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350B1 - 생의학용도의물품제조용폴리올레핀계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의학용도의물품제조용폴리올레핀계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350B1
KR100354350B1 KR1019950002174A KR19950002174A KR100354350B1 KR 100354350 B1 KR100354350 B1 KR 100354350B1 KR 1019950002174 A KR1019950002174 A KR 1019950002174A KR 19950002174 A KR19950002174 A KR 19950002174A KR 100354350 B1 KR100354350 B1 KR 10035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416A (ko
Inventor
안테오펠리코니
로산나실베스트리
비토리오브라가
루이기레스코니
Original Assignee
바셀 테크놀로지 캄파니 비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테크놀로지 캄파니 비이브이 filed Critical 바셀 테크놀로지 캄파니 비이브이
Publication of KR95003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10Peculiar tacticity
    • C08L2207/14Amorphous or atactic 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A) 프로필렌 무정형 중합체 1 내지 99 중량 % ;
(B) 하기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 1 내지 99 중량 % ;
(BI)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 C4-C10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BII)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
(a)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 C4-C10과 동일배열 폴리프로필렌 10-50 중량%,
(b) 크실렌에서 불용성인, 에틸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0-20 중량%, 및
(c) 소량의 디엔을 포함할수도 있는, 프로필렌 및/또는 α-올레핀 C4-C10의 엘라스토머성 공중합체 40-80중량% .
상기 조성물은 양호한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생의학 용도의 물품 제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생의학 용도의 물품 제조용 폴리올레핀계 조성물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조성물 및 생의학 용도의 성형품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의학 용도의 유연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료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염화물 (PVC) 이다. 가소화된 PVC 의 유연성의 특성은 여기에 포함된 가소제에 기인한다.
그러나, 생물학적 액체에서 가소제의 이동 및 추출능은 환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과 함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결점을 나타낸다.
또한 혈액 응고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PVC 표면에 임계 표면장력을 부여하는 외부 활제로서 PVC에서 사용된 유기-폴리실록산 오일 기제의 첨가물의 표면 이동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사실 유기-폴리실록산 화합물은 PVC표면으로부터 유출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혈액과의 혼화성이 나쁜 점으로부터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 유럽특허출원 제 EP-A-287482 호).
따라서 이 분야에서 PVC 의 대체용 재료물질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된다.
생의학 용도의 유연성 장치 제조용으로 적합한 다른 재료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이다. 폴리실록산과 함께 변형된 SEBS 는 예컨대 내부 도관등의 일부 장치를 실현화하기 위한 실리콘 수지와 PVC 의 대체물로서 제안되어 왔다 (USP 제 4,386,179 호), 이 공중합체는 저온에서도 광학적 투명성 및 유연성의 특성이 양호하다.
USP 제 4,335,225 호에서는 엘라스토머 특성을 나타내며, 열가소성 물질의 테크놀로지에 의해 가공될 수 있는 고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의 제조 방법 및 생의학 용도의 일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 폴리프로필렌의 가능한 용도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중합화 반응은 촉매로서 히드록실화 알루미나와 지르코늄의 유기 유도체, 통상 테트라네오필-지르코늄의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여 진행된다. 그러나 수득된 중합체중 알루미늄의 함량은 항상 매우 높으며, 1000 ppm 이상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물질은 생의학 분야에서 어떤 중요한 용도도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생의학 용도의 물품 제조에 적합한 신규 중합체 물질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으며, 이는 양호한 광학적 특성과 함께 양호한 일종의 기계적 특성이 있고, 또한 생물학적 유체의 금속 추출능에 관련된 문제점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다 :
(A) 하기 특성을 가지는 프로필렌 무정형 중합체 1 내지 99 중랑 % :
- [η] > 1 dl/g;
- % 규칙 배열 디아드 (r) - % 등일 배열 디아드 (m) > 0 ;
- (CH2)n서열 (이때, n ≥ 2) 에 포함된 CH2기가 2% 이하 ;
- 베르누이의 지수 (B) = 1 ± 0.2 ;
(B) 하기로부터 선택된 성분 1 내지 99 중량 % :
(BI) 에틸렌과 식 CH2=CHR (식중, R 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 개의 알킬 라디칼임) 의α-올레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이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서 유도된 단위체를 8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99중량% 포함하고 있음),
(BII)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조성물 :
(a) 동일 배열 지수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인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및 에틸렌과 식 CH2=CHR (식중, R 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 개의 알킬 라디칼임) 의α-올레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이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서 유도된 단위체를 85 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99 중량 % 포함하고 있음)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10 - 50 중랑%,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5 중량%.
(b)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에틸렌 포함 공중합체 0-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및
(c) 에틸렌에서 유도된 단위체 10-40 중량%, 프로필렌과 식 CH2=CHR(식중, R 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 개의 알킬 라디칼임)의α-올레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에서 유도된 단위체 90-60 중량%, 디엔에서 유도된 단위체 0-5 중량% 를포함하는 공중합체 (이때, 이 공중합체는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이고, 고유 점성도가 1.5 내지 4 dl/g 임) 40-80 중랑%, 바람직하게는 50-70 중량%,;
[상기에서, 성분 (b) 와 (c) 의 합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에 대해 50 내지 90 중량% 이고, 성분 (b)/(c) 의 중량비는 0.4 이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시 성분 (A)/(B) 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 : 90 내지 90 : 1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75 내지 75 : 25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시 성분 (A) 의 프로필렌 중합체는, 그의 제조 방법과 함께, 유럽 특허출원 제 EP-A-604 917 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술한 프로필렌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결정도가 결핍되어 있다. 이들의 용융 엔탈피(△Hf)는 악 20 J/℃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J/℃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프로필렌 무정형 중합체는 고유 점성도가 1.5 dl/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dl/g 이상이다.
상술한 프로필린무정형 중합체상에서 행해진13C-N.M.R. 분석을 통해 중합체 사슬의 배열, 즉 삼차 탄소원자 구조의 분포도에 관한 정보가 주어진다.
이들 중합제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불규칙배열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칙배열 디아드(r) 는 동일배열 디아드(m) 보다 더 많은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 r - % m > 5.
베르누이 지수(B)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 = 4 [mm] [rr] / [mr]2
이 값은 1 부근으로, 특히 0.8-1.2, 바람직하게는 0.9-1.1 이다.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의 구조는 매우 레지오레귤러(rcgioregular)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13C-N,M,R, 분석으로부터는 (CH2)n서열 (이때 n ≥2)에 관한 신호는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CH2의 2%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만이 (CH2)n서열(이때 n≥2)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프로필렌 중합체의 분자량은 높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 분포되어 있다. 분자량의 분포도 지수는 Mw/Mn비로 나타내며, 통상 5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성분(BII) 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은, 그의 제조 방법과 함께, 유럽특허출원 제 EP-A-472 946 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조성물은 조성물이 디자인된 제조용 물품에 특별한 성질을 부여하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첨가물은 예컨대 안정화제, 항산화제, 항부식제등 중합체 열가소성 조성물에서 통상 사용하는 것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 또는 무기 또한 중합체성 충전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 및 충전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거나, 반복되는 시험에서 쉽게 결정되는 것처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 즉 최종 조성물에 대해 5중량 % 이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반부리 유형의 내부 혼합기에서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펠릿형태로 수득된다. 이들은 사출 성형, 압출 성형등 열가소성 물질을 가공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공정에 의해 성형품으로 전환될 수 있다. 수득된 성형품에는 특히 생의학 물품에 관련된 엘라스토-플라스틱 특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높은 엘라스토-플라스틱 특성은 낮은 인장 세트값에 의해 명백해지며; 예컨대 100% 신장( 10 분, 23℃) 후 잔류 변형률은 통상 3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300% 이상의 변형률과 함께 통상 4 MPa 이상의 높은 최후 인장응력의 특색이 있다.
광학적 특성은 최초의 입사각으로부터 유도한 투광량 ["헤이즈(haze)"]을 1 mm 두께판상에서 측정함으로써 평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헤이즈"의 값이 통상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들의 단일 성분과는 달리 엘라스토머 특성, 열가소성 가공성 및 광학적 투명성의 양호한 배합을 보이고 있다.
사실 성분(A)는 매우 양호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통상 최후 인장응력에 관하여 만족할만한 값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이와 반대로, 성분(B)에는 높은 최후 인장응력이 부여되고, 충분하지 못한광 투명성을 가지며, 엘라스틱 회수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해 나쁘다(보다 높은 인장 세트값).
상술한 기계적 특성, 및 혈액 및 연질 조직과의 양호한 혼화성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인 생의학 용도의 물품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생의학 용도의 물품에 있어서, 생물학적 또는 주입할 수 있는 유체와 접촉하기 위한 물품이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예로서 내부 또는 외부 공급관, 연동 펌프관, 카테터, 혈액투석장치, 혈액 또는 혈장용 백, 주사기용 실(seal), 인공 기관 및 이와 유사한 용도를 포함한다.
상술한 물품제조에 사용된 조성물의 투명도 특성으로 인해 특히 관심있는 것은 혈액 및 생물학적 또는 생리적 유체의 컨테이닝, 공급, 배출 및 전달장치로, 예컨대 정맥내 카테터, 투석관, 혈액과 생리 용액용 백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의 장치가 있다. 장치 내부의 기포, 혈액 응고물의 존재, 투석장치 내부의 생체무기질 기원의 규모, 생체외 물질의 존재등을 검사하기가 정말 용이하다.
공지된 기술에 의한 방사선, 특히 감마-방사선 처리 또는 화학적 방법(무균 살균법)에 의한 살균 가능성, 병원에서 사용하는 용매에 대한 내성, 약제의 비-흡착, 공지된 용접기술에 따른 용접성, 차원 안정성은 본 발명의 제품의 더욱 흥미있는 특색이다.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을 단지 기술할 뿐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명백해진다.
고유 점성도 [η] 를 135℃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에서 측정하였다.
용매로서 C2D2Cl4를 사용하여 120℃ 에서 50323 Mhz 로 브루커 AC 200 기구를 가지고 중합치(용매 2.5 ml 에 용해되어 있는 악 300 mg 의 중합체)의13C-N.H.R. 분석을 행하였다.
분자랑 분포도는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서 135℃ 에서 WATERS 150 기구상에서 행해진 GPC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법(DSC)을 하기 공정에 따라 Perkin Elmer Co. Ltd, 제 DSC-7 기구로 측정하였다. 약 10 mg의 시료를 20℃/분의 속도로 40℃ 내지 200 ℃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 시료를 200℃에서 5 분간 방치시킨 후, 동일 속도로 40℃로 냉각하였다. 그 후, 상기 조건에 따라 두 번째 가열 주사를 행하였다. 기록치는 재가열 수치이다.
공중합체중 에틸렌 함량은 적외선 분광법 (I.R.) 에 의해 측정하였다.
용융 흐름률(HFR) 값은 ASTM-D 1238 방법, 조건 L 에 의해 측정하였다.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물리-기계적 특색을 측정하였다:
하기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법에 의해 제조한, 1 mm 두께판으로부터 절단한 견본상에서 상술한 물리-화학적 특색을 측정하였다: 압력없이 200℃ 에서 5 분, 이어서 압력하에 5 분, 그 후 순환수와 함께 압력하에 23℃로 냉각하였다.
실시예 1(비교)
성분 (A1) 의 제조
쟈켓, 나사 교반기 및 내열기가 장착되어 있고, 온도 조절용 온도 조절장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헥산 용액에서 AliBu3로 탈기시키고, 질소 기류하 따뜻하게 건조시킨 1 ℓ용 유리 뷔키 오토클레이브에 0.4 ℓ의 n-헥산 (알루미나 컬럼상에 통과에 의해 정제됨) 을 질소하에 공급하고, 50℃ 로 승온시켰다.
하기와 같이 촉매 용액을 제조하였다 :
유럽특허출원 제 SP-A-604 917 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한 실란디일-비스(플루오레널)지르코늄 이염화물 15.8 mg 과 메틸알루미녹산(MAO) 229.3 mg 을 톨루엔 10 ml 에 용해시켰다.
사용한 MAO 는 30 % b.w. 톨루엔 용액의 시판품(Sherilig, MW 1400)이다. 진공하에 휘발성 부분을 제거한 후, 백색 분말을 수득할 때까지 유리질 물질을 분쇄하고, 진공하 (0.1 mmHg) 에 40℃에서 4 시간동안 더 처리하였다. 수득한 분말은 양호한 흐름 특성을 나타내었다.
촉매 용액 3.8 ml 을 MAO 1.043 mg 을 포함하는 톨루엔 20 ml 에 이동시키고, 이 용액을 프로필렌 흐름하에 50℃에서 오토클레이브에 주입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4 기압의 프로필렌으로 가압하고, 90 분동안 중합화를 실시하였다.
메탄올중 응고 및 건조 후, 고유점성도가 1.41 dl/g 인 고형의 투명성 프로필렌 49 g 을 분리하였다. 메틸기 신호를13C-N.M.R. 분석해보니 트리아드에서 하기 조성을 보여주었다: %mm=16.9 ; 24mr=48.5 ; %rr=34.6 ; B=0.99 ; %r-%m=17.7 ; (CH)2서열 (이때, n≥2) 에 대한 신호는 검색되지 않았다. GPC 분석을 통해 하기 값을 수득하였다: Mw=200,000 ; Mw/Mn=3.5. DSC 측정으로부터는 용융 엔탈피(△Hf) 에 기인할만한 어떠한 피크도 보이지 않았다.
성분(Al) 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기인하는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비교)
성분(A2)의 제조
프로필렌 흐름하에 따뜻한 상태로 탈기시킨 1.35ℓ 스테인레스강 오토클레이브에 40℃에서 480 g 의 프로필린을 공급하였다. 프로필렌 과압에 의해 846 mg 의MAO 를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 23 ml 및 디메틸실란디일-비스(플루오레닐)지르코늄 이염화물 4 mg 을 주입하였다. 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중합화 반응을 1 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미반응 단량체를 탈기시키고 생성물을 건조한 후, 따뜻한 상태로 클로로포름에 가용성이며, 고유전성도가 2.23 dl/g 인 고형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 100 g 을 분리하였다.
성분(A2) 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3(비교)
성분(A3)의 제조
프로필렌 흐름하에 따뜻한 상태로 탈기시킨 1.35ℓ 스테인레스강 오토클레이브에 40℃에서 480 g 의 프로필렌을 공급하였다. 프로필렌 과압에 의해 106 mg 의 MAO 를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 9 ml 및 디메틸실란디일-비스(플루오레닐)지르코늄 이염화물 4 mg 을 주입하였다. 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중합화 반응을 1 시간동안 실시하엿다.
미반응 단량체를 탈기시키고 생성물을 건조한 후, 따뜻한 상태로 클로로포름에 가용성이며, 고유점성도가 3.65 dl/g 인 고형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 83 g 을 분리하였다.
성분(A3) 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4(비교)
성분(B1)의 제조
하기 조성을 가지는 Himont Inc. 제 시판품 HIFAX 7036 을 사용하였다:
(a) MFR=20 g/10' 이며, 에틸렌에서 유도한 단위체 3.5 중량% 을 포함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 29 중량% ;
(b) 고유점성도가 3.4 dl/g 이며, 에틸렌에서 유도한 단위체 27.5 중량% 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이중합체 71 중량%.
성분(B) 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이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5
조성물 (A1)/(B1)의 제조
성불 (A1) 12 g, 성분 (B1) 28 g 및 항산화제 Irganox B215(CIBA/GEIGY) 의 조성물의 총량에 대한 0.2 중랑% 를 200℃에서 5 분간 Branbender Plasicorder PLD651 Mixer W50 혼합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조건하에서 압착 성형하였다.
조성물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6 - 8
조성물 (A2)/(B1)의 제조
성분(A1) 대신 성분(A2)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비율을 갖는 성분(A2)와 성분(B1)의 총량을 40 g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성물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는 물론 조성물에 존재하는 성분(A2) 와 성분(Bl) 의 중량 백분율이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9
조성물 (A3)/(B1)의 제조
성분(A1) 대신 성분(A3), 및 성분(B1) 50 g 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성물의 기자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0
조성물 (A2)/(B1)의 제조
성분(A2) 14 g 및 성분(B1) 26 g 을 13ℓ 내부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직경 45 ㎜ 이고, 길이/직경 비율 (L/D)=17 인 반데라 사출성형기에 의해 내경=2.6 mm, 외경=3.6 mm 및 두께=0.5 mm 인 관상형 견본의 형태로 펠렛화하여 사출한다.
조성물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생의학 용도로 디자인된 물품 제조에 대한 조성물의 적합성은 상술한 관상 견본을 하기 테스트함으로써 실험적으로 입증된다:
신축성 테스트 - 길이가 61 cm 인 견본을 길이가 두 배가 될 때까지 손으로
신장시졌다; 크랙의 부재는 테스트가 합격되었음을 의미한
다;
매듭 테스트 - 길이가 약 30.5 cm인 견본으로부터 간단한 외벌 매듭을 매었
다; 느린 속도로 매듭을 단단히 잡아당긴 후, 이를 풀었다;
이 테스트는 관 자체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
도록 배관이 그 자체에 결합되거나 달라붙지 않는다면 합격된
것으로 생각된다;
비틀림 테스트 - 견본을 실온에서 6 시간동안 V 형의 죔틀에 의해 뒤틀리게
한 후, 풀어주었다; 관은 차단되지 않은 상태였고, 뒤틀리거
나 죄여지지도 않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금속은 생물학적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사출될 수 없고, 이는 생의학 용도에서 특히 유리한 것처럼 보인다.
실시예 11
조성물 (A2)/(B2)의 제조
성분(Al) 대신 성분(A2) 28 g, Himont Inc. 제 EP2-C (성분(B2)) 12 g 및 3 중량%의 에틸렌 단위체를 포함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성물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색에 관한 자료가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Claims (5)

  1. 하기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
    (A) 하기 특성을 가지는 프로필렌 무정형 중합체 1 내지 99중량 %
    - [η] > 1 dl/g;
    - % 규칙 배열 디아드 (r) - % 동일 배열 디아드 (m) > 0 ;
    - (CH2)n서열 (이때, n ≥ 2) 에 포함된 CH2기가 2% 이하 ;
    - 베르누이의 지수 (B) = 1 ± 0.2 ;
    (B) 하기로부터 선택된 성분 1 내지 99중량 % :
    (BI) 에틸렌과 식 CH2=CHR (식중, R 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 개의 알킬 라디칼임) 의α-올레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이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서 유도된 단위체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고 있음) 및,
    (BII)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조성물 :
    (a) 동일 배열 지수가 80 이상인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 및 에틸렌과 식 CH2=CHR (식중, R 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 개의 알킬 라디칼임) 의α-올레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이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서 유도된 단위체를 85 중량%이상 포함하고 있음)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치 10-50중량%,
    (b)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에틸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0-20 중량%,및
    (c) 에틸렌에서 유도된 단위체 10-40 중량%, 프로필렌자 식 CH2=CHR(식중, R 은 탄소원자수 2 내지 8 개의 알킬 라디칼임) 의α-올레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에서 유도된 단위체 90-60 중량%, 디엔에서 유도된 단위체 0-5 중량%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이때, 상기 공중합체는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되고, 고유 점성도가 1.5 내지 4 dl/g 임) 40-80 중량%,
    [상기에서 성분(b)와 (c)의 합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에 대해 50 내지 90 중량% 이고, 성분 (b)/(c) 의 중량비는 0.4 이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B) 의 중량비가 10 : 90 내지 90 : 10인 열가소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B) 의 중량비가 25 : 75 내지 75 : 25인 열가소성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무정형 중합체의 Hw/Mn 의 비가 5 이하인 열가소성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수득할수 있는 생의학 용도의 성형품.
KR1019950002174A 1994-02-07 1995-02-07 생의학용도의물품제조용폴리올레핀계조성물 KR100354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4A000212 1994-02-07
IT94MI000212A IT1275404B1 (it) 1994-02-07 1994-02-07 Composizioni poliolefiniche utilizzabili per la preparazione di articoli per uso biomedic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416A KR950032416A (ko) 1995-12-20
KR100354350B1 true KR100354350B1 (ko) 2002-12-16

Family

ID=1136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174A KR100354350B1 (ko) 1994-02-07 1995-02-07 생의학용도의물품제조용폴리올레핀계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76613B1 (ko)
EP (1) EP0666284B1 (ko)
JP (1) JPH07268145A (ko)
KR (1) KR100354350B1 (ko)
CN (1) CN1094955C (ko)
AT (1) ATE168401T1 (ko)
CA (1) CA2141893A1 (ko)
DE (1) DE69503398T2 (ko)
DK (1) DK0666284T3 (ko)
ES (1) ES2119238T3 (ko)
IT (1) IT1275404B1 (ko)
RU (1) RU214344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4606B (it) * 1994-08-09 1997-07-18 Spherilene Srl Miscele di polipropilene atattico e polipropilene sindiotattico
AT405286B (de) * 1995-10-16 1999-06-25 Danubia Petrochem Polymere Polypropylene mit reduzierter weissbruchneigung
AT406684B (de) * 1996-04-09 2000-07-25 Danubia Petrochem Polymere Verwendung von polypropylenen zur verbesserung der stabilität gegenüber ionisierender strahlung
US6080818A (en) * 1997-03-24 2000-06-27 Huntsman Polymers Corporation Polyolefin blends used for non-woven applications
EP1187877B1 (en) * 2000-03-22 2004-07-14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compositions of isotactic polypropylene and flexible polypropylene of lower isotacticity
EP1176169A1 (en) * 2000-07-27 2002-01-30 Basell Technology Company B.V. Transparent elastomeric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US6673869B2 (en) 2000-07-27 2004-01-06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Transparent elastomeric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DE10226210A1 (de) * 2002-06-13 2004-01-08 Lurgi Ag Anlagenteil zur Zerlegung und Reinigung von Synthesegas
EP2246390B1 (en) 2004-11-25 2012-12-26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TWI382050B (zh) 2004-11-26 2013-01-11 Mitsui Chemicals Inc 醫療用管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3414A (en) * 1956-06-13 1961-03-22 Montedison Sp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mponents
NL133875C (ko) * 1966-01-31
DE2756614A1 (de) * 1977-12-19 1979-06-21 Basf Ag Polypropylen-formmasse
US4335225A (en) * 1978-06-20 1982-06-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astomeric polypropylene
SE7908671L (sv) * 1979-10-19 1981-04-20 Gunnar Axel Anjou Barnseker tendsticksask
US4386179A (en) 1980-05-07 1983-05-31 Medical Research Associates, Ltd. Hydrocarbon block copolymer with dispersed polysiloxane
FR2613938A1 (fr) 1987-04-16 1988-10-21 Rhone Poulenc Chimie Articles a base de polychlorure de vinyle plastifie pour le contact avec les milieux biologiques
US5420217A (en) * 1989-09-13 1995-05-3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oducing amorphous poly-α-olefins with a monocyclopentadienyl transition metal catalyst system
EP0850990A1 (en) * 1989-11-28 1998-07-01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Flexible polypropylene resins, propylene based elastomer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olefin polymers
IT1243188B (it) * 1990-08-01 1994-05-2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olefiniche elastoplastiche
US5212246A (en) * 1990-09-28 1993-05-18 Himont Incorporated Olefin polymer films
EP0527589B1 (en) * 1991-08-08 1998-06-03 Ube Rexene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morphous polyolefin and crystalline polypropylene
IT1256260B (it) * 1992-12-30 1995-11-29 Montecatini Tecnologie Srl Polipropilene atatt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955C (zh) 2002-11-27
US6376613B1 (en) 2002-04-23
DK0666284T3 (da) 1998-11-02
EP0666284A1 (en) 1995-08-09
CA2141893A1 (en) 1995-08-08
ITMI940212A0 (it) 1994-02-07
CN1109898A (zh) 1995-10-11
RU2143445C1 (ru) 1999-12-27
ES2119238T3 (es) 1998-10-01
RU95101831A (ru) 1996-12-27
ITMI940212A1 (it) 1995-08-07
IT1275404B1 (it) 1997-08-05
DE69503398D1 (de) 1998-08-20
KR950032416A (ko) 1995-12-20
DE69503398T2 (de) 1999-02-18
ATE168401T1 (de) 1998-08-15
EP0666284B1 (en) 1998-07-15
JPH07268145A (ja) 199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9230C (en) Medical tubes
AU667764B2 (en) Olefin polymer films
CA2514426C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EP0697436B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of atactic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KR100354350B1 (ko) 생의학용도의물품제조용폴리올레핀계조성물
US5620760A (en) Shaped articles for biomedical use
WO2006053661A1 (en) Nove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EP1008357A2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medical packaging and devices
PT98541B (pt) Processo de preparacao de composicoes de poliolefina elastoplasticas
WO2013144060A1 (en) Soft polypropylene with improved optical properties
EP0120562A2 (en) Elastomer, polypropylene blends for optically clear products
DE69723657T2 (de) Elastoplastische polyolefinmasse mit hoher durchsichtigkeit und biegsamkeit
KR20000068227A (ko) 엘라스토머성 사이클로올레핀중합체
EP0577009B1 (en) Shaped articles for biomedical use
JP3841750B2 (ja) 樹脂改質用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ポリ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アイソタクチックポリ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S62214920A (ja) ホ−ス製造用マンドレル
JPH02212536A (ja) 医療器材用樹脂組成物
JPS62212125A (ja) ポリプロピレン一軸延伸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