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918A -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918A
KR20220096918A KR1020200189776A KR20200189776A KR20220096918A KR 20220096918 A KR20220096918 A KR 20220096918A KR 1020200189776 A KR1020200189776 A KR 1020200189776A KR 20200189776 A KR20200189776 A KR 20200189776A KR 20220096918 A KR20220096918 A KR 20220096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s
branch
radio wav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우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918A/ko
Priority to US17/349,200 priority patent/US11619664B2/en
Priority to CN202110805137.4A priority patent/CN114690083A/zh
Priority to DE102021123905.2A priority patent/DE102021123905A1/de
Publication of KR2022009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기로 복수의 커넥터 중 연결 상의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넥팅 시스템은, 배터리와 일측이 연결되어 고전압을 분기하는 분기 커넥터, 상기 분기된 고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부하 커넥터와 상기 분기 커넥터의 연결 시에, 상기 부하 커넥터 내부의 제2 인터락 회로와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분기 커넥터 내부의 제1 인터락 회로, 상기 폐회로가 구성되면 전력을 공급받아 전파를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기 커넥터를 식별하고,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도체패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DEFECTS OF CONNECTOR, AND CONNECTORING SYSTEM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기로 복수의 커넥터 중 연결 상의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고전압 배터리는 전기차를 구동하는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전기차에 탑재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에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내부 버스 바를 통해 각 디바이스(부하)로 전력을 분배하는 고전압 정션박스(또는 고전압 정션블록)가 탑재될 수 있다. 이때, 고전압 정션박스는, 복수의 디바이스(부하) 각각의 암 커넥터(CONNECTOR FEMAL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수 커넥터(CONNECTOR MALE)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시스템은 고전압 정션박스 측의 수 커넥터(CONNECTOR MALE)와,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하 측의 암 커넥터(CONNECTOR FEMALE)를 포함하고, 정상적인 상태에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연결되면,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각 디바이스(부하)로 에너지가 공급된다.
또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 각각에는 인터락 단자가 구비되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 간의 인터락 단자를 경유하는 인터락 회로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 간 의도하지 않은 탈거 등이 발생하면 인터락 회로에 의해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커넥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1은 복수의 커넥터 간의 연결이 모두 정상 상태에 대한 일 예시이고, 도 2는 일부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은 비정상 상태에 대한 일 예시이다. 이때, 도 1 및 도 2는 복수의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기가 하나인 경우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가 모두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인터락 회로가 닫혀 인터락 폐회로가 구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러면 제어기가 인터락 회로 내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하여 복수의 커넥터가 모두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 중 하나라도 탈거되면 인터락 회로가 오픈됨을 감지할 수 있으나, 어느 커넥터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정확히 구분하여 감지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도 3은 종래 커넥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커넥터 각각에 대해 제어기를 구비하여 커넥터 연결의 정상 또는 비정상을 확인하는 기술에 대한 예시이다. 이 경우, 커넥터 각각에 대해 인터락 회로 및 제어기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일부 커넥터가 탈거 되는 등의 비정상 연결이 발생하더라도, 탈거된 커넥터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부하 커넥터의 수에 대응하는 인터락 회로 및 제어기가 필요하여, 구현상의 비용이 증가하고 정션박스 내부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기로 복수의 커넥터 중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은, 배터리와 일측이 연결되어 고전압을 분기하는 분기 커넥터, 상기 분기된 고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부하 커넥터와 상기 분기 커넥터의 연결 시에, 상기 부하 커넥터 내부의 제2 인터락 회로와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분기 커넥터 내부의 제1 인터락 회로, 상기 폐회로가 구성되면 전원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파를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기 커넥터를 식별하고,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도체패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 안테나는, 상기 제1 인터락 회로의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터락 회로 및 상기 송신 안테나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는,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 대역폭의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는,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출하는 모노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면,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가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수신된 전파를 매칭하여 상기 분기 커넥터의 식별 및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은, 배터리와 일측이 연결되어 고전압을 분기하는 분기 커넥터와, 상기 분기된 고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부하 커넥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커넥터 중 연결 상의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분기 커넥터와 상기 부하 커넥터의 연결 시에 상기 분기 커넥터 내부의 제1 인터락 회로와 상기 부하 커넥터 내부의 제2 인터락 회로가 연결되어 폐회로가 구성되면, 전력을 공급받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가 송출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진 주파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도체패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resonance frequency band)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resonance frequency bandwith)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할 수 있다.
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resonance frequency band)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resonance frequency bandwith)을 룩업 테이블과 매칭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면, 대응하는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가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커넥터에 안테나의 공진회로를 탑재하여 개별 커넥터를 공진 주파수로 식별하고,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각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커넥터가 탑재되는 장치에서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커넥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커넥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커넥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커넥터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공진주파수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커넥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커넥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커넥터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공진주파수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커넥팅 시스템은 커넥터(100), 인터락 회로(200), 송신 안테나(300), 전원부(400), 수신 안테나(500), 그리고 제어기(600)를 포함한다.
커넥터(100)는, 배터리와 일측이 연결되어 배터리의 고전압을 분기하는 분기 커넥터(110)와, 분기된 고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부하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분기 커넥터(110)와 부하 커넥터(130)는 서로 쌍을 이루어 수 커넥터(MALE CONNECTOR) 및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시스템은 복수의 커넥터(100: 100A, 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100: 100A, 100B, 100C)는 복수의 분기 커넥터(110: 110A, 110B, 110C) 각각과 쌍을 이루는 복수의 부하 커넥터(130: 130A, 130B,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분기 커넥터(110: 110A, 110B, 110C)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복수의 부하로 분배하는 정션박스(JB, junction box)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락 회로(200)는 분기 커넥터(1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인터락 회로(210) 및 부하 커넥터(130)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인터락 회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인터락 회로(210)에 연결되는 제1 인터락 단자(미도시)는 분기 커넥터(110) 외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인터락 회로(230)에 연결되는 제1 인터락 단자(미도시)는 부하 커넥터(130) 외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기 커넥터(110) 및 부하 커넥터(130)가 연결(결합)될 때 제1 인터락 단자 및 제1 인터락 단자도 연결(결합)한다. 그러면, 제1 인터락 회로(210) 및 제2 인터락 회로(230)가 연결되고, 인터락 회로(200)는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폐회로가 구성된 인터락 회로(200)의 일단은 분기 커넥터(110)에 위치하는 송신 안테나(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 커넥터(110)에 위치하는 전원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폐회로가 구성된 인터락 회로(200)의 일단은 부하 커넥터(130)에 위치하는 송신 안테나(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 커넥터(110)에 위치하는 전원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인터락 회로(200)의 폐회로가 구성되면, 전원부(400)에서 송신 안테나(30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송신 안테나(300)는 전원부(4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 안테나(300)는 제1 인터락 회로(2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송신 안테나(300)는 제2 인터락 회로(23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300)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도체패턴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진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 대역(resonance frequency band)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resonance frequency bandwith)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도체패턴의 길이 또는 두께 등에 따라 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 각각은 서로 상이한 도체 패턴을 포함하여 공진 주파수(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가 상이한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인터락 회로(210)의 일단에 위치하는 송신 안테나(300)는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로 구성되고,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 각각의 도체패턴(L1, L2, L3)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 인터락 회로(230)의 일단에 위치하는 송신 안테나(300)는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로 구성되고,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 각각의 도체패턴(L1, L2, L3)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 각각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체 패턴은, 동박(copper fil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박의 길이, 동박의 모양, 또는 동박의 두께 등에 따라, 송신 안테나(300)가 송출하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이 상이할 수 있다.
전원부(400)는 인터락 회로(200)의 폐회로가 구성되면 송신 안테나(3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1 인터락 회로(210)의 타단 또는 제2 인터락 회로(23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400)는 저전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 안테나(500)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에서 송출된 전파를 수신하여 제어기(6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500)는, 다양한 공진 주파수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600)는 수신된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커넥터(100)를 식별하고, 수신된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커넥터(100)의 연결상 하자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600)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넥터(100: 100A, 100B, 100C)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표 1을 참고하면, 제어기(600)는 수신된 전파의 공진 주파수를 룩업 테이블과 매칭하여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분기 커넥터(110: 110A, 110B, 110C)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기(600)는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넥터(100: 100A, 100B, 100C) 중 연결상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100)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표 1을 참고하면, 제어기(600)는 룩업 테이블의 각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기준값을 공진 주파수에 매칭되는 전파의 전계 세기와 비교하고, 전계 세기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면 커넥터(100)의 연결 상 하자가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600)는 부하 커넥터(130)와 연결 상 하자가 발생 한 분기 커넥터(110: 110A, 110B, 110C)를 식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고하면, 전계 세기는, 전파의 세기에 대한 일 예시이다. 예를 들어, 전계 세기는 전파의 전기장의 세기로 나타낼 수 있다. 전기장의 세기(V/m)는 실효길이 1(m) 안테나에 유기되는 전압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전기장의 세기는 1(㎶/m)를 기준세기로 하여 데이벨[dB]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은, 커넥터(100)가 정상 연결되는 경우 송신 안테나(300)가 송출하는 전파의 전계 세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 커넥터(100A) 및 제3 커넥터(100C)는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제2 커넥터(100B)는 연결이 불완전, 또는 탈거 등에 의해 연결 상 하자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제2 커넥터(100B)에 대응하는 제2 송신 안테나(300B)가 송출하는 전파의 전계 세기는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수 있다. 이하, 제1 송신 안테나(300A), 제2 송신 안테나(300B) 및 제3 송신 안테나(300C) 각각은 제1 커넥터(100A), 제2 커넥터(100B) 및 제3 커넥터(100C)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신 안테나(300)이다.
커넥터(100)의 연결이 정상적이면, 송신 안테나(300)는 전원부(4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기 설정된 전계 세기에 대응하는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그러면, 각 전파의 방사성능을 보여주는 지표인 반사계수(reflection coefficient)도 기 설정된 값을 보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송신 안테나(300A), 제2 송신 안테나(300B) 및 제3 송신 안테나(300C) 각각이 송출하는 전파의 반사계수는 기 설정된 값을 보여준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주파수 3, 2, 1 각각은 제1 송신 안테나(300A), 제2 송신 안테나(300B) 및 제3 송신 안테나(300C) 각각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커넥터(100)의 연결이 비정상적이면(즉, 연결 상 하자가 발생하면), 예를 들어, 제2 커넥터(100B)의 연결이 비정상적이면, 제2 송신 안테나(300B)는 전원부(400)로부터 전력을 정상적으로 공급받지 못하여 기 설정된 전계 세기에 대응하는 전파를 송출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면, 전파의 방사성능을 보여주는 지표인 반사계수도 기 설정된 값을 보이지 못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송신 안테나(300A) 및 제3 송신 안테나(300C)가 송출한 전파의 반사계수는 도 7에 도시된 반사계수와 동일하나, 제2 송신 안테나(300B)가 송출한 전파의 반사계수는 도 7에 도시된 반사계수와 상이하며 기 설정된 값을 보이지 못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주파수 3, 2, 1 각각은 제1 송신 안테나(300A), 제2 송신 안테나(300B) 및 제3 송신 안테나(300C) 각각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반사계수는, 특정 포트로 인가된 전압 대비 반사된 전압의 비율이며, 전파의 방사특성을 보여주는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계수가 '0'이면, 인가된 전압이 시스템 내부에서 전부 방사되거나 소모됨을 의미할 수 있다. 반사계수가 '1'이면, 인가된 전압이 시스템 내부에서 방사되거나 소모되지 않고 전부 반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기(600)는 수신 안테나(500)를 통해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에서 송출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 각각은 서로 상이한 도체 패턴을 포함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band)이 상이한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 300A, 300B, 300C) 각각은 서로 상이한 도체 패턴을 포함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폭(bandwidth)이 상이한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기(600)는,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넥터(100A, 100B, 100C)를 식별할 수 있다(S200).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제어기(600)는 수신된 전파의 공진 주파수를 룩업 테이블과 매칭하여 복수의 커넥터(100A, 100B, 100C)를 식별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복수의 커넥터(100A, 100B, 100C), 복수의 송신 안테나(300A, 300B, 300C), 및 복수의 공진 주파수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기(600)는,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커넥터(100A, 100B, 100C) 중 연결 상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100)를 검출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제어기(600)는, 전계 세기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면, 대응하는 커넥터(100)에 연결 상 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값은, 복수의 공진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전계 세기에 대한 기준값으로, 룩업 테이블에 기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배터리와 일측이 연결되어 고전압을 분기하는 분기 커넥터,
    상기 분기된 고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부하 커넥터와 상기 분기 커넥터의 연결 시에, 상기 부하 커넥터 내부의 제2 인터락 회로와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분기 커넥터 내부의 제1 인터락 회로,
    상기 폐회로가 구성되면 전원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파를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기 커넥터를 식별하고,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도체패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는,
    상기 제1 인터락 회로의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는, 커넥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락 회로 및 상기 송신 안테나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는,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 대역 또는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 대역폭의 전파를 송출하는, 커넥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는,
    서로 상이한 공진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출하는 모노폴 안테나로 구성되는, 커넥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면,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가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하는, 커넥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룩업 테이블과 상기 수신된 전파를 매칭하여 상기 분기 커넥터의 식별 및 상기 식별된 분기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시스템.
  7. 배터리와 일측이 연결되어 고전압을 분기하는 분기 커넥터와, 상기 분기된 고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부하 커넥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커넥터 중 연결 상의 하자가 발생한 커넥터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분기 커넥터와 상기 부하 커넥터의 연결 시에 상기 분기 커넥터 내부의 제1 인터락 회로와 상기 부하 커넥터 내부의 제2 인터락 회로가 연결되어 폐회로가 구성되면, 전력을 공급받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가 송출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진 주파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도체패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resonance frequency band)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resonance frequency bandwith)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전파의 공진 주파수 대역(resonance frequency band) 또는 공진 주파수 대역폭(resonance frequency bandwith)을 룩업 테이블과 매칭하여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식별하는,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의 연결 상 하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파의 전계 세기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면, 대응하는 커넥터의 연결 상 하자가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하는,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KR1020200189776A 2020-12-31 2020-12-31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KR20220096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76A KR20220096918A (ko) 2020-12-31 2020-12-31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US17/349,200 US11619664B2 (en) 2020-12-31 2021-06-16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defect of connector, and connecting system providing the method
CN202110805137.4A CN114690083A (zh) 2020-12-31 2021-07-16 检测连接器的连接缺陷的方法及提供该方法的连接系统
DE102021123905.2A DE102021123905A1 (de) 2020-12-31 2021-09-15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s verbindungsfehlers eines verbinders und dieses verfahren bereitstellendes verbindung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76A KR20220096918A (ko) 2020-12-31 2020-12-31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918A true KR20220096918A (ko) 2022-07-07

Family

ID=8197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776A KR20220096918A (ko) 2020-12-31 2020-12-31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9664B2 (ko)
KR (1) KR20220096918A (ko)
CN (1) CN114690083A (ko)
DE (1) DE1020211239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890B2 (ja) * 1997-03-06 2002-03-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切換用同軸コネクタ
JP4324059B2 (ja) * 2004-09-03 2009-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cタグ実装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9472A1 (en) 2022-06-30
DE102021123905A1 (de) 2022-06-30
US11619664B2 (en) 2023-04-04
CN114690083A (zh)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8755C (zh) 用于数据通信的菊链式电感耦合器装置及方法
KR0130422B1 (ko) 비접촉형 회전커플러
CN104995793A (zh) 电池系统
CN108944495B (zh) 通过电动车用充电电缆传输能量和信息的装置
US9520916B2 (en) Vehicular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er
US20120086517A1 (en) Impedance stabilization device
CN104541407A (zh) 包括隔离提供设备的双极化天线
CN110198586B (zh) 一种监控器、灯控系统及控制灯具的方法
US10305549B2 (en)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ale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KR20220096918A (ko) 커넥터의 연결 하자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커넥팅 시스템
WO2023117084A1 (en) Microwave antenna probe
CN101938075A (zh) 自动化装置
EP1241740A1 (en)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CN209487759U (zh) 连接器、同轴电缆组件、印刷电路板组件以及天线系统
CN115001622B (zh) 一种射频隔离系统和隔离方法
EP0935865B1 (en) Electrical data communications coupler with voltage and current mode transformer
JPH05211509A (ja) データ伝送ネットワークの接続装置
JP3990335B2 (ja) 電力分配器及びアンテナ装置
CN221009248U (zh) 馈电系统和相控阵天线
EP2843776B1 (en) U-link connector for RF signals with integrated bias circuit
CN217643374U (zh) 一种隔离组件、隔离装置和通信系统
US20240160591A1 (en) I/o unit, master unit, and communications system
CN220914569U (zh) 天线组件、麦克风和车辆
WO2024009616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049669A (ja) 漏洩伝送線路の故障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