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582B1 - 오존발생용 유전체 - Google Patents

오존발생용 유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582B1
KR100355582B1 KR1019990054028A KR19990054028A KR100355582B1 KR 100355582 B1 KR100355582 B1 KR 100355582B1 KR 1019990054028 A KR1019990054028 A KR 1019990054028A KR 19990054028 A KR19990054028 A KR 19990054028A KR 100355582 B1 KR100355582 B1 KR 100355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ozone
present
metal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144A (ko
Inventor
원철희
Original Assignee
세명테크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테크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명테크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5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발생용 유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과의 팽창계수에 차이가 없으면서 유전률이 높은 세라믹조성물로 금속전극에 유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되는 오존농도를 높이면서 소비전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오존발생용 유전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l2O36.21~17.3mole%, Na2O 4.5~16.7mole%, SiO232.3~67.5mole%, TiO27.6~25.4mole%, 그리고 MgO, CaO, BaO, B2O3, P2O5, K2O, Fe2O3, ZrO2, NiO, PbO, CoO을 각 1.29~8.5mole%로 조성하여 금속튜브(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용 유전체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오존발생용 유전체 {Dielectrics for Ozone generator}
본 발명은 오존발생용 유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과의 팽창계수에 차이가 없으면서 유전률이 높은 세라믹조성물로 금속전극에 유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되는 오존농도를 높이면서 소비전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존발생용 유전체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코로나(Corona)의 방전시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는 유입되는 기체중 산소의 농도와 유전체의 유전상수 (Dielectric Constant)에 비례하게 되는데, 현재 오존발생용 유전체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관, 석영관 및 알루미나관의 경우 유전상수가 3.8~8.6으로 낮아 생성하는 오존의 농도가 15~68g/㎤로 낮고, 전력효율이 17~36kwh/kg-O3로 낮다.그리고, 유전체로서 사용되는 복합세라믹산화물을 그 유전상수가 20~12,000로써 매우 높아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시켜 오존발생용 유전체로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전상수가 높은 세라믹조성이 어렵고 금속전극에 팽창계수가 작은 세라믹을 형성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금속과의 팽창계수에 차이가 없으면서 유전률이 높은 세라믹조성물로 금속전극에 유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되는 오존농도를 높이면서 소비전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존발생용 유전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오존농도와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5는 오존농도와 전력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6은 오존발생량과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속튜브 1-1: 금속제판 2,2-1: 유전체 3: 대향전극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l2O36.21~17.3mole%, Na2O 4.5~16.7mole%, SiO2, 32.3~67.5mole%, TiO27.6~25.4mole%, 그리고 MgO, CaO, BaO, B2O3, P2O5, K2O, Fe2O3, ZrO2, NiO, PbO, CoO을 각 1.29~8.5mole%로 조성하여 금속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용 유전체를 제공하게 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는 오존농도와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5는 오존농도와 전력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6은 오존발생량과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예컨대, SiO2, 2MgO*2Al2O3*5SiO2, Li2O*Al2O3*4SiO 등은 그 팽창계수가 20~1000℃에서 0.5×10-6~1.9×10-6m/m.K로서, 금속의 팽창계수에 비해 9~20배정도 적게 나타나, 유전체의 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코로나방전중 250℃까지 상승할 경우 금속전극과의 팽창계수차이로 인해 대부분 파손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다.그리고, 그 팽창계수가 20~1000℃에서 8×10-6~13.8×10-6m/m.K인 MgO, SiO2, Al2O3, TiO2및 MgAl2O3등을 사용하여 -20~250℃ 사이에서 금속과 팽창계수의 차이가 적은 세라믹조성물을 찾아낸다.이때, 유전체로 사용될 세라믹조성물은 금속전극과의 팽창계수차이를 ±17% 이내가 되도록 조성되어 금속전극(1)상에 일정층을 이루도록 피복된다.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존발생용 유전체(2)는 팽창계수가 9.9×10-6~17.3×10-6m/m.K인 금속튜브(1)의 외주면에 세라믹조성물을 380미크론(micron) 내지 1500미크론의 두께로 유전층을 형성하게 된다.또한, 오존발생용 유전체(2)와 접지전극 사이에 180미크론(micron) 내지 1700미크론의 폭을 갖는 방전갭을 형성시켜 전극에 400~30,000 Hz, 4500~8700V의 구형파 또는 정현파의 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면 방전갭을 통과하는 산소분자가 전기 에너지에 의해 여기상태의 산소원자로 생성되고, 이 산소원자가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3개의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오존을 생성시키게 된다.여기서, 주파수나 전류, 유전체와 접지전극 사이의 거리인 방전갭의 크기, 방전면적은 물론 주파수밀도, 전류밀도 등과 같은 전기조건이 모두 동일할 경우에 오존의 생성농도는 유전상수에 비례하게 된다.이때, Al2O3-TiO2-SiO2의 복합산화물세라믹으로 조성되는 오존발생용 유전체(2)는 20℃, 106Hz에서 그 유전상수가 20~8000으로 높게 나타나며, 유전상수가 3.8~8.6인 유리관 또는 4.5~8.4인 알루미나튜브에 비해 현저한 차이가 있고, 동일한 전기조건하에서 그 오존생성효율이 유리관이나 알루미나튜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게 나타난다.결국, 높은 오존생성효율은 동일유량에서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하게 되고, 오존생산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실시예1]
높은 팽창계수를 가진 Al2O36.21~17.3mole%, Na2O 4.5~16.7mole%, SiO232.3~67.5mole%, 큰 유전계수를 가진 TiO27.6~25.4mole%를 주성분으로 하여 MgO, CaO, BaO, B2O3, P2O5, K2O, Fe2O3, ZrO2, NiO, PbO, CoO 등을 각 1.29~8.5mole%로 혼합시켜 금속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면서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복합산화물세라믹을 조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12~125㎜인 금속튜브(1)의 외주면에 380~1500미크론의 오존발생용 유전체(2)를 형성하게 된다.이때, 400~30,000Hz, 4500~8700V의 구형파 또는 정현파 전압을 인가한 결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78~182g/㎥의 고농도 오존을 연속 생성할 수 있게 되면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6.4~11.6kw/kg-O3의 극히 우수한 전력효율을 얻었다.
[실시예2]
실시예1과 같이 높은 팽창계수를 가진 Al2O36.2~17.3mole%, Na2O 4.5~16.7mole%, SiO232.3~67.5mole%, 큰 유전계수를 가진 TiO27.6~25.4mole%를 주성분으로 하여 MgO, B2O3, Fe2O3, NiO 및 PbO 등을 각 0~6.2mole%의 미량성분으로 혼합하여 복합산화물세라믹을 조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가로 8~32mm이고 세로 25~150mm인 사각판의 금속제판(1-1)상에 380~1500미크론의 오존발생용 유전체(2)를 형성시킨 다음, 다시 이 유전체의 상부에 대향전극(3)을 형성시킨다.이때, 전극에 15~38KHz, 2300~4800V의 구형파 전압을 인가한 결과 공기중에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8~62mg/w의 우수한 오존발생량을 나타내었다.이처럼, 금속제판(1-1)상에 유전체(2)를 형성시킬 경우, 전극의 형성을 위해 금속박막증착이나 실크인쇄를 할 필요가 없고, 전극을 납땜할 필요가 없으며, 질소 산화물로 인한 전극부식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유전상수가 높은 복합산화물세라믹으로 금속전극상에 유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오존생성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전력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Al2O36.21~17.3mole%, Na2O 4.5~16.7mole%, SiO232.3~67.5mole%, TiO27.6~25.4mole%, 그리고 MgO, CaO, BaO, B2O3, P2O5, K2O, Fe2O3, ZrO2, NiO, PbO, CoO을 각 1.29~8.5mole%로 조성하여 금속튜브(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용 유전체.
  2. 삭제
  3. 삭제
KR1019990054028A 1999-11-30 1999-11-30 오존발생용 유전체 KR100355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028A KR100355582B1 (ko) 1999-11-30 1999-11-30 오존발생용 유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028A KR100355582B1 (ko) 1999-11-30 1999-11-30 오존발생용 유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44A KR20000007144A (ko) 2000-02-07
KR100355582B1 true KR100355582B1 (ko) 2002-10-12

Family

ID=1962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028A KR100355582B1 (ko) 1999-11-30 1999-11-30 오존발생용 유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22B1 (ko) * 2002-10-16 2005-03-31 한국전기연구원 오존 발생용 세라믹 방전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8411A (ja) * 1989-04-10 1990-11-0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セラミックス誘電体用導電性組成物
JPH04359810A (ja) * 1991-06-04 1992-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磁器組成物ならびに誘電体磁器組成物を用いた誘電体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18060A (ja) * 1993-08-24 1995-05-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高誘電率ガラスセラミック
JPH10120436A (ja) * 1996-10-22 1998-05-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セラミック誘電体材料
KR19980703249A (ko) * 1995-03-25 1998-10-15 비스코프-보곤 베르너 쿠르트 오존생성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8411A (ja) * 1989-04-10 1990-11-0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セラミックス誘電体用導電性組成物
JPH04359810A (ja) * 1991-06-04 1992-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磁器組成物ならびに誘電体磁器組成物を用いた誘電体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18060A (ja) * 1993-08-24 1995-05-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高誘電率ガラスセラミック
KR19980703249A (ko) * 1995-03-25 1998-10-15 비스코프-보곤 베르너 쿠르트 오존생성기 및 그 제조방법
JPH10120436A (ja) * 1996-10-22 1998-05-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セラミック誘電体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44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2983A (en) Device for producing ozone
US20020063537A1 (en) Appaaratus for generating low temperature plasma at atmospheric pressure
EP136664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low temperature plasma at atmospheric pressure
JP3539734B2 (ja) オゾナイザ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55582B1 (ko) 오존발생용 유전체
CN109429419A (zh) 一种新型介质阻挡等离子体发生装置
CN106961778A (zh) 低温等离子发生装置及其制作方法及反应器
JPH11268902A (ja) オゾン発生装置用放電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41537A (ko) 대기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장치
CN112888130B (zh) 一种用于果蔬保鲜的低温等离子体发生装置及方法
JPH04280059A (ja) 低圧放電灯
KR100507334B1 (ko) 대기압 프라즈마 가속장치
CN217116485U (zh) 一种原位生长双介电体阻挡放电的电极结构
KR200248600Y1 (ko)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CN114727468A (zh) 一种原位生长双介电体阻挡放电的电极结构
CN2262029Y (zh) 高效长寿臭氧源片
CN215249564U (zh) 放电体以及电场装置和臭氧发生器
JPH03164404A (ja) オゾン発生素子
CN108495440A (zh) 一种平板上两组平行金属线间电晕放电的等离子发生器
JP5460092B2 (ja) プラズマ発生体およびプラズマ発生装置
CN115845110A (zh) 基于多层云母绝缘板的空气消杀用等离子体放电结构单元
KR100460601B1 (ko) 플라즈마 발생용 복합소재 전극 및 그 제조방법
JPS6442306A (en) Ozonizer
JPH01246104A (ja) オゾン発生用放電体
JPS60204604A (ja) 特にオゾン製造用のコロナ放電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