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187B1 - 헬리컬기어치맞물림형유성기어변속기 - Google Patents

헬리컬기어치맞물림형유성기어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187B1
KR100354187B1 KR1019970702727A KR19970702727A KR100354187B1 KR 100354187 B1 KR100354187 B1 KR 100354187B1 KR 1019970702727 A KR1019970702727 A KR 1019970702727A KR 19970702727 A KR19970702727 A KR 19970702727A KR 100354187 B1 KR100354187 B1 KR 10035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gear
pressure
ring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408A (ko
Inventor
휘러 겔하르트
오스터로프 쿨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97070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004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the gear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by rolling members or by specially adapted surfaces on the gears, e.g. by a rolling surface with the diameter of the pitch cir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2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 F16H3/54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one of the central gears being internally toothed and the other externally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헤리칼기어형 특히 차량용 유성치차 변속기는 구동축(2)과 회전 고정연결된 선기어(1), 다수의 유성치차캐리어(6)에 수용된 유성치차들(4)과 유성치차들(4)을 둘러싼 내치차캐리어(8)와 결부되어 있는 내치차(7)로 되어 있다. 축 방향 하중을 수용하기 위하여 압력면-대우들(19,20,24)이 압력링(17,18,22)과 유성치차들(4)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압력면-대우(19)는 한쪽에서 선기어(1) 또는 구동축(2) 그리고 다른쪽에서는 유성치차들(4) 사이에서 그리고 압력면 대우(24)는 유성치차들(4)과 내치차(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본 발명은 구동축에 비회전적으로 연결되는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 캐리어 내에 장치되는 다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를 둘러싸며 링 기어 캐리어에 연결되는 링 기어를 구비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제조에 있어서 유성 기어 변속기의 사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는 평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에 비해 낮은 소음 레벨을 갖는데, 이것은 점점 더 엄격해지는 소음 규제법의 관점에서 더욱 더 중요하다.
단순한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 구조의 장점으로는 외부 축력(axial force)이 열팽창 또는 클러치 추력(thrust)에 의하여 기어 장치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전체 기어폭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서 단조 소재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의 문제점으로는 제조 및 조립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으로 인한 축력이 크다는 점이다. 상기 축력은 구동축 및 종동축과 같은 인접하는 부품에 매우 심하게 부하를 가한다. 동시에 유성 기어에 또한 작용하는 매우 큰 선단 모멘트(tipping moment)가 작용하여래이디얼 베어링에 상당한 부하를 가한다. 기어치 맞물림으로부터의 자유 축력에 기인하여 원하는 큰 경사각이 고려될 수 없는데, 이것은 그러하지 않으면 필요한 축 베어링 상에 작용하는 힘이 과대해지기 때문이다. 단순한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경사각의 범위는 10°내지 15°사이에서 변동한다. 경사각이 작은 경우에는 큰 중첩이 일어나지 않는다. 필요한 축 베어링은 베어링 손실이 크고 효율이 좋지 않다.
DE-PS 401 652에는 축방향 추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동시에 회전하는 압력 링이 설치된 단순한 헬리컬 기어치를 구비하는 평 기어 변속기가 공지된다. 상기 압력 링의 또 다른 배열이 제안되는데, 이들 중 1개는 한 방향으로만 축방향 추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마주보는 1개의 링 압력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양 방향으로 축방향 추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발생하는 충격은 압력 링과 기어 사이의 탄성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압력 링의 탄성 설계나 또는 탄성 중간 요소에 의해 흡수된다.
상기 압력 링의 설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DE-PS 28 15 847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공지된다:
1. 압력 링은 전면측에 나사로 조여진다. 상기 고정 방법은 압력 링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플랜지가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피니언(작은 변속비)을 구비하는 변속기에 있어서만 가능하다.
2. 압력 링은 축 방향의 위치 이동에 대한 추가적인 고정 장치없이 수축되어 끼워맞춰진다. 상기 고정 방법은 미끄러짐에 대한 충분한 보장을 위하여 큰 수축압력 외에도 큰 압력 링의 폭을 필요로 한다. 특별한 방법에 있어서는 고속의 경우에 링 확장의 결과로서 여기에 나타나는 압축의 감소가 생긴다. 큰 압력 링의 폭은 기어 및 기어 장치 폭이 커지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3. 압력 링은 축 상에서 수축되어 끼워맞춰진다. 그러나 이것은 분할 링 및 지지 링에 의해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추가 고정은 무엇보다도 수축 끼워맞춤의 불안정에 대하여, 및 평기어 변속기의 경우에 축방향 추력의 편심 하중에 의한 압력 링의 불리한 응력에 대하여 예방적인 작용을 한다. 고정 요소로서는 주로 너트, 지지 링, 보조 지지 링 및 레이디얼 핀을 구비하는 2부분으로 된 삽입 링, 및 볼트와 유사한 것이 사용된다. 스크류 타입의 압력 링을 다루어본 경험에 의하면,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라는 단점과 함께, 수축 끼워맞춤 공정 후에 압력 링 접촉면의 정밀 가공(연마)을 할 필요가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수축 끼워맞춤 공정 중에 압력 링이 경사지게 고정됨으로써 압력면의 충격없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는 기술적으로 및 경제적으로 제조에 불이익을 끼친다.
4. 압력 링은 이동 가능한 또는 헐거운 압축 끼워맞춤으로 축 상에 놓여지며, 일체형의 단일 유닛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기빔 용접에 의해 축 상에 고정된다.
DE-OS 42 16 397에는 특히 자동차용의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가 공지되는데, 이것은 구동축에 비회전적으로 연결되는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 캐리어에 장치되는 다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를 둘러싸며 링 기어 캐리어에 연결되는 링 기어를 포함한다. 축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 사이, 유성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는 압력 링은 설치되는데, 이것은 각각의기어의 전면측에 위치된다. 상기 압력 링은 당김(pull) 방향은 물론, 미는(push) 방향에서도 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성 기어의 양측에 위치된다. 이것은 그것들 사이에 서 확실한 윤활 쐐기(lubricant wedge)를 획득하기 위하여 면밀히 및 고비용으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4쌍의 압력면의 배열에 기인하는 고비용의 조립 및 이것과 동시에 증가된 비용을 의미한다. 상기 압력 링은 여기서 태양 기어 상에 양측으로 용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에 존재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특히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며 용이하게 제조되며, 발생되는 축력이 보다 유리하게 제어될 수 있는 유성 기어 변속기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견인(traction) 운전 중에 축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 사이에 1쌍의 압력면, 및 유성 기어와 링 기어 캐리어 사이에 1쌍의 압력면이 설치됨으로써 해결이 된다. 타주(惰走;coasting) 운전에서 축 지지는 없다. 여기서 유성 기어가 링 기어 캐리어와 마주 대하는 그들의 압력면에 의해 링 기어 캐리어 상에서 압력 링의 압력면과 접촉하는 동안에,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 상에서 유성 기어의 압력면과 접촉하는 그것의 압력면에 의해 압력 링이 태양 기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태양 기어는 직접 유성 기어 변속기의 구동축 예를 들어, 직렬 다단 주 변속기 상에서 기어치 맞물림에 의해 구성되도록 설계 가능하며, 압력 링은 상기 태양 기어 상에서 그것의 내측 기어치 맞물림에 의해 비회전적으로 미끄러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것의 압력면은 축적을 수용하기 위하여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유성 기어 압력면과 접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링은 예를 들어, 변속기 하우징 상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 상에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설계되는 태양 기어의 기어치(齒)의 경사 방향은 견인 운전에서 발생하는 축력이 압력면 쌍에 의해 흡수되도록 향해진다. 상기 유성 기어는 여기서 양측 상에 압력면을 가진 상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면 쌍에 의하여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운전 상태인 견인 운전 중에 생기는 축력은 발생 장소에서 직접 제거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축적은 압력면 쌍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태양 기어 뿐만 아니라 유성 기어 상에도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축력은 부품 상에 작용하지 않는 내력을 형성하며 따라서 축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다.
그룹 변속기로 작용하는 유성 기어 변속기에 있어서, 링 기어 캐리어는 변속 장치 예를 들어, 동기식 장치에 의하여 1단에서 변속기 하우징과 결속되거나 또는 2단에서 클러치 몸체에 의하여 유성 기어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주 운전시에 링 기어의 축력을 흡수하기 위한 링 기어 캐리어의 지지를 위하여, 링 기어 캐리어 및 유성 기어 캐리어와 비회전적으로 연결된 클러치 몸체 사이에 축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베어링의 축방향 베어링 유격은 변속기 하우징 내의 유성 기어 캐러어의 베어링의 축방향 유격보다 더 커야 한다.
태양 기어의 기어치 단부 및 유성 기어의 기어치 단부는 태양 기어 장치의 범위 내에서 유성 기어 및 태양 기어 사이의 압력면 쌍과 마주 대하는 태양 기어 장치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한편, 유성 기어의 기어치 단부및 링 기어의 기어치 단부는 링 기어 범위 내에서 링 기어 캐리어와 마주 대하는 링 기어의 기어치 맞물림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은 유성 기어의 기어 몸체 내로 돌출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방법에서 압력면은 유성 기어의 피치 써클(pitch circle)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내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여기서 발생되는 속도차는 특히 압력면이 피치써클에 가까이 있으면 있을수록 비교적 작다.
유성 기어 상에 압력 링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 압력면은 반경 방향으로 태양 기어의 피치 써클 외부에 위치되지만, 이로 인하여 유성 기어의 수에 따라 각 유성 기어에 대하여 상응하는 압력 링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보다 큰 비용이 명백히 요구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면 쌍을 형성하는 오직 1개의 압력 링만이 필요하다. 다른 압력면은 유성 기어의 양측면 및 링 기어 내에 통합되는 압력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면은 구형 또는 원추형이며 원추각은 5분 및 6도 사이의 범위 내인 것이 제안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압력면 사이에는 윤활막 또는 윤활 쐐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극히 작은 마찰력만이 발생한다.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에 있어서, 기어치의 경사 방향에 따른 상응하는 축력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링 기어는 일반적으로 링 기어 캐리어상에서 커플러 맞물림에 의하여 미끄러지며, 여기서 일측 상에는 축방향 고정을 위하여 안전링이 고려된다. 여기서 안전 링은 일반적으로 링 기어 캐리어의 일측에 위치된다.
자동차 내에 유성 기어 변속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은 견인 하중의 경우에는 축력이 압력면으로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선정된다. 보통 우회전하는 자동차의 경우에, 이것은 태양 기어에 대하여 오른쪽 기어치 맞물림의 경사 방향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원리적으로 도시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 변속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압력 링을 구비하는 링 기어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 사이의 압력 링의 확대 단면도,
제 4도는 제 1 도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및
제 5도는 제 4도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유성 기어 변속기는 기본적으로 공지된 구조이므로, 간단히 기재되며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부분만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일반적으로 태양 기어 장치(3)를 구비하는, 변속기의 주축인 구동축(2)의 단부가 도시된다. 상기 태양 기어 장치(3)의 둘레에는 다수의 유성 기어(4)가 배열되고, 이들은 각각의 볼트(5) 상에 지지되며 상기 유성 기어 캐리어(6)와 일체형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유성 기어 캐리어(6)에 고정된다.
상기 유성 기어들(4)은 내기어치(50)를 구비하는 1개의 링 기어(7)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태양 기어 장치(3) 및 유성 기어들(4)은 링 기어(7)의 내기어치(50)와 마찬가지로 각각 교호적으로 경사져서 기어치가 형성된다.
상기 링 기어(7)는 일반적으로 링 기어(7)의 내기어치(50)의 연장부인 클러치 기어치 맞물림부(52)에 의하여, 링 기어 캐리어(8)와 연결된다. 도면 우측에는 링 기어(7)의 내측 원주벽 내의 원주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안전 링(9)이 축방향 고정을 구성한다.
상기 링 기어 캐리어(8)는 유성 기어 캐리어(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링 기어 캐리어(8), 및 그룹 변속기의 동기 장치인 클러치 몸체(60) 사이의 롤러 베어링(58)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롤러 베어링(58)과 클러치 몸체(60) 사이에는 롤러 베어링(58)의 축방향 유격을 실현할 수 있도록 원판(62) 및 판 스프링(64)이 설치될 수 있다. 클러치 몸체(60)는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링(66)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변속기 하우징 내의 유성 기어 캐리어(6)의 베어링(58)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유성 기어 캐리어(6)에 고정된다.
유성 기어(4) 및 구동축(2) 사이에는 압력 링(17)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내기어치(54)에 의하여 태양 기어 장치(3)와 맞물리며, 따라서 구동축(2)에 비회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압력 링(17)은 여기서 유성 기어(4)의 몸체 내에 이르기까지 즉, 유성 기어(4)의 맞물리지 않은 부분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압력면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돌출할 정도의 높이 및 반경을 갖는다. 상기 형태는 제 3 도에 보다 명백히 도시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압력 링(17)은 압력면 쌍(19)에 의하여 측면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 링(17)과 유성 기어(4) 사이의 압력면 쌍(19)은 경사져서 또는 약간 원추형으로, 5분 및 6도 사이의 원추각으로, 기어치 맞물림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형으로 될 수도 있다.
제 4 도에는 제 1 도에 따른 구성이 여기에서는 분리된 태양 기어(1)가 설치되도록 변경되어 도시된다. 상기 태양 기어(1)는 클러치 기어(56)와의 맞물림에 의해 구동축(2)의 기어(70)와 맞물리고, 따라서 구동축(2)과 비회전적으로 연결된다. 구동축(2)을 향하는 태양 기어(1)의 일측 상에는, 압력 링(17)이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압력 링(17)은 여기서 유성 기어(4)의 몸체 내에 이르기까지 즉, 유성 기어(4)의 맞물리지 않은 부분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압력면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돌출할 정도의 높이 및 반경을 갖는다. 상기 구성은 제 3 도에서 보다 명백히 도시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압력 링(17)은 압력면 쌍(19)을 통하여 측면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 링(17)과 유성 기어(4) 사이의 상기 압력면 쌍(19)은 경사져서 또는 약간 원추형으로, 5분 및 6도 사이의 원추각으로, 기어치 맞물림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형으로 될 수도 있다.
제 5 도에서는 제 4 도에 따른 구성이 여기에서는 압력 링(17 및 18)이 태양 기어(1)의 양측 상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설치되도록 변경되어 도시된다.
양 압력 링(17 및 18)은 여기서 유성 기어(4)의 몸체 내에 이르기까지 즉,유성 기어(4)의 맞물리지 않은 부분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압력면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돌출할 정도의 높이 및 반경을 갖는다. 상기 구성은 제 3 도에서 보다 명백히 도시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양 압력 링(17 및 18)은 상응하는 압력면 쌍(19 또는 20)을 통하여 측면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 링(17 또는 18)과 유성 기어(4) 사이의 압력면 쌍(19 또는 20)은 경사져서 또는 약간 원추형으로, 5분 및 6도 사이의 원추각으로, 기어치 맞물림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형으로 될 수도 있다.
제 2 도는 모든 형태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링 기어 캐리어(8)와 유성 기어(4) 사이에서 축력이 압력 링(22)에 의하여 흡수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압력 링(22)은 경우에 따라서 링 기어 캐리어(8)와 일체로 된다. 또한 상기 압력 링은 그것의 외주 영역에서 유성 기어(4)를 향하는 측 상에, 그것이 유성 기어(4)의 측벽에 상응하는 맞은 편 영역과 함께 압력면 쌍(24)을 형성하도록 적절히 설계된다.
유성 기어 변속기의 조립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른다.
가장 간단한 조립은 제 1 도에 따른 형태의 경우에 가능하다.
먼저 압력 링(17)이 태양 기어 장치(3) 위로 밀어 넣어진다. 그 다음에 유성 기어들(4)이 상기 압력 링(17)에 삽입된다. 이어서 볼트(5)가 유성 기어(4)의 구멍으로 관통되어 삽입되고 미리 설치된 유성 기어 캐리어(6)와 고정 연결된다.
그 다음에 링 기어(7)가 유성 기어(4) 위로 밀어 넣어지고, 상기 링 기어 캐리어(8)는 링 기어(7)의 클러치 기어(52)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링 기어 캐리어(8) 및 링 기어(7)은 안전 링(9)에 의해 사이의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링 기어(7)는 링 기어 캐리어(8) 및 축 베어링(58)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 4 도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태양 기어(1)가 구동축(2) 상으로 밀어 넣어지며 그 다음에 유성 기어들(4)이 압력 링(17) 내에 삽입된다. 연이어 볼트(5)가 유성 기어(4)의 구멍으로 관통되어 삽입되고 미리 설치된 유성 기어 캐리어(6)와 고정 결합된다.
그 다음에는 링 기어(7)가 유성 기어들(4) 상으로 밀어 넣어지며, 링 기어 캐리어(8)는 링 기어(7)의 클러치 기어(52) 내에 밀어 넣어진다.
링 기어 캐리어(8) 및 링 기어(7)는 압력 링(9)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태양 기어(1)는 축방향으로 유성 기어(4)를 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 자체는 구동축(2) 상에서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반면에, 링 기어(7)는 링 기어 캐리어(8) 및 축 베어링(58)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 5 도의 최종 실시예에 따른 조립에 있어서, 먼저 태양 기어(1)가 구동축(2) 상에서 축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며, 그 다음에 유성 기어들(4)이 압력 링(17 및 18)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볼트(5)가 유성 기어들(4)의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미리 설치된 유성 기어 캐리어(6)와 고정 연결된다.
그 다음에 링 기어(7)가 유성 기어(4) 위로 밀어 넣어지고, 링 기어캐리어(8)가 링 기어(7)의 클러치 기어(52) 내로 밀어 넣어진다.
링 기어 캐리어(8) 및 링 기어(7)는 압력 링(9)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태양 기어(1)는 축방향으로 유성 기어들(4)을 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 자체는 구동축(2) 상에서 자유롭게 조정되는 반면에, 링 기어(7)는 링 기어 캐리어(8) 및 축 베어링(58)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 5 도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 방향에 따라서 상응하는 압력 링(17 또는 18) 상의 각각의 설치가 주어진 유격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요구 조건을 전체적으로 충족시키면서도 조립이 간단한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의 축력의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성은 낮은 부품 비용 뿐만 아니라 유리한 조립 조건의 관계에서 또한 경제적이다.

Claims (11)

  1. 구동축(2)과 비회전적으로 연결되는 태양 기어 장치(3)와, 유성 기어 캐리어(6)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성 기어(4)와, 상기 유성 기어(4)를 둘러싸며 링 기어 캐리어(8)와 연결되는 링 기어(7)를 구비하며,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으로부터 발생하는 축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압력면 쌍(19, 24)을 구비하는, 특히 자동차용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에 있어서,
    2개의 압력인 쌍(19, 24)이 설치되고, 이것은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의 경사 방향에 의하여 발생하는 축력이 자동차의 견인 운전시에 압력면 쌍(19, 24)에 전달되도록 배치되어, 자동차의 견인 운전시 발생하는 축방향 하중만이 압력면 쌍에 의하여 흡수되고, 자동차의 타주 운전시에 상기 압력면 쌍(19, 24)은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으로부터 발생하는 축력에 의해 하중을 받지 않으며, 여기서 1개의 압력면 쌍(19)은 구동축(2) 및 유성 기어(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태양 기어 장치(3)의 영역에 설치되고, 다른 1개의 압력면 쌍(24)은 유성 기어(4) 및 링 기어 캐리어(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링 기어 캐리어(8)를 향하는 유성 기어(4)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쌍(19, 24)은 유성 기어(4)의 기어 몸체 내에까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쌍(24)의 압력면은 링 기어 캐리어(8)에 일체화된 압력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쌍(19, 24)의 압력면은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쌍(19, 24)의 압력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원추각은 5분 및 6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 캐리어(8)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롤러 베어링(58)에 의해 유성 기어 캐리어(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배어링(58)은 유성 기어 캐리어(6)의 베어링(68)의 축 유격보다 더 큰 축 유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기어 장치(3)는 구동축(2) 상에 직접적으로 기어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맛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기어 장치(3)는 태양 기어(1) 상에 설치되며, 이것은 구동축(2)에 비회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쌍(19)의 1개의 압력면을 형성하는 압력 링(17)은 용접에 의해 상기 태양 기어(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기어치 맞물림형 유성 기어 변속기.
KR1019970702727A 1994-11-09 1995-11-02 헬리컬기어치맞물림형유성기어변속기 KR100354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39976A DE4439976A1 (de) 1994-11-09 1994-11-09 Schrägverzahntes Planetengetriebe
DEP4439976.6 1994-11-09
PCT/EP1995/004282 WO1996015393A1 (de) 1994-11-09 1995-11-02 Schrägverzahntes planetengetrie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408A KR970707408A (ko) 1997-12-01
KR100354187B1 true KR100354187B1 (ko) 2002-11-30

Family

ID=653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27A KR100354187B1 (ko) 1994-11-09 1995-11-02 헬리컬기어치맞물림형유성기어변속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71415A (ko)
EP (1) EP0791148B1 (ko)
JP (1) JP3681395B2 (ko)
KR (1) KR100354187B1 (ko)
CN (1) CN1096582C (ko)
DE (2) DE4439976A1 (ko)
WO (1) WO1996015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9964B1 (de) * 1995-01-02 1999-08-25 Günther Heidrich Stirnräderplanetengetriebe
DE19604824A1 (de) * 1996-02-12 1997-08-1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lanetengetriebe
DE10221481A1 (de) * 2002-05-15 2003-11-27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altbares Getriebe
AT9289U1 (de) * 2005-05-17 2007-07-15 Magna Drivetrain Ag & Co Kg Schrägverzahntes schaltbares planetengetriebe und verteilergetriebe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solchen
DE102006029004A1 (de) * 2006-06-24 2008-01-03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eines Planetenrades
CN101936366A (zh) * 2010-09-07 2011-01-05 重庆齿轮箱有限责任公司 一种组合双斜齿行星传动机构
US8506446B2 (en) * 2011-08-16 2013-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Pin for planetary gear system
US8864621B2 (en) * 2012-05-30 2014-10-21 Fairfield Manufacturing Company, Inc. Roadheader gearbox
CN104995429A (zh) * 2013-02-27 2015-10-2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行星小齿轮轴
DE102014210686A1 (de) * 2014-06-05 2015-12-17 Zf Friedrichshafen Ag Stirnradstufe für ein Getriebe
DE102017223018A1 (de) 2017-12-18 2019-06-19 Zf Friedrichshafen Ag Zahnradgetriebe
CN110107660A (zh) * 2019-04-17 2019-08-09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大功率斜齿行星齿轮变速器
FR3114367B1 (fr) 2020-09-23 2022-12-02 Safran Trans Systems Réducteur amélioré pour le maintien de couron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652C (de) * 1922-04-25 1924-09-06 Bbc Brown Boveri & Cie Stirnraedergetriebe mit einseitiger Schraubenverzahnung
DE2815847C2 (de) * 1978-04-12 1982-06-09 BHS-Bayerische Berg-, Hütten- und Salzwerke AG, 8000 München Ritzel mit mindestens einem Druckring zur Aufnahme von Axialkräften
SE450944B (sv) * 1983-12-06 1987-08-17 Volvo Ab Rangevexellada for motorfordon
JPS60201146A (ja) * 1984-03-22 1985-10-11 Matetsukusu Kk 遊星歯車装置
FR2588344B1 (fr) * 1985-10-09 1991-07-19 Intelautomatisme Perfectionnements aux reducteurs planetaires a dentures helicoidales
US4756212A (en) * 1987-01-12 1988-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net gear carrier assembly
US4998909A (en) * 1990-04-23 1991-03-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net carrier assembly
DE4216397B4 (de) * 1992-05-18 2005-06-09 Zf Friedrichshafen Ag Planetengetriebe
DE4224331C1 (de) * 1992-07-23 1994-01-13 Ford Werke Ag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 Verbindung eines einen oder mehrere Planetensätze aufweisenden Planetengetriebes, mit einem die Planetensätze umfassenden Trommelbauteil
US5385514A (en) * 1993-08-11 1995-01-31 Excelermalic Inc. High ratio planetary transmission
JP3338244B2 (ja) * 1995-08-18 2002-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遊星歯車減速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582C (zh) 2002-12-18
WO1996015393A1 (de) 1996-05-23
JPH10508677A (ja) 1998-08-25
EP0791148A1 (de) 1997-08-27
CN1162986A (zh) 1997-10-22
DE59505008D1 (de) 1999-03-11
DE4439976A1 (de) 1996-05-15
JP3681395B2 (ja) 2005-08-10
KR970707408A (ko) 1997-12-01
US5871415A (en) 1999-02-16
EP0791148B1 (de)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187B1 (ko) 헬리컬기어치맞물림형유성기어변속기
US5194054A (en) Differential drive
KR20010012454A (ko) 유성기어 변속기
JP2006118709A (ja) 軸受調節機構を備えた車軸アセンブリ
US4369668A (en) Axial thrust compensation system
US3857301A (en) Speed reducer
US20170167591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US10001206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EP0851149A1 (en) A planetary gear mechanism
US5913938A (en) Gear reduction assembly
DE102016123435B4 (de) Leistungsübertragungssystem für ein Fahrzeug
US8550956B2 (en) Planetary gear unit
JP3946257B2 (ja) 遊星歯車装置および遊星歯車装置を組み立てる方法
EP0172286B1 (en) Transmission for use in motor vehicle
US5370590A (en) Securing means for a planetary gear unit
GB2312480A (en) A free-wheel mechanism having free-spaces which allow expansion of a drive element
US7127967B2 (en) Power transfer unit
US5019025A (en) Carrier device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US20210088119A1 (en) Toothing Arrangement
EP1122466B1 (en) A planetary gearset having a gearwheel connected cage and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rovided therewith
US4716786A (en) Automatic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s
US20190136959A1 (en) Locking bearing assembly
EP0320017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output shaft of automatic transaxle for automotive vehicle
US5255895A (en) Gear transmission in a lifting machinery
US20180320769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stepped planetary gear, and epicyclic gearing equipped therewith for a motor vehicle driv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