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600Y1 -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 Google Patents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600Y1
KR200248600Y1 KR2020010015054U KR20010015054U KR200248600Y1 KR 200248600 Y1 KR200248600 Y1 KR 200248600Y1 KR 2020010015054 U KR2020010015054 U KR 2020010015054U KR 20010015054 U KR20010015054 U KR 20010015054U KR 200248600 Y1 KR200248600 Y1 KR 200248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ceramic
ozone
present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도
Original Assignee
박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도 filed Critical 박영도
Priority to KR2020010015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600Y1/ko

Links

Landscapes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존 발생기용 유전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오존의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오존발생용 유전체를 얻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라믹 양면에 도전율이 우수한 도전체를 용사 피막 처리하여 도전체가 세라믹 표면에 밀착 융착되도록 하여 전극부를 구비하도록 한 오존발생기용 유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오존발생기용 유전체{ozonizer dielectric}
본 고안은 오존 발생기용 유전체에 관한 것이다.
오존은 두개의 전극사이에 유전체를 끼워 고전압을 인가 하면 전극과 유전체의 사이에 절연파괴 현상이 일어나는 무성 방전의 공간에 공기나 산소가 통과되면서 오존이 발생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전해 화학법,광화학법,고주파 전개법, 방사선 조사법,무성방전법등이 있으나 현재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이 무성방전법이다.
무성방전법은 방전관의 양 전극간에 유리 또는 세라믹스 형태의 유전체를 설치하고 그 유전체와 전극 간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유전체와 전극간에 형성된 방전 간극 사이에 산소를 함유한 기체를 흘려 보내면서 고압의 전압을 송전하여 전극에서 발생되는 전자는 산소분자와 충돌하여 산소를 원자상태로 해리시키고 그 발생한 산소원자에 의하여 여기된 산소분자와 산소전자를 반응시켜서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켜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오존 발생장치로써 세라믹을 주재로 한 유전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세라믹 유전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시에 의하면 세라믹(A) 양단에 고전압이 유기되는 도전체(전극판)(B)를 설치하여 고압발생기(C)에 연결하여 고압이 이 도전체의 양단으로 여기 되도록하여 방전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세라믹 표면과 전극사이에 공극이 있어 고압의 전압이 유실되는 단점과 ,세라믹 표면에 발생되는 전하의 용적이 손실되어 오존발생율을 저해 하였으며, 설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오존 발생장치의 표면의 연면적에 방전을 사용하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영역이 오존 발생장치의 표면에 국한되어 표면의 극 소수부분에 존재하는 산소분자만이 전리되어 오존화 할 수 밖에 없어서 구조상 불리하며, 오존 발생시 발생되는 유해성 가스(질소산화물)에 의한 부식이나 공기중의 습한 조건에 의해 금속극판의 표면이 쉽게 부식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다른 오존발생장치로써는 방전관내부에 세라믹을 도포한 유전체가 개발되고 있고(공개번호 특 97 - 020940호), 또 다량의 알루미늄 성분을 함유한 고밀도 세라믹 재질로 된 절연판 내부에 고압 전극을 설치한 것(공개번호특 96 - 766호)등이 있으나, 이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고압의 전압이 소요되는 것이므로 가정용 소형의 오존발생기로서는 이용이 부적합 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오존의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오존발생용 유전체를 얻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라믹 양면에 도전율이 우수한 도전체를 용사 피막처리하여 도전체가 세라믹 표면에 밀착 융착되도록 하여 전극부를 구비하도록 한 오존발생기용 유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세라믹 11 ; 기공부
20 ; 도전체 30 ; 도선
31 ; 접합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유전체의 단면도이다.
세라믹(10) 양 단면에 도전체를 구성함에 있어,도전체(전극판)(20)를 용사 처리하여 도전체가 세라믹(10) 표면에 밀착 융착 되도록 하여 도선과 납용접부(31)로 도통되게한 오존발생기용 유전체를 구성 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써 도전체(20)가 세라믹(10)의 표면의 기공부(11)에 까지 침투되어 밀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부호 30은 도선이고, 도전체(20)와 도선(30)은 납용접부(31)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도전체(20)는 전자 이동이 활발한 동(銅)이나 은(銀) 등이 쓰이며 상기 동,은은 용융온도가 낮고 통전율이 높으며 용사하기도 유리하다.
세라믹과 금속재는 친화력이 없으나 상기 동, 은등을 용융하고 세라믹을 일정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강한 공기압으로 세라믹표면에 분사하면 용융된 금속은 세라믹의 거친 표면에 밀착되며,이러한 단계를 여러번 반복하면 일정 두께의 밀착된 도전층을 얻을 수 있다.
도전층은 세라믹 두께와 비례하여 정할 수 있으며 용처에 따라 그 두께는 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압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이 도선(30)을 통해 도전체(20)에 여기되고 세라믹(10)을 사이에 두고 있는 2차 전극을 통해 방전하게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오존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유전체인 세라믹의 양단에 도전체가 밀착 융착되어 있으므로 세라믹 표면 전체에 걸쳐 고루 전하가 여기되어 방전효과가 극대화 되므로 오존 발생효과가 높으며, 도전체가 세라믹 표면에 밀착되고 납 용접부를 통해 도통되므로 보다 적은 전압을 여기 시켜도 오존의 발생효율이 높으며, 절전효과가 높다. 또한 세라믹 양단에 별도로 구성되는 금속재 전극판이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이상과같은 오존발생용 유전체는 전압 여기의 효율이 높아 저전압에도 오존의 발생효율이 높으며,습기에 의한 부식과,유해가스에 의한 부식율이 적으며,구조가 간단하여 소형의 오존발생기를 제조할 수 있어 가정용으로 적합하다.

Claims (1)

  1. 세라믹(10) 양 단면에 도전체를 구성함에 있어,도전체(전극판)(20)를 용사 처리하여 도전체가 세라믹(10) 표면에 밀착 융착 되도록 하여 도선(30)과 납용접부(31)로 도통되게 한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KR2020010015054U 2001-05-22 2001-05-22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KR200248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54U KR200248600Y1 (ko) 2001-05-22 2001-05-22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54U KR200248600Y1 (ko) 2001-05-22 2001-05-22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600Y1 true KR200248600Y1 (ko) 2001-10-31

Family

ID=7306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054U KR200248600Y1 (ko) 2001-05-22 2001-05-22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6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0637B2 (ja) オゾン発生装置およびオゾン発生方法
CN107210178A (zh) 用于利用自谐振设备的等离子体点火的装置和方法
CN100486752C (zh) 等离子辅助的焊接焊炬
JPWO2008108331A1 (ja) 低温プラズマ発生体
JPH04264349A (ja) 高出力ビーム発生装置
US4725449A (en) Method of making radio frequency ion source antenna
US4800567A (en) High-frequency-discharge excited gas laser
CA1172741A (en) Te laser amplifier
KR200248600Y1 (ko) 오존발생기용 유전체
US20090211895A1 (en) Ozone generator
CN112236387B (zh) 臭氧发生装置
JP4094111B2 (ja) 誘電体バリヤ放電装置
KR100460601B1 (ko) 플라즈마 발생용 복합소재 전극 및 그 제조방법
JP2000072410A (ja) オゾン発生装置
JPH08185999A (ja) 放電化学反応器
CN215249564U (zh) 放电体以及电场装置和臭氧发生器
US3343033A (en) Aid to striking an electric arc
JP2006143522A (ja) オゾン発生器
JPS6226879A (ja) 金属蒸気レ−ザ発振管
JP2001177173A (ja) ガスレーザ発振器
JP2009062276A (ja) オゾン発生装置およびオゾン発生方法
RU2113749C1 (ru) Газовый лазер
JPH0519298Y2 (ko)
KR0159488B1 (ko) 오존발생장치
US20220250907A1 (en) Apparatus For Highly Efficient Cold-Plasma Ozon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