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165B1 - 전자부품및장치수납기구 - Google Patents

전자부품및장치수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165B1
KR100355165B1 KR1019950001883A KR19950001883A KR100355165B1 KR 100355165 B1 KR100355165 B1 KR 100355165B1 KR 1019950001883 A KR1019950001883 A KR 1019950001883A KR 19950001883 A KR19950001883 A KR 19950001883A KR 100355165 B1 KR100355165 B1 KR 10035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opening
turret
cor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133A (ko
Inventor
죤-에릭손타그
마티로포넨
Original Assignee
피복스 오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복스 오이 아베 filed Critical 피복스 오이 아베
Publication of KR96001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개구(5 및 2, 각각)가 제공된 코너 터릿(6 및 3, 각각)을 구비한 하부(4)와, 카버(1)로 구성되는 전자 및 장치 수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카버(1)은 하부(4)에 로크될 수 있다. 상부 로킹 수단은 로킹 요소(19, 20)을 갖는 로킹 수재(7, 9)를 포함하고, 하부 로킹 수단은 로킹 요소(19, 20)을 수용하는 로킹 슬롯(21, 22)를 포함한다. 로크 상태에서 로킹 요소(19, 20)은 스프링 요소(8)에 의해 로킹 슬롯(21, 22) 내에 유지된다. 로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카버(1)은 하부로부터 떨어져서 상승될 수 있어서 로킹 부재(7, 9)는 로킹 링(16)으로부터도 분리된다. 로킹 수단이 종래의 구조와는 다른 수납 기구의 하부(4)의 구조와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기존 주형 공구와 기존 수납 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로킹 슬롯(22)는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수납 기구의 하부(4)의 코너 터릿(6)에 설치된 로킹 링(16) 내에 형성되고 또 관통 개구(28)이 제공된다. 혹은, 로킹 링은 코너 터릿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고 팽창 부재에 의해 제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Electronics and instrumentation enclosure}
본 발명은 전자, 전기, 계측 및 조절용 장치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관통개구가 제공된 코너 터릿을 구비한 하부와, 관통 개구가 제공된 코너 터릿을 구비하고 카버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된 상부 로킹 수단와 수납 기구의 하부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된 하부 로킹 수단으로 구성되는 로크에 의해 하부에 로크될 수 있는 카버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서로 연통되어 로킹을 제공하고, 상기 상부 로킹 수단은 돌출 로킹 요소를 가진 로킹 부재를 갖고, 하부 로킹 수단은 하부의 코너 터릿 내에 형성된 로킹 슬롯을 구비하고, 로킹 부재의 로킹 요소는 로크 위치에서는 로킹 슬롯 내에 배치되어 카버를 하부에 로킹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에 의해 유지되며, 개방 위치에서는 카버를 하부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하부로킹 수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상승될 수 있을 때 로킹 슬롯으로부터 빠지도록 로크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납 기구에서는, 하부 로킹 수단은 하부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되고 로킹 나사용 내부 나사가 제공된 코너 슬리브에 의해 구성되는 반면, 상부 로킹 수단은 로킹 나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코너 슬리브는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코너 터릿 내에 장착된다. 코너 슬리브 내로 로킹 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은 오히려 느린 방법이다. 스크루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수납 기구가 자주 유지 보수 되어야만 한다면, 신속히 개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또한, 로킹 나사는 풀 수 있는 부품이므로, 로킹 나사를 분실할 수도 있다. 또한, 나사 헤드를 페인트칠함으로써 나사를 비교적 용이하게 밀봉한다면, 나사는 로킹될수 없을 것이다. 로킹 가능성이 때로는 매우 중요하다.
하부에 덮개를 로킹하기 위한 신속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수납 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수납 기구가 갖는 문제점은 코너 터릿이 종래의 코너 터릿과는 다르게, 예를 들어 화학 및 식품 산업에서는 불가능한, 오물 수집구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수납 기구의 하부의 코너 터릿을 로킹 수단이 필요로한다는점이다. 따라서 신속 로킹 수납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구형의 성형 공구를 사용하는 것 또는 후에 신속 로킹형 로킹 수단으로 나사 로킹되도록 된 종래부터 존재하는 수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의 로킹 구조물을 포함하는 신규의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납 개구는 개구 하부의 코너 터릿 내에 장착되고 관통 개구가 제공된 로킹 링 내에 로킹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로킹 링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코너 터릿 내에 장착된다. 현장 설치에 특히 적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부의 코너 터릿의 내부 나사 내로 장착되며 팽창식 슬롯이 제공되는 로킹 링 내에 로킹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 링은 상기 장착용 외부 나사를 포함하는 반면, 하부 로킹 수단은 로킹 링이 코너 슬리브에 로킹되는 방식으로 로킹 링의 팽창식 슬롯을 팽창시키기 위해 로킹 링 내로 압입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로킹 부재는, 부품이 스냅식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조여질 수 있는, 상기 돌기부가 제공된 로킹부 및 헤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기구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에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부품(로킹 링)을 사용함으로써 코너 터릿이 제공된 종래형의 수납 기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신속 로킹 수단을 제공하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기구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덮개의 로킹 수단이 종래의 수납 기구와는 다르게 수납 기구의 하부의 구조물을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성형 공구는 다른 형상 및 크기의 수납 기구를 생산하기 위한 매우값비싼 새로운 공구를 제조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속 로킹은 필요시 후에, 종래의 나사 로킹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신속 로킹이 제공된 공지의 수납 기구에서는 불가능하다. 로킹 링은 관통 구멍을 포함하기 때문에, 로킹 링이 장착된 후, 하부가 최종 위치에 나사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링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현장 조립되거나 또는 나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치에 설치자에 의해 장착되도록 될 수 있다. 하부의 장착중, 스크루 드라이버는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 유지되므로, 외부 장착 레그 등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의 참조 부호 (1)은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 보다 정확하게는 개구(2)가 마련된 코너 터릿(3)을 구비한 코너부의 카버를 나타낸다. 카버(1)은 공지된 타입이다. 참조 부호 (4)는 수납 기구, 보다 바람직하게는 개구(5)가 마련된 코너 터릿(6)을 구비한 코너부의 하부 부분을 나타낸다.
수납 기구의 로크는 상부 및 하부 로킹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부 로킹 수단은 카버(1)의 코너 터릿(3)의 개구(2)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하부 로킹 수단은 하부 부분(4)의 코너 터릿(6)의 개구(5)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로킹 수단은 헤드부(7), 가압 스프링(8) 및 로킹부(9)를 포함한다. 헤드부(7)은 스냅 조인트에 의해 로킹부(9)의 수납 암형부, 즉 리세스(11) 내로 삽입 가능한 축형 수형부(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헤드부의 수형부(10)은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악어 모양 클립을 포함한다. 가압 스프링(8)은 헤드부(7)의 링 플랜지(12)와 로킹부(9) 사이에 위치 결정된다. 헤드부(7)은 반드시 링 플랜지(12)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스프링(S)의 내경부 내측에 끼워 맞추어지지 않는다. 스프링(8)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2) 속의 견부(13) 상의 하부에 지지된다. 참조 부호(14)는 헤드부의 축 또는 수형부(10)를 위한 구멍을 나타낸다. 로킹부(9)는 견부(13) 하부에서 헤드부(7)에 설치된다. 로킹부(9)의 최대 직경은 코너 터릿의 개구(2)의 최소 직경보다 크고, 최소 직경은 구멍(14)의 직경이다. 로킹부(9)의 플랜지(15)는 로킹부가 구멍(14)를 통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도는 상술한 헤드부(7)을 도시하고 있다. 헤드부는 돌리기가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키이 모양의 성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키 타입 헤드부 대신에, 십자형 스크류 드라이버용 십자형 슬롯이 상부 단부에 마련된 헤드부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에 의하면, 헤드부는 개구(17a, 17b)를 구비하고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두 부품(7a, 7b)로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7a, 17b)는 개구들을 통해 잭 로크(jack lock) 또는 밀봉체를 설치하기 위해 일렬로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의 하부 로킹 수단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하부 부분(4)의 코너 터릿(6)에 있는 코너 슬리브(18)에 설치되는 로킹 링(16)으로 구성된다. 로킹 링은 접착에 의해 달리 설치될 수 있다. 또, 로킹 링은 코너 터릿의 벽 위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용접 및 접착은 수납 기구의 제조 단계에서 수행된다.
로크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로킹부(9)는 로킹 링(16)의 개구(28)에 위치된다. 로킹부(9)의 하단부는 로킹 수단으로 작용하고 서로에 대해 180°의 각도을 형성하며 로킹 링(16)의 축방향에 주로 수직한 두개의 돌출한 핀형 부품(19, 20)을 포함한다. 링(16)은 두개의 로킹 슬롯(21, 22)와 홈(23,24)를 포함한다. 로크된 위치에서 핀형 부품(19 20)은 스프링(8)의 부하에 의해 로킹 슬롯(21, 22)에 유지된다. 로크가 개방 위치에 있도록 요구될 때 헤드부(7)은 하방으로 가압되어, 핀형 부품(19, 20)이 로킹 슬롯(21, 22)로부터 해제되고 스페이서(25, 31)보다 하부에 오게 되고 그 다음에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스페이서가 통과되고 헤드부는 스프링(8)의 부하의 영향을 받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가(7)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핀형 부품(19, 20)은 먼저 로킹 링(16)의 경사 안내면(26, 27)을 따라, 그 다음에는 안내면(26, 27)이 인도되는 홈(23, 24)를 따라 안내된다. 핀형 부품(19, 20)이 홈(23, 24) 안에 있을 때 단지 들어 올리기만 함으로써 로킹 링(16)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카버(1) 또한 하부 부분(4)로부터 해제된다. 그 후, 자연스럽게 모든 코너 터릿의 로크가 개방되어야 한다.
로킹 링(16)의 관통 개구(28)과 하부 부분의 코너 터릿의 바닥에 있는 구멍으로 인해 수납 기구의 하부 부분(4)는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 벽 또는 다른기부에 나사(29)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부분은 나사 돌림 동작이 진행되면서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제7도는 로크의 하부 로킹 수단의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제7도의 구조는 현장(field) 설치를 위한 것이다. 현장 설치시에 초음파 용접은 불가능하며 그리고 그 장소에서 로킹 링을 부착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부 로킹 수단을 갖춘 수납 장치(enclosure)의 카버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것에 대응한다. 또한 제7도의 실시예에서, 개구(28')를 갖춘 로킹 링(16')가 사용되며, 로킹 슬롯(21')와 경사 안내면(26') 그리고 홈(23', 26')로 구성된다. 제7도의 실시예는 로킹 링(16')는 링을 코너 슬리브(18') 내의 내부 나사(35') 안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하부나사(34')를 포함한다는 면에서 제1도와 제5도 그리고 제6도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또한, 로킹 링(16')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 슬롯(36')를 포함한다. 로킹 링(16')는 팽창 부재(32')에 의해 코너 슬리브(18')에 로크된다. 팽창 부재(32')는 원뿔형 하부 형태이고 그리고 로킹 링이 코너 터릿 내의 소정 위치로 회전불가능하게 로크되도록 팽창 슬롯(36')를 팽창시키기 위해 로킹 링(16')의 개구(28')안으로삽입된다. 팽창 부재(32')는 마찰에 의해 로킹 링(16')에 장착된다. 팽창 부재가 제 위치에 있을 때 팽창 부재(32')의 상단부는 안내면(26') 하방에 위치하고, 이는 제1도에 대응하는 로킹 부품(9)를 로킹 링 안의 로크 위치로 삽입시키거나 로크 위치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팽창 부재(32')는 관통 구멍(33')를 가지며, 이에 의해 팽창 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로킹 구멍(16')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기본적으로, 구멍(33')는 스크루드라이버(screwdriver)가 나사(29')를 회전시키도록 관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통상 팽창 부재는 나사가 회전될 때 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다. 나사(29')의 헤드는 작으며, 그 경우에 기부판이 사용된다. 팽창 부재(32')를 잡아당기지 않는 대신에 코너 터릿(6')안으로 떨어지도록 로킹 링(16')를 통해 팽창 부재를 밀어서 로킹 링(16')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다. 그러면, 로킹 링(16')는 해제되어 코너 터릿으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압(pushing)은 마찰 장착을 해제시키기 위해 강제로 수행되야 한다. 로킹 링의 분리 가능성은 로크가 나사에 의해 구성된 종래의 로크 안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중요하며, 나사는 코너 슬리브(18')의 나사안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상술되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영역 내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행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로킹 슬롯의 설계와 로킹 링의 홈은 위의 것과는 다를 수 있다.
로킹 부품의 핀 모양의 부품은 대응 돌출 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로크의 정확한 작용과 대칭의 관점에서 상술하였지만, 로킹 슬롯과 홈의 갯수 뿐만 아니라최총 언급된 로킹링의 갯수는 반드시 각각 2개일 필요는 없다. 로킹 링의 미끄럼 면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미끄럼면은 로크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카버가 높으면, 상부 로킹 수단은 (제1도의) 어댑터 부품(30)을 포함하고, 그 하부 단부는 헤드부의 축에 대응하도록 하고, 그 상부 단부는 로킹 부분의 상부 부분에 대응하도록 하며 그리고 헤드부의 수형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기구의 로크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로크의 상부 로킹 수단의 헤드부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상기 제1도의 카버의 코너부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로크의 상부 로킹 수단의 로킹부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로크의 하부 로킹 수단의 로킹 링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측면에서 확대된 제1도의 로크의 로킹 링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로크의 하부 로킹 수단을 실시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 3, 6' : 코너 터릿
7 : 헤드 부 8 : 스프링
9 : 로킹부 10 : 수형부
11 : 리세스 12 : 링 플랜지
16. 16' : 로킹 링 19, 20 : 핀형 부품
21, 22 : 로킹 슬롯 26, 27 : 안내면
32' : 팽창 부재

Claims (13)

  1. 전자, 전기, 계측 및 조절용 장치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관통 개구(5)가 제공된 코너 터릿(6)을 구비한 하부(4)와, 관통 개구(2)가 제공된 코너 터릿(3)을 구비하고 카버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된 상부 로킹 수단(7, 8, 9)와 수납 기구의 하부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된 하부 로킹 수단(16)으로 구성되는 로크에 의해 하부에 로크될 수 있는 카버(1)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서로 연통되어 로킹을 제공하고, 상기 상부 로킹 수단은 돌출 로킹 요소(19, 20)를 가진 로킹 부재(7, 9)를 갖고, 하부 로킹 수단은 하부(4)의 코너 터릿(6)내에 형성된 로킹 슬롯(21, 22)을 구비하고, 로킹 부재의 로킹 요소는 로크 위치에서는 로킹 슬롯내에 배치되어 카버를 하부에 로킹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8)에 의해 유지되며, 개방 위치에서는 카버를 하부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하부 로킹 수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상승될 수 있을 때 로킹 슬롯으로부터 빠지도록 로크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슬롯(21, 22)는 수납 기구의 하부(4)의 코너 터릿(6)내에 설치된 로킹 링(16)에 형성되고 관통 개구(28)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링(16)은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하부(4)의 코너 터릿(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3. 전자, 전기, 계측 및 조절용 장치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관통 개구(5')이 제공된 코너 터릿(6')을 구비한 하부(4')와, 관통 개구(2)가 제공된 코너 터릿(3)을 구비하고 카버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된 상부 로킹 수단(7, 8, 9)와 수납 기구의 하부의 코너 터릿의 개구 내에 배치된 하부 로킹 수단(16')으로 구성되는 로크에 의해 하부에 로크될 수 있는 카버(1)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서로 연통되어 로킹을 제공하고, 상기 상부 로킹 수단은 돌출 로킹 요소(19, 20)를 가진 로킹 부재(7, 9)를 갖고, 하부 로킹 수단은 하부(4')의 코너 터릿(6')내에 형성된 로킹 슬롯(21', 22')을 구비하고, 로킹 부재의 로킹 요소는 토크 위치에서는 로킹 슬롯 내에 배치되어 카버를 하부에 로킹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8)에 의해 유지되며, 개방 위치에서는 카버를 하부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하부 로킹 수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상승될 수 있을 때 로킹 슬롯으로부터 빠지도록 토크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자 부품 및 장치 수납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슬롯(21', 22')은 하부(4')의 코너 터릿(6')의 내부 나사(35')에 장착되도록 그에 결합하는 외부 나사(34')를 가진 로킹 링(16')에 형성되고 팽창 슬롯(36')이 제공되고, 하부 로킹 수단은 로킹 링(16')이 하부의 코너 터릿의 내부나사(35')에 로크되도록 로킹 링으로 밀어 넣어져서 로킹 링의 팽창 슬롯을 팽창시키는 팽창 부재(32')을 부가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및 장치수납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팽창 부재(32')는 하단부가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하부의 코너 터릿(6')의 내부 나사(35')로부터 로킹 링이 풀릴 수 있도록 해제하는 로킹 링(16')의 개구(28')를 통해 완전히 밀어 넣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팽창 부재(32')에는 관통 개구(3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7, 9)는 하방으로 가압 회전되므로서 상기 로크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개방 위치에서 로킹부재의 로킹 요소(19, 20)이 로킹 링의 홈(23, 24)내에서 로킹 링(16)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7, 9)의 로킹 요소는 서로에 대해 180°의 각도를 이루며 로킹 부재의 길이 방향 축에 주로 직각으로 되는 두개의 핀형 부품(19, 20)으로 구성되고, 그럼으로써 로킹 링(16)이 서로에 대해 180°의 각도를 이루며 로킹 링의 축방향에 주로 직각이 되는 두개의 로킹 슬롯(21, 22) 및 홈(23, 24)를 각각 포함하는 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로킹 링(16)의 각 로킹 슬롯(21, 22)으로부터 경사안내면(26, 27)이 연장되고, 이 안내면은 로킹 슬롯에 있는 스페이서(25, 31)이 통과했을 때 스프링 요소(8)의 부하의 영향을 받아 핀형 부품(19, 20)을 슬롯(23, 24)안으로 그리고 개방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는 헤드 부품(7, 7a, 7b) 및 상기 돌출하는 로킹 요소(19, 20)이 제공된 로킹 부품(9)를 포함하고, 이 부품들을 스냅 조인트에 의해 서로에 대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헤드 부품(7)은 키이 스냅식으로 되어 있고, 헤드 및 로킹 부품(9)내의 리세스(11)로 장착되는 관련 암형 부품(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그 하단부가 개구내의 견부(13)위에 지지되는 반면에 그 상단부가 헤드 부품(7)내의 링 플랜지(12)위에 지지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카버(1)의 코너 터릿(3)의 개구(2)내에 배열된 가압 스프링(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로킹 부품(9)의 가장 큰 직경은 로킹 부품의 돌출하는 로킹 요소(19, 20)이 로킹 링(16)으로부터 해제되었을 때 로킹 부품이 터릿 부품의 개구(14)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터릿 부품(3)의 개구(2, 14)의 가장 작은직경보다 큰 것을 특정으로 하는 수납 기구.
  13. 제9항에 있어서, 헤드 부품(7a, 7b)의 상단부는 개구(17a, 17b)를 갖는 두개의 부품을 포함하고, 이 부품들은 상기 개구(17a, 17b)가 개구를 통해 잭 로크 또는 시일을 장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위치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구.
KR1019950001883A 1994-11-25 1995-01-28 전자부품및장치수납기구 KR100355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45563 1994-11-25
FI945563A FI99234C (fi) 1994-11-25 1994-11-25 Elektroniikka- ja instrumentointikotel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33A KR960018133A (ko) 1996-06-17
KR100355165B1 true KR100355165B1 (ko) 2003-01-24

Family

ID=854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883A KR100355165B1 (ko) 1994-11-25 1995-01-28 전자부품및장치수납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50924A (ko)
KR (1) KR100355165B1 (ko)
DE (1) DE19540111B4 (ko)
FI (1) FI99234C (ko)
FR (1) FR2727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00965T2 (de) * 1998-03-27 2001-11-08 Bertoldo & C Srl Gehäuse für elektrische Installation mi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en Deckel und Wandbefestigung
US6420652B1 (en) * 2000-05-22 2002-07-16 Cinch Connectors, Inc. Plastic bushing
US6627811B2 (en) * 2001-07-31 2003-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ble protective shield assembly
FI117539B (fi) * 2004-10-01 2006-11-15 Fibox Oy Ab Sähkö- ja elektroniikkakotelon alaosa ja kotelo
US20090057316A1 (en) * 2007-08-31 2009-03-05 Schweinberg Fred M Coil nut
US9190819B2 (en) * 2013-03-13 2015-11-17 Ipex Technologies Inc. Fastener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for same
US10712181B2 (en) 2017-04-04 2020-07-14 Brad Faseler Instrument enclosure
TWI717223B (zh) * 2020-03-06 2021-01-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扣合組件及應用有此扣合組件的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97975U (de) * 1964-03-25 1964-08-06 Bbc Brown Boveri & Cie Gehaeuse fuer elektrische schaltgeraete.
FR2253397A5 (en) * 1973-11-30 1975-06-27 Alsthom Cgee Assembly element useful for electrical connectors - having projections on spring loaded locking pin to guarantee alignment before assembly
DE2534375C2 (de) * 1975-08-01 1983-12-22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Stiftförmige Vorrichtung zum federnden Verspannen zweier Bauteile
US4291817A (en) * 1980-06-09 1981-09-29 Spitzer Erlys C Weatherproof panel enclosure
US4551999A (en) * 1983-02-01 1985-11-12 Fuji Electric Co., Ltd. Lock assembly for enclosure cover
JPH0617501Y2 (ja) * 1988-02-22 1994-05-11 株式会社田宮模型 玩具用シヨツクアブソーバ
DE4033109C2 (de) * 1990-10-18 1994-06-16 Rose Elektrotech Gmbh Gehäuse mit Deckel-Schnellverschluß und Verfahren und Formwerkzeug zur Herstellung von Verschlußteilen im Gehäuse
DE9207609U1 (ko) * 1992-06-04 1992-08-27 Boellhoff & Co Gmbh & Co Kg, 4800 Bielefeld, De
DE9216735U1 (ko) * 1992-12-09 1993-02-11 Hans-Joachim Bernstein Compact-Gehaeuse Gmbh, 4955 Hille, De
US5419626A (en) * 1993-09-01 1995-05-30 Ncr Corporation Computer housing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45563A0 (fi) 1994-11-25
DE19540111A1 (de) 1996-05-30
FI99234B (fi) 1997-07-31
FI945563A (fi) 1996-05-26
FR2727599B1 (fr) 1997-12-05
FI99234C (fi) 1997-11-10
US5750924A (en) 1998-05-12
KR960018133A (ko) 1996-06-17
DE19540111B4 (de) 2004-08-05
FR2727599A1 (fr) 199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058A (en) Swing clamp
US5361925A (en) Terminal box
KR100355165B1 (ko) 전자부품및장치수납기구
JP2825978B2 (ja) 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及び/又はトレーニングに使用可能な機能要素
US7059030B2 (en) Pressing device
US7044462B2 (en) Fixture
US9887494B2 (en)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US5468136A (en) Clamping apparatus
CN101994946A (zh) 旋转台灯及其旋转定位机构
CN110886757A (zh) 一种抗振快卸锁
US20170252902A1 (en) Clamping System Using Wedge With Angle Transmission
GB2065760A (en) Retrievable coknnector assembly
CN218759251U (zh) 一种模块化安装的门锁
EP2535174B1 (en) Bead ring locking mechanism of tire vulcanizer
CN214770399U (zh) 一种锁紧机构及定位装置
CN1077946C (zh) 锁组件
CN209879069U (zh) 一种光模块解锁复位结构
CN110043123B (zh) 过渡轴快装结构及所应用的锁具
CN109108634B (zh) 一种工件拧紧万能止转机构和主减齿轮止转拧紧机构
JPH09216109A (ja) 工具保持装置
CN216899315U (zh) 一种带有无缝固定组件的热电偶
CN219068655U (zh) Led压铸箱体的弧度调节锁
CN217835738U (zh) 一种长度可调节转向管柱
CN110821375A (zh) 一种窗锁机构的改进定位安装结构
CN215108022U (zh) 一种门窗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