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351B1 - 카본피브릴을함유하는전극을갖는리튬전지 - Google Patents

카본피브릴을함유하는전극을갖는리튬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351B1
KR100353351B1 KR1019960701214A KR19960701214A KR100353351B1 KR 100353351 B1 KR100353351 B1 KR 100353351B1 KR 1019960701214 A KR1019960701214 A KR 1019960701214A KR 19960701214 A KR19960701214 A KR 19960701214A KR 100353351 B1 KR100353351 B1 KR 100353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ils
carbon
lithium
diameter
ze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375A (ko
Inventor
히로하라우 이께다
더블류 하우쓸레인 로버트
호치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하이페리온 커탤리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페리온 커탤리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이페리온 커탤리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70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경이 3.5 내지 75 nm인 미세한 필라멘트형 카본 피브릴이 존재하는 0.1 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집합체 피브릴 또는 비집합체 덩어리의 퍼브릴로 구성된 카본 피브릴 재료를 이용하여 양극(1)을 형성하며, 상기 피브릴은 리튬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음극(3)은 또한 카본 피브릴을 함유한다.

Description

카본 피브릴을 함유하는 전극을 갖는 리튬 전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에서 카본 피브릴(carbon fibril)이 양극 (anode) 및/또는 음극(cathode)으로 사용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금속 리튬이 음극 전극으로 사용되는 리튬 2차 전지는 고전압 및 고에너지 밀도가 기대되기 때문에 그에 관한 연구가 상당량 있어 왔다. 리튬이 내부에 삽입(intercalation)되는 카본 양극을 갖는, 소위 리튬 이온 시스템 또는 흔들 의자(rocking chair) 시스템 또는 그네(swing) 시스템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일군의 배터리들이 개발되어 왔다. 리튬을 삽입시키는 능력이 중요하다. 이는 비교적 양호한 흑연 구조를 필요로 한다. 삽입화합물(intercalate)은 C6Li의 조성에 대응하는 진성 화합물(true compound)이다. 따라서 이것은 금속 리튬 양극에 비하여 안정하고 기타의 장점도 갖는다. 그러나, 음극 전극용으로 금속 리튬이 사용되는 전지는 충전 중의 리튬과 용매의 반응 때문에 그리고 수지상 결정 성장(dendrite growth) 때문에 수명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극 전극 재료로 여러 가지 종류의 카본 섬유 재료 및 Li-Al 합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와 관련하여서는 자기 방전 특성(self-discharging characteristics) 열화 및 기계적 강도 감소와 같은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소위 "흔들 의자"(rocking chair) 전지에서는, 충전과 방전 중에 전극간을 이동하는 이온 종(種)은 리튬뿐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충전 중에는, 음극으로부터의 삽입된 리튬 이온 즉, LiMn2O4들이 전해액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고 양극에서 그들은 카본 삽입 과정에서 전자를 얻는다. 방전 중에는 역반응이 발생하는바, 즉 카본 내의 전하를 띄지 않은 리튬은 Li+로 이온화되면서 외부 회로로 전자를 잃고 이동하여 음극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외부 회로로부터의 전자에 의해 산화물 격자의 국부적 환원이 일어난다. 방전중의 반쪽 전지 반응이 아래에 보여진다.
LiC6→ Li+e-+C6양극
Li+Mn2O4+e- → LiMn2O4음극
종래 기술의 리튬 이온 시스템은 삽입 가능한(intercalatable) 카본 양극과 전도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카본과 혼합되는 삽입 가능한 가변 원자가 금속 산화물 음극을 특징으로 한다. 리튬 금속 양극을 이용하는 초기의 구조와 "흔들 의자" 시스템이 구별되는 점은 바로 카본 양극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리튬 금속 양극을 사용하는 구조는 위험할 정도로 반응속도가 높아지게 하는 수지상 결정 생성 및 리튬 금속의 벗겨짐(flaking) 및 부스러짐(spalling)과 관련하여, 그리고 전해액과의 부반응(side reaction)과 관련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안정상의 문제점들은 덩어리 리튬 상(bulk lithium phase)이 없도록 함에 의해 상당 부분 해결되어왔다.
또한, 내산화성이 더 좋은 새로운 전해액의 개발과 폴리머 전해액의 개발도 또한 보다 안전한 Li 전지에 기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지는 매우 반응성이 높은 전극 재료와 시스템을 이용한다. Li 삽입 전극(Li intercalation electrode)조차, 손상 또는 단락 회로 상태하에서의 폭주 반응(runaway reac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리튬 이온 전지의 두 전극 모두 카본을 이용하지만, 이들 카본들은 대다수의 전극 재료와 마찬가지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으로부터 선택되었다. 약한 전력 밀도로 인해 그리고 이론적인 에너지 밀도에 거의 접근하지 못함으로 인해 양극이나 음극 성능 어느 것도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현재 이용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는, 최적의 반응속도론(kinetics) 및 공학적 기술이 아닌 것에도 불구하고 단지 본질적인 열역학적 특성 때문에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피브릴은 전극과 집전기(current collectors)용으로 사용된다. 피브릴은 직경이 100이며 길이가 통상 수마이크론인, 촉매반응에 의하여 성장된 흑연성(graphitic) 섬유이다. 피브릴이 흑연성이기는 하나, 기하학적 구속들에 의해 순수 흑연과 약간의 차이점이 강제된다. 흑연과 마찬가지로, 피브릴은 평행한 카본층으로 형성되지만, 평평한 흑연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이 아니라 섬유의 종축 둘레에 배치된 일련의 동심 튜브 형태이다. 따라서, 작은 직경의 피브릴에 있어서의 기하학적 구속으로 인하여, 평평한 흑연판들의 경우와 달리 흑연 층들이 아래의 층에 관하여 정확하게 정렬할 수 없다. 수렴성 빔 전자회절 관찰 결과 (002) 흑연 평면들이 높은 결정성을 갖고 튜브 첨가물을 따라 배향된다.
피브릴의 구조는 많이 연구된 버키튜브(buckytube)와 상당히 근사하다. 그러나, 버키튜브와 달리. 피브릴은 비정질 카본으로 오염되지 않은, 흩어지지 않는 성질의 집합체(indispersable aggregate)로서 생산되며 이로 인해 피브릴은 최소한의 처리만으로 전극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피브릴은 촉매 입자를 수소 농후 분위기에서 가스성 탄화 수소와 접촉시켜 성장된다. 그 직경은 촉매 입자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며 평균 7-12 나노미터이다.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이다. 그것은 2 내지 5 나노미터의 벽 두께를 갖는 중공 튜브(hollow tubes)이다. 상기 벽은 개별 흑연층이 실린더 형태로 감겨진 동심 튜브이다. 섬유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부 층의 일부가 중공 내부에 걸쳐 반구형 셉터(septa)로 만곡되어 중공 내부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들 부근에서 벽은 짧은 거리에 걸쳐 절두 원추형(nested cones)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들은 피브릴 성장 중 촉매/카본 계면 내의 변화를 반영한다. 기타의 촉매성 증기 성장 카본 섬유들과 달리, 이들은 그 표면에 보다 덜 조직화된 열분해 카본이 없다.
그러나, 버키튜브는 아크로에서 카본 증기의 응축에 의하여 성장된다. 그것은 단일층 벽으로부터 수십 개 층까지 더 넓은 직경 분포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벽에서 흑연층 배열은 피브릴과 매우 유사하다. 몇몇은 동심 실린더들(또는 다각형 단면)만을 갖는다. 또한 몇몇은 셉터와 절두 원추대를 갖는다. 몇몇 버키튜브는 소오스 카본 내의 불순물로부터 또는 장치로부터의 불순물로부터 유입된 촉매 입자상에 촉매 반응에 의하여 성장되는 것 같다. 촉매가 없이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있는 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스파크 온도는 성장 후에 이온 또는 다른 입자를 기화시키기에 충분하다. 보다 덜 조직화된 카본이 다각형으로 또는 터보 스트래틱(turbostratic) 카본 형태로 증착되며, 그중 일부는 버키튜브들을 코팅할 수 있다.
그 구조와 흑연에 대한 유사성으로부터 예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브릴은 전도성이 있다. 개개의 피브릴의 전도성을 측정하기가 곤란하지만,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저항값이 9.5(± 4.5)mΩ cm로 측정되었으며, 이 저항은 흑연화된 카본에 대하여 측정된 것보다 약간 높지만, 최근에 버키튜브에 대하여 측정된 것과는 일치한다.
피브릴은, 펠트제 매트(felt mats)와 유사한, 상호 연결된 피브릴 나노튜브들로 구성된 매크로 구조(macrostructures)로 만들어질 수 있다. 퍼브릴 매트 내의 전도성 피턴릴들로 인해 높은 전도성을 갖는 매트가 얻어진다.
균질 피브릴 매트의 기공율(porosity)은 전체 매트 밀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기공율은 매트를 형성하기 전에 피브릴을 매크로파이버(예를 들면 유리 또는 카본)로 공동 슬러리 처리(co-slurrying)함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균질이고 공동 슬러리 처리된 피브릴 매트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은 실험실 규모에서 편리하면 섬유 습식 포설법(fiber wet-laying)(예를 들면 제지법)을 이용하여 대규모로 하기도 용이하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피브릴은 BET 측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ca. 200m2/g의 표면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표면적에 값은 평균 피브릴 치수에 기초한 계산에 의해서도 구해진다. 계산과 BET 측정간의 이러한 일치는 피브릴의 모든 외부면이 200 m2/g인 것을 증명한다. 피브릴 매트 전극에 대한 분석 전기화학은 피브릴 표면적 전체가 전기화학적 공정에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예를 들면, 피브릴 매트 전극의 복층 충전 용량(double layer charging capacitance)은, 넓은 범위의 피브릴 매트 밀도에 걸쳐, 전극 내부 피브릴 질량에 대해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피브릴은, 다른 전도성 카본 물질과 달리, 일정한 공극 크기 및 높은 표면적 모두를 허용한다.
이러한 피브릴 개방 네트는 그들의 매트에 부착되는 혹은 물리적으로 얽혀있을 수 있는 어떤 화학 시스템에 큰 외부 표면적과 그 결과로의 전기화학적 이용 가능성을 부과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는 양극으로 삽입 가능한 카본을 이용한다. 이러한 전지의 최대 에너지 밀도는 372 A-시간/kg의 비용량을 갖는 삽입화합물 C6Li에 대응한다.
리튬 삽입 능력이 중요하다. 통상, 이것은 비교적 양호한 흑연 구조물을 필요로 한다. 삽입화합물은 C6Li의 조성에 대응하는 진성 화합물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음극 전극과 용매의 반응에 기인한 그리고 수지상 결정의 생성에 기인한 사이클 수명 감소가 방지되고 우수한 자기 방전 특성을 갖는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제우스 피브릴(Geus fibrils)과 리튬 삽입화합물을 이용하는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양 전극에 대한 집전기로써 피브릴 나노튜브를 사용하여 리튬 이온 전지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2차원의 전도성 네트워크로 형성된 피브릴의 큰 허용가능한 표면적(200 m2/g)을 이용하여 리튬 재충전성 전지에서의 높은 전력 밀도를 얻는 것이다. 리튬은 삽입 가능한 전극 구조물, 즉 양극에서의 카본, 음극에서의 LiMn2O4 또는 기타 다른 산화환원 시스템에 배치되되, 삽입 가능 구조물의 어떤 부분도, 집전기 및 구조적 지지부로 기능하는 피브릴 네트워크와, 전해액 경계면 모두로부터 수백 옹스트롬 이상이 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후술된 바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며, 신규의 특징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직경 3.5 내지 75 nm인 미세 필라멘트형 카본 피브릴(filiformcarbon fibrils)이 상호 얽혀 있는, 0.1 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피브릴 집합체로 구성된 카본 퍼브릴 재료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1993년 5원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057,328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비집합체 피브릴(non-aggregated fibrils)도 본 발명의 전극에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은 리튬이 삽입된 카본 피브릴 집합체 또는 비집합체 피브릴 덩어리(mass)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히 그리고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음극 전극판, 2는 분리기(separator), 그리고 3은 양극 전극판을 제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나의 전극 또는 두 개의 전극이 카본 피브릴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극은 직경이 3.5 내지 75 nm인 미세 필라멘트형 카본 피브릴이 내부에 존재하는, 0.1 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피브릴 집합체 또는 비집합 덩어리로 구성된 카본 피브릴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공지된 가변 원자가 금속 음극 시스템 중 최상은 스피넬 LiMn2O4로 보인다. 따라서, 피브릴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피브릴상에 또는 그 내부에 이산화 망간 리튬(LiMn2O4)을 배치(deposit)한다.
LiMn2O4의 종래 제조법은 피브릴과 양립될 수 없는 산화 작용을 포함한다. 저온 합성이 수행된다.
피브릴 슬러리의 존재하에 침전이 이루어지고 제품이 여과되면, 제품은 매트내의 작은 공간 때문에 필수적으로 매우 작은 LiMn2O4"섬들(islands)"을 함유하는 피브릴 매트이어야 하며, 출원인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피브릴 전극 내에 HnO2를 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내부에 매우 작은 MnO2결정들이 배치된 피브릴 매트를 산출하였다. TEM 관찰 결과 그러한 매트는 약 100 크기의 MnO2개재물들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요망하는 LiMn2O4도 이와 유사하게 보인다.
양극에 리튬 삽입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지가 가능함이 알려져 왔다. 또한 양극으로써 제우스 (피쉬본 ; fishbone) 피브릴과 리튬 삽입화합물로 구성된 리튬 전지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탄화 전극 재료에 관한 리튬 저장의 반응속도론 및 에너지론이 연구되었다. 피브릴/카본 전극은 리튬 병합(incorporation) 및 해방(release)의 에너지론과 반응속도론을 결정하기 위하여 정전위(potentiostatic) 방법 및 정전류(galvarlostatic) 방법에 의하여 LiCIO4/PC/DEM과 리튬 금속 카운터/레퍼런스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피브릴/카본 전극은 폭넓은 범위의 충전율 및 방전율에 대해 평가된다. 최고의 용량 또는 최고의 충전율/방전율을 보이는 전극 후보들은 또한 사이클 수명에 관해 평가된다. 이산화 망간 리튬이 침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재충전가능한 휴대용 에너지 저장에 있어서 상당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가 보다 널리 쓰이고 있는 니켈 카드뮴 전지 및 니켈 금속수소화물 전지와 경쟁하기 시작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목표로 한다. 장기적으로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목표로 한다. 분명히, 리튬 전지는 종래의 납-산 시스템에 비하여 장점을 보인다. "흔들 의자" 배터리는 이미, 전기 자동차에 대한 중요한 성능 파라미터 중 하나인, 훨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다.
피브릴은 큰 표면적과 제어된 기공율(controlled porosity)을 제공하여 확산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일정한 에너지 밀도하에서 더 나은 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피브릴 기반(fibril based) 전극으로부터 전지 수명이 향상되는 것이 예견된다. 예를 들면, 스피넬이 이러한 전극의 기계적 기초로서 의존되지 않기 때문에, LiMn2O4의 분해를 야기하는 과정들이 중요하지 않게 된다. 100A 만큼이나 작은 조각들이 전극 내분에 용이하게 보유되어, 전기화학에 기여할 수 있다.
피브릴을 양극의 카본 성분으로서 사용하여 수명을 개선시키기 위한 또 다른 기초는 피브릴은 가장자리 카본상의 잔류 산소가 없다는 것이다. 퍼브릴은 높은 환원 분위기에서 제조된다. 그러한 처리는 화학적 결합 산소 수준을 가능한 적게 유지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산소는 전해액 반응을 유해하게 하는 촉매로서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양으로 따질 수 없는 장점은 소비자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충전 불가능한 일차 전지를 재충전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로 교체하는 것으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재충전가능한 AA, C 및 D 전지가 때때로 이용될 수 있어 왔으나, 그것은 소비자의 호응을 받지 못하였다. 리튬 이온 전지는, 충분히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다면, 즉 종래 알카라인 MnO2 전지보다 충분히 경량이라면, 소비자가 호응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본 퍼브릴의 직경은 3.5 내지 75 nm이며, 특히 5 내지 30 nm가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그 직경의 최소한 5배,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의 102 내지 104이다.
카본 피브릴의 직경이 75 nm를 초과하면, 전도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감소한다. 3.5 nm이하이면, 카본 피브릴은 분산되어 취급하기에 곤란하다. 카본 피브릴의 길이가 직경의 5배 보다 작으면, 전도성이 감소한다.
그 내부에 카본 피브릴이 미세하고 필라멘트형이며 상호 얽혀 있는 집합체가 형성된다. 집합체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0 ㎛이다. 평균 입경이 100 ㎛를 초과하면, 집합체가 리튬 전지의 음극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바인더 분말과의 혼합물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평균 입경이 0.1 ㎛ 이하이면, 전해액이 용이하게 침투되지 않으며 집합체가 리튬 전지의 음극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리튬 이온 삽입 반응이용이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집합체의 분포 지수인 90% 직경(d90)은 100 m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 이하이다. 또한, 상기 90% 직경은 평균 입경의 7.5배보다 작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경(dm)과 90% 직경(d90)은 하기의 방정식으로 나타낸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정된다. 여기서, 입경(d)의 체적비(Vd)를 확률변수로 취한 입경 분포에 있어서, dmin은 최소 평균 입경이고 dmax는 최대 입경이다.
방정식 1:
방정식 2:
카본 피브릴 집합체를 형성하는 카본 피브릴의 종횡비는 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초과이다. 또한, 피브릴은 중공 코어를 갖는 통상의 튜브형이다.
또한, 이러한 카본 피브릴은 연속적인 열적 카본층(continuous thermal carbon layer)을 가져서는 안되며 피브릴 축과 평행한 수개의 흑연층을 가져야 한다. 앞서 언급한 열적 카본 코팅으로 피복된 표면적의 비는 일반적으로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25%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미만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본 피브릴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제2-503334호(1990)에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카본 피브릴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재료는 변경되지 않은 형태로 또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를 받고, 그 후 분쇄 처리될 수 있다.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는 분쇄 처리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카본 피브릴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의 예로는 질산에 의한 산화, 오존에 의한 산화, 유기질 플라즈마 처리, 에폭시 수지와 같은 수지로의 코팅 그리고 유기질 실리콘과 티타늄 화합물과 같은 결합제(coupling agents)에 의한 처리가 있다.
분쇄 장치는 예를 들면 공압 그라인더(제트 밀) 또는 충격 그라인더일 수 있다. 이러한 그라인더는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양이 볼 밀 또는 진동 밀의 의하여 처리되는 것 보다 많기 때문에, 분쇄 비용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그라인더에 분류 기구를 설치하거나, 또는 사이클론과 같은 분류기를 라인에 설치하므로써 입경 분포가 좁은, 균일한 카본 피브릴 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집합체의 입경 결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졌다. 카본 피브릴 재료가 계면활성제 수용액 주입되고 초음파 균질화기로 처리하여 수성 분산액을 형성한다. 레이저 회절 산란형 입경 분포 미터를 이용, 테스트 재료로서 수성 분산액을 사용하여 입경이 결정된다. 카본 피브릴 재료는 바인더 분말과 혼합되고 상기 혼합물을 반죽한 이후, 그것은 판 형태로 성형된다. 상기 판이 음극 전극으로 사용되었다. 바인더의 조성에 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 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의 조성에 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활성 물질(active substance)로서 바나듐, 망간, 몰리브덴, 니오븀, 티타늄 또는 크로늄의 황화물 또는 산화물이 사용되며, 전도성 재료로써 흑연이 사용되고, 또한 결합제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가 반죽되어 판을 형성할 수 있고, 그 후 제조의 결자 리튬이 그것에 지녀질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표면적을 갖는 무질서한 카본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기중합 및 후속되는 열분해에 의해 연장된 표면적 전극 형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연장된 표면이란 평탄한 중합체 리본 형태일 수 있다. 당연히, 이것은 피브릴에 기초한 연장된 표면의 무질서한 카본에 대한 첫 번째의 설명이다. 양극 전극의 조성물로서 제우스 피브릴이 이용 가능하다.
전해액의 조성물에 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그것은 지지 전해액으로서 리튬 과염소산염, 리튬 티오시안산염 또는 리튬 보로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하고 솔벤트로서 프로판 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틸렌 그리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분리기에 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한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보다 완전히기술되고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카본 피브릴 재료는 직경 13 nm이고 3.5 ㎛의 평균 집합체 입경을 갖는 카본피브릴을 구비하며, 그 90% 직경은 8.2 ㎛ 이고, 폴리프로필렌 바인더가 카본 피브릴 재료와 폴리에틸렌 바인더의 중량비가 80 . 20 이 되도록 혼합되어 있다. 혼합물은 음극 전극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반죽된 후에 판으로 성형되었다.
Cr3O8, 아세틸렌 블랙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각각 40 : 40 : 20의 비율로 혼합되고, 그 혼합물은 반죽된 후에 양극 전극용 판으로 성형되었다.
리튬 과염소산염의 1 M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용액이 전해액으로 준비된다. 상기 전해액으로 적셔진 프로필렌 부직포 직물이 양극 전극 판과 음극 전극 판 사이에 삽입되어 케이스에 수용되어, 제 1 도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전지가 제조된다.
얻어진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3 볼트의 일정한 전압으로 6 시간 동안 충전시키고 이어서 10 kΩ 의 일정한 저항에서 6 시간동안 방전시키는 것을 실온(25℃)에서 수회 반복한 경우에 초기 용량값, Co (mAh)으로부터의 열화 정도, C/Co(%)에 기초하여 평가되었다.
자기 방전 특성은 실온(25℃)에서 충전된 전지가 실온(25℃)에서 보관되는 경우에 초기 용량값, Co (mAh)으로부터의 열화 정도, C/Co (%)에 기초하여 평가되었다.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특성 대 C/Co (%) 및 자기 방전 특성 대 C/Co (%)의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긴 충방전 사이클 수명을 가지며, 우수한 자기 방전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본 피브릴 재료는 미세한 필라멘트형 카본 집합체이므로, 리튬 전지에서 음극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전해액이 원활하게 침투된다. 또한, 큰 유효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리튬 이온 삽입 반응이 전체 음극 전극에 걸쳐 균일하고 신속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음극 전극과 용매간의 반응과, 수지상 결정의 생성은 종래의 물질과 비교하여 상당히 많이 억제되며, 충방전 사이클 수명과 자기 방전 특성은 개선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제우스(피쉬본) 피브릴을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직경이 3.5 내지 75 nm인 미세한 필라멘트형 카본 피브릴이 존재하는 0.1 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집합체 피브릴 또는 비집합체 덩어리의 피브릴로 구성된 카본 피브릴 재료를 이용하여 양극을 형성하며, 상기 피브릴에 리튬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2. 직경이 3.5 내지 75 nm인 미세한 필라멘트형 카본 제우스(피쉬본) 피브릴이 존재하는 0.1 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제우스(피쉬본)피브릴로 구성된 카본 제우스(피쉬본) 피브릴 재료를 이용하여 양극을 형성하며, 상기 제우스(피쉬본) 피브릴에 리튬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3. 직경이 3.5 내지 75 nm인 미세한 필라멘트형 카본 피브릴이 존재하는 0.1 내지 100 ㎛ 평균 입경을 갖는 집합체 피브릴 또는 비경합체 덩어리의 피브릴로 구성된 양극과 카본 피브릴 함유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피브릴에 리튬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4. 직경이 3.5 내지 75 nm인 미세한 필라멘트형 카본 제우스(피쉬본)피브릴이 존재하는 0.1 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제우스(피쉬본) 피브릴을 함유하는 양극과 카본 피브릴 함유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우스(피쉬본) 피브릴에 리튬이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KR1019960701214A 1993-09-10 1994-09-09 카본피브릴을함유하는전극을갖는리튬전지 KR100353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26040 1993-09-10
JP5226040A JPH0785860A (ja) 1993-09-10 1993-09-10 リチウム電池
PCT/US1994/010181 WO1995007551A1 (en) 1993-09-10 1994-09-09 Lithium battery with electrodes containing carbon fibr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375A KR960705375A (ko) 1996-10-09
KR100353351B1 true KR100353351B1 (ko) 2002-12-28

Family

ID=1683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214A KR100353351B1 (ko) 1993-09-10 1994-09-09 카본피브릴을함유하는전극을갖는리튬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786154B1 (ko)
JP (3) JPH0785860A (ko)
KR (1) KR100353351B1 (ko)
AT (1) ATE244457T1 (ko)
AU (1) AU684310B2 (ko)
CA (1) CA2171478C (ko)
DE (1) DE69432906T2 (ko)
WO (1) WO1995007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75C (zh) * 1996-01-22 1999-04-07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用于锂电池的弥散阳极及其制备方法
IL126976A (en) * 1996-05-15 2001-11-25 Hyperion Catalysis Internat Nano-fibers are made of graphite in electrochemical capacitors
US6194099B1 (en) 1997-12-19 2001-02-27 Moltech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s with carbon nanofibers and electroactive sulfur compounds
US6703163B2 (en) 1998-03-31 2004-03-09 Celanese Ventures Gmbh Lithium battery and electrode
US7029794B2 (en) 1998-03-31 2006-04-18 Celanese Ventures Gmbh Lithium battery and electrode
WO1999050922A1 (en) * 1998-03-31 1999-10-07 Axiva Gmbh Lithium battery and electrode
JP2002510842A (ja) * 1998-03-31 2002-04-09 セラニーズ・ヴェンチャーズ・ゲーエムベーハー リチウム電池および電極
US6280697B1 (en) * 1999-03-01 2001-08-28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Nanotube-based high energy material and method
US6815121B2 (en) 2000-07-31 2004-11-09 Electrovaya Inc. Particulate electrode including electrolyte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6858349B1 (en) * 2000-09-07 2005-02-22 The Gillette Company Battery cathode
KR100444140B1 (ko) * 2000-11-24 2004-08-09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고성능 이차전지용 도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4197859B2 (ja) * 2001-05-30 2008-12-17 株式会社Gsiクレオス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電極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3930276B2 (ja) * 2001-08-29 2007-06-13 株式会社Gsiクレオス 気相成長法による炭素繊維、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材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930335B2 (ja) 2001-08-29 2007-06-13 株式会社Gsiクレオス 気相成長法による炭素繊維、電池用電極材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2004220910A (ja) * 2003-01-15 2004-08-05 Mitsubishi Materials Corp 負極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負極、並びにこの負極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
JP2004220911A (ja) * 2003-01-15 2004-08-05 Mitsubishi Materials Corp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用負極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負極、並びにこの負極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
JP5162817B2 (ja) * 2005-08-26 2013-03-13 宇部興産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状炭素材料
US20100221535A1 (en) * 2006-01-20 2010-09-02 Showa Denko K.K. Platelet-type slit-incorporated vapor grown carbon fi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30132550A (ko) 2010-12-21 2013-12-04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분말형 중합체/탄소 나노튜브 혼합물의 제조 방법
EP3139429B1 (en) 2011-06-23 2023-06-07 Molecular Rebar Design LLC Lithium ion batteries using discrete carbon nanotub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WO2013090080A1 (en) 2011-12-15 2013-06-20 A123 Systems, Inc. Hybrid battery system
JP7096184B2 (ja) * 2019-03-12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230A (en) * 1984-12-06 1987-05-05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Carbon fibril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4980250A (en) * 1986-05-13 1990-12-2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92B2 (ja) * 1989-11-21 1996-02-21 株式会社リコー 電極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5246794A (en) * 1991-03-19 1993-09-2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athode collector made from carbon fibrils
US5302474A (en) * 1993-04-02 1994-04-12 Valence Technology, Inc. Fullerene-containing cathodes for solid electrochemical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230A (en) * 1984-12-06 1987-05-05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Carbon fibril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4980250A (en) * 1986-05-13 1990-12-2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85860A (ja) 1995-03-31
KR960705375A (ko) 1996-10-09
CA2171478C (en) 2007-06-19
WO1995007551A1 (en) 1995-03-16
JPH09502566A (ja) 1997-03-11
JP2005038851A (ja) 2005-02-10
CA2171478A1 (en) 1995-03-16
EP0786154A4 (ko) 1997-07-30
EP0786154A1 (en) 1997-07-30
EP0786154B1 (en) 2003-07-02
ATE244457T1 (de) 2003-07-15
DE69432906D1 (de) 2003-08-07
AU7724694A (en) 1995-03-27
AU684310B2 (en) 1997-12-11
JP3967373B2 (ja) 2007-08-29
DE69432906T2 (de)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9836A (en) Lithium battery with electrodes containing carbon fibrils
KR100353351B1 (ko) 카본피브릴을함유하는전극을갖는리튬전지
EP0803926B1 (en) A secondary battery or cell with a non-aqueous electrolyte
US9412999B2 (en) Potato-shaped graphite particles with low impurity rate at the surfac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2333879A1 (en) Carbon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281564B1 (ko) 리튬 이온 배터리용 코어-쉘 복합 입자
Yamaura et al. High voltage,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using newly-developed carbon for negative electrode material
KR19990044322A (ko)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음극 재료 및 이를 이용한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
KR20170071336A (ko) 리튬공기 배터리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 배터리
JP2002241117A (ja) 黒鉛系炭素材料、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H09306489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とこの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709864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04342958A (ja) 非水電解液電池用負極
JPH03285273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6150930A (ja) 非水系二次電池
JPH09306488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とこの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9306476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929350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728281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炭素負極材料
CN118235270A (zh) 正极活性材料、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正极
JPH0935752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H117396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200020434A (ko)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H0982326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黒鉛化気相成長炭素繊維、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H083141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