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366B1 - 문자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366B1
KR100355366B1 KR1019950048173A KR19950048173A KR100355366B1 KR 100355366 B1 KR100355366 B1 KR 100355366B1 KR 1019950048173 A KR1019950048173 A KR 1019950048173A KR 19950048173 A KR19950048173 A KR 19950048173A KR 100355366 B1 KR100355366 B1 KR 10035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pattern
size
dot
user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873A (ko
Inventor
겐지와따나베
다카노부카메다
찌에코아이다
토모유끼신무라
토시야토요사와
히로야스쿠라시나
다께시호소가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2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2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decima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based on inser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 G06K2215/0097Printing on special media, e.g. labels, envel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목적] 복수 사이즈의 외자등록시의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킨다.
[구성] 2번째 이상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시에, 보다 작은 사이즈에 이미 작성된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의 사이즈로 확대변환하여 표시시키고, 이 표시된 도트패턴에 수정을 가함으로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장치에 관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도트패턴 작성수단과, 이미 작성된 어떤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다른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 확대변환하여 다른 사이즈의 작성개시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준비시키는 확대변환 수단을 가진다. 도트패턴 작성수단이 일단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대하여 수정을 가함으로서 해당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종료한 경우, 그 작성종료된 도트패턴이 소정 사이즈일 때, 확대변환수단으로 작성종료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의 확대변환을 다시 실행시키고, 다른 소정 사이즈의 작성개시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다시 준비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문자정보처리장치
본 발명은 장치에 준비되어 있지않은 문자나 기호(이하, " 외자" 라 함)의 등록기능을 구비한 문자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인쇄매체가 테이프인 테이프 인쇄장치나 전사매체(인쇄매체)가 인장의 각인면(刻印面)인 인장작성장치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많은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실사회에서 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문자나 기호(이하, 경우에 따라서는, 문자 및 기호를 종합하여 "문자" 라 함)를 미리준비하여 대응하는 것이 실제상 곤란한 것을 고려하여, 외자등록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사전에 장치가 준비되어 있지않은 외자의 도트패턴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장치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소형장치인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에는 소형화를 위해 메모리용량도 억제되어 있고, 준비되어 있는 문자가 대형장치에 비하여 적으므로, 외자등록기능은 중요하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그 인쇄되어 출력된 테이프가 라벨로서 이용되는 일이 많으므로, 사용자가 회사마크 등 임의의 기호를 이용하는 기회도 많아 이 점에서도 외자등록기능은 중요하다.
이러한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 종래 채용되고 있던 외자등록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외자의 등록처리가 선택되면 종횡 N×N(N은 예를 들면 16, 24, 32, 48)도트의 크기를 가지며, 예를 들면 전 도트가 배경도트를 의미하는 외자작성용 도트패턴을 표시부의 배경색에 의해 표시시킴과 동시에, 모든 도트를 조작대상도트로서 표시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서이동키를 조작하면 조작대상 도트가 바뀌고, 도트 온 키를 조작하면 조작대상 도트를 문자(외자)를 구성하는 도트로서 반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1이상의 도트가 외자를 구성하는 도트로서 선택된 상태에서 등록외자를 확정하는 키가 조작되면, 그 단계에 있어서의 종횡 N×N도트의 전체 패턴을 외자로서 확정 등록한다.
그런데,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인쇄출력된 테이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로서 이용되는 일이 많고, 문자 사이즈가 다른 문자가 동일의 테이프에 인쇄되는기회가 많다. 예를 들면, 타이틀은 큰 문자로 인쇄하고, 그 부기적인 기술이나 보조적인 기술은 작은 문자로 인쇄하는 일이 많으며, 또한 회사명은 큰 문자로 인쇄하고, 주소나 전화번호 등은 작은 문자로 인쇄하는 일이 많다. 그 때문에, 장치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1문자에 관하여도,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도트 패턴이 준비되어 있고, 1개의 외자에 관하여도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도트패턴을 등록하는 일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16×16도트, 24×24도트, 32×32도트 및 48×48도트의 4종류의 도트패턴을 등록하는 일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 다른 사이즈의 복수종류의 도트패턴을 순차 작성하는 것으로는 1개의 외자를 등록하는 데에 대단히 긴 시간이 걸리며, 또한 사이즈가 다른 도트패턴사이에서 외자 형상의 통일을 취하도록 사용자가 외자를 작성하는 일은 어렵다고 생각되며, 동일 출원인에 의하여, 작은 쪽에서 세어 두번째 이상의 사이즈의 외자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으로 할 때에는, 그 작성대상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이미 작성된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의 사이즈로 확대변환하고, 이 확대변환된 도트패턴을 외자 작성용 도트패턴으로서 표시시켜 작성시키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평 6-115167호공보).
이 방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16×16도트, 24×24도트, 32×32도트및 48×48도트의 4종류의 도트패턴을 등록하는 경우, 16×16도트의 도트패턴이 확정된 때에 24×24도트, 32×32도트 및 48×48도트의 도트패턴을 확대변환처리에 의해 작성하여 가확정하고, 24×24도트, 32×32도트 및 48×48 도트의 도트패턴을 순서대로 표시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정하여 이들 크기의 도트패턴을 확정시켜 등록하는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가 16×16도트의 도트패턴을 확정시켜 등록종료를 지시하여도, 4종류 전체의 도트패턴이 있으므로, 등록을 받아들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자가 이용할 때는 통상은 24×24도트, 32×32 도트 및 48×48도트의 가확정된 도트패턴을 수정하게 된다. 가확정된 도트패턴에서의 수정이므로, 최초부터 작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량은 적다고 말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48×48도트의 도트패턴의 총 도트수는 2304도트로서, 사용자가 도트 온 오프의 수정을 가하는 도트수는 그래도 많기때문에 조작성의 한단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의 인쇄물은 라벨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그림이나 기호가 외자가 되는 기회가 많다. 그림이나 기호 가운데에는 도궤(塗潰)영역이 많은 것도 있다. 이러한 외자의 경우, 도트를 온조작하거나 오프조작하거나 하는 회수는 다른 외자 이상으로 많으며, 조작이 번잡하기 때문에 조작성의 한단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소형의 문자정보처리장치인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표시면이 작고, 그 때문에 외자등록, 수정시에 있어서, 외자의 도트패턴에 있어서의 1도트를 표시면의 1도트에 대응시키는 장치가 많다. 그 때문에 조작대상도트를 예를 들면, 점멸표시에 의해 다른 도트와 구별시켜 표시시켜도 사용자가 그 작은 1점에 주시하는 일이 잦고, 전체의 도트패턴에서의 위치에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게 된다.
상술한 외자등록, 수정에 있어서의 조작성의 과제는 테이프 인쇄장치뿐만이 아니라, 테이프 인쇄장치와 외자기능에 관하여 같은 성격을 가지는 다른 문자정보처리장치에도 똑같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의 수광부가 경화하여 소정 액체와의 작용에 의하여 경화부분이외가 제거되는 수지를 인장각인면(印章刻印面)으로서 이용하고, 이 각인면에 입력문자례에 따른 광선을 조사(전사동작이며,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인쇄의 용어는 경우에 따라서는 이 전사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하는 인장작성장치에 있어서도, 이와같은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구성된 것이며, 외자등록, 수정의 조작성이 한단계 향상된 문자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본 발명은 장치에 준비되어 있지않은 외자의 복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켜 등록하고, 작은 쪽에서 세어 2번째 이상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으로 할 때에는 이 작성대상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이미 작성된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의 사이즈로 확대변환하고, 이 확대변환된 도트패턴을 표시시켜, 이 표시된 도트패턴에 수정을 가함으로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이하의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시점에서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도트패턴 작성수단과, 이미 작성된 어떤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다른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 확대변환하여 다른 사이즈의 작성개시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준비시키는 확대변환수단과, 도트패턴 작성수단이 확대변환수단에 의해 확대된사이즈의 도트패턴에 대하여 수정을 가함으로서, 상기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이 작성종료된 도트패턴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일 때에, 확대변환수단으로 상기 작성종료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의 확대변환을 다시 실행시켜, 다른 소정 사이즈의 작성개시 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다시 준비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의 본 발명은 장치에 준비되어 있지않는 외자의 도트패턴을 등록, 수정가능한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1도트마다에 온도트 또는 오프도트로 전환시키는 제 1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과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일괄하여 온도트로 변환시키는 제 2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과,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일괄하여 오프도트로 변환시키는 제 3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의 본 발명은 장치에 준비되어 있지않은 외자의 도트패턴을 등록, 수정할 수 있는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도트패턴을 묘화시키는 묘화표시 에어리어를 그 외측에 설치된 외측표시 에어리어와 구별하여 표시시킴과 동시에, 묘화표시 에어리어 내의 조작대상 도트를 나타내는 커서를 통과하는 종횡선분 내의 외측표시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해당 종횡선분의 부분을 커서가이드로서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표시제어수단이 작성하려고 하는 도트패턴의 사이즈에 따라서 묘화표시 에어리어의 크기를 변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의 본 발명의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중, 작은 쪽에서 세어 2번째 이상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으로 할 때에는 이 작성대상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이미 작성된 도트패턴을 확대변환수단이 작성대상의 사이즈로 확대변환하고, 도트패턴 작성수단이 이 확대변환된 도트패턴을 표시시켜 수정시키므로 그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킨다.
여기에서 제어수단은 도트패턴 작성수단이 확대변환수단에 의해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대하여 수정을 가함으로서 상기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이 종료된 경우에 있어서, 이 작성종료된 도트패턴의 사이즈가 소정 사이즈일 때, 확대변환수단에 상기 작성종료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의 확대변환을 다시 실행시키고, 다른 소정 사이즈의 작성개시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다시 준비시킨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도 수정조작으로 작성할 수 있고, 또한 이 때의 수정정보를 포함한 그대로 다른 소정 사이즈로 확대변환된 도트패턴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가하여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하면 좋으므로,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키는 것이 실현가능하다.
제 2의 본 발명의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제 1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은 1도트마다에 온도트 또는 오프도트로 변환시키고, 제 2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은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일괄하여 온도트로 변환시키고, 제 3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은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일괄하여 오프도트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제 2 및 제 3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을 가지므로서, 도궤영역이 많은 그림이나 기호 등의 외자등록이나 수정조작을 사용자가 간단히 할 수 있고,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3의 본 발명의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제어수단은 도트패턴을 묘화시킨 묘화표시 에어리어를 그 외측에 설치된 외측표시 에어리어와 구별하여 표시시킴과 동시에 묘화표시 에어리어내의 조작대상도트를 나타내는 커서를 통과하는 종횡선분 내의 외측표시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상기 종횡선분의 부분을 커서가이드로서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서근방에만 시선을 빼앗기지 않고, 도트패턴 전체중에 있어서의 커서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조작하기 쉬워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제어수단이 작성하려고 하는 도트패턴의 사이즈에 따라, 묘화표시 에어리어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것은 사이즈에 따른 도트패턴의 인식이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실시예]
(A) 실시예의 전기적 전체구성
우선, 본 발명을 테이프 인쇄장치에 적용한 한 실시예의 전기적인 전체구성을 제 2도의 기능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1문자(외자를 포함한다)를 기억하여 두는 도트패턴의 사이즈로서는 16×16도트, 24×24도트, 32×32도트 및 48×48도트의 4종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 2도에 있어서, 이 실시예의 테이프 인쇄장치도 다른 정보처리장치와 같이, 크게는 입력부(10), 제어부(20) 및 출력부(30)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입력부(10)에 대하여 입력된 문자정보를 출력부(30)에 있어서 표시출력 또는 인쇄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10)은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지만, 누르는 키나 다이얼키등을 구비하고, 제어부(20)으로 보내는 문자코드 데이타나 각종의 제어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부(10)은 외자등록기능에 있어서의 각종의 키(다른 기능의 실현 키와 병행되어 있어도 좋다)도 구비되어 있다.
출력부(30)은 인쇄구성과 표시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로 구성된 테이프ㆍ리본발송모터(31)은 장전되어 있는 도시하지않은 테이프를 소정의 인쇄위치나 장치외부까지 내보내는 것이다. 서말헤드(Thermal head)(32)는 주행하는 테이프에 대하여 열전사에 의하여 인쇄를 이행하며, 예를 들면 최대 128헤드를 동시에 인쇄할 수 있다. 이들 테이프ㆍ리본발송모터(31) 및 서말헤드(32)는 각각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모터구동회로(33)이나 헤드구동회로(34)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록된 외자를 당연히 테이프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된 테이프의 절단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 부터의 외력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또는 제어부(2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커터(Cutter)에 의해 이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표시부로서 예를 들면, 최소의 사이즈의 문자를 여러 행에 걸쳐서 여러 문자를 표시가능한 정도의 액정디스플레이(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액정디스플레이(35)는 제어부(201의 제어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35)에 의해 구동되고, 입력문자예를 표시하거나 장치본체의 액정디스플레이(35)의 주위에 기개되어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문자예에 대응하는 특성의 온 오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점등하거나 한다. 외자등록처리시에 있어서는 외자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기위한 표시화면(제5도)이 액정디스플레이(35)상에 표시된다.
제 3도는 액정디스플레이(35)의 표시면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행(예를 들면 최대 8행)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때문에, 입력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AR1)으로서도 종래보다 큰 4행 6문자분(1문자분은 16×16도트)이 준비되어 있고, 또한 각행을 구별하기위한 행번호 표시영역(AR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성을 나타내는 문자예에 대응하는 특성의 온오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트(IND)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비하여 표시면이 큰 액정디스플레이(35)를 적용하고 있기때문에 외자등록시에 외자의 1도트를 액정디스플레이(35)의 1도트에 할당한 경우, 최대 사이즈 48×48도트의 패턴도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CPU(21), ROM(22), RAM(23), 캐릭터 제너레이터ROM(CG-ROM)(24), 입력인터페이스(25) 및 출력인터페이스(26)이 시스템버스(27)을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ROM(22)에는 각종의 처리프로그램이나 가나한자변화용 사전데이타등의 고정데아타가 격납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도, 제6도, 제7도등에 나타낸 외자용 프로그램(22a)도 격납되어 있다.
RAM(23)은 워킹메모리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또한 사용자 입력에 있어서의 고정데이타를 격납하는 것이다. 외자모드와의 관계로 말하자면, RAM(23)은 작성된 외자의 도트패턴을 격납하는 외자등록 에어리어(23a)나 작성도중에 있어서의 외자의 도트패턴을 격납하는 작성중 패턴버퍼(Pattern buffer)(23b)나, 외자등록처리의 실행중에 액정디스플레이(35)에 표시시키는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표시버퍼(23c)나, 도트패턴의 확대변환에 이용되는 확대변환버퍼(23d)를 가진다. 또한 외자등록 에어리어(23a) 및 작성중인 패턴버퍼(23b)는 4종류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RAM팩(RAM(23)과 같은 기능)을 증설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고, RAM팩이 증설된 경우에는 등록할 수 있는 외자수도 증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CG-ROM(24)는 해당 테이프 인쇄장치에 준비되어 있는 문자나 기호의 각각 4종류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격납하고 있으며, 문자나 기호를 특정하는 코드데이타가 주어질 때에 대응하는 도트패턴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용과 인쇄용에서 개별의 CG-ROM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이 실시예의 CG-ROM(24)에 격납되어 있는 폰트정보는 비트맵폰트(Bit Map Font)로 한다. 즉, 각종 크기의 도트패턴을 별개로 준비할 필요가 있는 폰트로 한다. 이 CG-ROM(24)에 도트패턴이 준비되어 있지않은 문자에 대하여 외자등록을 실행할 수 있다.
입력인터페이스(25)는 입력부(10) 및 제어부(20)간의 인터페이스를 이행하는 것이며, 출력인터페이스(26)는 출력부(30) 및 제어부(20)간의 인터페이스를 이행하는 것이다.
CPU(21)은 입력부(10)에서의 입력신호나 그 때의 처리단계에 따라서 정해지는 ROM(22)내의 처리프로그램을 RAM(23)을 워킹 에어리어로서 이용하면서, 또한 필요하면 ROM(22)나 RAM(23)에 격납되어 있는 고정데이타를 적절히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며, 그 처리상황이나 처리결과 등을 액정디스플레이(35)로 표시시키거나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로 인쇄시키거나 한다.
(B) 외자에 관한 각종 처리
다음에 외자에 관련한 각종의 처리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여기에서 외자에 관련한 처리로서는 「등록」,「수정」,「호출」,「복사」 및「소거」가 있다. 이들의 외자관련처리로는 제4도(A) 및 (B)에 나타내는 기호선택처리에서 들어간다. 즉, 이 실시예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편집용 기호, 수식용 기호, 생물기호 등의 기호종류의 1종류로서 외자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CPU(21)은 기호키가 조작되면, 제4도(A)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을 개시하고, 먼저 스텝(100)에 있어서, 우선기호종류(예를 들면, 최근에 기호선제조작이 실행된 기호종류)를 액정디스플레이(35)상에 표시시킨 후, 스텝(101)에서 조작된 키를 판별한다. 종류후보변경키(예를 들면 커서이동키)가 조작되면, CPU(21)은 스텝(102)에서 기호종류의 후보를 변경하여 액정디스플레이(35)상에 표시시켜 스텝(101)로 되돌아간다. 스텝(101)의 판별의 결과, 선택키가 조작되어 판별하면,CPU(21)은 그 때 표시되어 있던 기호종류에 관한 서브루틴(Subroutine)SUB(1)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외자관련의 종류의 표시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선택키가 조작되면, CPU(21)은 외자관련의 종류에 관한 제4도(B)에 나타낸 서브루틴 SUB(SUB11)로 진행한다.
이 서브루틴SUB(11)에 들어가면 CPU(21)은 먼저 스텝(110)에서, 우선외자관련처리(예를 들면, 최근에 실행된 외자관련처리)를 액정디스플레이(35)상에 표시시킨후, 스텝(111)에서, 조작된 키를 판별한다. 외자관련처리후보 변경키(예를 들면, 커서이동키)가 조작되면, CPU(21)은 스텝(112)에서 외자관련처리의 후보를 제4도(C)에 나타낸 순서에 따른 다음의 외자괸련처리로 변경하여 액정디스플레이(35)상에 표시시켜 스텝(111)로 되돌아간다. 스텝(111)의 판별의 결과, 선택키가 조작되어 판별하면, CPU(21)은 그 때 표시되어 있던 외자관련처리에 관한 서브루틴(SUB2)(SUB21)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처리를 거쳐 외자의「등록」용 서브루틴(SUB21)로 진행한 경우의 처리를 제 1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등록」용 서브루틴(SUB21)에 들어가면, CPU(21)은 스텝(200)에서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에어리어 관리번호(외자식별번호)를 읽어들인다. 테이프 인쇄장치의 경우, 메모리 용량이 크지않으므로, 등록가능한 외자수가 수개 정도로 한정되고, RAM(23)의 외자등록 에어리어(23a)는 등록가능한 최대외자 수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영역에 대응하여 에어리어 관리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즉, 분할영역의 에어리어 관리번호가 외자식별번호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외자용의 분할영역은 또다시 도트패턴의 사이즈마다 분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자식별번호의 초기값을 표시시킨후, 키판별을 이행하고 다음 후보키(커서이동키)의 조작에 의하여 후보를 변경시키고, 선택 키의 조작시에 표시되어 있는 외자식별번호를 지정된 것으로서 읽어들인다. 또한, RAM팩이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그 RAM팩에 할당되어 있는 외자식별번호의 선택도 허용된다.
외자식별번호가 입력되면, CPU(21)은 스텝(201)에서,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선택된 외자식별번호의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전체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읽어내어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각각의 사이즈의 영역으로 써들인다. 또한, 지금까지의 그 영역에 외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영역에는 전 도트가 배경(오프도트)을 의미하는 도트패턴이 격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CPU(21)은 스텝(202)에서, 사이즈 파라메타S를 초기값 1로 한다. 또한, S가 1인 경우는 16×16도트를 나타내고, S가 2인 경우는 24×24도트를 나타내며, S가 3인 경우는 32×32도트를 나타내고, S가 4인 경우는 48×48도트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하여 CPU(21)은 스텝(203)에서 작성중 패턴버퍼(23b)에 써들인 사이즈 파라메타S가 규정하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외자작성용 도트패턴으로서 표시버퍼(23c)로 전개시킴과 동시에, 편집모드정보도 표시버퍼(23c)에 전개시켜 액정디스플레이(35)에 표시시킨다.
제5도는 스텝(203)의 처리에 의한 외자작성용 표시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외자작성용 표시화면은 크게는 외자편집표시 에어리러(50)과 편집모드표시 에어리어(51)로 구성되어 있다.
외자편집표시 에어리어(50)은 또다시 외자도트패턴의 문자 등 구성부분이 온도트에서 배경이 오프도트로 표시되는 묘화표시 에어리어(50a)와, 커서(50d)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커서가이드(50c)이외이 부분이 온도트로 표시되는 가이드표시 에어리어(50b)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액정디스플레이(35)는 제3도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4행 6문자분(64×96도트)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최대사이즈(48×48도트)의 도트패턴도 그대로 한번에 표시할 수 있고, 묘화표시 에어리어(50a)로서는 그 때 등록대상이 되고있는 사이즈의 크기가 그대로 할당된다. 그 때문에 외자편집표시 에어리어(50)의 남은 에어리어가 가이드표시 에어리어(50b)에 할당된다. 즉 묘화표시 에어리어(50a)는 도트패턴 사이즈에 따라 변화된다.
여기에서 조작대상도트는 점멸상태로 표시되고, 그 점멸상태도트를 외자기능에 있어서는 커서(50d)라 하기로 한다. 커서가이드(50c)는 4개이고, 묘화표시 에어리어(50a)와 가이드표시 에어리어(50b)와의 4개의 경계선에서 각각 가이드표시 에어리어(50b)내로 수직으로 연장한 것이며, 종방향(Y방향)으로 연장한 2개의 커서가이드를 연결하는 선과 횡방향(X방향)으로 연장한 2개의 커서가이드를 연결하는 선과의 교점이 커서(50d)의 위치가 되도록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커서(50d)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 커서가이드(50c)의 위치도 변경된다.
이러한 커서가이드(50c)를 설치함으로서 조작대상도트, 즉 커서(50d)가 위치하는 도트가 전체의 도트패턴중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사용자가 도형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다.
편집모드표시 에어리어(51)에는 커서(50d)의 위치를 규정하는 좌표정보(51a)와 3종류의 편집모드 「보통」, 「흑도」 및 「백도」의 이름(51b), (51c), (51d)가 표시되고, 선택상태에 있는 편집모드명은 반전표시된다. 편집모드명의 선두에는 그 편집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숫자키의 숫자가 병행하여 표시된다.
여기에서 스텝(203)에 의한 표시가 수행될 때에는 커서(50d)를 X방향 및 Y방향과 함께 최대값의 위치(우상)에 위치시키고, 커서(50d)의 위치를 규정하는 좌표정보(51a)가 그 때의 편집(등록이나 수정)에 관련된 사이즈를 나타내어(예를 들면 16×16), 사용자가 편집에 관련된 사이즈를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편집모드 「보통」은 1도트마다 온오프 변경시키는 편집모드이고, 편집모드 「흑도」는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온도트로 변경시키는 모드이며, 편집모드 「백도」는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오프도트로 변경시키는 모드이다. 스텝(203)에 의한 표시가 이행된 초기표시상태에서는 편집모드 「보통」이 선택되어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가 그림 등의 도트패턴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흑도」나 「백도」를 이용하면, 간편히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편집모드에 「흑도」나 「백도」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CPU(2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도트패턴의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후술하는 제6도∼제8도)을 이행하고,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읽어들이는 것을 완료한다.
그 후, CPU(21)는 스텝(204) 및 (205)에서, 사이즈 파라메타S를 판별한다.
사이즈 파라메타S가 1일때에는 (16×16도트를 지정하고 있을 때에는), CPU(21)은 스텝(206)에어서 작성된 16×16도트패턴에서 확대변환처리에 의하여 24×24도트패턴, 32×32도트패턴 및 48×48도트패턴을 순차작성하고,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각각의 사이즈의 영역에 써넣는다. 확대 변환처리의 일례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제7도에 나타내고 있다.
사이즈 파라메타S가 2일때에는 (24×24도트를 지정하고 있을 때에는), CPU(21)은 스텝(207)에서, 작성된 24×24도트패턴에서 확대변환처리에 의하여 48×48도트패턴을 작성하고,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그 사이즈의 영역에 써넣는다.
또한, 사이즈파라메타S가 3 및 4일 때에는 도트패턴의 확대변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 후 CPU(21)은 스텝(208)에서, 등록키가 조작됐는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조작되어 있지않으면 스텝(209)에서, 사이즈 파라메타S를 1인크리멘트(Increment)하여 상술한 스텝(203)으로 되돌아가며, 조작되어 있으면, CPU(21)은 스텝(210)에서, 등록실행중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작성중 패턴버퍼(23b)에 격납되어 있는 전체의 사이즈의 외자도트패턴을 선택된 외자식별번호에 관련된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영역으로 전송시키고, 이 전송이 종료된 때에는 외자모드를 지시한 직전의 장치상태로 되돌아가 일련의 등록처리를 종료한다.
스텝(203)으로 되돌아가서 새로운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표시할 때에는 CPU(21)은 사이즈 파라메타S에 기초하여, 그 묘화표시 에어리어(50a)의 크기를 그 사이즈에 대응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일반적인 흐름에서는 우선, 16×16도트패턴이 작성되고,이 후 확대변환처리에 의하여 24×24도트패턴, 32×32도트패턴 및 48×48도트패턴이 순차 자동적으로 작성되고, 그 후 자동적으로 작성된 24×24도트패턴에 사용자가 손질하여 24×24도트패턴이 다시 작성되며, 이 수정된 24×24도트패턴에 대한 확대변환처리에 의하여, 48×48도트패턴이 자동적으로 다시 작성되고, 그 후 자동적으로 작성된 32×32도트패턴에 사용자가 손질하여 32×32도트패턴이 다시 작성되며, 또한, 자동적으로 다시 작성된 48×48도트패턴에 사용자가 손질을 하여 48×48도트패턴이 다시 작성되고, 등록키의 조작에 의해, 4종류 사이즈의 도트2패턴이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에 등록된다. 또한, 도중에서, 등록키가 조작되어도, 그 시점에서 등록동작이 실행된다.
여기에서 24×24도트패턴이 완성된 때에도, 48×48도트패턴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려고 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24×24도트패턴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질한 정보도 자동 작성의 48×48도트패턴으로 반영시켜, 48×48도트패턴의 완성을 위해 사용자가 손질하는 량을 적게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16×16도트패턴이 완성된 때에는 48×48도트패턴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16×16도트패턴을 완성시킨 직후에 등록키가 조작되어도 48×48도트패턴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즉 1쌍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이 완성되어 있지않기때문에 등록이 실행가능하지 않게 되어버린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도트패턴의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SUB31∼SUB33)을 제6도∼제8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여기에서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1)은 편집모드 「보통」일 때이며,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2)는 편집모드 「흑도」일 때이고,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3)은 편집모드 「백도」일 때이다.
편집모드 「보통」의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1)에 들어가면, CPU(21)은 스텝(300)∼(305)에서 키입력부(11)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키조작을 이행했는지를 판별하고, 이러한 판별을 반복한다. 즉 커서이동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도트 온 키 또는 도트 오프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취소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흑도」를 지시하는 키(숫자 「2」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백도」를 지시하는 키(숫자 「3」의 키)가 조작 되었는지 아닌지,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관한 작성이 종료된 것을 지시하는 작성종료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이러한 순서로 반복하여 판별한다.
커서이동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CPU(21)은 스텝(306)에서, 액정디스플레이(35)상의 커서(50d)및 커서가이드(50c)의 표시위치를 그것에 따라 변화시킴과 동시에, 커서 좌표정보(51a)의 표시내용도 변경시키고, 상기 커서이동키의 판별스텝(300)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하여, 자동반복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도트 온 키 또는 도트 오프 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CPU(21)은 스텝(307)에서, 그 시점에서 커서(50d)가 위치하는 도트를 액정디스플레이(35)에서 온 도트(문자 등 구성부분) 또는 오프 도트(배경부분)로 표시시킴과 동시에,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그 도트의 논리레벨도 온 도트(문자등 구성부분) 또는 오프도트(배경부분)의 논리레벨로 변경시켜 모드 취소키의 조작 판별 스텝으로 진행한다.
취소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CPU(21)은 스텝(308)에서, 「등록」이 지시되기 전의 상태, 즉 외자관련처리「등록」, 「수정」, 「호출」, 「복사」 및「소거」의 선택상태로 되돌아간다.
「흑도」를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CPU(21)은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2)으로 이행하고, 「백도」를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CPU(21)은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3)으로 이행한다.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관한 작성이 완료된 것을 지시하는 작성종료키가 조작되면, CPU(21)은 상술한 스텝(204)로 진행한다.
편집모드 「흑도」의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2)로 들어가면, CPU(21)은 스텝(310) 및 (311)에서, 흑도 영역을 규정하는 대각의 2점의 좌표를 읽어들인다(예를 들면, 사용자는 커서를 위치시켜 선택키를 조작하므로서 지시한다). 그리고, CPU(21)은 스텝(312)에서, 액정디스플레이(35)에서 그 2점에서 정해지는 직사각형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온도트(문자 등 구성부분)로 표시시킴과 동시에,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그들 도트의 논리레벨도 온 도트(문자 등 구성부분)의 논리레벨로 변경시킨다.
다음으로 CPU(21)은 스텝(313)∼(316)에서, 취소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보통」을 지시하는 키(숫자 「1」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백도」를 지시하는 키(숫자「3」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페턴에 관한 작성이 종료된 것을 지시하는 작성종료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이 순서대로 판별한다.
취소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CPU(21)은 스텝(317)에서, 「등록」이 지시되기 전의 상태, 즉 외자관련처리「등록」, 「수정」, 「호출」, 「복사」 및 「소거」의 선택상태로 되돌아간다.
「보통」을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CPU(21)은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1)로 이행하고, 「백도」를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CPU(21)은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3)으로 이행한다.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관한 작성이 종료된 것을 지시하는 작성종료키가 조작되면, CPU(21)은 상술한 스텝(204)로 진행하고, 이와 같은 키가 조작되어 있지않은 때에는 상술한 스텝(31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술한 스텝(310)∼(312)의 처리에 있어서도, 커서이동키나 선택키의 조작을 감시하고 있고, 이들의 조작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313)으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있다.
편집모드 「백도」의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3)에 들어가면, CPU(21)는 스텝(320) 및 (321)에서, 백도 영역을 규정하는 대각의 2점의 좌표를 읽어들인다(예를 들면 사용자는 커서을 위치시켜 선택키를 조작하므로서 지시한다). 그리고, CPU(21)은 스텝(322)에서, 액정디스플레이(35)에서 그 2점에서 정해지는 직사각형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오프도트(배경부분)로 표시시킴과 동시에,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그들 도트의 논리레벨도 오프도트(배경부분)의 논리레벨로 변경시킨다.
다음으로 CPU(21)은 스텝(323)∼(326)에서, 취소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보통」을 지시하는 키(숫자 「1」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니지, 「흑도」를 지시하는 키(숫자 「2」의 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관한 작성이 종료된 것을 지시하는 작성종료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이 순서로 판별한다.
취소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CPU(21)은 스텝(327)에서, 「등록」이 지시되기 전의 상태, 즉 외자관련처리 「등록」, 「수정」, 「호출」, 「복사」 및 「소거」의 선택상태로 되돌아간다.
「보통」을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CPU(21)은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1)로 이행하고, 「흑도」를 지시하는 키가 조작되면, CPU(21)은 편집처리 서브루틴(SUB32)로 이행한다.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관한 작성이 종료된 것을 지시하는 작성종료키가 조작되면, CPU(21)은 상술한 스텝(204)로 진행하고, 이와 같은 키가 조작되어있지 않은 때에는 상술한 스텝(32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술한 스텝(320)∼(322)의 처리에 있어서도, 커서 이동키라 선택키의 조작을 감시하고 있어, 이들의 조작이 이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323)으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다음으로 작성완료 도트패턴의 확대변환처리의 일예를 제9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성완료 도트패턴을 확대하는 처리로서는 1.5배, 2배, 3배의 확대가 있지만, 거의 같은 처리이므로, 이하에서는 1.5배의 확대변환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트패턴의 1.5배의 확대는 행방향으로 1.5배 확대한 후에 열방향으로 1.5배 확대함으로서 이행한다. 행방향의 확대처리와 열방향의 확대처리는 확대방향을 제외하고는 같은 처리이므로, 행방향의 확대처리를 특히 상세히 설명한다.
CPU(21)은 스텝(400)에서 작성이 막 종료된 변환원 도트패턴의 행파라메타(이하, "변환원 행파라메타" 라 함) i 및 변환후 도트패턴의 행파라메타(이하, "변환후 행파라메타" 라 칭함) j를 함께 초기값 1로 세트한다. 그리고, 스텝(401)에서, 변환원 행파라메타 i의 값이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판별한다.
홀수의 경우에는 CPU(21)은 스텝(402) 및 (403)에서, 작성중 패턴버퍼(23b)에 격납되어 있는 지금까지 작성되어 있던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제 i행의 도트를 읽어내어, 변환후의 도트패턴의 제 j행 및 제 j+1행의 도트로서 확대변환버퍼(23d)에 격납시키고, 그 후 변환원 행파라메타 i를 1인크리멘트하고, 변환 후 행파라메타 j를 2인크리메트하여 상술한 홀짝 판정스텝(401)로 되돌아간다.
다른 한편, 변환원 행파라메타 i의 값이 짝수인 경우에는 CPU(21)은 스텝(404) 및 (405)에서, 작성중 패턴버퍼(23b)에 격납되어 있는, 지금까지 작성되어 있던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제 i행의 도트를 읽어내고, 변환 후의 도트패턴의 제 j행의 도트로서 확대변환버퍼(23d)에 격납시키고, 그. 후 변환원 행파라메타 i 및 변환후 행파라메타 j를 함께 1인크리멘트한다.
그리고, CPU(21)은 스텝(406)에서, 변환원 도트패턴의 최종행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아닌지, 즉 행방향의 확대를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홀짝판정 스텝(401)로 되돌아가고, 한편 종료된 경우에는 CPU(21)은 스텝(407)로 나타내는 열방향의 확대처리로 진행한다. 그리고 열방향으로의 확대도 종료되면, 일련의 확대변환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열방향의 확대는 행방향의 확대와 같으므로 상세히는 설명하지 않지만, 변환원 도트패턴으로서는 확대변환버퍼(23d)에 격납된 행방향으로의 확대가 완료된 것을 이용하고, 변환후의 도트페턴은 지금까지 작성되어 있던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다음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있어서의 작성중 패턴버퍼(23b)의 영역에 격납한다.
제10도는 이러한 1.5배의 확대변환처리를 이미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1도(A)는 2배의 확대변환처리(16×16도트에서 32×32도트)를 이미지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행방향 및 열방향과 함께 변환원의 정보가 2개씩 반복하여 이용되고 있다. 제11도(B)는 3배의 확대변환처리(16×16도트에서 48×48도트)를 이미지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행방향 및 열방향모두 변환원의 정보가 3회씩 반복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하, 다른 외자관련처리 「수정」, 「호출」, 「복사」 및 「소거」에 관하여 처리플로우차트의 도시는 생략하고, 간단히 설명한다.
「수정」처리는 「등록」 처리와 거의 동일한 처리이지만, 16×16도트패턴의 수정이 완료된 때나, 24×24도트패턴의 수정이 완료된 때에도 다른 사이즈의 확대변환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점이 「등록」처리와는 다르다. 즉, 제1도에 있어서의 스텝(204)∼(207)의 처리가 존재하지 않는 점이 「등록」처리와 다르다. 이것에 의해 어떤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수정이 다른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영향을 주지않고, 개별로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호출」처리에서는 외자식별번호의 선택처리를 이행하여, 그 선택된 외자식별번호의 코드를 RAM(23)의 덱스트 에어리어에 추가함과 동시에 그 외자식별번호에 있어서의 16×16도트패턴을 읽어내어 표시버퍼(23c)로 보내어 문자입력화면상에 외자를 표시시킨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외자식별번호를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작성된 외자를 표시하려고 한 점이 다르다.
「복사」처리에서는 복사원의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에어리어 관리번호(외자식별번호)와, 복사선의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에어리어 관리번호(외자식별번호)를 읽어들이고, 복사원의 에어리어 관리번호가 규정하는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에어리어에 격납되어 있는 전체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복사선의 에어리어 관리번호가 규정하는 외자등록 에어리어(23a)의 에어리어에 카피하고, 카피완료후에 문자입력화면에 복귀시킨다.
「소거」처리에서는 소거하고 싶은 외자에 있어서의 외자등록 에어리어(23s)의 에어리어 관리번호(외자식별번호)가 규정하는 에어리어에 격납되어 있는 전체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소거하고(예를 들면 전 도트를 오프도트로 한다), 소거완료 후에 문자입력화면으로 복귀시킨다.
(C) 실시예의 효과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외자의 「등록」처리시에 있어서, 24×24도트의 도트패턴의 작성이 완료된 때에도 48×48도트의 도트패턴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일단 24×24도트의 도트패턴에 첨가된 수정정보를 포함하는 48×48도트의 도트패턴에서 사용자가 수정을 가하면 좋으므로, 48×48도트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고, 조작성이 한단계 향상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외자의 「등록」 및 「수정」처리시에 있어서 편집처리모드로서 1도트마다에 온 오프 조작시키는 「보통」이 편집처리모드에 더불어, 지정영역의 전체를 온도트로 변경시키는 「흑도」의 편집처리모드나 지정영역 전체를 오프도트로 변경시키는 「백도」의 펀집처리모드를 준비한 것이므로, 도궤 영역이 많은 그림이나 기호 등의 등록이나 수정조작을 사용자가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조작성이 한단계 향상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외자편집표시 에어리어(50)을 사이즈에 따라서 에어리어의 크기가 변하는 외자도트패턴이 표시되는 묘화표시 에어리어(50a)와 그 외측의 가이드표시 에어리어(50b)로 구성되고, 가이드 표시 에어리어(50b)에 커서(50d)의 위치를 가이드(안내)하는 커서가이드(50c)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커서근방만에 시선을 빼앗기지 않아, 도트패턴 전체중에 있어서의 커서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히 인식하기 쉽고,그 결과 상당히 조작하기 쉬워져, 조작성이 한단계 향상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우기, 묘화표시 에어리어(50a)의 크기를 작성하려고 하는 도트 패턴의 사이즈에 따라서 변환하므로, 사이즈에 따른 도트패턴을 인식하기 쉽게된다.
(D) 다른 실시예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등록시에 사이즈가 다른 도트패턴을 작은 쪽에서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작성완료의 도트패턴을 확대한 작성용 도트패턴을 수정시켜, 보다 큰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킬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16×16도트, 24×24도트, 32×32도트 및 48×48도트의 4종류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경우, 16×16도트, 32×32도트, 24×24도트, 48×48도트의 순서로 작성시켜도 좋다.
또한, 새로운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기 위해서는 확대된 작성완료의 도트패턴의 사이즈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32×32도트의 도트패턴에서 48×48도트의 도트패턴으로 자동적으로 작성하려고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이즈가 4종류인 것을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소 사이즈의 도트패턴만을 최초부터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2이상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최초부터 작성하고, 다른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관하여는 이미 작성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확대한 것을 표시하여 수정작성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흑도」 및 「백도」의 영역이 직사각형 영역인 것을 나타내었지만, 3각형 등의 다른 형상도 대상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성용 도트패턴(문자 등 구성부분)을 포지티브(Positive)로 표시시키고, 가이드표시 에어리어를 기본적으로 네가티브(Negative)로 표시시키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의 반대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테이프 인쇄장치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외자기능을 가지는 다른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장작성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흑도」나 「백도」의 편집처리모드나 가이드표시에 관하여는 작성사이즈가 1개인 문자정보처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의 본발명에 의하면, 작은 쪽에서 세어, 2번째이상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으로 할 때에는 이 작성대상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이미 작성된 도트패턴을 작성대상의 사이즈로 확대변환하고, 이 확대변환된 도트패턴을 표시시켜, 이 표시된 도트패턴에 수정을 가함으로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대상이 되고 있는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키는 도트패턴 작성수단과, 이미 작성된 어떤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다른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 확대변환하여 다른 사이즈의 작성개시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준비시키는 확대변환수단과, 도트패턴 작성수단이 상기 확대변환수단에 의해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에 대하여 수정을 가함으로서 상기 확대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종료한 경우에 있어서 이 작성종료된 도트패턴의 사이즈가 소정 사이즈일 때, 상기 확대변환수단에 해당의 작성종료된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의 확대변환을 다시 실행시키고, 다른 소정 사이즈의 작성개시시점에서의 도트패턴을 다시 준비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사용자는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도 수정조작으로 작성가능하고, 또한 이 때의 수정정보를 포함한 그대로의 소정 사이즈로 확대변환된 도트패턴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가하여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할 수 있고, 다른 소정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사용자자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키는 것이 실현가능하다.
또한, 제 2의 본발명에 의하면, 1도트마다에 온도트 또는 오프도트로 변환시키는 제 1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과, 지정된 영역내의 전체의 도트를 일괄하여 온도트로 변환시키는 제 2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과, 지정된 영역내 전체의 도트를 일괄하여 오프도트로 변환시키는 제3의 외자도트패턴 편집수단을 가지므로, 도궤영역이 많은 그림이나 기호 등의 외자등록이나 수정조작을 사용자가 간단히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트패턴을 묘화시키는 묘화표시에어리어를 그 외측에 설치된 외측표시 에어리어와 구별하여 표시시킴과 동시에, 묘화표시 에어리어내의 조작대상도트를 나타내는 커서을 통과하는 종횡선분의 내, 외측표시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해당 종횡선분의 부분을 커서가이드로서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커서근방에만 시선을 빼앗기지 않고, 도트패턴 전체중에 있어서의 커서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조작하기 쉬워, 조작성을 한단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자등록의 전체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제2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구성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면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자관련처리에 들어가는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자등록, 수정처리시의 표시화면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모드 「보통」에서의 처리플로우차트이며,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모드「흑도」에서의 처리플로우 차트이고,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모드「백도」에서의 처리플로우차트이며,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패턴의 확대변환처리의 플로우차트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패턴의 확대변환처리의 제1의 이미지도이며,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패턴의 확대변환처리의 제2의 이미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20 : 제어부,
21 : CPU, 22 : ROM,
23 : RAM, 30 : 출력부,
31 : 테이프ㆍ리본발송모터, 32 : 서말헤드,
35 : 액정디스플레이

Claims (8)

  1. 사용자 지정 문자에 대한 복수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시켜 등록하되, 미리 설정된 더 큰 사이즈의 도트패턴이 그 사이즈보다 더 작은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확대하고, 확대된 도트패턴을 표시한 후, 표시된 확대 도트패턴을 수정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완성함으로써 작성되는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응답하여 복수 사이즈를 갖는 각각의 도트패턴을 작성 또는 수정하는 도트패턴 작성수단;
    상기 복수 사이즈중 더 작은 사이즈의 작성된 도트패턴을 더 큰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 확대변환시키는 확대변환수단;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의 작성을 완성하는 도트패턴 작성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완성된 도트패턴을 더 큰 사이즈의 대용 임시 도트패턴으로 상기 확대변환수단이 더 확대변환시키도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더 큰 사이즈의 대용 임시 도트패턴이 상기 더 큰 사이즈의 완성된 도트패턴을 수정 및 작성하기 위해 상기 작성수단에 의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 작성수단은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도트를 오도트 또는 오프도트로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선택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편집하는 제 1 사용자 지정 문자 도트패턴 편집수단;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에어리어의 모든 도트를 온도트로 집합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선택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편집하는 제 2 사용자 지정 문자 도트패턴 편집수단; 및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에어리어의 모든 도트를 오프도트로 집합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선택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편집하는 제 3 사용자 지정 문자 도트패턴 편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이 묘화되는 묘화표시 에어리어와, 상기 묘화표시 에어리어와 구별되어 묘화표시 에어리어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표시 에어리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묘화표시 에어리어내에서 작동되는 대상 도트를 나타내는 커서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표시 에어리어내에서 움직이며 커서의 위처를 표시하기 위해 커서를 통과하는 종횡선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작성하려고 하는 도트패턴의 사이즈에 따라 묘화표시 에어리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5.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을 작성시켜 등록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을 내부에 예비로 저장하는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 및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작성된 도트패턴을 내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지정 문자 등록부를 갖는 메모리수단;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제 1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작성하고, 작성된 제 1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도트패턴 작성수단;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1 영역에 저장된 제 1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제 2 사이즈의 도트패턴, 제 3 사이즈의 도트패턴 및 제 4 사이즈의 도트패턴으로 확대하고, 상기 제 2 사이즈의 도트패턴, 제 3 사이즈의 도트패턴 및 제 4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해당 제 2, 제 3 및 제 4 영역에 저장하는 확대/저장수단;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2 및 제 3 영역에 저장된 제 2 사이즈의 도트패턴 및 제 3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사용자가 각각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정된 제 2 사이즈의 도트패턴 및 제 3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해당 제 2 및 제 3 영역에 저장하는 수정/저장수단;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에 저장된 수정된 도트패턴을 사용자 지정 문자 등록부에 등록시키라는 지시를 발하는 등록지시수단; 및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영역에 저장된 제 1 사이즈의 도트패턴, 제 2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 제 3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 및 제 4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을 등록지시에 따라 사용자 지정 문자 등록부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등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확대/저장수단은 제 2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이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2 영역에 저장될 때, 상기 제 2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을 확대시켜 제 4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을 만들고 그 제 4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을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4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수정/저장수단은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4 영역에 저장된 제 4 사이즈의 수정된 도트패턴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수정한 제 4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의 제 4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 작성수단은
    표시유닛의 스크린상에서 커서로 표시된 도트패턴의 선택된 도트를 온도트 또는 오프도트로 변환시키고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에 저장된 도트패턴의 해당 도트의 논리 레벨을 온도트 또는 오프도트의 논리 레벨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선택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편집하는 제 1 사용자 지정 문자 도트패턴 편집수단;
    표시유닛의 스크린상에서 검정색으로 채워지도록 사용자가 설정된 비스듬하게 대향된 2개의 정점에 의해 한정된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의 에어리어의 모든 도트를 온도트로 집합적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도트패터 예비 저장부에 저장된 패턴의 해당 도트의 논리 레벨을 온도트의 논리 레벨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선택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편집하는 제 2 사용자 지정 문자 도트패턴 편집수단; 및
    표시유닛의 스크린상에서 흰색으로 채워지도록 사용자가 설정한 비스듬하게 대향된 2개의 정점에 의해 한정된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도트패턴의 에어리어의 모든 도트를 오프도트로 집합적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도트패턴 예비 저장부에 저장된 도트패턴의 해당 도트의 논리 레벨을 오프 도트의 논리 레벨로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 지정 문자를 의미하는 선택된 사이즈의 도트패턴을 편집하는 제 3 사용자 지정 문자 도트패턴 편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이 묘화되는 묘화표시 에어리어와, 상기 묘화표시 에어리어와 구별되어 묘화표시 에어리어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표시 에어리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묘화표시 에어리어내에서 작동되는 대상 도트를 나타내는 커서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표시 에어리어의 각각의 종횡세그먼트내에서 움직이며 커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커서를 통과하는 종횡선분을 나타내는포인터를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제어수단은 작성하려고 하는 도트패턴의 사이즈에 따라 묘화표시 에어리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정보처리장치.
KR1019950048173A 1994-12-07 1995-12-07 문자정보처리장치 KR100355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3668A JPH08160934A (ja) 1994-12-07 1994-12-07 文字情報処理装置
JP94-303668 1994-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73A KR960024873A (ko) 1996-07-20
KR100355366B1 true KR100355366B1 (ko) 2002-12-26

Family

ID=1792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173A KR100355366B1 (ko) 1994-12-07 1995-12-07 문자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93902A (ko)
EP (1) EP0716396B1 (ko)
JP (1) JPH08160934A (ko)
KR (1) KR100355366B1 (ko)
CN (1) CN1077307C (ko)
DE (1) DE69523869T2 (ko)
HK (1) HK10142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93A3 (ko) * 2012-01-09 2013-09-19 Ryu Jungha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WO2015005681A1 (ko) * 2013-07-09 2015-01-15 Ryu Jungha 기호 이미지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기호 이미지 검색용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696A (ko) * 1995-10-19 1997-05-30 김광호 도트-매트릭스유형에서 다른 확대율로의 정보표시장치 및 정보표시방법과 도트매트릭스디스플레이를 갖춘 무선통신장치
JP3022838B2 (ja) * 1998-05-26 2000-03-21 日本電気データ機器株式会社 間引き印字駆動方法
CN1196317C (zh) * 2000-09-04 2005-04-06 兄弟工业株式会社 范围指定装置及范围指定方法
TWI277058B (en) * 2002-08-30 2007-03-21 Seiko Epson Corp Font processing device, terminal, font processing method and font processing program
US7475824B2 (en) * 2003-03-17 2009-01-13 Kenji Yoshida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JP4819723B2 (ja) * 2006-03-16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抽出装置、情報抽出方法、情報抽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736897B2 (en) * 2006-08-31 2014-05-27 Pitney Bowes Inc. Method for printing address labels using a secure indicia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254A (ja) * 1984-02-08 1985-08-28 Hitachi Ltd プリンタ装置
US4875173A (en) * 1985-04-16 1989-10-1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enlarging method and device
JPS63287893A (ja) * 1987-05-20 1988-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文字フォント作成方法
JP2899084B2 (ja) * 1990-08-03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図形処理装置及び方法
JPH06118934A (ja) * 1992-10-06 1994-04-28 Kingujimu:Kk 外字登録方法
JPH06115167A (ja) 1992-10-06 1994-04-26 Kingujimu:Kk 外字登録方法
CA2107746A1 (en) * 1992-10-06 1994-04-07 Masahiko Nunokawa Tape printing device and tape cartridge used therein
JPH06198961A (ja) * 1992-12-28 1994-07-19 Brother Ind Ltd 文書処理装置の登録用ドットパターンデータ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93A3 (ko) * 2012-01-09 2013-09-19 Ryu Jungha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10510168B2 (en) 2012-01-09 2019-12-17 Jungha Ryu Method for editing character image in character image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15005681A1 (ko) * 2013-07-09 2015-01-15 Ryu Jungha 기호 이미지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기호 이미지 검색용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93902A (en) 1998-08-11
KR960024873A (ko) 1996-07-20
EP0716396A3 (en) 1998-10-14
DE69523869T2 (de) 2002-04-18
DE69523869D1 (de) 2001-12-20
CN1132692A (zh) 1996-10-09
EP0716396B1 (en) 2001-11-14
JPH08160934A (ja) 1996-06-21
CN1077307C (zh) 2002-01-02
HK1014220A1 (en) 1999-09-24
EP0716396A2 (en) 199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4922B1 (en) Modifying a graphics display image
KR100355366B1 (ko) 문자정보처리장치
KR100516613B1 (ko) 문자인쇄장치
EP0424052B1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0212412B1 (ko) 문자패턴 생성장치
US4980841A (en) Block processing apparatus
EP04382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multicolor document
KR20000035061A (ko) 문자입력장치
JPH0821086B2 (ja) 図形処理方法
US6034702A (en) Character forming apparatus
JPH08202856A (ja) 画像処理方法
JPH05165455A (ja) 文字表示処理方法
JPH06115167A (ja) 外字登録方法
JP3254286B2 (ja) 刷版マスク作成装置
JPH03265896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H0333895A (ja) フォント描画装置
JP2002244640A (ja) 文字情報処理装置
JP2713219B2 (ja) 図形表示装置
JP3143503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0560598B2 (ko)
JPH02238515A (ja) 記録装置
JPH04338878A (ja) 図形パターン編集装置
JPH0231281A (ja) 画像編集装置
JPH03124447A (ja) 文字発生装置
JPH09146518A (ja) 文字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