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194B1 -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194B1
KR100353194B1 KR1019990042658A KR19990042658A KR100353194B1 KR 100353194 B1 KR100353194 B1 KR 100353194B1 KR 1019990042658 A KR1019990042658 A KR 1019990042658A KR 19990042658 A KR19990042658 A KR 19990042658A KR 100353194 B1 KR100353194 B1 KR 10035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power
lever
control mechanism
thermal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816A (ko
Inventor
하야시유이치
시미즈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0002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신속한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화력조절기구(1B)의 브래킷(23)에 축지지되는 조작레버(32)를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킴에 따라서 화력이 조절되는 것에 있어서, 브래킷(23)에 축(23e)을 설치함과 아울러 조작레버(32)에 축구멍(32d)을 형성하여 축구멍(32d)을 축(23e)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축구멍(32d)의 주위를 브래킷(23)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24)를 브래킷(23)에 부착하여 조작레버(32)를 브래킷(23)에 유지시킨다.

Description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Thermal power controller for a burner in a gas appliance}
본 발명은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력조절기구의 베이스부에 축지지되는 조작레버를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킴에 따라서 화력이 조절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화력조절기구로서는, 화력조절기구의 베이스부의 축구멍에 끼워지는 축핀을 이용하여 조작레버를 코킹에 의하여 베이스부에 부착한 것이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 평8-1782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를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로 회동시키는 도중에,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가이드의 단부(段部)에 조작레버의 가이드부를 맞닿게 하여 조작레버가 단번에 '약'화력위치까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화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이 화력조절기구에 있어서의 조작레버는 축지지되는 레버기판과 이 레버기판에 스프링 조인트를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버본체를 스프링 조인트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요동시켜 가이드의 단부와 가이드부의 맞닿음 상태를 해제하면, 조작레버를 '약'화력위치까지 더 회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조작레버를 코킹에 의하여 부착하는 경우에는 축핀을 적절한 강도로 정확하게 코킹가공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다수의 부착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 실화방지를 위해서 조작레버를 2개의 부재(레버기판과 레버본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부품수가 증가함과 아울러 화력조절기구의 조립시에 조작레버의 조립이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부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고 또한 1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조작레버가 사용됨으로써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a는 화력조절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b는 화력조절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화력조절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은 브래킷에 부착되는 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조작레버의 축지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강구(steel ball)의 움직임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B : 화력조절기구 2 : 본체 (베이스부의 일부)
4 : 밸브체 5 : 강구 (구형체)
23 : 브래킷 (베이스부의 일부) 23e : 축
24 : 스프링부재 24c : 볼록부
24k : 걸어맞춤구멍 32 : 조작레버
32d : 축구멍 32k : 장공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기구로서, 화력조절기구의 베이스부에 축지지되는 조작레버를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킴에 따라서 화력을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화력조절기구의 베이스부에 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조작레버에 축구멍을 형성하여 축구멍을 축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축구멍의 주위를 베이스부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베이스부에 부착하여 조작레버를 베이스부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축구멍을 축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스프링부재를 부착하면 조작레버가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조작레버를 부착할 때에 필요로 하였던 코킹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조작레버의 부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한 구성으로 하면, 조작레버를 회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들어 올림으로써 조작레버를 경동(傾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조작레버를 경동시키면 축구멍의 축에 대한 축지지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조작레버를 기울인 채로 회동시켰을 때에 조작레버가 축에서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가 조작레버의 축구멍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조작레버를 기울였을 때에도 축구멍과 볼록부가 끼워맞춰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조작레버를 기울인 상태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1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조작레버를 경동가능하게 또한 기울인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2개의 부재, 즉 조작레버를 축지지하는 부분과 이 부분에 대하여 경동가능한 부분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조작레버를 1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면, 화력조절기구의 조립시에 별도로 조작레버를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력조절기구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축구멍 근방에, 축구멍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로 교차하는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내에 조작레버의 회동에 따라서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형체를 삽입하고, 이 구형체를 상기 스프링부재로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탄지하고, 조작레버가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의 소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장공의 외주측 단부에 있는 구형체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을 스프링부재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레버를 회동시켰을 때에 장공내의 구형체가 회동방향에 따라 장공내의 양 단부중 어느 일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장공은 축구멍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구형체의 이동경로는 조작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구형체는 조작레버를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로 회동시키는 조임조작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만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춰진다. 구형체가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약'화력위치측으로 더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구형체를 걸어맞춤구멍으로부터 탈출시키는 힘이 필요하다. 이 탈출시키는 힘을 클릭(click)감으로서 조작자에게 부여함으로써 조작레버가 단번에 '약'화력위치까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에는 조작레버에 형성한 돌기를 스토퍼에 맞닿게 하여 조작레버가 단번에 회동되는 것을 제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를 '약'화력위치까지 더 회동시킬 때에는 제지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레버를 회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서 경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릭감을 부여함에 의해서 조작레버가 단번에 '약'화력위치까지 회동되는 것을 제지하도록 하면, 조임조작시에 조작레버를 경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조임조작의 조작성이향상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곤로 등의 가스기기에 사용되는 버너의 연소제어유닛을 나타내며, 이 연소제어유닛(1)은 버너에 대한 연료가스의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점화/소화제어기구(1A)와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기구(1B)로 구성된다. 또한, 점화/소화제어기구(1A)는 종래의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력조절기구(1B)는 점화/소화제어기구(1A)에 부착되는 본체(2)와 연료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기구(3)를 구비한다. 본체(2)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통로(21)는 점화/소화제어기구(1A)의 연료가스출구(H)에 그 하단이 연통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메인통로(21a)와 이 메인통로(21a)의 상부에 연통되는 분기통로(2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화/소화제어기구 (1A)에서 메인통로(21a)로 공급된 연료가스는 분기통로(21b)를 통하여 버너측으로 공급된다. 또, 메인통로(21a)에는 상측에서 밸브체(4)가 삽입되어 있으며, 메인통로(21a)의 내측 둘레벽에는 분기통로(21b)와 접속되는 접속부보다도 하측이 되는 위치에 상기 밸브체(4)가 맞닿는 밸브시트(2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2)위에는 브래킷(2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본체(2)와 브래킷(23)에 의하여 후술하는 되돌림 레버(31)를 축지지하는 베이스부가 구성된다. 브래킷(2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23a)과, 홈캠(23b)이 형성되는 측판(23c)과, 상판(23a)의 전방부에 절곡부를 통하여 연이어 형성되는 전판(23d)을 구비한다. 상판(23a)의 상면에는 원반형상의 돌기인 축(23e)이 하프 블랭킹(half blanking)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판(23a)의 전후단에는 걸어맞춤돌기(23f,23f)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판(23a)과 전판(23d)의 절곡부에는 슬릿(23g)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판(23d)에는 후술하는 조작레버(32)의 회동을 제지하는 스토퍼(23h)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통로(21a)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기부(41)와, 이 기부(41)에서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중계부(42)와, 이 중계부(42)의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그 하단이 밸브시트(22)에 맞닿는 조임부(43)를 구비한다. 밸브체(4)는 메인통로(21a)를 따라서 진퇴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임부(43)와 밸브시트(22)의 거리(틈새)에 따라서 가스의 유량이 조절된다. 기부(41)의 상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핀(44)이 부착되어 있다. 핀(44)은 브래킷(23)의 측판(23c)에 메인통로(21a)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홈캠(23b)에 걸어맞춰져 있다. 밸브체(4)는 축선 주위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핀(44)에 회동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면, 홈캠(23b)에 안내되어 밸브체(4)가 회동하면서 메인통로(21a)를 따라서 진퇴이동한다. 또한, 기부(41)의 외측 둘레에는 기밀용 O링(45)이 부착되어 있다.
조절기구(3)는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되돌림 레버(31)와 이 되돌림 레버(31)를 회동시키는 조작레버 (32)를 구비한다. 되돌림 레버(31)는 화력조절기구(1B)의 본체(2)에 메인통로(21a)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면(面)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축핀(31b)에 의하여 축지지되고 있으며, 그 상부는 브래킷(23)의 측판(23c)에 평행하게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되돌림 레버(31)의 상부에는 이 되돌림 레버(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1a)에는 홈캠(23b)에 끼워지는 밸브체(4)의 핀(44)이 끼워져 있다.
조작레버(32)는 브래킷(23)의 상판(23a)에 형성된 축(23e)에 축지지되는 폭이 넓은 레버 기단부(32a)와, 조작레버(32)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단턱부(32b)와, 단턱부(32b)를 통하여 레버 기단부(32a)에 연이어 형성되는 폭이 좁은 박판상의 레버 선단부(32c)를 구비한다. 레버 기단부(32a)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구멍(32d)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기(32e)와, 레버 선단부(32c)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편(32f)과, 사각형의 걸어맞춤구멍(32g)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32g)에는 되돌림 레버(31)의 상단에 형성된 걸어맞춤편(31c)이 걸어맞춰져 있으며, 따라서 조작레버(32)를 회동시키면, 되돌림 레버(31)가 회동함과 동시에 이 되돌림 레버(31)의 슬릿(31a)에 끼워져 있는 핀(44)이 회동함으로써 밸브체(4)가 회동된다. 핀(44)은 브래킷(23)의 캠홈(23b)에도 끼워져 있기 때문에, 밸브체(4)는 회동함과 동시에 메인통로(21a)내를 진퇴이동하여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축구멍(32d)은 브래킷(23)의 축(23e)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또, 돌기(32e)가 브래킷(23)의 슬릿(23g)내에 끼워짐으로써, 조작레버(32)의 회동가능한 범위가 상기 돌기(32e)가 상기 슬릿(23g)의 양 단부에 맞닿는 범위내로 제한된다.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레버(32)는 도 1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 돌출편(32f)은 절곡(折曲)되어 레버 기단부(32a)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레버 기단부(32a)가 브래킷(23)의 상판(23a)에 접한 상태에서 조작레버(32)를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측으로 회동시키면, 즉 조임조작방향(도 1b에 있어서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돌출편(32f)이 스토퍼(23h)에 맞닿아서 조작레버(32)의 회동이 제지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조작레버(32)가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로 급격히 회동되어 버너의 불꽃이 실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조작레버(32)는 그 상측에서 브래킷(23)에 부착되는 스프링부재(24)에 의하여 유지된다. 스프링부재(24)는 스프링 강으로 된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기단부(32a)의 축구멍(32d) 주위를 덮는 덮개부(24a)와 이 덮개부(24a) 양측에 형성되는 절곡부(24b,24b)를 구비한다. 덮개부(24a)는 그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의 단면형상이 대략 M자형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덮개부(24a)의 중앙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2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24c)가 조작레버(32)의 축구멍(32d)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절곡부(24b,24b)에는 걸어맞춤슬릿(24d)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걸어맞춤슬릿(24d)을 브래킷(23)의 상판(23a)의 전후단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23f)에 걸어맞춤으로써 스프링부재(24)를 브래킷(23)에 부착한다. 양 걸어맞춤슬릿(24d)은 덮개부(24a)를 브래킷(23)측으로 눌러붙임으로써 걸어맞춤돌기(23f)에 걸어맞춰지는 것이고, 레버 기단부(32a)의 축구멍(32d)의 주위는 스프링부재(24)에 의해서 브래킷(23)에 눌려 붙여진다.
그런데, 스프링부재(24)는 단면형상이 대략 M자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브래킷(23)과 스프링부재(24)에 의해서 축지지되는 조작레버(32)의 레버 선단부(32c)를 스프링부재(24)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상방향(도 1a에 있어서의 화살표 U참조)으로 들어 올려서 경동(傾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돌출편(32f)이 스토퍼(23h)에 맞닿아서 '약'화력위치측으로의 회동이 제지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조작레버(32)를 경동시키면(도 1a 참조), 돌출편(32f)과 스토퍼(23h)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32f)의 하면이 스토퍼(23h) 위에 놓여지게 되므로, 조작레버(32)를 '약'화력위치측으로 더 회동시킬 수 있다. 또, 조작레버(32)를 들어 올려서 경동시키더라도 스프링부재(24)의 볼록부(24c)가 조작레버(32)의 축구멍(32d)에 끼워맞춰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조작레버(32)를 기울인 상태에서 브래킷(23)의 축(23e)에서 빠지는 일 없이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32)를 '약'화력위치측으로 회동시킬 때, 돌출편(32f)이 스토퍼(23h)에 맞닿아서 회동이 제지되었을 때에는, 레버 선단부(32c)를 들어 올려서, 즉 조작레버(32)를 경동시켜서 돌출편(32f)과 스토퍼(23h)의 맞닿음 상태를 해제한 후, 조작레버(32)를 '약'화력위치측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단지 스프링부재(24)를 부착하는 것만에 의하여 조작레버(32)를 브래킷(23)에 신속하게 또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32)를 1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32)를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력조절기구(1B)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조작레버(32) 및 이것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화력조절기구(1B)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체(2)의 스토퍼(23h) 및 조작레버(32)의 돌출편(32f)에 대응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조작레버(32)를 경동시키는 일 없이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레버(32)의 축구멍(32d) 근방에 장공(32k)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32k)내에는 강구(steel ball)(5)가 삽입되어 있다. 또, 스프링부재(24)의 덮개부(24a)에는 강구(5)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24k)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레버(32)의 장공(32k)은 브래킷(23)의 상판(23a)과 스프링부재(24)의 덮개부(24a) 사이에 놓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공(32k)내의 강구(5)는 스프링부재(24)에 의해서 브래킷(23)측으로 탄지된다.
또한, 장공(32k)은 그 길이방향측이 축구멍(32d)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로 교차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32)를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로 회동시키면, 즉 조임조작방향(도 6에 있어서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화력위치에 있어서 장공(32k)내의 일측 단부가 되는 내주측 위치(P1)에 있던 강구(5)가 조작레버(32)의 축구멍(32d)에서 멀어지는 외주측으로(경로 a를 따라서) 이동하여 장공(32k)내의 타측 단부가 되는 외주측 위치(P2)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레버(32)를 조임조작방향(Y)으로 더 회동시키면, 강구(5)는 장공(32k)내의 외주측 위치(P2)에 유지된 채로 회동방향으로(경로 b를 따라서) 이동한다.
그 후, 화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레버(32)를 '약'화력위치에서 '강'화력위치로 회동시키면, 즉 개방조작방향(화살표 Y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약'화력위치에 있어서 외주측 위치(P2)에 있던 강구(5)가 축구멍(32d)측으로 접근하는 내측으로(경로 c를 따라서) 이동하여 장공(32k)내의 내주측 위치(P1)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레버(32)를 개방조작방향으로 더 회동시키면, 강구 (5)는 장공(32k)내의 내주측 위치(P1)에 유지된 채로 회동방향으로(경로 d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브래킷(23) 및 스프링부재(24)에 대한 강구(5)의 이동경로는 조작레버(32)를 회동시키는 방향에 따라서 달라진다.
스프링부재(24)의 걸어맞춤구멍(24k)은 이동경로 b상에서 강구(5)와 걸어맞출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레버(32)가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의 소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장공(32k)내의 외주측 위치(P2)에 있는 강구(5)와 걸어맞출 수 있는 위치에 걸어맞춤구멍(24k)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강구(5)는 조작레버(32)를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로 회동시킬 때에만, 즉 조임조작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만 걸어맞춤구멍(24k)에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강구(5)가 걸어맞춤구멍(24k)에 걸어맞춰졌을 때에, 조작레버(32)를 조임조작방향으로 더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강구(5)를 걸어맞춤구멍(24k)에서 탈출시키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 탈출시키는 힘이 클릭감으로서 조작자에게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서 조작레버(32)가 단번에 '약'화력위치까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작레버(32)가 '강'화력위치에서 '약'화력위치로 급격히 회동되어 버너의 불꽃이 실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강구(5)가 걸어맞춤구멍(24k)에 걸어맞춰질 때에, 강구(5)와 스프링부재(24) 사이에서 「철컥」하는 걸어맞춤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걸어맞춤음에 의하여 조작레버(32)의 회동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재(24)의 중앙부를 구부려서, 주로 강구(5)에 대한 스프링부재(24)의 탄지력이 강해지도록 조절하여 클릭감을 강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조작레버(32)를 1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레버(32)를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되고, 또 스프링부재(24)를 부착하는 것만에 의하여 조작레버(32)를 브래킷(23)에 신속하게 또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화력조절기구(1B)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클릭감을 부여함에 의해서 실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조임조작시에 조작레버(32)를 경동시킬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우수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를 1개의 부재로 구성할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작레버를 조립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조작레버의 부착을 신속하게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화력조절기구의 조립이 용이해 진다.

Claims (3)

  1.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기구로서, 화력조절기구의 베이스부에 축지지되는 조작레버를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킴에 따라서 화력을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화력조절기구의 베이스부에 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조작레버에 축구멍을 형성하여 축구멍을 축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축구멍의 주위를 베이스부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베이스부에 부착하여 조작레버를 베이스부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조작레버의 축구멍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축구멍 근방에, 축구멍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교차하는 장공을 형성하고,
    이 장공내에 조작레버의 회동에 따라서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형체를 삽입하고, 상기 구형체를 상기 스프링부재로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탄지하고,
    조작레버가 '강'화력위치와 '약'화력위치 사이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장공의 외주측 단부에 있는 구형체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을 스프링부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KR1019990042658A 1998-10-09 1999-10-04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KR100353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834498A JP3607095B2 (ja) 1998-10-09 1998-10-09 ガス機器のバーナの火力調節機構
JP288344 1998-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16A KR20000028816A (ko) 2000-05-25
KR100353194B1 true KR100353194B1 (ko) 2002-09-18

Family

ID=1772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658A KR100353194B1 (ko) 1998-10-09 1999-10-04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07095B2 (ko)
KR (1) KR100353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4381B2 (ja) * 2011-11-25 2014-04-09 リンナイ株式会社 火力調節装置
JP5595370B2 (ja) * 2011-12-21 2014-09-24 リンナイ株式会社 火力調節装置
CN114278784B (zh) * 2021-12-29 2024-05-03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带挡位的灶具阀体结构和燃烧器及燃气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16A (ko) 2000-05-25
JP2000121053A (ja) 2000-04-28
JP3607095B2 (ja)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993A (en) Safe gas valve
KR100353194B1 (ko)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화력조절기구
JP4976799B2 (ja) 回転操作式のガス器具栓
JP3368086B2 (ja) ガス燃焼器具の火力調節装置
KR0170833B1 (ko) 가스 기기의 연소조정장치
KR200199096Y1 (ko)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KR0181632B1 (ko) 가스기구의 화력조절장치
JP3128470B2 (ja)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JPS5938642Y2 (ja) ガスこんろの火炎調節装置
JPH0914639A (ja) 火力調整レバーを備えたガス機器
JP7315504B2 (ja) 火力調節装置
JP3073441B2 (ja) ガバナ弁を備えたガス機器
JP2003004223A (ja) ガス器具用バルブ
JP2518998Y2 (ja) ガス制御装置
JPH058329B2 (ko)
JPH09196371A (ja) ガス器具のガス量調節装置
US20050126557A1 (en) Heat control device of portable gas stoves
KR200237715Y1 (ko) 작동레버를 갖는 레버식 가스밸브
JP3650233B2 (ja) ガス機器
JP2836803B2 (ja) こんろ用グリル
JP2637037B2 (ja) ガス機器の火力調整装置
JP4873531B2 (ja) ガス機器の火力調節装置
KR200247645Y1 (ko) 석유 난로 연료통 분리시의 자동 소화장치
KR0125324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용기 오장착 방지장치
KR940000832B1 (ko) 석유연소기의 레버조작형 심지작동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