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044B1 - 비접촉 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 - Google Patents

비접촉 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044B1
KR100353044B1 KR1020000032194A KR20000032194A KR100353044B1 KR 100353044 B1 KR100353044 B1 KR 100353044B1 KR 1020000032194 A KR1020000032194 A KR 1020000032194A KR 20000032194 A KR20000032194 A KR 20000032194A KR 100353044 B1 KR100353044 B1 KR 10035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pick
core
contact power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834A (ko
Inventor
야마모토 켄조
타카시게 사토시
키타요시 하루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쯔바키모토 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쯔바키모토 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쯔바키모토 체인
Publication of KR2001006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반송차가 안내레일을 따라 구동전력을 수전하면서 주행하는 경우에 반송차와 안내레일과의 상대적인 변위의 허용도를 높이고 3차원적인 주행에 적응시키는 비접촉급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C자형 또는 コ자형을 이루는 픽업코어의 양 개방단의 대향면에, 각각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개방단에 대한 접합면적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는 한쌍의 플레이트부를 평행하게 접착 또는 개방단과 일체화하여 설치한 픽업부를 갖는 비접촉급전장치이다.

Description

비접촉 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AND PICKUP PORTION USED THEREIN}
본 발명은, 교류전원에 접속된 1차측 회로의 급전선(給電線)으로부터, 이것과 물리적으로 비접촉의 상태로 자기결합된 2차측 회로의 픽업부를 개재하여 각 부하에 급전을 행하는 비접촉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차에 의해 하물의 반송을 행하는 반송시스템이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고, 공장내, 창고내의 물류의 효율화가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반송차의 주행에는, 주행용 모터가 사용되고 있고, 이 주행용 모터로의 구동전력은, 안내레일을 따라 설치된 교류가 흐르는 급전선을 따라 공급된다.
이러한 급전방법에는, 종래, 트로리(손수레)식과 비접촉방식이 있다. 트로리식은, 반송차측에 설치된 집전자를 급전선에 접촉시키어 전력을 급전하는 방식이다. 한편, 비접촉방식은 반송차측에 설치된 픽업부를 급전선의 근방에 배치하고, 픽업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어 전력을 얻는 방식이다. 트로리식이 집전자의 마모에 따른 유지보수의 필요가 있고, 또한 먼지와 스파크의 발생이라는 문제가 있는데 대하여, 비접촉방식에서는 그러한 문제가 없어, 비접촉방식의 급전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1a는 종래의 모노레일방식의 반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2는 도1a에 나타낸 모노레일방식의 반송시스템에서의 비접촉급전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3은 종래의 반송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 도4a는 급전선과 반송차에 설치되어 있는 픽업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1a, 도2, 도3, 도4a에 있어서, (1)은 공장내의 모노레일방식의 반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안내레일, (2)는 반송차, (3)은 시스템콘트롤러를 나타내고 있다. 안내레일(1)은 반송의 목적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각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다중의 레일상태를 이루고, 평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각 교차부에는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스윗치 레일방식의 분기/합류부(4)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레일(1)은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한 상판부(1u)와 하판부(1d)와의 사이에 지주부(1p)를 건너서 단면상 I 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지지아암(도시하지 않음)이 취부되어 있고, 이 지지아암을 통하여 공장의 천정등에 매달려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안내레일(1)에서의 타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의 전장(全長)에 걸쳐서, 급전부를 구성하는 급전선(5)가 고정되고, 도1a에 나타내는 전원부(6)과 접속되어 있다.
급전선(5)은 안내레일(1)의 측면에 고정한 상, 하 한쌍의 다수의 서포터(1a)의 각 선단부에 걸쳐서 루프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급전선(5)은 절연한 가는 소선을 집속하여 형성한 연선(撚線)을 수지재에 의해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반송차(2)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コ자형을 이루는 전,후 한쌍의 차체프레임(21)(22)에 걸쳐서 피반송물을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는 캐리어(23)을 매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체프레임(21)은 그 상부의 안내레일(1)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것과 굴러접하는 구동트로리(21a)를, 또한 상,하부에서 안내레일(1)의 상, 하부 양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각각 이것에 굴려접하는 각 한쌍의 스윙 프리벤티브 롤러(21b)(21c)을 각각 구비함과 함께, 상부에는 구동트로리(21a)에 연결되는 모터(M)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차체프레임(21)에서의 안내레일(1)의 급전선(5)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픽업부(24)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부(24)는, 자성재료제의 직사각형판 형태를 이루는 배판부(24a)의 상, 하 및 중앙부로부터 각각 동측의 측방으로 상판부(24b), 하판부(24c) 및 중판부(24d)을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고, 측면상으로 볼 때, E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픽업코어에서의 중판부(24d)에 의해 구분된 그 상, 하의 배판부(24a)에 릿찌선(litz wire)으로 이루어진 코일(24e)을 감아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픽업부(24)는, 그 측면상으로 E자형을 이루는 2개소의 요부내에 있고, 각 코일(24e)에 접근한 상태로 각각 급전선(5)을 위치시키어 설정되고, 급전선(5)에 공급된 전력에 의해 코일(24e)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것을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변환부(7)를 거쳐 모터(M)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각 코일(24e)에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은, 코일(24e)의 권수 및 급전선(5)에 공급하는 전력이 같으면, 픽업코어의 길이(급전선(5)의 연장방향의 길이)에 대응하여 변화하므로, 부하측에서 요구되는 파워와 코일(24e)의 수전용량에 대응하여 픽업코어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있다.
그런데, 픽업코어의 길이가 결정되면, 픽업코어에서의 상판부(24b)와 중판부(24d)와의 간격 및 중판부(24d)와 하판부(24c)와의 간격, 급전선(5)과 각 코일(24e)과의 간격등으로부터 픽업코어와 급전선(5)이 간섭하지 않기 위한 조건인 상호의 스윙각도,(: 도4b에 나타나는 상하방향의 스윙각도,: 도4c에 나타나는 좌우방향의 스윙각도)가 결정된다.
스윙각도,를 크게 하는데는, 전술한 상판부(24b)와 중판부(24d)와의 간격, 중판부(24d)와 하판부(24c)와의 간격, 급전선(5)과 코일(24e)와의 간격등을 넓게 설정하면 좋으나, 이들을 간격을 크게 하면 픽업코어 자체가 대형으로 될 수 밖에 없고, 또한 에어갭의 확대에 의해 자기저항이 크게 되어 수전능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코어를 구성하는 한, 스윙각도,에 관하여는, 스윙각도는 반송차(2)가 수평면내에서 안내레일(1)를 따라 선회가능정도로, 또한 스윙각도에 관하여는 안내레일(1)에 대한 반송차(2)의 취부오차를 회피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할 수 밖에 없고, 안내레일(1)의 배설패턴은 또한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수평면에 가까운 범위내로 한정된 것이 되고, 특히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저차가 있는 안내레일(1)의 배설이 곤란하고, 자유도가 현저히 제한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도5a는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9-252552호 공부에 개시된 종래의 다른 픽업부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 측면도이고, 도면에서 (1)은 안내레일, (5)는안내레일(1)를 따라 연결되어 있는 급전선, (24)는 픽업부를 나타내고 있다.
픽업부(24)를 구성하는 픽업코어는 직사각형판 형태의 배판부(24a)의 상, 하 가장자리부분에서부터 각각 상판부(24b), 하판부(24c)를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판부(24b), 하판부(24c)의 선단부의 대향면에 단면상 직사각형의 볼록부(24g), (24g)를 고정하여 측면에서 볼 때 대략 C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배판부(24a)에는 코일(24e)을 감고 있다. 볼록부(24g), (24g)사이의 간격은 급전선(5)의 직경과 거의 동일 또는 이것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픽업부(24)는,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자형을 이루는 픽업코어의 내측에 급전선(5)을 코일(24e)과 접근시킨 상태로 위치시키고, 반송차(2)의 이동에 따라 급전선(5)의 지지아암은 볼록부(24g), (24g)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부하측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는 방법으로서, 픽업코어의 에어갭 면적을 확대하는 방법 및/또는 에어갭 길이를 축소하는 방법이 있다. 에어갭 면적을 확대하는 방법으로서, 픽업코어 길이를 크게 하는 방법에서는, 픽업코어가 대형화되고, 또한 에어갭 길이를 축소하는 방법으로서 볼록부(24g)사이의 간격을 작게하는 방법만으로는 서포터(1a)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필요상, 축소에는 한계가 있고,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픽업코어 길이를 크게하는 방법과 병용해야하고,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도5b,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선(5)에 대한 픽업코어의 상하방향의 스윙각도가 작게 됨과 함께, 좌우방향의 스윙각도도 작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차등의 이동체의 3차원 주행에 적합하고, 구성이 간략하여 소형화, 경량이고, 더욱이 큰 수전용량을 얻을 수 있는 비접촉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를 제공함에 있다.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본 발명의 픽업부는, 일부가 개방되고,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성형된 픽업코어와, 픽업코어에 감겨진 코일과, 픽업코어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의 단부 각각에 고정되고, 개방단과의 고정부분의 접합면적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플레이트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접촉급전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픽업부를 구비하고 있고,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거하여 그 픽업부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도 1a은 모노레일방식의 반송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b은 모노레일방식의 반송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은 모노레일방식의 반송시스템에서의 비접촉급전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종래의 반송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 4a, 도4b, 도4c는 급전선과 반송차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픽업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모식적 정면도, 모식적 평면도
도 5a, 도 5b, 도 5c는 일본국 특개평 9-252552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다른 픽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모식적 정면도, 모식적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접촉급전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의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모식적 평면도, 모식적 정면도
도 8a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
도 8b, 도 8c는 제 2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모식적 평면도
도 9a은 제 3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 9b, 도9c는 제 3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 모식적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비접촉급전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7a는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서로 평행한 상판부(1u)와 하판부(1d)와의 사이에 지주부(1p)를 가로 질려서 단면상 대략 I 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내레일이다. 급전선(5)이, 안내레일(1)의 측면에 고정한 서포터(1a)의 선단부에 걸쳐서 배설되어 있다. コ자형 또는 C자형을 이루는 픽업부(24)는, 금속 또는 페라이트등의 자성재료를 이용하고 통상적으로 일체성형되어 있고, 직사각형판 형상을 이루는 배판부(24a)의 상,하단부로부터 같은 측에 동일형상, 동일크기의 상판부(24b), 하판부(24c)를 평행하게 연장시키고 있다. 측면에서 볼 때, コ자형으로 형성된 픽업코어의 상판부(24b), 하판부(24c)의 선단의 대향면에 각각 페라이트등의 자성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동일형상 동일크기의 직사각형판 형상의 한쌍의 플레이트부(25), (26)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부(25), (26)의 면적 S는 플레이트부(25), (26)와 픽업코어의 상판부(24b), 하판부(24c)와의 접착면적 So보다도 크게 하면 좋고( S > So ), 상한을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플레이트부(25), (26)을, 상, 하판부(24b), (24c)의 선단의 대향면에 이것과 일체화하여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플레이트부(25), (26)의 면적 S은, 상, 하판부(24b), (24c)의 선단부의 면적 So 보다도 크다.
픽업코어의 폭의 치수 W1에 대한 플레이트부(25), (26)의 폭의 치수 W2는, W1< W2의 관계이고, 플레이트부(25), (26)의 치수예를 나타내면, 폭 W2: 100mm, 길이 L2:40mm, 두께 d2: 10mm 정도이다. 이것은, 도4b, 도4c, 도5b, 도5c에 나타낸 종래장치와 비교하여 픽업코어의 폭의 치수 W1는 수분의 1 정도로 폭이 축소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25), (26)의 형상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한정되고 않고, 예를들면 원형 또는 타원형등이라도 좋다. 또한 플레이트부(25), (26)의 대향면간의 치수 e는 급전선(5)의 직경 D 및 지지아암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고, 이와 관련하여 치수 e는 급전선(5)의 직경을 16mm로 하면, 20mm정도이다.
도7b는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 도7c는 동일한모식적 정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의 픽업부(24)에 있어서는, 이것과 급전선(5)과의 종(상, 하)방향, 횡(좌, 우)방향의 스윙각도,는 도4b, 도4c, 도5b, 도5c에 나타내는 종래장치와 비교하여도 그 허용범위가 현저히 크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픽업코어와 플레이트부(25), (26)와의 접착면적 So보다도 플레이트부(25), (26)의 면적 S를 넓게 하므로, 자로(磁路)면적의 확대와 에어갭의 축소에 의해 자기저항이 대폭 저감되고, 자기저항의 저감에 의해 상호 인덕턴스의 증대, 즉 수전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만큼 픽업코어의 폭의 치수 W1가 작게 되므로 경량화, 소형화가 도모되고, 자성재료의 절감이 도모됨과 함께, 픽업코어의 질량당의 수전용량의 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픽업부(24)로서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원적으로 배설된 안내레일(1)에 탑재할 수 있게 되어, 적용범위가 높아지고, 방열효과가 크게 되고, 그만큼 수전용량의 증대가 도모된다.
(제 2 실시예)
도8a는 제 2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 도8b는 같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8c는 같은 모식적 평면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도6에 나타낸 픽업부(24)의 コ자형을 이루는 픽업코어 2개를 그 개방된 측을 같은 측으로 향하여 병렬배치하고, 각각의 측면들을 서로 접한 상태로 배설하고, 서로 접한 상태의 상, 하판부(24b), (24c)의 서로의 대향면에 페라이트등의 자성재료제인, 동형의 동일크기의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부(25), (26)를 고정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 하판부(24b), (24c)의 면적 S와 상, 하판부(24b), (24c)와 2개의 픽업코어와의 접착면적 So의 합 2So와의 비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관계와 대략 같게 ( S > 2So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대응하는 부분에 같은 번호를 붙이어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픽업코어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2개분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수전용량이 2배가 된다. 픽업코어의 개수는 필요로 하는 수전용량을 만족하는 값이 될 때 까지 임의로 증설하면 좋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픽업코어가 2개분이 되고, 그 폭의 치수가 제 1 실시예보다도 넓게 된 결과, 도 8b, 도 8c에 나타내는 상, 하방향, 좌,우방향의 허용 스윙각도,는 각각 약간 축소되나, 큰 수전용량이 확보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한쌍의 플레이트부(25), (26)에 따른 에어갭의 축소, 자로면적의 확대에 따른 자기저항의 저감효과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3 실시예)
도9a는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 도9b는 같은 제 3 실시예에서의 픽업부와 급전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 도9c는 같은 모식적 평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픽업부(24)를 상하에 2개를 종열로 배치한 것을 한조로 하고 이것을 2조 병설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페라이트등의 자성재료제의 플레이트부들(25), 또는 (26)은 그 횡방향의 단면을 서로 접한 상태로 병설되고, 그 수전용량은 제 1 실시예의 약 4배가 되어있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대응하는 부분에 같은 번호를 붙이어 설명을 생략한다.
픽업코어에 대한 급전선(5)의 스윙각도,에 관하여는 픽업코어간의 폭의 치수가 약간 넓게 된 결과, 제 1, 제 2 실시예보다도 좁게 되나, 수전용량은 현저히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급전선을 포위하는 픽업코어의 양 개방단에, 이것과의 고정면적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플레이트부를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픽업코어의 폭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고, 더욱이 개방단사이의 에어갭이 축소됨과 함께, 자로면적이 확대되어, 자기저항의 대폭적인 감소에 의한 상호 인덕턴스의 증대, 즉 수전용량의 증대가 도모된다. 또한, 자세변화의 허용폭이 크게 되고, 이동체의 3차원 주행에 적용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픽업코어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고, 방열효과가 크고, 더욱이 저비용으로 제작가능하다.
또한, 픽업코어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에, 급전선과 평행한 한쌍의 플레이트부가 간격을 두고 일체화되어 있는 단부가 구비되어 있다. 픽업코어가 그 개방부분에, 플레이트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작이 번잡하지 않다.
또한, 복수의 픽업코어를, 각각 개별의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개방단을 동일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2단으로 겹쳐서, 픽업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개별의 급전선을 포위하는 픽업코어를 종렬로 겹쳐서 고정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수전용량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픽업코어를, 그 개방단을 동일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병설하여, 픽업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픽업코어를 그 측면들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횡렬 배치하므로,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성으로 수전용량의 증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급전선에 비접촉의 상태로 자기결합되어 있고, 유도기전력을 취출하는 픽업부를 구비한 비접촉급전장치에 있어서,
    전기 픽업부는,
    일부가 개방되고,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형성된 픽업코어와,
    픽업코어에 감겨진 코일과,
    픽업코어의 양 개방단 각각에 고정되고, 각 개방단과의 고정부분의 면적보다도 그 고정면 전체의 면적이 넓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플레이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급전장치
  2. 급전선에 비접촉의 상태로 자기결합되어 있고, 유도기전력을 취출하는 픽업부를 구비한 비접촉급전장치에 있어서,
    전기 픽업부는,
    일부가 개방되고,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되어 있는 부분에, 그 개방단부보다도 면적이 넓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플레이트부가 간격을 두고 일체화되어 있는 픽업코어와,
    상기 픽업코어에 감겨진 코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급전장치
  3. 전기 픽업부는, 복수의 픽업코어를, 각각 개별의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개방단을 같은 측으로 향한 상태로 복수단으로 겹쳐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비접촉급전장치.
  4. 전기 픽업부는, 복수의 픽업코어를, 그 개방단을 같은 측으로 향한 상태로 같은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병설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비접촉급전장치.
  5. 급전선에 비접촉의 상태로 자기결합되어 있고, 유도기전력을 취출하는 픽업부에 있어서,
    일부가 개방되고,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성형된 픽업코어와,
    픽업코어에 감겨진 코일과,
    픽업코어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의 단부 각각에 고정되고, 각 개방단과의 고정부분의 면적보다도 그 고정면 전체의 면적이 넓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부.
  6. 급전선에 비접촉의 상태로 자기결합되어 있고, 유도기전력을 취출하는 픽업부에 있어서,
    일부가 개방되고, 급전선을 포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되어 있는 부분에, 그 개방단부보다도 면적이 넓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플레이트부가 간격을 두고 일체화되어 있는 픽업코어와,
    상기 픽업코어에 감겨진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부.
KR1020000032194A 1999-06-29 2000-06-12 비접촉 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 KR100353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84324A JP2001016702A (ja) 1999-06-29 1999-06-29 非接触給電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ピックアップ部
JP11-184324 199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834A KR20010066834A (ko) 2001-07-11
KR100353044B1 true KR100353044B1 (ko) 2002-09-16

Family

ID=1615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194A KR100353044B1 (ko) 1999-06-29 2000-06-12 비접촉 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25468B1 (ko)
JP (1) JP2001016702A (ko)
KR (1) KR100353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614B2 (en) 2003-12-10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contact feede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901A (ja) * 2001-05-31 2002-12-13 Itoki Crebio Corp 移動体への給電システム
DE10159678B4 (de) * 2001-12-05 2017-09-21 Dürr Systems Ag Schienengebundenes Transportsystem
DE10326614A1 (de) * 2003-06-13 2004-12-30 Dürr Automotion Gmbh Transportsystem
DE10360599B4 (de) * 2003-12-19 2020-07-09 Sew-Eurodrive Gmbh & Co Kg Anlage mit Antrieben auf einem drehbar gelagerten, bewegbaren Teil, also Drehtisch
DE10360604B4 (de) * 2003-12-19 2020-06-18 Sew-Eurodrive Gmbh & Co Kg Verbraucher mit Mittel zu seiner induktiven Versorgung und System
US7376961B2 (en) * 2004-05-28 2008-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actless power and/or data transmission 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employing segmented coils
KR100592433B1 (ko) * 2004-07-22 2006-06-2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비접촉 급전장치
JP4815872B2 (ja) * 2005-05-20 2011-11-16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ペースト塗布機
CN101053118B (zh) 2005-06-14 2013-09-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线圈天线和便携式电子设备
KR100895444B1 (ko) * 2007-06-14 2009-04-30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비접촉 전력공급장치
JP5480483B2 (ja) * 2008-09-22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5632145B2 (ja) * 2009-08-26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作業用ゴンドラ
KR100976319B1 (ko) * 2010-04-07 2010-08-16 박준남 비접촉급전장치를 이용한 연속급전시스템
KR101234565B1 (ko) * 2011-03-04 2013-02-19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케이블을 이용한 전동차 전력전달 장치
GB2507741A (en) 2012-11-07 2014-05-14 Bombardier Transp Gmbh Cable bearing element for inductive power coupling
CN103587910B (zh) * 2013-10-16 2016-01-13 湖北华昌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轨道输送车供电系统及滑板、滑板输送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7606A (ja) 1992-01-24 1993-08-13 Daifuku Co Ltd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US5467718A (en) 1992-07-20 1995-11-21 Daifuku Co., Ltd.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 system with non-contact inductive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ing
JPH08264357A (ja) 1995-03-27 1996-10-11 Tsubakimoto Chain Co ピックアップ装置
JP3789528B2 (ja) 1995-09-19 2006-06-28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地上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
JP3555308B2 (ja) 1996-03-15 2004-08-18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482772B2 (ja) 1996-07-03 2004-01-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式給電装置のピックアップコイルユニット
US5927657A (en) * 1996-07-17 1999-07-2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Antenna mounting structure for movable member conveying system
US5808537A (en) * 1996-09-16 1998-09-1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Inductor core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to a conveyor carriage
JP3399319B2 (ja) * 1997-10-17 2003-04-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有軌道台車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614B2 (en) 2003-12-10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contact feed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25468B1 (en) 2002-07-30
KR20010066834A (ko) 2001-07-11
JP2001016702A (ja) 200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044B1 (ko) 비접촉 급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픽업부
JP2006136197A (ja) 非接触給電式走行台車
KR100670409B1 (ko) 비접촉 급전장치
US5808537A (en) Inductor core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to a conveyor carriage
JP3522413B2 (ja) 地上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
JP3432530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303686B2 (ja) 移動体への非接触式給電システム及びピックアップコイルユニット
JP3114360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482772B2 (ja) 非接触式給電装置のピックアップコイルユニット
JPH08308152A (ja) 非接触受電装置
JPH08264357A (ja) ピックアップ装置
JP3380886B2 (ja) 移動体へ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H08308150A (ja) 非接触電力分配システム
JPH08196003A (ja) 無接触給電装置
JP3263421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の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およびこの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を備えた移動体
JP4218656B2 (ja) 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およびその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を備えた無接触給電設備
JPH08205309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4006602B2 (ja) 非接触給電装置における給電ループ連接構造
JP2001177901A (ja) 非接触給電用ピックアップ、搬送車及び搬送システム
JP2002165302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CN113497505B (zh) 一种具有软连接的零磁通线圈
JP3383880B2 (ja) 非接触給電装置
JP3295963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KR101141718B1 (ko)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거리 인디케이터
KR20220027443A (ko) 모듈형 무선 전력 급전부 코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