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296B1 - 안테나변환용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안테나변환용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296B1
KR100353296B1 KR10-1998-0005958A KR19980005958A KR100353296B1 KR 100353296 B1 KR100353296 B1 KR 100353296B1 KR 19980005958 A KR19980005958 A KR 19980005958A KR 100353296 B1 KR100353296 B1 KR 10035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uter conductor
detection terminal
antenna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768A (ko
Inventor
유끼노리 미야께
데쓰야 오자끼
노리마사 니시마쓰
다께시 노베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심도체 (4) 의 외측에 통형 외부도체 (5) 를 갖는 내부커넥터 (1) 에 인접하여 검출단자 (6) 를 구비하고, 외부커넥터 (52) 가 상기 내부커넥터 (1) 의 중심도체 (4) 와 결합하는 중심도체 (52A) 와, 상기 통형 외부도체 (5) 의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쉘모양 외부도체 (52B) 를 갖고, 상기 검출단자 (6) 가 탄성휨변형 가능하게 스프링성을 갖고 있어, 양커넥터 (1, 52) 의 비결합시에 상기 검출단자의 접촉부 (6B) 가 상기 통형 외부도체 (5) 와 비접촉위치에 있고, 양커넥터의 결합시에는 검출단자 (6) 의 접촉부 (6B) 가 탄성접촉된다.

Description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
본 발명은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수신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안테나로서의 내장안테나를, 자동체를 사용할 때, 자동차에 설치된 제 2 안테나로서의 외부안테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안테나측의 동축의 외부커넥터를, 상기 수신회로측의 동축의 내부커넥터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외부커넥터 및 내부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동축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6-22392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의 커넥터는, 첨부 도면중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도체 (51A) 와 외부도체 (51B) 를 갖는 내부커넥터 (51) 와, 중심도체 (52A) 와 외부도체 (52B) 를 갖는 외부커넥터 (52)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커넥터 (51) 는 휴대전화기 (50) 의 접속기 (53) 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커넥터 (52) 는, 자동차에 설치된 외부안테나 (도시 생략) 측의 접속기 (54) 에 설치되고, 양커넥터 (51, 52) 는 쌍을 이루고 있다. 도시한 예의 경우, 상기 쌍을 이루는 내부커넥터 (51) 와 외부커넥터 (52) 는 상기 접속기 (53, 54) 의 양측에 두 쌍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기 (53, 54) 에는, 각각 양측의 내부커넥터 (51, 51) 사이 그리고 외부커넥터 (52, 52) 사이에, 신호단자 (55, 56) 를 갖는 신호커넥터 (57, 58) 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단자 (55) 는 소정 회로에 땜납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55A) 를 갖고 있다.
상기 휴대전화기 (50) 의 접속기 (53) 에는, 신호단자의 상방에 변환단자 (59, 60) 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변환단자 (59) 는 볼록하게 만곡된 접촉부 (59A) 를 갖고, 이 접촉부 (59A) 에서 다른쪽의 변환단자 (60) 와 접촉하고 있다.이 다른쪽의 변환단자 (60) 는 L 자형으로 굴곡된 돌출부 (60A) 를 갖고 있으며, 이 돌출부 (60A) 가 상방으로 눌림으로써 도시된 파선과 같이 탄성휨을 발생시켜 상기 접촉부 (59A) 로부터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2 개의 변환단자 (59, 60) 는, 도시된 상태에서는, 전원 (61), 여자코일 (62) 을 거쳐 폐회로를 형성하고, 스위치 (63) 의 가동접점 (64) 을 내부안테나 (65) 측으로 흡인하고 있다. 따라서, 송수신회로 (66) 는 내부안테나 (65) 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접속기 (54) 가 접속기 (53) 에 결합되면, 신호커넥터 (57,58) 끼리가 접속됨과 동시에, 2 쌍의 내부커넥터 (51) 와 외부커넥터 (52) 도 접속되고, 그때, 우측의 외부커넥터 (52) 의 외부도체 (52B) 가 변환단자 (60) 의 돌출부 (60A)를 상방으로 누르고, 상기 변환단자 (60) 를 파선과 같이 휨변형시킨다. 그 결과, 2 개의 변환단자 (59, 60) 는 분리되고, 상기 여자코일 (62) 의 여자는 해제되어 가동접점 (64) 은 하방측과 접촉하고, 상기 송수신회로 (66) 는 외부커넥터의 중심도체 (51A) 와 접속되어 외부안테나와의 사이에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는, 외부안테나측의 접속기 (54) 를 휴대전화기 (50) 의 접속기 (53) 에 결합키는 것만으로, 상기 휴대전화기 (50) 의 내부안테나 (65) 를 변환하여 외부안테나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변환을 위해서는, 복잡한 형상의 2 개의 변환단자 (59, 60) 를 필요로 하고, 또, 이를 위한 공간도 크며, 커넥터의 폭방향 그리고 끼워맞춤방향으로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부품 가지수, 조립공수의 비용이 높아지고, 공간의 이용도 효과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특히, 2 개의 내부커넥터 (51, 51)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자 할 때는 장애가 된다. 또, 높이방향 (지면과 직각방향) 에서 신호단자에 겹치도록 하여 변환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높이방향도 대형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변환을 할 수 있는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개요구성도.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단면으로서 외부커넥터와의 비결합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단면으로서 외부커넥터와의 결합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종래장치로서의 커넥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개요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커넥터 4 : 중심도체
5 : 통형 외부도체 5B : 노치부
6 : 검출단자 6B : 접촉부
52 : 외부커넥터 52A : 중심도체
52B : 쉘모양 외부도체 65 : 내부안테나
본 발명은 기기내의 송수신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안테나를 기기외의 제 2 안테나로 변환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로서, 송수신회로측에 설치된 내부커넥터와 이것에 결합되는 외부커넥터의 양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외부커넥터에 제 2 안테나가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는, 중심도체의 외측에 통형의 외부도체를 갖는 내부커넥터에 인접하여 설치된 검출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 외부커넥터는 상기 내부커넥터의 중심도체와 결합하는 중심도체와, 상기 통형 외부도체의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쉘모양 외부도체를 갖고 있다. 상기 검출 단자는 탄성휨변형 가능하게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상기 내부커넥터와 외부커넥터의 양커넥터의 비결합시에 상기 검출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통형 외부도체와 간격을 형성하는 비접촉위치에 있고, 양커넥터의 결합시에는 상기 쉘모양 외부도체가 상기 간격에 진입하여 통형 외부도체의 외측에 끼워진 쉘모양 외부도체에 대하여 상기 검출단자의 접촉부가 탄성접촉된다. 이렇게하여, 상기 검출단자의 통형 외부도체와의 비접촉 그리고 접촉에 의해,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변환회로의 접속을 변환하고, 그 결과, 제 1 안테나 그리고 외부안테나의 한 쪽이 선택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커넥터의 통형 외부도체는 검출단자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출단자와 통형 외부도체가 비접촉상태에 있을 때, 그 비접촉을 확실하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중 도 1 내지 도 3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휴대전화기에 사용된 예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낸 종래예 장치와 공통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 (50) 에는, 도 4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호커넥터 (57) 가 장착된 접속기 (53)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기 (53) 에는 상기 신호커넥터 (57) 의 양측에 동축의 내부커넥터 (1) 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 (도면에서는 우측) 의 내부커넥터 (1) 에 인접하여 검출단자 (6) 도 설치되어 있다.
내부커넥터 (1) 는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체 (2) 의 중공부 (3) 내에 자형 (雌形) 의 중심도체 (4) 가 수납되고, 그 외측에는 양호한 고주파특성을 갖게 하기 위해, 통형 외부도체 (5) 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중심도체 (4) 및 통형 외부도체 (5) 는 절연체 (2) 로부터 돌출시킨 상단 (上端) 에 결선단부 (4A, 5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도체 (4) 의 하단부에는 슬릿 (4C)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변형에 의한 지름확대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통형 외부도체 (5) 의 하부에는 창모양의 노치부 (5B) 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로 이루어진 상기 접속기 (53) 에는, 상기 통형 외부도체 (5) 의 노치부 (5B) 에 면하는 측에 보호벽부 (53A) 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그 내면에 오목부 (53B)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벽은 필수가 아니며, 보호벽을 설치하지 않으면, 2 개의 내부커넥터간의 거리를 더 좁힐 수 있다. 상기 접속기 (53) 의 기부 (基部) 측에는, 홈 (53C) 내에 검출단자 (6) 가 유지되어 있다. 상기 검출단자 (6) 는 상기 접속기 (53) 의 기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탄성휨변형 가능한 형상ㆍ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검출단자 (6) 는 상단에 결선단부 (6A) 를 가지며, 하부에는 굴곡된 접촉부 (6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 (6B)는 상기 통형 외부도체 (5)의 노치부 (5B) 에 면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 (6B) 와 중심도체 (4) 의 하단부 (4B) 와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관계는, 상대방이 되는 동축의 외부커넥터 (52) 의 중심도체 (52A) 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도체 (4) 의 하단부 (4B) 에 접촉을 개시했을 때, 쉘모양 외부도체 (52B) 가 상기 접촉부 (6B) 에 근접해 있기는 하지만 아직 접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안테나측의 접속기 (54) 가 휴대전화기 (50) 측의 접속기 (53) 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도 1 및 도 2 의 상태에서, 전원 (61), 여자코일 (62) 을 포함하여 통형 외부도체 (5) 그리고 검출단자 (6) 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회로는 검출단자 (6) 와 통형 외부도체 (5) 에 있어서 열려 있고,여자코일 (62) 은 여자된 상태로 되고, 스위치 (63) 의 가동접점 (64) 은 내부안테나 (65) 측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외부안테나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커넥터 (52) 를 유지하는 접속기 (54) 가 상기 휴대전화기 (50) 의 접속기 (53) 에 결합되면, 접속기 (54) 에 유지되어 있는 외부커넥터 (52) 의 중심도체 (52A) 가, 도 2 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내부커넥터 (1) 의 중심도체 (3) 와 접촉을 개시하고, 쉘모양 외부도체 (52B) 가, 통형 외부도체 (5) 의 외측에 끼워진다. 즉, 중심도체 (52A, 4) 끼리가 접속되기 시작해도, 쉘모양 외부도체 (52B) 는 통형외부도체 (5) 와 접촉되어 있을 뿐이며, 검출단자 (6) 와는 아직 접촉되어 있지 않다.
쉘모양 외부도체 (52B) 의 통형 외부도체 (5) 에의 외측 끼워짐이 더욱 진행되면, 중심도체 (52A, 4) 끼리의 접촉이 유지된 채, 상기 쉘모양 외부도체 (52B)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단자 (6) 의 접촉부 (6B) 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술한 전원 (61), 여자코일 (62) 을 포함하여 통형 외부도체 (5) 그리고 검출단자 (6) 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회로는 폐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여자코일 (62) 이 여자되어 가동접점 (64) 은 내부커넥터 (1) 의 중심도체 (5) 측에 접속된다 (도 1 에서 상측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수신회로 (66) 는 이 중심도체 (5) 그리고 외부커넥터 (52) 를 거쳐 외부안테나측으로 변환된다 당연한 것이지만, 이 시점에서는, 신호커넥터들 (57, 58) 사이는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부커넥터 (1) 의 통형 외부도체 (5) 에 노치부 (5B) 를 형성했지만, 외부커넥터 (52) 와의 비결합시에, 검출단자(6) 의 접촉부 (6B) 가 확실하게 통형 외부도체 (5) 와 비접촉상태에 있다면, 상기 노치부 (5B) 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내부커넥터에 인접하여 이 내부커넥터 (51) 의 통형 외부도체에 거의 평행하게 하나의 검출단자를 설치하고, 외부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상기 검출단자가 접촉되는 것만으로, 제 1 및 제 2 안테나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했으므로,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가 극히 간단한 구조로 된다. 그 결과, 2 개의 외부커넥터를 병용할 때는, 예를 들면, 신호커넥터가 폭방향으로 작은 경우에는, 양자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서 작게 할 수 있어, 안테나를 사용하는 장치의 소형화에도 연계된다. 또, 높이방향으로 신호단자와 겹치도록 하여 변환단자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높이방향으로도 소형화된다.

Claims (2)

  1. 기기내의 수신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안테나를 기기외의 제 2 안테나로 변환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로서, 수신회로측에 설치된 내부커넥터와 이것에 결합되는 외부커넥터의 양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외부커넥터에 제 2 안테나가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중심도체의 외측에 통형 외부도체를 갖는 내부커넥터에 인접하여 설치된 검출단자를 구비하고, 외부커넥터가 상기 내부커넥터의 중심도체와 결합하는 중심도체와, 상기 통형 외부도체의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쉘모양 외부도체를 가지고, 상기 검출단자가 탄성휨변형 가능하게 스프링성을 갖고 있어, 양커넥터의 비 결합시에 상기 검출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통형 외부도체와 간격을 형성하는 비접촉 위치에 있고, 양커넥터의 결합시에는 상기 쉘모양 외부도체가 상기 간격에 진입하여 통형 외부도체의 외측에 끼워진 쉘모양 외부도체에 대하여 상기 검출단자의 접촉부가 탄성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커넥터의 통형 외부도체는 검출단자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
KR10-1998-0005958A 1997-03-06 1998-02-25 안테나변환용동축커넥터 KR100353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750897A JP3267890B2 (ja) 1997-03-06 1997-03-06 アンテナ切換用同軸コネクタ
JP97-67508 199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768A KR19980079768A (ko) 1998-11-25
KR100353296B1 true KR100353296B1 (ko) 2003-03-06

Family

ID=1334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958A KR100353296B1 (ko) 1997-03-06 1998-02-25 안테나변환용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44546A (ko)
EP (1) EP0869584B1 (ko)
JP (1) JP3267890B2 (ko)
KR (1) KR100353296B1 (ko)
CA (1) CA2231009A1 (ko)
DE (1) DE6980298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83Y1 (ko) 2008-05-23 2010-12-07 김경훈 안테나용 동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1001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同軸コネクタ組立体
JP2000059478A (ja) * 1998-08-07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US6142804A (en) * 1999-03-09 2000-11-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ing connector
US6545562B2 (en) * 2001-02-09 2003-04-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Plug connector for cable television network and method of use
JP4162525B2 (ja) 2003-03-28 2008-10-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周波無線用コネクタユニット
US7049531B2 (en) * 2003-05-29 2006-05-23 Pent Technologies, Inc. Modular electrical component with electrical circuit selector assembly
JP4199597B2 (ja) 2003-05-30 2008-12-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アンテナ用コネクタ
KR100809079B1 (ko) 2006-08-07 2008-03-03 (주)기가레인 고주파 신호의 스위칭을 위한 리셉터클 및 이에 결합되는플러그 및 내마모성이 강화된 리셉터클과 플러그
JP4865848B2 (ja) * 2009-12-07 2012-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設置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同軸コネクタ
TWI560959B (en) * 2013-05-29 2016-12-01 Arcadyan Technology Corp Switching module and connector
US10117603B2 (en) 2015-06-27 2018-11-06 Intel Corporation Field-of-view ocular and facial alignment guides
US9941643B2 (en) 2015-12-26 2018-04-10 Intel Corporation Connectors with switchable terminal loads
KR102600986B1 (ko) * 2016-09-28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522928B1 (en) * 2019-01-15 2019-12-31 Suzhou E-Con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plug, electric connector socket,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DE202019103485U1 (de) 2019-06-24 2020-10-0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Diagnosesteckverbindung, Diagnosekopf und Diagnosesystem
US11289791B1 (en) * 2020-11-10 2022-03-29 Motorola Solutions, Inc. Antenna connector with integrated coaxial 50-ohm radio-frequency switch
KR20220096918A (ko) * 2020-12-31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231A (en) * 1986-06-26 1987-05-19 Amp Incorporated Switching coaxial connector
JPH0522178A (ja) * 1991-07-12 1993-01-29 Toyo Commun Equip Co Ltd 携帯無線機の内外アンテナ切換え装置
US5453019A (en) * 1992-12-07 1995-09-26 The Whitaker Corporation Internal/external antenna switch connector
JP2660789B2 (ja) * 1993-01-29 1997-10-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回路切替えスイッチ付コネクタ
NL9302115A (nl) * 1993-12-06 1995-07-03 Connector Systems Tech Nv Coax-connector met impedantiesturing.
FR2716039B1 (fr) * 1994-02-04 1996-04-26 Radiall Sa Connecteur électrique coaxial réalisant également une fonction de commutation.
US5538435A (en) * 1994-09-14 1996-07-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input/output connector with switchable conta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83Y1 (ko) 2008-05-23 2010-12-07 김경훈 안테나용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44546A (en) 1999-08-31
EP0869584A1 (en) 1998-10-07
JP3267890B2 (ja) 2002-03-25
CA2231009A1 (en) 1998-09-06
DE69802988D1 (de) 2002-01-31
EP0869584B1 (en) 2001-12-19
JPH10255915A (ja) 1998-09-25
KR19980079768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296B1 (ko) 안테나변환용동축커넥터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KR100984899B1 (ko) 동축 커넥터
US6520785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100560354B1 (ko)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JP3027570B1 (ja) コネクタ構造
EP1381120B1 (en) PCB-mounted switch
JP3422485B2 (ja) ジャック
JP2010278007A (ja) 小型スイッチコネクタ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6439906B1 (en) Coax switch assembly
EP1469565B1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KR20140126221A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6030240A (en) Coaxial connectors
JPH09213421A (ja) 無線通信端末機用切替型コネクタ及びそれに結合される接続プラグ
US10847906B2 (en) Connection switching device
EP1174960A1 (en)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JP3079274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H11251001A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US5993231A (en) Electric connector
EP1041680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a coaxial connector
JP2001339225A (ja) 平面アンテナの接続装置
JP2001035606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KR200249706Y1 (ko)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JPH09223548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