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412B1 - 문자패턴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문자패턴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412B1
KR100212412B1 KR1019970010099A KR19970010099A KR100212412B1 KR 100212412 B1 KR100212412 B1 KR 100212412B1 KR 1019970010099 A KR1019970010099 A KR 1019970010099A KR 19970010099 A KR19970010099 A KR 19970010099A KR 100212412 B1 KR100212412 B1 KR 10021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information
changing
skeleton
information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088A (ko
Inventor
스스무 하세가와
유까 야부우찌
마사유끼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쓰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7006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0Function-generator circuits, e.g. circle generators line or curve smooth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09G5/246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of ideographic or arabic-like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문자패턴 생성장치는 기억부, 입력부, 판정부, 제1변경부, 제2변경부, 제3변경부, 접속부, 및 패턴 생성부를 포함한다. 기억부는 문자코드마다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요소에 대해 복수서체간에 공유되는 골격형상을 도시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 서체마다 구성요소의 윤곽형상을 도시한 요소윤곽형상 정보, 및 서체마다 구성요소의 골격형상을 도시한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기억한다. 판정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서체코드 및 문자코드에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처리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변경부는 연결처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연결처리의 대상이 되는 1조의 구성요소의 소정 서체에 대응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를 연결처리가 가능하도록 변경한다. 제2변경부는 변경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한다. 제3변경부는 제2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한다. 접속부는 제3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윤곽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윤곽 형상을 접속하고, 패턴 생성부는 접속된 윤곽형상에 대응하는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패턴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문자패턴 생성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2문자분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의 기하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요소윤곽형상 정보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요소윤곽형상 정보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4도의 대체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의 기억내용이 일례를 도시한 도면.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에서의 1요소분의 기하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요소윤곽형상의 윤곽점과 요소골격형상의 골격점의 대응을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제1도의 요소윤곽형상 정보(18)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문자패턴 생성장치의 메인 흐름도.
제11도는 제10도의 지정데이타 입력과 초기설정의 흐름도.
제12도는 제10도의 문자간 연결부 지정에 따라 문자코드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이는 흐름도.
제13도는 제10도의 연결부 지정에 따른 연결처리의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윤곽점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골격형상 변경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6도는 제3도에 도시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의 골격형상 변경 후의 기하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윤곽점의 접속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8도는 제16도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의 골격형상에 맞춘 요소윤곽형상 정보의 변경 및 접속 후의 기하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보드 11 : 보조 메모리
12 : CPU 13 : 주 메모리
14 : 비트 맵 메모리 15 : 출력장치
16 : 글자체 골격형상정보 17 : 요소윤곽형상 정보
18 : 요소골격형상 정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문자를 아웃라인 폰트로 도시하면서 연결부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문자패턴 생성장치는 특공평 2-36955호 공보 또는 특개소 62-938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문자의 형태를 나타내는 글자형태 정보를 기억하고, 인접하는 2문자간에 대해 연결부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연결부로 하는 경우에는 2문자의 글자형태 정보를 합성함으로써 연결부를 포함하는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2개의 공보에 기재된 문자패턴 생성방법에서는 인접하는 2문자간에 대해서만 연결부 판정이 가능하였고, 1문자내의 구성요소간에 관한 연결부 처리는 불가능하였다.
또한, 문자의 연결부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문자의 윤곽형상을 나타내는 글자형태 정보를 문자의 골격형상을 나타내는 골격점의 좌표와 각 골격점에서의 단일 선폭 파라미터로서 보존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글자형태를 설계할 때에 형상적인 제약이 주어져서 서체를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없었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1문자내의 구성요소간의 연결부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고품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및 컴퓨터에 의해 이러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문자내의 구성요소간의 연결부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디자인적 제약이 없는 고품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및 컴퓨터에 의해 이러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패턴 생성장치는 1개이상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문자에 대해 소정의 서체에 따라 문자패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기억부, 입력부, 판정부, 제1변경부, 제2변경부, 제3변경부, 접속부, 및 패턴 생성부를 포함한다.
기억부는 문자코드마다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요소의 각각에 대해 복수 서체간에 공유할 수 있는 골격형상을 도시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 서체마다 구성요소의 각각의 윤곽형상을 도시한 요소윤곽형상 정보, 및 서체마다 구성요소의 각각이 골격형상을 도시한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입력부로부터는 소정 서체와 1개이상의 문자코드가 입력된다.
판정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소정 서체 및 문자코드의 각각에 대응한 구성요소의 각각이 다른 1구성요소와 연결부로 처리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변경부는 판정부의 연결부로 처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연결부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1조의 구성요소의 소정 서체에 대응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를 연결부처리 가능하도록 변경한다.
제2변경부는 제1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한다. 제3변경부는 제2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한다.
접속부는 제3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윤곽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윤곽 형상을 접속하고, 패턴 생성부는 접속된 윤곽형상에 대응한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패턴을 생성한다.
동작에서는 판정부에 의해 문자의 1구성요소가 다른 1구성요소와의 사이에서 연결처리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변경부 및 접속부에 의해 연결처리되는 1조의 구성요소의 윤곽형상이 연결처리 가능하도록 소정의 서체에 따라 접속되고, 패턴 생성부에 의해 접속된 윤곽형상이 문자패턴에 생성된다.
이 문자패턴 생성장치에 따르면, 복수문자간 뿐만 아니라 1문자내의 구성요소간에 관한 연결처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실제로 인간이 붓으로 쓰는 것과 같은 현실적이고 보다 다양하게 풍부한 서체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성요소의 윤곽을 나타내는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여러 종류, 여러 모양의 문자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공정수로 서체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문자의 윤곽생성은 소정 서체에 대응한 구성요소의 윤곽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지므로 종래의 문자의 골격형상을 나타내는 골격점의 좌표와 골격점에서의 단일 선폭 파라미터로서 보존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글자형태를 설계할 때에 형상적인 제약이 발생하지 않아서 서체 디자인의 자유화가 저해되지 않는다.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연결 처리되는지의 여부를 도시한 연결부 판정정보 및 골격형상의 변경에 필요한 연결부 속성정보를 포함하여도 된다. 판정부는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중의 연결부 판정정보에 기초하여 서체에 대응하여 연결처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1변경부는 연결부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부 처리 가능하도록 골격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측면에 따르면, 기억매체는 입력장치, 문자코드마다 준비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 서체마다 또 이 서체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마다 준비된 요소윤곽형상 정보, 및 서체마다 또 이 서체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마다 준비된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요소의 전부에 대해 복수 서체로 공유되는 골격형상을 도시하고, 요소윤곽형상은 구성요소의 각각의 윤곽형상을 도시하며, 요소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요소의 골격형상을 도시한다. 이 프로그램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소정 서체 및 문자코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각각이 다른 1구성요소와 연결 처리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단계의 연결 처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연결부처리의 대상이 되는 1조의 구성요소의 소정 서체에 대응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를 연결부처리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제1 변경단계와, 변경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2 변경단계와,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3 변경단계와, 변경된 요소윤곽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1조의 구성요소의 윤곽형상을 접속하는 단계와, 접속된 윤곽형상에 대응한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문자패턴 생성방법을 컴퓨터 처리에 의해 실현한다.
이 기억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상기한 컴퓨터로 실행시킴으로써 이미 기술한 문자패턴 생성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에서는 문자는 문자의 각 획을 구성하는 1개 이상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문자 및 구성요소의 각각의 형상을 특정하는 정보는 그 골격을 도시한 골격형상 정보와 이 골격형상에 살을 붙인 윤곽형상 정보를 포함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문자패턴 생성장치는 키보드(10), 글자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보조 메모리(11), 및 주지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12), CPU(12)에 접속된 주메모리(13), 화상 표시용의 비트 맵 메모리(14), 및 비트 맵 메모리(14)에 접속된 레이져 프린터 또는 열전사 프린터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장치(15)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는 컴퓨터를 말한다.
키보드(10)으로부터는 문자의 서체 종류(예를 들면 고딕체, 초서체 등)을 도시한 서체코드와 1개 이상의 문자의 문자코드가 입력된다. 또 서체는 상품으로서 유통되고 있으며, 이들 상품의 서체에는 상품명이 부가되어 있다. 여기서 지정되는 서체코드는 이들 상품명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키보드를 대신하여 또는 이것과 조합시켜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여도 된다.
보조 메모리(11)에는 문자코드마다 설치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 서체코드마다 설치된 요소골격형상 정보(17), 및 서체코드마다 설치된 요소윤곽형상 정보(18)가 미리 기억된다.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는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요소의 각각에 관한, 복수 서체간에 공유되는 골격형상을 나타낸다. 요소골격형상 정보(17)는 서체코드로 지정되는 서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의 골격형상을 나타낸다. 요소윤곽형상 정보(18)는 서체코드로 지정되는 서체의 구성요소의 윤곽형상을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간략화되어 각각 1개씩의 이들 정보가 기억되도록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 복수의 요소골격형상 정보(17) 및 복수의 요소윤곽형상 정보(18)가 기억되어 있다.
CPU(12)는 문자의 골격형상을 변경하는 기능, 구성요소의 골격형상 및 윤곽형상을 변경하는 기능, 1조의 구성요소의 윤곽형상을 접속시키는 기능, 및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윤곽형상이 접속되어 연결처리되는 1조의 구성요소에는 2개의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그 한쪽을 개시 구성요소라고 부르고 다른쪽을 종료 구성요소라고 부른다. 여기서 구성요소가 연결처리되는 경우에는 그 구성요소는 연결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이하, 대체 구성요소)에 의해 치환된다.
CPU(12)는 프로그램용 메모리와 작업용 메모리를 갖고 있으며, 보조 메모리(11)와 주메모리(13)에 기억되는 데이타에 기초하여 문자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이 문자패턴은 비트 맵 메모리(14)상에 비트 맵 데이타로서 기록되어 출력장치(15)에 의해 인쇄 또는 표시된다.
주메모리(13)는 보조 메모리(11)로부터 판독된 문자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입력용 버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래 기억된 데이타가 나타내는 글자의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나타내도록 변경된 글자체 골격형상 데이타와 요소골격형상 데이타와 요소윤곽형상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출력용 버퍼, 및 원래 기억된 데이타가 나타내는 글자의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나타내도록 골격형상이 각각 변경된, 연결부 처리의 개시 구성요소와 연결부 처리의 종료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를 각각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는다.
여기서, 문자의 윤곽형상을 기억하는 방법으로서는 (1) 문자의 윤곽선을 직선 근사로 기억하는 방법, (2) 문자의 윤곽선을 직선과 원호로 기억하는 방법, (3) 문자의 윤곽선을 직선과 곡선으로 기억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문자 품위, 데이타 용량의 효율등을 고려한 경우에는 (3)의 방법이 문자패턴의 생성에 가장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의 방법으로 문자의 윤곽을 기억하고, 이와 같이 직선과 곡선으로 기억된 문자의 윤곽선의 데이타가 요소윤곽형상 정보에서의 윤곽좌표 데이타로서 보조 메모리(11)에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산적인 윤곽좌표 데이타로부터 연속적인 글자의 윤곽을 생성할 때에 3차 베쥬곡선이 이용된다. 3차 베쥬곡선이란 곡선의 시점과 종점과 2개의 제어점을 지정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는 원활한 곡선이다.
다음에, 보조 메모리(11)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제2도는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어떤 하나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는 문자를 구별하는 문자코드(200), 1개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로부터 생성 가능한 서체종류의 수(201)(예를 들면 M개), 그 문자를 구성하는 요소의 수(202)(예를 들면 N개), 이 문자와 전후의 문자간에 연결부 처리를 하여도 좋은지의 여부를 도시한 문자간 연결부 코드(203), 서체마다 또한 이 문자의 구성요소마다 이 구성요소의 골격 및 윤곽을 어떠한 형상으로 할 것인지를 도시한 요소 첨가 정보군(161), 서체마다 또한 이 문자의 구성요소마다 그 구성요소에 대해 행해지는 연결부 처리의 내용을 특정하는 연결부 속성 정보군(162), 1문자분의 골격점수(210), 및 이 문자의 N개의 구성요소에 대응한 골격점 좌표 데이타(211 내지 21N)가 기억된다.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중의 구성요소간의 순서 규칙이 정해지고, 이 순서 규칙은 연결부 처리에서의 개시 구성요소, 이에 대응하는 종료 구성요소에 속하는 요소첨가 정보, 연결부 속성 정보, 및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는 연속한 상태에서 기억되도록 한다.
요소 첨가 정보군(161)에는 요소첨가 정보가 문자의 구성요소수(N개)와 생성 서체수(M개)를 곱한 수만큼 기억되어 있다. 요소 첨가 정보의 각각은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윤곽형상을 지시하는 요소코드(204), 구성요소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점수(205), 골격점 좌표 데이타(211 내지 21N)중 이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데이타에 대한 포인터(206)로 이루어진다.
연결부 속성 정보군(162)에는 연결부 속성 정보가 문자의 구성요소수(N개)와 생성 서체수(M개)를 곱한 수만큼 기억되어 있다. 연결부 속성 정보의 각각은 구성요소가 연결부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냄과 동시에 그 구성요소가 연결부 처리의 개시 구성요소인지 종료 구성요소인지를 도시한 연결부 판정코드(207), 이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연속시킬 때에 그 연속시키는 부분의 형상을 규정하는 베쥬곡선 발생에 이용하는 거리 파라미터인 부분의 베쥬 제어점 거리(208), 및 연결부 처리에서 요소코드(204)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대신하여 이용되는 대체 구성요소를 특정하는 대체 요소코드(209)로 이루어진다.
제3도에는 키보드(10)로부터 입력된 2문자분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의 기하정보의 예가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문자코드(여기서는 JIS 구점 코드에 준함)로서 3278번「川」과 3248번「石」이 지정되어 있다.
제4도는 요소골격형상 정보(17)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요소윤각형상 정보(17)는 서체 종류를 구별하는 서체코드(400), 그 서체에 준비된 요소의 수(401), 요소윤곽 정보군(171), 대체요소 윤곽 정보군(172), 총 윤곽점수(408), 각 요소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09), 및 각 대체요소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10)를 포함한다.
요소윤곽 정보군(171)은 요소의 수(예를 들면 M개)만큼 요소윤곽 정보를 포함한다. 각 요소윤곽 정보는 요소코드(402), 이 요소의 윤곽을 형성하는 윤곽점의 점수(403), 및 이 요소에 대응한 윤곽점 좌표 데이타(409)에 대한 포인터(404)로 이루어진다. 대체요소 윤곽 정보군(172)의 각 정보는 요소윤곽 정보와 완전히 동일하며, 요소코드(402)에 1대 1로 대응하는 대체 요소코드(405), 대체 요소의 윤곽을 형성하는 윤곽점의 점수(406), 및 대응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10)에 대한 포인터(407)로 이루어진다.
각 요소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09)는 요소윤곽형상 정보(411)를 포함한다.
제5도는 요소윤곽형상 정보(411)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1)는 제5도에서는 예를 들면 첫번째의 요소코드의 요소윤곽형상의 윤곽점(예를 들면 N개)과 요소골격형상의 각 골격점과의 대응을 도시한 것으로 각 윤곽점이 소속하는 골격점의 번호를 기억한다. 다른 요소코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1)가 기억된다.
대체 요소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10)는 각 대체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2)를 포함한다. 제6도는 대체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2)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대체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2)는 제6도에서는 예를 들면 첫번째의 요소코드의 요소윤곽형상의 윤곽점(예를 들면 N'개)와 요소골격형상의 각 골격점과의 대응을 도시한 것으로 각 윤곽점이 소속하는 골격점의 번호를 기억한다.
다른 대체 요소코드에 대해도 마찬가지로 대체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2)가 기억된다.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요소윤곽형상 정보에서의 1요소분의 기하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개의 구성요소의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1)(제5도 참조), 즉 요소윤곽형상의 윤곽점과 요소골격형상의 골격점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요소윤곽형상의 윤곽점과 요소골격형상의 골격점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점 K0, K1, K2, K3 및 K4는 요소골격형상 정보내의 어떤 구성요소가 갖는 골격점을 도시하며, 점 P1, P2, P3, P4, P5, P6, P7 및 P8은 요소윤곽형상 정보내의 당해 어떤 구성요소가 갖는 윤곽점을 도시한다.
골격K0, K1, K2, K3 및 K4를 연결하는 선분을 각각 K0-K1, K1-K2, K2-K3, K3-K4로 한다. 각 윤곽점 P1, P2, P3, P4, P5, P6, P7 및 P8로부터 볼 때, 최단거리로 도달할 수 있는 선분을 각각 요구한다. 이들 선분의 시점으로 되어 있는 골격점의 번호를 이들 선분에 대응한 윤곽점이 소속하는 골격점 번호로 한다.
이와같이 하여 요구한 각 골격점 번호를 요소윤곽형상 변경 정보(411)로서 요소윤곽형상 정보(17)내에 기억한다.
제9도는 요소골격형상 정보(18)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요소골격형상 정보(18)는 서체를 구별하는 서체코드(600), 그 서체에 준비된 요소의 수(601)(예를 들면 M개), M개의 요소의 각각에 대한 요소골격 정보로 이루어지는 요소골격 정보군(181), M개의 요소의 각각에 대한 대체요소골격 정보로 이루어지는 대체요소골격 정보군(182), 총 골격점수(608), 전 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609), 및 전 대체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610)를 포함한다.
각 요소골격 정보는 대응하는 요소의 요소코드(602),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점수(603), 및 대응하는 골격점 좌표 데이타(609)에 대한 포인터(604)를 포함한다.
각 대체요소골격 정보의 구성은 요소골격 정보와 완전히 동일하여 요소코드(602)에 1대 1로 대응하는 대체요소코드(605),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점수(606), 및 대응하는 골격점 좌표 데이타(610)에 대한 포인터(607)를 포함한다.
제10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문자패턴 생성장치의 주 흐름도는 지정 데이타 입력과 초기설정 T1, 문자간 연결 지정에 따라 문자코드에 관한 정보판독 입력 T2, 연결부 지정에 따른 연결처리 T3, 전 문자처리 종료의 판정 T4 및 출력처리 T5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문자패턴 생성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11도의 지정 데이타 입력과 초기설정 T1에서는, 우선 키보드(10)로부터 생성하여야 할 서체의 서체코드와 1 또는 복수문자분의 문자코드가 입력된다(S1). CPU(12)는 처리 후 문자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i를 0으로 셋트한다(S2). 처리(S2)의 후에 제어는 주 흐름도로 변환된다.
다음에, CPU(12)는 제12도의 단계 T2에서 문자간 연결부 처리대상의 문자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j를 1로 셋트한다(S3). CPU(12)는 보조 메모리(11)로부터 지정된 복수문자의 1문자째, 즉 i+1 문자째의 문자코드에 따라 패턴생성 처리에 이용되는 대응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 지정된 서체코드에 대응하는 요소윤곽형상 정보(17), 및 지정된 서체코드에 대응하는 요소윤곽형상 정보(18)를 주메모리(13)의 입력버퍼로 읽어들인다(S4).
다음에, CPU(12)는 입력버퍼에 읽어들인 골격형상 정보(16)중의 문자간 연결부 코드(203)에 의해 그 문자가 1문자내에서 연결부 처리를 행하는 것인지, 복수문자간에 걸쳐 연결부 처리를 행하는 것인지를 판정한다(S5). 여기서, 1문자내 연결부 처리의 경우에는 제어는 단계(T3)로 진행한다.
한편, 문자간 연결부 처리의 경우에는 변수 j에 1을 더한다(S6). 다음의 1문자분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와 지정 서체코드에 대응하는 요소윤곽형상 정보(17)와 지정 서체코드에 대응하는 요소윤곽형상 정보(18)를 주메모리(13)의 입력버퍼로 읽어들이고(S7), 다시 제어는 단계(S5)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문자정보를 마치 1개의 문자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수 j를 조사함으로써 복수 문자간의 연결부 처리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할 수 있다.
다음에,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중에서 지정된 서체코드에 대응하는 1구성요소의 요소첨가 정보와 연결부 속성 정보와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를 입력버퍼로부터 CPU(12)내의 작업용 메모리로 받아들인다(S8).
다음에, 작업용 메모리에 로드된 연결부 판정코드(207)를 조사하고, 그 구성요소에 대해 연결부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9). 구성요소가 연결부 처리의 대상인 경우에는(S9에서 YES), 제어가 후술하는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CPU(12)는 입력버퍼로 읽어들인 요소윤곽형상 정보(17)와 요소골격형상 정보(18)로부터 1구성요소인 요소코드(204)에 대응하는 요소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09)와 골격점 좌표 데이타(609)를 CPU(12)내의 작업용 메모리로 받아들인다(S10).
다음에, CPU(12)는 단계(S10)에서 로드된 요소골격형상 정보(17)의 각 골격점의 좌표치를 확대 축소 회전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단계(S8)에서 작업용 메모리에 로드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내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골격점 좌표 데이타 값에 일치시킨다. 이때, 상술한 제8도에서 설명한, 요소골격형상 정보(17)의 선분 K0-K1, K1-K2, K2-K3, K3-K4도 당연히 이동한다. CPU(12)는 이들 선분의 이동에 맞춰 요소윤곽형상 정보(18)의 윤곽점 P1 내지 P8을 이동시킨다(S11).
여기서는 윤곽점에 대해서 이동을 설명한다. 제14도에서 선분 K3-K4가 선분 K3'-K4'로 이동한 경우를 상정한다. 윤곽형상 변경정보(411)에 의해 윤곽점 P5와 P6(윤곽점 P5와 P6가 소속하는 골격점의 번호는 K3임)가 이동의 대상이 된다.
윤곽점 P5와 P6의 이동시간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윤곽점 P5와 P6로부터 선분 K3-K4로 내린 수선(垂線)과 선분 K3-K4와의 교점을 CP1, CP2로 한다. 점 K3-CP1간의 선분의 길이를 L1, 점 CP1-CP2간의 길이를 L2, 점 CP2-K4간의 길이를 L3로 한다. 길이 L1 대 L2 대 L3의 비율과 같게 되도록 선분 K3'-K4'상에 점 CP1', CP2'를 생성한다(골격점 K3'는 골격점 K3와 동일한 위치이다). 여기서 선분 K3-CP1'의 길이를 L1', 선분 CP1'-CP2'의 길이를 L2', 선분 CP2'-K4'의 길이를 L3'로 한다.
(2) 선분 K3-K4로부터 점 P5, P6까지의 거리를 D5, D6로 한다. (1)에서 구한 점 CP', CP2'로부터 선분 K3'-K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거리 D5, D6만큼 떨어진 부분에 점 P5', P6'를 둔다. 이들은 각각 점 P5와 P6가 이동한 점에 대응한다.
즉, 제14도에서 점 P5, P6의 이동조건은 다음과 같다.
(a) 길이의 비 L1 : L2 : L3 = L1' : L2' : L3'
(b) 거리 D5 = D5' 또는 D6 = D6'
상기 (a)와 (b)의 조건을 만족하는 윤곽점 이동 처리에 의해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에 의거한 요소윤곽형상 정보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1구성요소의 윤곽점 전부에 대한 이동처리가 끝난 후, 이동 후의 윤곽점 P1' 내지 P7'를 주메모리(13)의 출력버퍼에 출력한다(S12).
구성요소가 연결부 처리 대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9에서 예), 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CPU(12)는 작업용 메모리에 로드된 요소첨가 정보내의 요소코드(204)에 대응하는 대체요소코드(209)를 제9도에 도시된 요소코드와 대체요소코드와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인식한다. 그리고, 이 후의 문자생성 처리에서는 대체요소코드(209)가 사용된다(S13).
다음에, CPU(12)는 입력버퍼에 읽어들인 요소골격형상 정보(17)와 요소윤곽형상 정보(18)로부터 대체요소코드(209)에 대응하는 요소의 윤곽점 좌표 데이타(410)와 골격점 좌표 데이타(610)를 작업용 메모리로 받아들인다(S14).
작업용 메모리에 로드된 연결부 속성정보내의 연결부 판정코드(207)로부터 구성요소가 연결부 처리의 개시구성 요소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15). 구성요소가 개시구성 요소인 경우에는(S15에서 예), 제어는 단계(S8)로 반환된다. 즉, 다음 구성요소의 요소첨가 정보와 연결부 속성정보와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가 입력버퍼로부터 작업용 메모리로 받아들여진다. 구성요소가 종료 구성요소인 경우에는(S15에서 아니오), 제어는 단계(S16)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중의 구성요소간의 순서 규칙은 연결부 처리에서의 개시 구성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종료 구성요소에 속하는 요소첨가 정보와 연결부 속성 정보와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가 연속한 상태로 기억되어 있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단계(S16)로 처리가 진행한 시점에서 연결부 처리대상의 1조의 구성요소에 관한 요소첨가 정보와 연결부 속성정보와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가 CPU(12)내의 작업용 메모리에 이미 받아들여져 있도록 한다.
CPU(12)는 작업용 메모리에 로드된 연결부 속성정보내의 베쥬 제어점 거리(208)에 기초하여 작업용 메모리에 로드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16)내의 구성요소의 골격형상을 변경한다(S16).
제15도를 참조하여 개시 구성요소가 갖는 골격점 수를 N개라 하고 종류 구성요소가 갖는 골격점수를 M개로 한다. 개시 구성요소의 제N-1번째의 골격점(점 PN-1)과 제N번째의 골격점(점 PN)을 연결하는 선분 PN-1_PN을 상정한다. 이 선분의 연장선상의, 점 PN으로부터 베쥬 제어점 거리(208)만큼 떨어진 좌표에 베쥬 곡선의 제어점 Q1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종료 구성요소의 제2번째의 골격점(점 P2)과 제1번째의 골격점(점 P1)을 연결하는 선분 P2_P1을 상정한다. 이 선분의 연장선상의, 점 P1으로부터 베쥬 제어점 거리(208)만큼 떨어진 좌표에 베쥬곡선의 제어점 Q2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점 PN을 시점, 점 P1을 종점, 점 Q1과 점 Q2를 제어점으로 하는 3차 베쥬곡선(곡선 LB)이 생성된다.
이 곡선 LB를 2개의 직선으로 근사시켜 2개 직선의 접속점(점 PJ)을 구한다. 그리고, 개시 구성요소의 N개의 골격점에 점 PJ를 제N+1번째의 골격점으로서 부가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N+1개의 골격점을 그 골격형상이 변경된 변경후 개시 구성요소로서 주메모리(13)의 기억부에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종료 구성요소의 M개의 골격점에 점 PJ를 제1번째의 골격점으로서 부가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M+1개의 골격점을 그 골격형상이 변경된 변경후 종료 구성요소로서 주메모리(13)의 기억부에 저장한다.
제16도는 제3도에 도시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의 골격형상 변경 후의 기하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에, CPU(12)는 단계(S14)에서 로드된, 개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요소골격형상 정보(17)의 각 골격점의 좌표치를 확대 축소 회전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상술한 변경후 개시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에 일치시킨다. 또한 CPU(12)는 골격점 좌표의 이동에 맞춰 요소윤곽형상 정보에서의 윤곽점을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CPU(12)는 종료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요소골격형상 정보(18)의 각 골격점의 좌표치를 확대 축소 회전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상술한 변경후 개시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에 일치시킨다. 또한 CPU(12)는 그 이동에 부수하여 요소윤곽형상 정보(17)의 윤곽점을 이동시킨다.(S17). 윤곽점의 이동조건에 대해서는 이미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끝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에, CPU(12)는 변경후 개시 구성요소에 관한 윤곽점과 변경후 종료 구성요소에 관한 윤곽점을 접속시킨다(S18). 제17도를 참조하여, 변경후 개시 구성요소에 관한 윤곽점을 점 P1, Q1.1, Q1.2, PJ, Q2.1, Q2.2, P2로 한다. 점 P1, Q1.1, Q1.2, PJ의 4점에서 3차 베쥬곡선 LB1을 형성하고, 점 PJ, Q2.1, Q2.2, P2의 4점에서 3차 베쥬곡선 LB2를 형성한다.
변경후 종료 구성요소에 관한 윤곽점을 점 P3, Q3.1, Q3.2, PJ, Q4.1, Q4.2, P4로 한다. 그리고 P3, Q3.1, Q3.2, PJ의 4점에서 3차 베쥬곡선 LB3를 형성하고, 점 PJ, Q4.1, Q4.2, P4의 4점에서 3차 베쥬곡선 LB4를 형성한다. 여기서의 변경후 개시 구성요소의 윤곽은 곡선 LB1과 곡선 LB2 및 점 P1과 점 P2를 연결하는 직선 T1으로 이루어져 있다. 변경후 종료 구성요소의 윤곽은 곡선 LB3와 곡선 LB4 및 점 P3와 점 P4를 연결하는 직선 T2로 이루어져 있다.
점 P1, Q1.1, Q4.2, P4로부터 새로운 3차 베쥬곡선 LB5를 정의하고, 점 P3, Q3.1, Q2.2, P2로부터 새로운 3차 베쥬곡선 LB6를 정의한다. 곡선 LB5, 곡선 LB6, 직선 T1, 직선 T2로 이루어지는 1개의 윤곽으로부터 접속된 윤곽을 형성한다. 즉, 윤곽점의 접속은 2개 구성요소의 윤곽점 내로부터 1개의 윤곽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윤곽점을 추출하는 것이다.
1조의 구성요소로부터 접속에 필요한 윤곽점이 추출된 후, 추출 후의 윤곽점 P1, Q1.1, Q4.2, P4, P3, Q3.1, Q2.2, P2를 주메모리(13)의 출력버퍼로 출력한다(S12). 제18도에는 제16도의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의 골격형상에 맞춘 요소윤곽형상 정보의 변경 및 접속 후의 기하정보의 예가 표시된다.
다음에, CPU(12)는 j문자분의 전 구성요소에 대한 처리를 행했는지의 여부판판을 행한다(S19). 처리 종료의 경우(S19에서 예), 변수 i에 변수 j의 값을 더한다(S20). 미종료의 경우(S19에서 아니오), 단계 S8로 반환되어 다음 구성요소의 요소첨가 정보와 연결부 속성정보와 구성요소의 골격점 좌표 데이타를 입력버퍼로부터 작업용 메모리로 로드한다.
다음에, CPU(12)는 모든 문자에 대해 처리를 행했는지의 여부 판단을 행한다(제10도의 T4). 처리 종료의 경우(T4에서 예), CPU(12)는 주메모리(13)의 출력버퍼내의 데이타를 비트 맵 메모리(14)로 전송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T5). 처리 미종료의 경우(T4에서 아니오), 단계(S3)로 반환되어 다시 문자간 연결부 처리대상의 문자수를 카운트하기 위해서 변수 j를 1로 셋트한다.
비트 맵 메모리(14)에 전송된 윤곽점 데이타는 비트 맵 데이타로 전개된 후 출력장치(15)로 인쇄되어 출력된다(T5).

Claims (17)

1개이상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문자에 대해 지정된 서체의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에 있어서, 문자코드마다 준비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 서체마다 또한 이 서체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마다 준비된 요소윤곽형상 정보, 및 서체마다 또한 이 서체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마다 준비된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요소의 전부에 대해 복수 서체에서 공유되는 골격형상을 도시하며, 상기 요소윤곽형상은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윤곽형상을 도시하며,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요소의 골격형상을 도시하며,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소정 서체 및 문자코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이 다른 1구성요소와 연결 처리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부 처리의 대상이 되는 1조의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소정 서체에 대응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를 연결처리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제1변경부, 상기 변경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2변경부, 상기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상기 요소윤곽형상정보를 변경하는 제3변경부, 상기 변경된 요소윤곽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상기 윤곽형상을 접속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된 윤곽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부를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상기 연결 처리되는지의 여부를 도시한 연결부 판정 정보 및 상기 골격형상의 변경에 필요한 연결부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처리에서의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한쪽 구성요소와 다른쪽 구성요소의 정보가 연속하여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는 요소윤곽형상의 변경에 필요한 윤곽형상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는 요소윤곽형상의 변경에 필요한 윤곽형상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처리에서의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한쪽 구성요소와 다른쪽 구성요소의 정보가 연속하여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는 요소윤곽형상의 변경에 필요한 윤곽형상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는 요소윤곽형상의 변경에 필요한 윤곽형상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연결 처리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4변경부, 상기 제4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5변경부, 및 상기 제5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제1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한 문자패턴 생성장치.
입력장치, 문자코드마다 준비된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 서체마다 또한 이 서체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마다 준비된 요소윤곽형상 정보, 및 서체마다 또한 이 서체내에서 이용되는 구성요소마다 준비된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글자체 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요소의 전부에 대해 복수 서체에서 공유되는 골격형상을 도시하며, 상기 요소윤곽형상은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윤곽형상을 도시하며,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는 대응하는 요소의 골격형상을 도시하며,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소정 서체 및 문자코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이 다른 1구성요소와 연결 처리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단계의 연결 처리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부 처리의 대상이 되는 1조의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소정 서체에 대응하는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를 연결처리 가능하도록 변경하는 제1 변경단계, 상기 변경된 골격형상을 도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상기 요소골격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2 변경단계, 상기 변경된 요소골격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제3 변경단계, 상기 변경된 요소윤곽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조의 구성요소의 상기 윤곽형상을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윤곽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요소윤곽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문자패턴 생성방법을 컴퓨터 처리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매체.
KR1019970010099A 1996-03-25 1997-03-24 문자패턴 생성장치 KR100212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68059 1996-03-25
JP06805996A JP3330277B2 (ja) 1996-03-25 1996-03-25 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88A KR970067088A (ko) 1997-10-13
KR100212412B1 true KR100212412B1 (ko) 1999-08-02

Family

ID=1336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099A KR100212412B1 (ko) 1996-03-25 1997-03-24 문자패턴 생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20324A (ko)
JP (1) JP3330277B2 (ko)
KR (1) KR100212412B1 (ko)
CN (1) CN1107281C (ko)
TW (1) TW332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7037B2 (ja) * 1996-08-23 2003-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
US6288725B1 (en) * 1997-02-24 2001-09-11 Zining Fu Representation and restoration method of font information
JPH11149284A (ja) * 1997-11-18 1999-06-02 Sharp Corp 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及び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US6034701A (en) * 1998-03-24 2000-03-07 Electronic Dat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ixed sized fonts for character based displays
DE19901934C2 (de) * 1999-01-19 2001-07-19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Rahmens für grafische Objekte, die durch Bezier-Kurven beschrieben sind
US6911980B1 (en) * 1999-12-10 2005-06-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Manipulation of curves and surfaces
US7385612B1 (en) 2002-05-30 2008-06-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stortion of raster and vector artwork
EP1540572B1 (en) * 2002-07-03 2011-02-23 2012244 Ontario Inc. Scalable stroke font system and method
US7251365B2 (en) * 2002-07-03 2007-07-31 Vadim Fux Scalable stroke font system and method
CN108305209B (zh) * 2017-01-12 2021-06-04 富士通株式会社 字符变形方法和字符变形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5290A (ja) * 1984-09-07 1986-04-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ベクトル文字フオントの作成装置
JPS629388A (ja) * 1985-07-05 1987-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文字パタ−ン発生装置
US5579416A (en) * 1986-10-27 1996-11-26 Canon Kabushiki Kaisha Character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vely modifying a font pattern
US4897638A (en) * 1987-02-27 1990-01-30 Hitachi, Ltd. Method for generating character patterns with controlled size and thickness
JPS63271290A (ja) * 1987-04-30 1988-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字パタ−ン生成方式
JPH0236955A (ja) * 1988-07-27 1990-02-06 Toshiba Corp 通電転写記録装置
US5295238A (en) * 1991-04-30 1994-03-15 Highlights For Children, Inc. System, method, and font for printing cursive character strings
US5715473A (en) * 1992-12-29 1998-02-03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to vary control points of an outline font to provide a set of variations for the outline font
JPH0732649A (ja) * 1993-07-16 1995-02-03 Fujitsu Ltd 文字の合成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302A (zh) 1997-12-10
CN1107281C (zh) 2003-04-30
JPH09258712A (ja) 1997-10-03
US5920324A (en) 1999-07-06
TW332888B (en) 1998-06-01
KR970067088A (ko) 1997-10-13
JP3330277B2 (ja) 200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614B1 (ko) 문자 패턴 발생 장치
JPH04500182A (ja) ラスター・イメージ・プロセッサにおけるページ・メモリ制御
KR100212412B1 (ko) 문자패턴 생성장치
US5640589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graphic data using a writing motion model
US605782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paint-in of outline interiors
KR100243831B1 (ko) 문자 패턴 생성 장치
Zongker et al. Example-based hinting of true type fonts
JP2662035B2 (ja) 文字処理装置
KR100433100B1 (ko) 정보처리장치, 패턴생성방법, 및 패턴생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3034140B2 (ja) 文字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254659B1 (ko) 문자 생성 장치
KR100227178B1 (ko) 문자 생성 장치
JPH0736433A (ja) 文字データベース作成装置
JP2835056B2 (ja) 高品質文字パターン発生方式
JP3284172B2 (ja) 文字処理装置
JP2901742B2 (ja) 漢字フォント生成方式
JP2794446B2 (ja) エレメント別に文字を構成したアウトラインフォントの塗りつぶし方法および装置
JP2965429B2 (ja) 文字出力装置
JP2771981B2 (ja) 高品質文字パターン発生方式
JPH03280095A (ja) 画像処理方法
JPH01166967A (ja) パターン発生装置
JPH0236955B2 (ko)
JPH04331987A (ja) 文字記号発生装置
JPS6338985A (ja) 文字拡大方式
JPH02310591A (ja) 文字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