 윤곽 전체를 보완하는 형태의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는 적어도 일부가 칼라(7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와, 칼라(79) 또는 유지 부재(64) 사이에는 스패너의 체결을 보장할 수 있는 충분히 넓은 환형 간극(71)이 형성된다. 내측을 향한 칼라(79)의 가장자리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에 대한 스토퍼(10)로서 작용하여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한다.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7에 따른 실시예와 단지 약간 다르다. 기본적으로,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행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를 금속제의 박판 부재(47)에 고정시키기 위해,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단면에는 슬릿형 홈(82)이 형성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가 이러한 홈(82)에 의해 박판 부재(47), 특히 그 후면부(49)에 끼워져 박판 부재(47)의 만곡된 유지 탭(80)에 의해 박판 부재(47)에 유지된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주조 부품 삽입부(48)가 도 27 및 도 28에서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지만, 차이점은 박판 부재(47) 상에 주조 부품 삽입부(48)를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상측으로부터 후면부(49)에 삽입되고,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그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리벳 핀(83)이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 있는 해당 개구부에 결합되어 후면부(49)의 하면에 리벳 결합된다. 개구부(7)의 큰 부분 및 중공 원통형 연장부(35, 72)를 포함하는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하측부는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 있는 개구부(52)를 통해 삽입된다.
도 30과, 도 30의 평면도인 도 30a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가 역시 주조 부품 삽입부(48)를 구비한 박판 부재(47)에 의해 형성된다.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 형성된 개구부(52)는 대략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며, 그 긴 변(84)은 고정 부재(1)의 종방향 축선(85)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개구부(52)의 긴변(84)은 그 중앙 영역에서 외측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긴 변(84)의 원호형 부분의 직경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또한, 도 30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79)는 삽입 영역(62)의 반대측에서 적어도 그 하면에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것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가 이 위치에서 칼라(79)로부터 돌출되며, 그런 중에 칼라(79)의 일부가 칼라(12)와 중첩되는 부분은 그 영역에 그대로 남아 유지된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9)가 이후에 주조 부품 삽입부(48)에 뿐만 아니라 도 30a에 빗금으로 표시된 원호형 부분(86)에서 박판 부재(47)의 상면(25)에도 가압되는 것이 달성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하방으로부터 박판 부재(47)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그곳에 형성된 칼라(79)도 포함하는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부는 개구부(52)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주조 부품 삽입부(48)가 박판 부재(47)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은 박판 부재(47)의 만곡된유지 탭(80)에 의해 수행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따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이 실시예에서는 칼라(79)가 고정 부재(1)의 중심 축선(85)을 가로질러 개방된다는 점이다. 고정 너트(9)는 그 위치로부터 그 칼라(12)에 의해 조립 위치까지 칼라(79) 아래에 삽입된다. 삽입 영역(62)은 도 30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단된다. 도 30a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고정 너트(9)를 전부 도시하지 않고 칼라(12)만을 도시한다. 고정 너트(9)의 형태 내지 종류는 도 30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다. 역시 도 1e에 따른 고정 너트(9)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 너트(9)의 칼라(12)는 칼라(79)가 스토퍼(10)로서 작용하여 고정 너트(9)의 분리 기능을 보장하도록 칼라(79)에 의해 중첩된다.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에 작용하는 스패너(20)에 의해 칼라(79) 영역에서 고정 부재(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정 너트(9)와 칼라(79) 사이의 틈새를 가능한한 작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너트(9)의 원통형 샤프트(21)는 거의 칼라(79) 내에 배치되고 칼라(79)를 약간 넘어 돌출된다. 박판 부재(47)와 주조 부품 삽입부(48) 사이의 더욱 확실한 형상 결합식 결합을 위해, 개구부(52)의 폭이 좁은 측면(87) 및 이에 대응하는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폭이 작은 측면은 도 30 및 30a에 도시 생략된 톱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고정 부재
2 : 피벗 부재
3 : 샤프트
4 : 와이퍼 로드
5 : 압축 스프링
6 : C형 만곡 부재
7 : 개구부
8 : 구동 샤프트
9 : 고정 너트
10 : 스토퍼
11, 67, 78 : 커버 캡
12 : 칼라
13 : 고정 나사
14 : 나사 헤드
15 : 와셔
17, 37, 53 : 개방 원반
19 : 작용부
20 : 스패너
21 : 원통형 샤프트
22 : 암형 원추부
23 : 수형 원추부
24 : 나사 연장부
25 : 고정 부재의 상면
26, 51 : 오목 부분
27 : 핀
28, 76 : 구멍
29 : 고정 부재의 종방향 샤프트
30 : 연결 브리지
31, 33 : 구멍부
32 : 너트의 나사부
34 : 하면
35, 72 : 중공 원통형 연장부
36 : 클램핑 고정체
38 : 벽 계단부
39 : 재료 변형부
40 : 유지 원반
41 : 돌출부
42 : 오목부
43 : 하측부
44 : 계단부
45 : 스프링 와셔
46 : 원통부
47 : 박판 부재
48 : 주조 부품 삽입부
49 : 후면부
50, 80 : 유지 탭
52 : 후면부의 개구부
54, 77 : 고정부
55 : 고정부의 단부
56 : 측벽
58 : 채널
60 : 절결부
62 : 삽입 영역
63 : 홈
64 : 유지 부재
65, 73 : 걸림 돌기
66, 74 : 언더컷이 있는 절결부
68 : 홈의 영역
69 : 모따기된 경사부
70 : 성형 부품
71 : 환형 간극
75 : 피벗 핀
79 : 칼라
82 : 슬릿형 홈
83 : 리벳 핀
84 : 긴 변
85 : 종방향 축선
86 : 원호형 부분
87 : 폭이 좁은 측면
H : 높이
d1, d2, d3 : 직경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퍼 샤프트의 조립 시에 드는 비용 소모를 절감하고, 와이퍼 샤프트와 와이퍼 아암의 손상 없이 와이퍼 아암을 간단히 분해할 수 있도록 전술한 형태의 와이퍼 아암을 개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상위 개념의 특징을 갖는 와이퍼 아암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와이퍼 아암에서는, 구동 샤프트로부터 분해할 와이퍼 아암에 대해 고정 기능과 같은 방식의 분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고정 나사 또는 고정 너트 형태의 고정 수단이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유지된다. 즉, 와이퍼 아암이 고정 수단의 분리 또는 나사 결합 해제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 수단이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해결책은 필요한 고정 수단이 구동 샤프트에 조립될 와이퍼 아암에 미리 조립된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고정 수단은 별도의 운반 및 특별한 재고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조립 과정에서 별개의 구성 요소로 취급될 필요도 없다. 이미 고정 수단이 완비된 와이퍼 아암은 단지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 넣워지기만 하면 되며, 이때 고정 수단의 정확한 센터링(centering)이 수행되고 고정 수단이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조립 과정은 종래의 공지의 조립 과정에 비해 매우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또 다른 장점은 적은 힘을 들여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로부터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고, 나사 분해 결합 공구를 제외하고는 추가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청구 범위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와이퍼 아암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는 세정할 유리창에 대향되는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의 상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 샤프트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부재의 개구부와 대략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고정 너트는 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단지 제한된 범위로만 고정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게 유지된다.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고정 너트의 유지 기능 및 분리 기능을 함께 보장하는 다수의 스토퍼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너트는 나사 결합 해제를 위한 축방향으로의 이동시 고정 부재에 대한 제한된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고정 부재에 맞닿거나 고정 부재와 협동하여 고정 부재와 함께 전체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 상의 고정 장착 상태에서 분리시킨다. 이에 필요한 고정 너트의 분리력은 상대적으로 작으며, 고정 너트로부터 고정 나사를 거쳐 구동 샤프트로, 다른 한편으로 스토퍼를 거쳐 고정 부재로 원활하게 전달된다.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 및 구동 샤프트는 손상없이 이러한 반대 방향 힘의 성분들을 수용한다. 결과적으로, 와이퍼 아암은 와이퍼 아암 및/또는 구동 샤프트 내지 구동 베어링의 손상 없이 간단한 종래의 공구에 의해 구동 샤프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와 고정 너트 또는 고정 나사 사이에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조립할 때의 상대적으로 큰 가압력에 상응하는 견고성이 있는 와셔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 너트 또는 고정 나사의 하측부는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 상에서가 아니라 고정 부재에 접한 와셔 상에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의 표면이 보호되고, 특히 필요시 고정 부재에 도포되는 에나멜층이 보존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가 고정 너트의 하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면, 이에 따라 와이퍼 아암이 고정 너트에 의해 보완되는 유리한 장점이 주어진다. 즉, 와셔가 단일의 작업 과정으로 고정 너트와 함께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매우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실시예에서, 고정 너트가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접하는 하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칼라를 구비한다. 이러한 칼라는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토퍼에 의해 중첩된다. 스토퍼가 하나 뿐인 경우에는, 와이퍼 아암의 분리시 힘을 최대한으로 균일하게 분배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스토퍼가 환형 칼라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고정 부재가 특히 주조 부품으로 제작된 경우에 구조체의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한다면, 세정할 유리창과 반대쪽을 향한 상면에 고정 부재가 원통형의 오목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 부분의 바닥에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다. 고정 너트는 이러한 오목 부분 내부에,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하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때 고정 너트의 하측은 오목 부분의 바닥 또는 그곳에 있는 와셔에 접하게 된다. 칼라 위에 배치된 스토퍼도 마찬가지로 오목 부분 내에서 연장된다. 오목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커버 캡에 의해 추가로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한다.
매우 간단하면서도 적절히 견고하고 확실한 기능을 하는 형태의 스토퍼는 2개의 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핀은 오목 부분을 가로지르며, 칼라의 상부측에서 오목 부분을 둘러싸는 벽부에 일렬로 정렬되어 설치된 구멍에 배치된다. 핀은 고정 너트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어 고정 너트의 회전 축선에 직각으로 배치된 평면에서 대략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핀과 이에 부속된 구멍은 고정 부재의 전술한 종방향 중심축에 평행하거나 직각으로 정향될 수 있다. 고정 부재의 구체적인 기하학적 관계, 전달할 힘의 크기 및 칼라와 스토퍼 사이의 마찰 상태에 따라, 당업자는 다수의 원형, 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의 횡단면 중에서 핀에 적합하거나 최적인 횡단면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고정 너트가 유리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만 스토퍼에 의해 고정 부재에 유지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경우는 각각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조립할 때까지와, 그후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로부터 다시 분해할 경우이다. 고정 너트가 구동 샤프트의 나사 형성 연장부 상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의 시간에는 스토퍼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스토퍼가 관찰자에게 불쾌한 외관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제거될 수 있는 스토퍼는 단부에서 브릿지부재에 의해 서로에 견고히 결합된,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핀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핀을 갖는 포크 부재는 적어도 고정 부재의 벽을 통해 연장되는 평행하게 정렬된 구멍 내로 고정 부재 외측으로부터 삽입되거나 그 외측으로 제거될 수 있다.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의 오목 부분에 고정 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 방향으로 고정 너트의 칼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벽 계단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벽 계단부는 폐쇄된 고리형으로 구성되거나 부채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채꼴의 구성에서는 개개의 부분이 외주에 걸쳐 분포된다. 벽 계단부는 고정 너트의 회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정 너트의 칼라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다. 벽 계단부에 개방 원반이 배치되어 그 내측 가장자리가 고정 너트의 칼라와 중첩된다. 또한, 개방 원반은 고정 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너트의 칼라에 대한 스토퍼로서도 작용한다. 고정 너트의 상측부는 개방 원반의 구멍을 관통해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원반은 고정 너트의 칼라에 느슨하게 놓여지며, 개방 원반과 중첩된 상태로 유지 원반이 개방 원반 위에 배치되어 오목 부분의 벽에 유지되거나 고정된다. 유지 원반은 고정 너트의 칼라에 대한 스토퍼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 내측 가장자리가 고정 너트의 칼라 위에 배치되고 그 외측 가장자리 또는 그러한 용도의 부분이 체결에 의해 오목 부분의 벽에고정되는 클램핑 고정체가 스토퍼로서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의 칼라에 대한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는 반경 방향으로 절결된 스프링 와셔가 반경 방향으로는 일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오목 부분의 벽에 지지되어 배치된다. 스프링 와셔는 그 내측 가장 자리로써 반경 방향으로 오목 부분 내로 삽입된다. 고정 너트의 칼라는 계단형 으로 구성된다. 칼라의 하측부는 스프링 와셔를 일시적으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칼라가 스프링 와셔의 개구부를 통해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감소된다. 계단형 칼라의 상측부의 직경은 최초 상태에서의 스프링 와셔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스프링 와셔는 칼라의 원추형 부분을 통과시킨 후 칼라의 상측부에서 원래의 형태 및 크기를 취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전술한 와이퍼 아암과 똑같이 고정 너트의 구조 높이가 작아지고 고정 너트가 침하되어 배치된다는 특별한 장점을 가진다. 이 경우에도, 고정 부재의 오목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 캡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간단히 제작될 수 있는 와이퍼 아암을 한정한 것으로, 이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는 횡단면이 대략 U자형이고 주조 부품 삽입부를 구비하는 금속제의 박판 부재로 구성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에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박판 부재는 그 후면부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주조 부품 삽입부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박판 부재의 개구부 아래에 놓이는 상태로 배치되며, 박판 부재의, 특히 유지 탭의 형태로 된 만곡 영역이 박판 부재에 고정된다. 주조 부품 삽입부는개구부 하부측에 개구부와 동축을 이루는 오목 부분을 구비하며, 이 오목 부분에는 칼라가 있는 고정 너트가 배치된다. 박판 부재에 있는 오목 부분의 가장 자리는 스토퍼로서 고정 너트의 칼라에 중첩되며, 고정 너트의 상측부는 개구부를 통해 박판 부재의 상면을 넘어서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는 고정 너트를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변형 실시예를 한정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서는 고정 너트가 고정 부재의 상측부, 즉 고정 부재의 후면부의 상면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의 칼라 위에 개방 원반이 배치되어 고정 너트 및 필요시 배치되는 와셔와 중첩되며, 고정 너트의 상측부는 개방 원반의 구멍을 통해 돌출된다. 개방 원반은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개방 원반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개방 원반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개방 원반은 고정 너트의 칼라에 대한 스토퍼를 형성한다.
이러한 확실하고 견고한 구성에 비해 공간 및 재료를 절감하고, 이에 따라 무게를 절감하기 위해, 개방 원반은 칼라 없이 직접 고정 너트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너트는 상응하는 견고성을 가진 중공 원통형 연장부를 그 하면에 구비하며, 이 연장부는 개방 원반의 구멍에 끼워지고 그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개방 원반의 하면과 접촉한다. 만곡된 가장자리는 고정 너트가 개방 원반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만, 고정 너트의 분리 기능이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즉, 만곡된 가장자리는 필요한 분리력을 고정 너트로부터 개방 원반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 너트는 내측으로 만곡된 개방 원반과 함께 고정 너트를 와이퍼아암의 고정 부재에 설치하는 과정이 간단하게 되도록 해준다.
다른 실시예의 개방 원반은 그 외측 둘레에 개방 원반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이 대향된 고정부 또는 외주에 걸쳐 분배된 다수의 고정부를 구비하며, 이 고정부는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의 구성,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는 스냅식으로 고정 부재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고정 부재의 측벽을 따라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때 측벽에는 고정부를 수납하기 위한 홈형상의 오목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고정부의 단부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고정 부재의 측벽 또는 측벽의 오목부 아래에 맞물리거나, 고정 부재의 후면부 또는 측벽부의 오목 부분 내지 개구부에 맞물린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의 후면부에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채널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배치된다. 개방 원반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고정부는 개구부 또는 채널을 통해 또는 그 내부로 연장되고 그 만곡된 단부에 의해 고정 부재에 앵커식으로 고정된다. 고정부의 단부는 고정 부재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고정 부재의 후면부의 하면 또는 고정 부재의 측벽의 하측 가장자리 또는 고정 부재의 돌출부 내지 오목부에 맞물리거나, 해당 오목 부분 또는 개구부에 맞물린다.
개방 원반의 고정부가 탄성적으로 형성되면, 고정 너트를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특히 간단해진다. 이 경우, 고정 너트는 개방 원반과 함께 매우 간단히 고정 부재에 맞물려 유지될 수 있다.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너트를 맞물려 유지하는 과정은 개방 원반의 고정부 및/또는 와이퍼 아암의 고정부재의 고정부와 나란한 영역에 있는 상응하는 삽입 경사면에 의해 보다 더 용이해진다.
다른 실시예의 와이퍼 아암도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가 삽입되는 오목 부분을 그 상면에 구비하며,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도 역시 오목 부분에 개방된다. 이 오목 부분이 전술한 오목 부분과 다른 차이점은 와이퍼 아암의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 고정부의 반대편에 있는 짧은 단부쪽으로 또는 측부쪽으로 개방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방 오목 부분은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가 삽입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오목 부분의 벽 또는 적어도 개방된 오목 부분의 측벽에는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의 형태 및 크기는 칼라를 가진 고정 너트 및 필요시 부속되는 와셔가 측부에서 오목 부분에 삽입될 수 있고 홈의 상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너트의 칼라에 중첩되어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오목 부분과 관련하여 형성된다. 고정 너트가 대략의 조립 위치까지 오목 부분 내에 삽입된 후,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은 유지 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가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에 유지될 뿐 아니라 와이퍼 아암에 대한 분리 기능도 보장된다. 고정 부재의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는 고정 부재가 전체적으로 주물로서 제작되거나 주물로서 제작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암형 원추부로서 형성되는 개구부가 주물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의 상면에 대응하는 주물의 상면에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칼라가 형성된다. 칼라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의 기하학적 중심축에 대해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이 형성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한쪽으로 개방된다. 고정 너트는 그 칼라에 의해 측부에서 칼라 아래에 밀어 넣어져 고정 너트의 상측부가 고정 개구부의 축방향 연장선을 따라 칼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은 다시 유지 부재에 의해 차단되며, 이에 의해 고정 너트가 대략의 조립 위치에 유지된다. 고정 너트의 칼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칼라는 스토퍼로서 작용하고 고정 너트와 연동하여 분리 기능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물은 대략 U자형 횡단면을 가진 박판 부재에 하방으로부터, 특히 스냅식으로 삽입되고 박판 부재의 만곡된 부분에 의하여 박판 부재에 고정된다. 이 경우, 박판 부재의 만곡된 부분은 적합하게는 유지 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를 수납하기 위한 칼라가 형성된 주물의 상측부는 박판 부재의 후면부에 있는 상응하는 개구부에 끼워져서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가 측부에서 칼라 아래로 밀어 넣어질 수 있을 때까지 박판 부재의 상면을 넘어 돌출된다.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은 유지 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는 고정 부재의 종축선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개방된다. 박판 부재의 개구부 및 이 개구부에 끼워진 주물의 상측부는 서로에 상응하는 대략 장방향의 형태 내지 윤곽을 가진다. 개구부 및 주물 상측부의 종방향 측면은 고정 부재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칼라형 수납부 내에 밀어 넣어지는 고정 너트의 칼라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는 다른 종방향 측면에 있는 오목 부분을 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고정 너트의 칼라가 반경 방향으로 개구부를 넘어 돌출되는 영역에서는, 와이퍼 아암의 조립시 고정 너트가 구동 샤프트에 가압되며, 그후 와이퍼 아암이 조립된 때에는 고정 너트의 칼라가 박판 부재의 상면에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고정 너트의 가압력이 주물 및 박판 부재에 분배된다. 이에 의해, 박판 부재와 주물 사이의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은 유지 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에 홈이 있는 주물이 박판 부재에 끼워지며, 박판 부재의, 특히 유지 탭의 형태로 된 만곡 부분에 의해 박판 부재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물이 상방으로부터 박판 부재의 후면부 상에 끼워지며, 주물의 하측부가 박판 부재의 후면부에 있는 개구부를 관통한다. 주물은 리벳 내지 코킹 또는 나사에 의해 박판 부재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주물의 하면에는 박판 부재에 있는 해당 구멍을 통과하여 후면부에 리벳 결합되거나 코킹 결합되는 리벳 샤프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리벳 또는 나사의 사용도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고정 부재가 전체적으로 대략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박판 부재로서 제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는 박판 부재의 후면부에 조립 위치로 배치된다. 외주에 걸쳐 분배되는 고정부는 고정 너트의 칼라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후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고정 너트의 칼라의 가장자리에 중첩된다. 고정부는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이후에야 비로소 그 자유단에서 칼라의 가장자리 위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된다. 고정부는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와이퍼 아암이 에나멜로 도포되는 경우, 에나멜의 도포는 고정 너트를 고정 부재에 조립한 이후, 즉 고정부를 만곡시킨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 자체는 박판 부재의 후면부로 부터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정부는 각각의 탭형 고정부가 한쪽에서만 박판 부재에 결합되도록 각각 후면부로부터 돌출되거나 전단된다. 그후, 각각의 탭형 고정부는 후면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만곡되고 최종적으로 그 자유단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고정 너트의 칼라에 걸쳐 만곡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의 회전축의 일측에는 박판 부재의 후면부로부터 돌출되어 만곡되는 고정부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측부에서 고정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영역이 형성된다. 잔여 고정부는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을 통해 측부로부터 조립 위치까지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고정 너트를 조립하기 이전에 그 자유단에서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되며, 고정 너트의 칼라는 고정부의 만곡된 단부 아래에 위치된다. 그후,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은 유지 부재에 의해 차단되다. 고정부는 고정 부재에 결합된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필요시 수행되는 와이퍼 아암의 에나멜 도포가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를 고정 부재에 조립하기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너트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도 조립 이전에 에나멜로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와이퍼 아암용 유지 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한정한 것으로, 유지 부재는 측부에서 고정 너트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를 고정 부재에 결합된 스토퍼 아래에 삽입한 이후에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을 차단한다.
이들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유지 부재는 걸어 맞춤식 고정부를 가진 마개형 합성수지 부재로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부재는 측부에서 고정 너트를 삽입한 이후에 이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에 있는 해당 오목 부분 또는 해당 개구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고정 영역용 커버 캡에 힌지식으로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된다. 유지 부재는 고정 너트가 밖으로 미끄러져 나갈 수 없게 고정 부재에 고정된다. 와이퍼 아암은 공구가 고정 너트에 바로 작용할 수 있도록 커버 캡이 개방된 상태에서 공급된다. 와이퍼 아암의 조립 이후에야 비로소 커버 캡이 고정 너트 내지 전체 고정 영역 위로 선회되어 예컨대 고정 부재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커버 캡을 선회 가능하게 고정 부재에 연결시키는 피벗 핀으로 된다. 피벗 핀은 고정 부재에 있거나 고정 너트의 칼라를 수납하는 칼라에 있는 일렬로 정렬된 구멍에 배치된다. 이 구멍은 그 안에 배치된 피벗 핀에 의해 고정 너트가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위치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고정 너트의 삽입 영역이 유지 부재로서의 피벗 핀에 의해 차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단일 피벗 핀 대신에 커버 캡에 형성된2개의 피벗 핀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캡은 피벗 핀이 일자형으로 정렬된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고정 부재 내지 고정 나사의 칼라 수납을 위한 칼라 내로 돌출되어 고정 나사가 삽입 영역을 차단하도록 고정 부재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적합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특수한 성형 부품으로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성형 부품은 고정 부재에 걸어 맞춰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고정 나사가 삽입 영역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성형 부품은 기본적으로 성형 부품이 고정 부재의 영역을 덮어 고정 부재의 형태가 전체적으로 조화되어 보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너트가 칼라와 스패너의 작용부 사이에 원통형 샤프트를 구비한다. 원통형 샤프트의 직경은 칼라의 직경보다는 작지만 예컨대 육각형의 스패너용 작용부의 폭보다는 크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원통형 샤프트가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고정 너트의 칼라와 협동하는 스토퍼 또는 고정 너트의 상측부가 돌출되기 시작하는 고정 부재의 후면부의 상면을 넘어 약간 돌출되는 것이다. 이 경우, 스패너는 그 하측 가장자리가 원통형 샤프트 상에 끼워지며, 이에 의해 정확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샤프트의 높이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되면, 스패너는 스토퍼 또는 고정 부재의 상면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그 표면 내지 도포된 에나멜층도 긁히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예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조립시에 조립 작업을 보다 단순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단순화는 구동 샤프트의 자유단에 있는 나사 형성 연장부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고정 너트의 센터링, 또는 특히 암형 원추부로서 형성된 고정 부재의 개구부를 구동 샤프트의 자유단에 대하여 센터링하는 것을 양호하게 하거나 단순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는 고정 부재 또는 고정 부재에 놓인 와셔와 접하는 그 하면에 나사부가 없는 짧은 원통형 구멍부를 고정 너트의 나사부의 시작 이전에 구비한다. 이러한 짧은 구멍부의 직경은 고정 너트의 암나사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따라서 구동 샤프트의 자유단에 있는 나사 연장부보다도 약간 크다.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조립할 때, 구동 샤프트는 고정 부재에 있는 개구부를 통과한 후 자동적으로 추가 조작 없이 고정 너트의 짧은 원통형 구멍부내에 도달되며, 이에 따라 고정 너트가 나사 연장부에 대해 센터링된다. 이후로 고정 너트는 해당 너트 스패너에 의해 나사 연장부에서 나사 결합되기만 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의 원추형의 수렴 측에 연결된 짧은 원통형 구멍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동 샤프트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구멍부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의 자유단에 끼워 넣을 때 구동 샤프트에 대해 고정 부재 및 이에 이탈되지 않게 유지되는 고정 너트를 센터링한다. 이에 의해, 와이퍼 아암을 구동 사프트에 조립하는 것도 간단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그 하면에 고정 부재의 개구부와 동축으로 축방향의 중공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한다. 즉, 이러한 중공 원통형 연장부는 고정 부재의 원추형 개구부의 발산하는 쪽에 하방으로 연결된다. 중공 원통형 돌출부의 내경은 구동 샤프트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이 돌출부의 내면이 구동샤프트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고정 부재가 구동 샤프트에 대해 정향된다. 부가적으로, 스냅 결합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고정 부재와 구동 샤프트의 결합 안정성도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중공 원통형 연장부에 축방향으로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중공 원통형 연장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는 경우에 따라 구동 샤프트에 부속된 와이퍼 베어링이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둘러싼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 와이퍼 베어링이 오물 및 습기의 침입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되며, 다른 한편으로 외관의 개선도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너트는 환형 칼라를 구비하지 않는다. 전술한 칼라는 상응하는 견고성이 있고 스토퍼를 거쳐 고정 부재에 분리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 너트에 설치되는 개방 원반으로 대체된다. 이 경우, 개방 원반은 고정 부재의 기하학적 조건에 따라 또는 전달할 힘에 의존하여 평면형으로 형성되거나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원반은 고정 너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 원반은 그 둘레 방향으로 고정 너트에 대해 회전될 수 있지만 축방향으로는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는 고정 너트 대신 고정 나사를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고정 나사는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암나사에 축방향으로 맞물린다. 고정 나사는 고정 너트와 유사하게 고정 부재에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유지된다. 고정 나사의 샤프트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에 배치되며, 나사 헤드의 하면은 고정 부재 또는 그 사이에 개재된 와셔 상에 놓인다. 나사 헤드는 하측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칼라 또는 나사 헤드에 고정된 평면형이거나 특정 형상을 가진 개방 원반을 구비한다. 칼라 또는 개방 원반에 중첩되는 스토퍼는 고정 부재에 설치되거나 그 원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나사는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서의 센터링을 위해 나사 헤드에 대향된 단부에 나사가 없는 원통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원통부의 직경은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암나사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Claims (35)

  1. 구동 샤프트(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1)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1)에는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된 개구부(7)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부재(1)는, 개구부(7)에 상응하는 수형 원추부(23)로서 형성되고 나사 형성 연장부(24)가 있는 구동 샤프트(8)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고정 너트의 하면(88)은 직접 또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개구부(7)를 둘러싸는 고정 부재(1)의 가장자리 상에 가압되고, 구동 샤프트(8)의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개구부(7)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9)에 의해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9)는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8)에 작용하여 구동 샤프트(8)로부터 와이퍼 아암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행하도록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유지되며,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를 향한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12)를 구비하며, 칼라(12)의 상면은 고정 부재(1)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토퍼(10)에 중첩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주물(90) 내지 주조 부품 삽입부(48)가 상면(25)에 형성된 포켓형 구멍 형태의 오목 부분(26)을 구비하며, 이 오목 부분(26)의 바닥은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7)와 연통하며, 고정 너트(9)는 오목 부분(26) 내부에 배치되며, 고정 부재(1)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토퍼(10)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는 칼라(12)의 상부측에서 오목 부분(26)을 둘러싼 벽에 일렬로 정렬되어 형성된 구멍(28) 내에 고정 너트(9)의 대향된 양측으로 배치되는 2개의 핀(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27)은 원형, 장방형 또는 다른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조립한 후에 고정 부재(1)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로부터 분해하기 전에 다시 고정 부재(1)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는 단부에서 포크형으로 서로 결합되어 평행하게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핀(27)이며, 이 핀(27)은 고정 너트(9)의 칼라(12)의 상부측에서 오목 부분(26)을 둘러싼 벽에 일렬로 형성된 평행한 구멍(28) 내로 삽입되거나 이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의 오목 부분(26)은 그 바닥측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고정 너트(9)의 칼라(12)에 인접하여 배치된 벽 계단부(38)를 구비하며, 이 벽 계단부(38)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보다 약간 높으며, 벽 계단부(38)에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에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개방 원반(37)이 배치되어 고정 부재(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9)의 칼라(12) 상에 개방 원반(37)이 느슨하게 놓여지며, 개방 원반(37)에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상태로 유지 원반(40)이 개방 원반(37) 위에 배치되어 오목 부분(26)의 벽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8.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고정체(36)가 그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고정 너트(9)의 칼라(12) 위에 배치되고, 그 외측 가장자리에 의해 인장력 하에 오목 부분(26)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9. 제1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절개된 스프링 와셔(45)가 반경 방향으로는 일정 범위로 이동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오목 부분(26)의 벽에 지지되어 배치되며, 고정 너트(9)의 칼라(12)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며, 계단부(44)의 직경(d2)은 스프링 와셔(45)의 내경(d3)보다 약간 작으며, 고정 부재(1)쪽을 향한 칼라(12)의 하측부(43)는 스프링 와셔(45)를 일시적으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스프링 와셔(45)를 통과할 수 있으며, 스프링 와셔(45)는 계단부(44)상에서 원래의 형태 및 크기로 복귀하여 칼라(12)의 하측부(43)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0. 제1항에 있어서, 포켓형 구멍 형태의 오목 부분(26)은 와이퍼 아암의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해 짧은 단부(61)쪽으로 또는 측부쪽으로 개방되어 고정 너트(9)의 삽입 영역(62)을 형성하며, 개방된 오목 부분(26)의 측벽에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를 삽입하거나 수납하기 위한 홈(63)이 형성되어 고정 너트(9)가 측부에서 삽입 영역(62)을 통해 대략의 조립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며, 삽입 영역(62)은 별개의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단되고, 이 유지 부재는 삽입 영역(62)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1. 구동 샤프트(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1)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1)에는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된 개구부(7)가 있고,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는 상응하는 수형 원추부(23)로서 형성되고 나사 형성 연장부(24)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8)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직접 또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상에 가압되고 구동 샤프트(8)의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개구부(7)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9)에 의해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9)는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8)에 작용하여 구동 샤프트(8)로부터 와이퍼 아암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행하도록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유지되며,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를 향한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12)를 구비하며, 칼라(12)의 상면은 고정 부재(1)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토퍼(10)에 중첩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 용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고정 부재(1)의 상면(25)상에 개방 원반(53)이 놓여지고, 고정 너트(9)의 상부는 개방 원반(53)의 구멍을 통과하며, 개방 원반(53)은 고정 부재(1)에 개방 원반(53)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개방 원반(53)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원반(53)은 그 외측 둘레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2개 이상 또는 외주에 걸쳐 분배된 그 이상의 고정부(54)를 구비하며, 이 고정부(54)는 고정 부재(9)의 측벽(56)을 따라 축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만곡된 단부(55)에 의해 측벽(56) 또는 측벽(56)의 오목부 아래에 맞물리거나, 고정 부재(1)의 측벽(56)에 있는 오목 부분 내지 개구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원반(53)은 그 외주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2개 이상 또는 외주에 걸쳐 분배된 그 이상의 고정부(54)를 구비하며, 이 고정부(54)는 축방향으로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에 있는 절결부(60)를 통해 연장되고, 내측으로 만곡된 단부(55)에 의해 후면부(49)의 하면 또는 측벽(56) 또는 측벽(56)의 돌출부(57, 59) 아래에 맞물리거나, 고정 부재(1)의 측벽(56)에 있는 해당 오목 부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원반(53)의 고정부(54)는 개방 원반(53)이 고정 부재(1)상에 맞물려 고정되거나 그 고정부(54)에 의해 고정 부재(1)에 있는 해당 오목 부분 등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탄성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5. 구동 샤프트(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1)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1)에는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된 개구부(7)가 있고, 고정 부재(1)는 개구부(7)에 의해 상응하는 수형 원추부(23)로서 형성되고 나사 형성 연장부(24)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8)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의 하면은 직접 또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상에 가압되고 구동 샤프트(8)의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개구부(7)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9)에 의해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9)는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8)에 작용하여 구동 샤프트(8)로부터 와이퍼 아암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행하도록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유지되며,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를 향한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12)를 구비하며, 칼라(12)의 상면은 고정 부재(1)에 결합된 스토퍼(10)에 의해 중첩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고정 부재(1) 내지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면(25)에는 칼라(79)가 형성되며, 이 칼라(79)는 고정 너트(9)의 칼라(12)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가 측부에서 칼라(79) 아래에 삽입되어 고정 너트(9)의 상측부가 개구부(7)의 축선에 대한 축방향 연장선을 따라 칼라(7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쪽 이상으로 개구부(7)의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며, 삽입 영역(62)은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6. 제15항에 있어서,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U자형 횡단면을 가진 박판 부재(47)에 하방으로부터, 스냅식으로 삽입되고 고정 너트(9)를 수납하는 그 상측부가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 있는 개구부(52)에 밀어 넣어져서 유지 탭(80) 형태의 박판 부재(47)의 만곡부에 의해 박판 부재(47)에 고정되며, 칼라(79)는 고정 부재(1)의 종방향 축선(85)에 대해 직각으로 개방되며, 박판 부재(47)의 후면부(49)에 있는 개구부(52) 및 개구부(52)에 배치된 주조 부품 삽입부(48)의 상측부는 서로에 상응하는 대략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장방형의 긴 변(84)은 고정 부재(1)의 종방향 축선(85)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고정 너트(9)의 칼라(12)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는 장방형의 긴 변(84)에 있는 오목 부분을 넘어 돌출되고 이에 대향된 원호형 부분(86)에서 박판 부재(47)상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7. 구동 샤프트(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후면부(49)를 가진 박판 부재(91)와, U자형 횡단면을 가진 박판 부재(91)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부재(1)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1)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상면(25)까지 관통되는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된 개구부(7)가 있고,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는 상응하는 수형 원추부(23)로서 형성되고 나사 형성 연장부(24)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8)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그 하면은 직접 또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상에 가압되고 구동 샤프트(8)의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개구부(7)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9)에 의해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9)는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8)에 작용하여 구동 샤프트(8)로부터 와이퍼 아암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행하도록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유지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상에 놓이며, 외주에 분포되어 배치된 다수의 고정부(77)가 칼라(12)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쪽으로 후면부(49)로부터 돌출되어 고정 너트(9)의 칼라(12)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의 상면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7)는 외측으로 후면부(49)로부터 돌출되거나 전단되어 우선 상방으로 만곡되며, 그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고정 너트(9)의 칼라(12)의 가장자리 위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7)의 반경 방향의 한쪽에는 고정부(77)가 배치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고정 너트(9)의 칼라(12)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가 기존 고정부(77)의 아래까지 삽입되며, 삽입 영역(62)은 유지 부재(64)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0. 제10항, 제15항, 제16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64)는 걸어 맞춤식 고정부를 가진 마개형 합성수지 부재이며, 합성수지 부재는 고정 부재(1)의 후면부(49)에 있는 절결부(66)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1. 제10항, 제15항, 제16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64)는 커버 캡(67)에 힌지식으로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며, 고정 너트(9)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부재(1)에 배치되며, 커버 캡(67)은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조립한 이후에 고정 너트(9) 위로 선회될 수 있고, 고정 부재(1)에 걸어 맞춤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2. 제10항,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64)는 커버 캡(67)을 선회 가능하게 고정 부재(1)에 연결시키는 피벗 핀이며, 이 피벗 핀은 칼라(12) 및 필요시 설치되는 와셔(15)의 높이로 고정 부재(1) 내지 칼라(79)에 일렬로 형성된 구멍(76)에 배치되어 삽입 영역(62)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피벗 핀 대신에 2개의 피벗 핀(75)이 커버 캡(67)에 형성되어 외측으로부터 일렬로 정렬된 구멍(76)을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4. 제10항, 제15항, 제16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64)는 합성수지제의 성형 부품이며, 합성수지 성형 부품은 고정 너트(9)의 삽입 방향으로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걸어 맞춰져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부재(1)의 형태와 조화되도록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5. 구동 샤프트(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주조 부품 삽입부(48)가 고정된 박판 부재(47)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부재(1)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1)에는 주조 부품 삽입부(48)에 암형 원추부(22)로서 형성된 개구부(7)가 있고,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는 상응하는 수형 원추부(23)로서 형성되고 나사 형성 연장부(24)를 가지는 구동 샤프트(8)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그 하면은 직접 또는 와셔(15)를 개재하여 고정 부재(1)의 개구부(7)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상에 가압되고 구동 샤프트(8)의 나사 형성 연장부(24)의 개구부(7)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9)에 의해 고정 부재(1)가 구동 샤프트(8)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9)는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8)에 작용하여 구동 샤프트(8)로부터 와이퍼 아암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행하도록 적어도 대략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재(1)에 유지되며,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를 향한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12)를 구비하며, 칼라(12)의 상면은 고정 부재(1)에 결합된 스토퍼(10)에 중첩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고정 부재(1)의 박판 부재(47)는 횡단면이 U자형이고 그 후면부(49)에 개구부(52)를 구비하며,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와이퍼 아암을 구동 샤프트(8)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 개구부(7)에 의해 개구부(52) 아래에 배치되어 박판 부재(47)의 만곡된 영역에 의해 박판 부재(47)에 고정되며, 주조 부품 삽입부(48)는 개구부(52)의 하부에 오목 부분을 구비하며, 고정 너트(9)는 그 칼라(12)에 의해 오목 부분내에 배치되고 그 상측부에 의해 개구부(52) 내를 관통하며, 개구부(52)를 둘러싸는박판 부재(47)의 가장자리는 스토퍼(10)로서 고정 너트(9)의 칼라(12)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6. 제1항, 제11항, 제15항, 제17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9)는 칼라(12)와 스패너(20)의 작용부(19) 사이에 원통형 샤프트(21)를 구비하며, 원통형 샤프트(21)의 직경은 칼라(12)의 직경보다는 작고 고정 너트(9)의 작용부(19)의 폭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7. 제1항, 제11항, 제15항 제17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9)에는 고정 부재(1)를 향한 쪽에 연이은 너트의 나사부(3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 짧은 원통형 구멍부(3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8. 제1항, 제11항, 제15항 제17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의 개구부(7)에서는 암형 원추형(22)의 수렴 측에 짧은 원통형 구멍부(33)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29. 제1항, 제11항, 제15항 제17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의 세정할 유리창을 향한 하면(34)에서는 개구부(7)의 암형 원추부(22)의 발산 측에 연결된 중공 원통형 연장부(35)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 원통형 연장부(35)는 그 내측면이 구동 샤프트(8)의 축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30. 제29항에 있어서, 중공 원통형 연장부(35)에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72)가 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제2 중공 원통형 연장부(72)는 와이퍼 베어링이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대부분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31. 제1항, 제11항, 제15항 제17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9)의 칼라(12)는 고정 너트(9)에 고정된 평면형 또는 특정 형상의 개방 원반(17)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원반(17)은 고정 너트(9)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원형의 외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아암.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원반(17)은 축방향으로는 고정되지만 그 둘레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 너트(9)에 고정되고 원형 또는 원형이 아닌 외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9)는 고정 부재(1)의 상면에 놓인 쪽에 중공 원통형 돌기(18)를 구비하며, 중공 원통형 돌기(18)는 개방 원반(53)의 구멍을 통과하고 그 가장자리는 만곡되어 개방 원반(53)의 하면에 접하며, 고정 너트(9)는 개방 원반(53)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원반(53)은 그로부터 돌출된 고정부(54)를 구비하며, 고정부(54)에 의해 개방 원반(53)이 고정 부재(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아암.
KR1019960705096A 1994-03-15 1995-02-18 유리창와이퍼시스템용와이퍼아암 KR100355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08732A DE4408732A1 (de) 1994-03-15 1994-03-15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P4408732.2 1994-03-15
PCT/EP1995/000597 WO1995025025A1 (de) 1994-03-15 1995-02-18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642A KR970701642A (ko) 1997-04-12
KR100355632B1 true KR100355632B1 (ko) 2002-12-28

Family

ID=651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096A KR100355632B1 (ko) 1994-03-15 1995-02-18 유리창와이퍼시스템용와이퍼아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4628A (ko)
EP (1) EP0750554B1 (ko)
JP (1) JP3689110B2 (ko)
KR (1) KR100355632B1 (ko)
DE (2) DE4408732A1 (ko)
ES (1) ES2136279T3 (ko)
WO (1) WO19950250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11B1 (ko) 2006-06-08 2014-05-15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차창용 와이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9905B1 (fr) * 1995-01-31 1997-04-04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demontage de sa tete d'entrainement
FR2746741B1 (fr) * 1996-03-29 1998-06-19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730579A1 (de) * 1997-07-17 1999-01-21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element sowie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9820556A1 (de) * 1998-05-08 1999-11-11 Itt Mfg Enterprises Inc 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FR2783480B1 (fr) * 1998-09-22 2000-10-20 Peugeot Dispositif de fixation d'un bras d'essuie-glace sur un arbre d'entrainement
GB9905666D0 (en) * 1999-03-12 1999-05-05 Tri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per windscreen heads
DE19938969A1 (de) 1999-08-17 2001-02-2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ischarms auf einer Antriebswelle
US7139404B2 (en) 2001-08-10 2006-11-21 Hear-Wear Technologies, Llc BTE/CIC auditory device and modular connector system therefor
US6942415B2 (en) 2002-02-26 2005-09-13 The Torrington Company Shaft assembly safety mechanism
JP2004314952A (ja) * 2003-04-18 2004-11-11 Johnson Electric Sa ワイパー機構
EP1496273B1 (de) * 2003-07-09 2007-10-24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Arretierung von Bund-Schrauben oder Bund-Muttern an einem Gehäuse
US8434960B2 (en) * 2008-11-26 2013-05-07 Applied Minds, Llc Captive bolt mechanism and process for structural assembly of planar components
FR2954205B1 (fr) * 2009-12-21 2012-02-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ince de demontage d'un bras d'essuie-vitre et procede de demontage associe.
PL228738B1 (pl) * 2012-10-08 2018-04-30 Valeo Autosystemy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topka wycieraczki, zwłaszcza wycieraczki samochodowej i sposób jej wytwarzania
JP5645284B1 (ja) 2013-06-28 2014-12-24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アーム
EP3380370B1 (en) * 2015-11-26 2020-06-17 Mitsuba Teklas Turkey Otomotiv Anonim Sirketi A cover for protecting the wiper shaft
US10792772B2 (en) 2018-07-17 2020-10-0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eat exchanger replacement mounting pin and drill jig
WO2020264183A1 (en) * 2019-06-26 2020-12-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Vacuum tool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66076A (en) * 1963-07-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rm attachment
GB637671A (en) * 1944-03-23 1950-05-24 Productive Inventions Inc Drive mounting for windshield wiper arm
US2684258A (en) * 1950-03-23 1954-07-20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arm
US2738535A (en) * 1952-02-23 1956-03-20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arm
DE1099875B (de) * 1954-02-19 1961-02-16 Anderson Co Befestigung des Windschutzscheibenwischerarmes an einer Wischerwelle
US2980453A (en) * 1955-01-17 1961-04-18 Max Zaiger Arm coupling for windshield wiper arms
GB827427A (en) * 1956-12-03 1960-02-03 Anderson Co Windshield wiper arm assembly
US2885230A (en) * 1957-10-11 1959-05-05 Trico Products Corp Wiper arm head assembly
US3036847A (en) * 1959-09-28 1962-05-29 Gen Motors Corp Windshield wiper arm attachment
US3429597A (en) * 1960-07-01 1969-02-25 Anderson Co Clutch assembly for windshield wiper arm
SU1063668A1 (ru) * 1981-02-09 1983-12-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223 Рычаг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FR2518032A1 (fr) * 1981-12-11 1983-06-17 Marchal Equip Auto Element d'essuie-glace comportant un bras d'essuie-glace soumis a l'action d'un ressort de compression par l'intermediaire d'une equerre de butee
DE3501338C2 (de) * 1985-01-17 1987-01-02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anlage
FR2640211B1 (fr) * 1988-12-13 1991-03-29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a coussinets pour un systeme d'essuie-glace a deux bras et systeme d'essuie-glace equipe d'un tel dispositif
DE4140959A1 (de) * 1991-05-15 1992-11-19 Swf Auto Electric Gmbh Wischarm, insbesondere fuer scheiben an kraftfahrzeu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11B1 (ko) 2006-06-08 2014-05-15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차창용 와이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36279T3 (es) 1999-11-16
DE4408732A1 (de) 1995-09-21
KR970701642A (ko) 1997-04-12
JPH09510161A (ja) 1997-10-14
EP0750554A1 (de) 1997-01-02
JP3689110B2 (ja) 2005-08-31
WO1995025025A1 (de) 1995-09-21
EP0750554B1 (de) 1999-06-09
DE59506172D1 (de) 1999-07-15
US5894628A (en) 199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632B1 (ko) 유리창와이퍼시스템용와이퍼아암
KR100518694B1 (ko)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US8484794B2 (en) Device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of a windshield wiper
EP1075603B1 (en) Captive screw
US6280131B1 (en) Captive screw
US7506993B2 (en) Fluorescent bulb retaining spring
US8522393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CN100385127C (zh) 控制电缆固定用的单触引出头
US6902344B2 (en) Angle joint
US4530629A (en) Toilet bowl mounting bolt assembly
MX2007000547A (es) Dispositivo limpiador de parabrisas.
US6311370B1 (en) Skipole handle equipped with a safety strap
KR950014783B1 (ko) 윈드스크린와이퍼의 피봇죠인트
US2979352A (en) Arm connector
US6286774B1 (en) Fishing reel having nut lock for preventing looseness of nut
JP2000355270A (ja) 車両用ワイパ
US2684258A (en) Windshield wiper arm
US10556517B2 (en) Fastener for swivel-mounted mounting of a seat shell of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swivel-mounted mounting of a seat shell on a vehicle seat
JPS6336858Y2 (ko)
EP3877134B1 (en) Cap for a handwheel
US6216376B1 (en) Display apparatus
US4407599A (en) Device for fixing a derailleur on a frame lug
KR0131873Y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장치
JP2554148Y2 (ja) 軒樋カバーの保持構造
JPS623311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