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696B1 - 분산성수지로서적합한중합체재료 - Google Patents

분산성수지로서적합한중합체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696B1
KR100352696B1 KR1019950000444A KR19950000444A KR100352696B1 KR 100352696 B1 KR100352696 B1 KR 100352696B1 KR 1019950000444 A KR1019950000444 A KR 1019950000444A KR 19950000444 A KR19950000444 A KR 19950000444A KR 100352696 B1 KR100352696 B1 KR 10035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arts
group
tetrahydrofuran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353A (ko
Inventor
그레고르브로트
아우구스트레에너
알프레드린트너
헤르만그라프
미하엘보브리히
리아크레쓰
노베르트슈나이더
알베르트코올
베르너로흐
Original Assignee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5003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11B5/702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containing polyesters, polyethers, silicones, polyvinyl resins, polyacrylresins or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4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45Polymers having terminal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5Anti-sett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52Natural or synthetic resins or their sal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68Record carriers
    • G11B3/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 or structure;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1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dispersing ag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11B5/702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containing a polyurethane or a polyisocyanate
    • G11B5/702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containing a polyurethane or a polyisocyanate containing mixtures of polyurethanes or polyisocyanates with other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중합물질(I)은
1) (a) 80 내지 거의 100 몰%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 C25알킬 에스테르,
(b) 0 내지 20 몰%의 다른 모노머,
(c) 필요한 경우, 중합반응 개시제로서 테트라히드로퓨란 히드로퍼옥시드,
(d) 히드록실기에 의해 일단부에서 중합체(II)의 중합체 사슬 대부분을 종결시키는 중합반응 개시제 또는 조절제를 포함하는 중합체(II)를
2) 반응 생성물(IV)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중합체(II)의 히드록실기 1 몰당 1.2 내지 3.0 몰 있는 다작용기성 이소시아네이트(II)와 반응시키고,
3) 생성물(IV)를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있는 아미노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V) 또는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된다.
중합물질은 안료 함유 코팅물, 특히 자성 기록 물질의 제조를 위한 분산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성 수지로서 적합한 증합체 재료
본 발명은 1) (a) 80 내지 100mol%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C25-알킬 에스테르, (b) 0 내지 20mol%의 추가의 단량체, (c) 필요한 경우, 중합 반응 개시제로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 및 (d) 중합체(II)의 중합체 사슬 대부분이 히드록실기에 의해 하나의 단부에서 종결되는 추가의 중합반응 개시제 또는 조절제를 포함하는 중합체(II)를 2) 중합체(II)의 히드록실기 1mol 당 이소시아네이트기 1.2 내지 3.0mol의 양으로,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III)와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IV)을 생성시키고, 3) 생성된 생성물(IV)을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 (V) 또는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분산성 수지로서 적합한 중합체 재료(I)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중합체 재료(I)의 제조 방법, 안료 함유 코팅물, 안료 및 중합체 재료(I)를 포함하는 안료 제형 및 분산성 수지로서 혼합물(I)이 제공되는 자성 안료를 함유하는 자기 기록 재료를 위한 분산성 수지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무기 안료의 분산액은 여러 목적, 예를 들어 코팅 재료 또는 자기 기록 매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내용은 많은 간행물에 기재되어 있다.
안정한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분산액의 안료의 우수한 분산을 보장하도록 의도되는 거대 분자 유기 화합물, 즉, 분산성 수지가 분산매로서 흔히 사용된다.
흔히 사용되는 분산성 수지로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로부터 유도되는 반응 생성물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히드록실 함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 후 초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전환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DE-A-2 125 064호에는 유기 용매, 특히 톨루엔중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중합반응시키고 계속하여 상기 중합체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DE-A-4 141 839호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합반응,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실기 함유 중합체의 반응 및 암모니아 또는 아민과 유리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메트)아크릴레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분산제가 우수한 안료 분산 양상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분산액의 불충분한 안정성을 유발시키는 저수준의 포화 코팅은 분산액의 장기간 방치시에 안료 응집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자기 기록 매체에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응집은 표면 결함(오류)를 초래한다. 그러나, 생산과 관련된 이유로 인해 분산액이 장기간 저장될 것이라는 사실을 항상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긴 저장 수명을 가지는 안료 분산액이 필요하며, 특히 자기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그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성 안료와 같은 무기 안료의 안정한 제형을 제조할 수 있는 중합체 재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이 처음에 정의된 중합체 재료(I),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안료 및 중합체 재료(I)를 포함하는 안료 제형 및 중합체 재료(I)가 제공되는 자성 안료를 함유하는 자기 기록 재료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중합체(II)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적절한 단량체(a)는 주로 하기 일반식의 α,β-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이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 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이다. 상이한 이러한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노난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라우릴 알코올과 같은 C9-C25-알칸올에 부가하여, 알킬 에스테르의 적합한 알코올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C1-C8-알칸올, 특히 메탄올 및 n-부탄올, 및 상이한 이러한 알칸올의 혼합물이다.
중합체(II)를 합성하는데 적합한 추가의 공단량체(b)는 20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mol%의 단량체이며, 이에 의해 단지 단량체로만 구성되는 중합체의 기계적, 열적, 화학적 특성이 변형되지만 사실상 변경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단량체는, 예를 들어,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과 같은 올레핀계 불포화 방향족 탄화수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겐화된 올레핀,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닐 알코을 유도체, 및 특히 에탄디올, 프로판-1,2-디올, 프로판-1,3-디올, 부탄디올, 글리세롤 및 이들 알코올의 혼합물과 같은 다가 알코올과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이다.
열가소성 물질로서의 이들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중합체가 약간 가교되는 소량의 이작용성 단량체, 예를 들어 부타디엔, 디비닐벤젠 및 상기 다가 알코올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데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는 공기와 같은 산소 함유 기체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반응시킴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중합체(II)의 중합체 사슬이 히드록실기에 의해 종결되는 추가의 개시제 및/또는 조절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조절제에 의해 및/또는 히드록시 라디칼(OH 라디칼)를 제공하도록 분해되는 개시제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개시제의 예로는 3차-부틸 히드로퍼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 쿠모일 히드로퍼옥시드 및 2,2'-아조비스(2-메틸-N-(3-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가 있다.
히드록실기가 조절제에 의해서만 도입되는 경우, 그 밖의 개시제, 예를 들어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디-3차-부틸 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및 3차-부틸 퍼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조절제로는 아미노알코올, 특히 2-히드록시에틸-2-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3-히드록시프로판티올 및 특히 2-히드록시에탄티올(메르캅토에탄올)과 같은 티오-알칸올이 있다.
상이한 개시제 및/또는 조절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개시제 및 조절제는 통합적인 양, 대개는 단량체 (a) 및 (b)를 포함하는 사용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0.1 내지 4.8 중량% 및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개시제 또는 조절제로부터 기원되는 중합체 사슬 말단기의 양이 약 0.05 내지 4.5mol%에 불과하기 때문에, 보다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중합체(II)의 정량적인 조성을 언급할 때 이러한 양은 고려되지 않았다.
중합체(II)는 모든 공지된 중합반응 방법, 예를 들어 괴상중합반응, 에멀션 중합반응 및, 바람직하게는, 용액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로는 톨루엔과 같은 탄화수소,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및 메틸 3차-부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 및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고리 에테르가 있다.
중합 반응은 일반적으로 승온,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5℃의 온도에서 행해지며, 반응 시간은 2 내지 7시간이다.
중합체(II)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추출 또는 침전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분리하지 않고서 추가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 생성물(IV)를 제조하기 위하여, 중합체(II)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II) 또는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과 반응하는데, 이때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양은 중합체(II)의 히드록실기 1mol 당 1.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mol이 사용된다. 제조된 중합체(II)에서의 히드록실기의 양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20mg KOH/중합체(II) 1g의 히드록실가(DIN 53240에 따라)에 상응하며, 중합체(II) 1g당 0.17 내지 0.36mmol의 히드록실기에 상응한다.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열린 사슬 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고리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여러고리 이소시아네이트가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II)와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III)의 반응에 의한 생성물(IV)의 제조는 중합체(II)의 제조에 적합한 용매중에서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은 촉매 없이도 수행될 수 있지만, 금속염, 예를 들어 디부틸틴라우레이트, 옥토산 주석, 옥토산 납 또는 티타늄 테트라부톡실레이트, 또는 3차-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1,4-디아자비시클로 [2.2.2] 옥탄(DABCO)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승온,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5℃에서 일어나며, 반응시간은 약 0.3 내지 4시간이다.
반응 생성물(IV)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추출 또는 침전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분리하지 않고서 추가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I)를 제조하기 위하여, 반응 생성물(IV)은 암모니아와 반응하거나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아민기를 가지는 화합물(V)과 반응한다.
부틸아민, 프로필아민, 에틸렌디아민 또는 N,N'-비스(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과 같은 1차 아민, 디에틸아민 또는 피페리딘과 같은 2차 이민, 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미노알코올이 화합물(V)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민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반응은 화합물(IV)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00ppm, 특히 1 내지 50ppm의 양으로 금속염, 특히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주석 옥토에이트, 납 옥토에이트 또는 티타늄 테트라부톡실레이트,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아자비시클로옥탄(DABCO)와 같은 3차 아민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촉매의 부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IV)와 (V)의 반응에 의한 중합체(I)의 제조는 용매없이, 또는 유리하게는 탄화수소, 특히, 톨루엔, 에스테르,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특히, 메틸 3차-부틸 에테르,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리 에테르,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과 같은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경우, 물도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서 수행되며, 반응 시간은 약 5 내지 60분이다.
중합체(I)는 공제된 방법, 예를 들어 추출 또는 침전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반응 용액에 사용되어 초기에 상술된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단계적 제법에 따르면, 신규한 중합체(I)는 일단에 다수의 측쇄를 가지며 가장 바깥쪽 측쇄의 대부분이 산성기를 수반하는 친유성(organophilic) 중합체 주쇄로 이루어진다. 이들 산성기는 다수의 안료 특히, 산성 무기 안료에 대하여 강한 친화도를 가지므로, 상기 안료 표면에 축적된다. 결과적으로, 친유성 코팅을 가지는 안료 제형은 통상의 완전한 혼합에 의해 안료와 중합체(I)로부터 수득된다.
안료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서, 안료, 특히 유색 안료 및 자성 안료가 공지된 방법으로 중합체 재료(I)와 혼합되며, 필요한 경우에, 용매없이, 또는 바람직하게는 첨가제, 탄화수소, 특히 톨루엔, 에스테르, 특히 에틸 에스테르, 케톤, 특히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시클로헥산온, 에테르, 특히 테트라히트로푸란, 디옥산 또는 메틸 3차-부틸 에테르와 같은 유기 희석제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일부 경우, 물도 적합하다.
안료 제형은 희석제를 제거함으로써 혼합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분리하지 않고서 추가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안료 제형은 유기 결합제에 원하지 않는 응집 없이 용이하게 혼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료 제형은 공지된 방식으로 결합제와 혼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용매의 부재하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특히 톨루엔, 에스테르,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케톤, 특히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시클로헥산온, 또는 에테르,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또는 메틸 3차-부틸 에테르와 같은 유기 희석제의 존재하에서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물도 적합하다.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미드, 및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폴리아크킬로니트릴과 같은 비닐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특히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토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레이트, 페녹시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셀룰로오스 함유 결합제가 적합한 결합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기 및 유기 안료와 같은 충전제, 예를 들어 알루미나, 티타늄 디옥시드, 실리카, 카본블랙,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백악화(chalking) 억제제, 예를 들어 안티몬 옥시드 및 주석 옥시드, 및 틱소트로프 물질, 예를 들어 비결정질 실리카가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안료 제형, 결합제 및, 필요하다면, 첨가제 또는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코팅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코팅 물질은 신규한 안료 제형만을 단독으로 또는 그 밖의 안료 또는 안료 제형과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물질은 특히, 자기 기록 재료를 제조할 때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충전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자성 안료 및 중합체 재료(I)를 포함하는 안료 제형은 공지된 방식으로 용매 또는 희석제, 결합제, 및 윤활제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의 혼합물중에 분산되고 생성된 분산제는 비자기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강한 자기장에서 강자성 안료를 배향시킨 후, 통상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용매를 제거하고, 필요한 경우, 결합제를 경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캘린더링(calender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자성 안료는 γ-Fe2O3, γ-Fe3O4및 CrO2와 같은 통상의 산성 안료, 또는 Fe, Co 및 Ni과 같은 금속 안료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안료는 추가의 화학 원소 또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 메틸에틸케톤 또는 시크로헥산온과 같은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또는 알칸 또는 방향족 화합물과 같은 탄화수소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 용매 또는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탄소 원자수가 10 내지 20개인 카르복실산, 특히 스테아르산 또는 팔미트산 또는 그의 염, 에스테르 및 아미드와 같은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윤활제로서 사용된다.
통상의 강성 또는 가요성 기판, 특히 일반적으로 4 내지 200㎛, 특히 6 내지 36㎛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선형 폴리에스테르의 필름이 비자성 및 비자화성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자기 기록 재료의 제조에 있어, 하나 이상의 층이 신규한 안료 제형을 함유하는 다수의 자기층이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 실험에 있어서, 부 및 %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중량부 및 중량%를 나타낸다. 용적부는 킬로그램에 대한 리터의 관계와 같이 중량부와 동일한 관계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테트라히드로푸란중의 13% 농도 용액으로서 사용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EP 0 002 241호에 따라 제조된 것이며, 이의 K값은 58이다(디메틸포름아미드중에서 1% 농도) [참고문헌: H. Fikentscher, Cellulose-Chemie 13(3) (1932), 58-64.]
중합체 A
테트라히드로푸란 17,482부를 용량이 100,000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에 의해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5.5 용적%인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biuret)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30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교반한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더 이상의 온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기체 상태의 암모니아를 용액을 통해 버블링시켰다. 그런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질소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중합체 혼합물은 28 중량%의 성분(1)을 함유하였고, 피캔췌(Fikentscher)에 따른 K값(디메틸포름아미드 내중에서 1% 농도)은 17.8이었다.
비교 중합체 A'
17,482부의 톨루엔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중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로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5.5 용적%인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갑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톨루엔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킬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톨루엔,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30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더 이상의 온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기체 상태의 암모니아를 용액을 통해 버블링시켰다. 그런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질소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중합체 B
1,399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6,083부의 톨루엔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에 의해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4.5용적%인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23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409부의 톨루엔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271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3,113부의 톨루엔,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30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더 이상의 온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기체 상태의 암모니아를 용액을 통해 버블링시켰다. 그런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질소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중합체 혼합물은 12 중량%의 성분(1)을 함유하였다.
중합체 C
17,48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로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5 용적%일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03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2,500부의 N,N'-비스(아미노프로필) 에틸렌디아민 및 15,079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첨가하였다. 중합체 혼합물은 24 중량%의 성분(1)를 함유하였다.
비교 중합체 B'
17,482부의 톨루엔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로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5.0용적%인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톨루엔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톨루엔,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03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2,500부의 N,N'-비스(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과 15,079부의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비교 중합체 C'
17,48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 기체내로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은 2ppm 미만의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를 함유하였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추가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30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 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2,500부의 N,N'-비스(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 및 15,079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첨가하였다. 중합체 혼합물은 4중량%의 성분(1)을 함유하였다.
중합체 D
17,48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로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5.0 용적%인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4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30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2,572부의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및 15,079부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첨가하였다. 중합체 혼합물은 26 중량%의 성분(1)을 함유하였다.
비교 중합체 D'
17,482부의 톨루엔을 용량이 100,000 용적부이고, 교반자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가열 가능한 반응 용기에서 가열하여 비등시키면서 질소로 희석된 공기중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15,903부의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5,903부의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03부의 메르캅토에탄올 및 80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계량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1,532부의 톨루엔중에 용해시킨 1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257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추가의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2시간 후, 3,384부의 톨루엔, 24부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909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 및 평균 작용가가 4.8인 1,430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전체량 1,000,000부 당 200부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2,572부의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및 15,079부의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1
평균 입자 길이가 0.5㎛이고 길이/폭 비율이 4:1인 이산화크롬 1,000 중량부를 13% 농도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 88 중량부, 82 중량%의 비닐 포르말 유니트, 12 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유니트 및 6 중량%의 비닐 알코올 유니트로 이루어진 20% 농도의 폴리비닐 포르말 용액 86 중량부, 중합체 A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50% 농도) 69 중량부, 아마씨유 지방산 10 중량부 및 1:1 테트라히드로푸란/디옥산 970 중량부와 함께 분쇄 매질로서 강철볼이 들어있는 통상적인 디자인의 강철볼 밀에서 72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그런 다음, 13% 농도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 864 중량부, 20% 농도 폴리비닐 포르말 용액 57 중량부 및 1:1 테트라히드로푸란/디옥산28.8 중량부를 이 분산액에 첨가하고, 추가의 2시간 동안 계속해서 분산시켰다.
3mol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1mol의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부터 수득된 트리이소시아네이트의 50% 농도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9.9 중량부를 이렇게 하여 수득된 분산액 1,000 중량부에 첨가한 후, 상기 혼합물을 공극 크기가 3㎛인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1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분산액을 도포하고 자성 입자를 배향시키기 위해 자기장을 통해 통과시킨 후, 상기 필름을 50 내지 80℃에서 가열 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캘린더링하였다.
비교예 1
중합체 A를 비교 중합체 A'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평균 입자 길이가 0.5㎛이고 보자력(coercive force) Hc가 41kA/m이며, 길이/폭 비율이 4:1인 이산화크롬 800 중량부 및 코발트-도핑 γ-철(III) 산화물 200 중량부를 13% 농도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 51.5중량부; 82%의 비닐 포르말 유니트, 20%의 비닐 아세테이트 유니트 및 6%의 비닐 알코올 유니트로 이루어진 20%의 폴리비닐 포르말 용액 150 중량부; 중합체 B (50% 농도) 54.4 중량부; 아마씨유 지방산 10 중량부; 및 1:1 테트라히드로푸란/디옥산 1,311 중량부와 함께 분쇄 매질로서 강철볼이 들어있는 통상적인 디자인의 강철볼 밀에서 72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그런 다음, 13% 농도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 1,025 중량부를 이 분산액에 첨가하고, 추가의 2시간 동안 계속해서 분산시켰다.
3mol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mol의 트리메틸프로판으로부터 수득된 50% 농도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2.2 중량부를 이렇게 하여 수득된 분산액 1,000 중량부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공극 크기가 3㎛인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분산액을 1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고 자성 입자를 배열시키기 위해 자기장을 통해 통화시킨 후, 상기 필름을 50 내지 80℃의 온도 및 압력하에 가열된 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캘린더링하였다.
비교예 2
부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고, 실시예 2에 따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24.2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중합체 C를 비교 중합체 B'로 대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중합체 C를 비교 중합체 C'로 대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테트라히드로푸란 3,000g,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50% 농도를 가지며 히드록실가가 55mg KOH/g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DE-A-3 227 164.5호의 중합체 D) 608g, 중합체 D 84g, 테트라히드로푸란중의 20% 농도의 폴리 비닐 포르말 용액 340g, 보자력 Hc가 43kA/m이고, 평균적인 니들 길이가 0.24㎛이고 BET 표면적이 28㎡/g인 강자성 이산화크롬 2,000g, 아연 올레산염 30g, 스테아르산 15g 및 메틸 스테아레이트 30g을 용량이 1.5 용적부이고 2.7kg의 세라믹 볼의 직경이 1.0 내지 1.5mm인 2.7kg의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교반 볼 밀에 도입하고, 배치를 순환시키면서 12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그런 다음, 분산액을 압력하에서 여과시키고, 3mol의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mol의 트리메틸프로판으로 구성되고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50% 농도를 가지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용액 0.04부를 교반시키면서 분산액의 1부에 대하여 첨가한 후 곧바로 상기 혼함물을 15㎛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였다. 코팅된 필름을 자성 입자를 배향시키기 위해 자기장을 통해 통과시킨 후 50 내지 80℃에서 건조시키고 압력하에서 가열된 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캘린더링하였다(닙(nip) 압력 200kg/cm).
비교예 5
중합체 D를 비교 중합체 D'로 대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표 1
광택측정
광택을 수동 코팅 테스트에서 60° 의 각도로 Dr. Lange의 반사계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광택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분산 결과는 더 우수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분산액을 40㎛ 나이프 코팅기로 약 1m/s의 출발속도로 24㎛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였다.
B - 실시예
V - 비교예
표 2
-에러의 수(드롭아웃/분)
에러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저장 시간 후, 분산액을 캐스팅하고 처리하여 비디오 테이프를 제공하였다.
표 3
-노듈(nodule) 형성에 의한 표면 평가
여기에서는, 분산액을 약 1m/s의 출발 속도로 40㎛ 나이프 코팅기에 의해 24㎛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각각 도포하고 표면을 평가하였다.
표 4
- 배향 Mr/Mm
여기에서는, 분산액으로부터 수득된 테이프의 배향 Mr/Mm을 360kA/m의 자기장에서 자성값 측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Mr-잔류 유도, Mm-잔류 자기)
저장 시간은 분산액의 처리에 따른 제조로부터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7)

1) (a) 80 내지 100mol%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C25-알킬 에스테르; (b) 올레핀계 불포화 방향족 탄화수소, 불포화 니트릴, 할로겐화된 올레핀, 비닐 알코올 유도체, 및 다가알코올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20mol%의 추가의 단량체; 및 (c) 중합반응 개시제로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를 포함하는 중합체(II)를
2)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양이 중합체(II)의 히드록실기 1mol 당 1.2 내지 3.0mol인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III)와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IV)을 생성시키고,
3) 생성물(IV)을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V) 또는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분산성 수지로서 적합한 중합체 재료(I).
1) (a) 80 내지 100mol%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C25-알킬 에스테르; (b) 올레핀계 불포화 방향족 탄화수소, 불포화 니트릴, 할로겐화된 올레핀, 비닐 알코올 유도체, 및 다가알코올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20mol%의 추가의 단량체; 및 (c) 중합반응 개시제로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를 포함하는 중합체(II)를
2)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양이 중합체(II)의 히드록실기 1mol 당 1.2 내지 3.0mol인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III)와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IV)을 생성시키고,
3) 생성물(IV)을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V) 또는 암모니아와 반응시켜서 제 1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I)를 제조하는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중합체(II)가 d) 중합체(II)의 대부분의 중합체 사슬이 히드록실기에 의해 한 단부에서 종결되는, 3차-부틸 히드로퍼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 쿠모일 히드로퍼옥시드 및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중합 반응 개시제; 또는 아미노알코올 및 티오알칸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재료(I).
제 2항에 있어서, 중합체(II)가 d) 중합체(II)의 대부분의 중합체 사슬이 히드록실기에 의해 한 단부에서 종결되는, 3차-부틸 히드로퍼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히드로퍼옥시드, 쿠모일 히드로퍼옥시드 및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중합 반응 개시제; 또는 아미노알코올 및 티오알칸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또는 제 3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I) 및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 제형.
제 5항에 있어서, 안료가 자성 안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제형.
분산성 수지로서 제 1항 또는 제 3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I)가 제공되는 자성 안료를 함유하는 자기 기록 재료.
KR1019950000444A 1994-01-12 1995-01-12 분산성수지로서적합한중합체재료 KR100352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00595.4 1994-01-12
DEP4400594.6 1994-01-12
DE4400594 1994-01-12
DE4400595 1994-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353A KR950032353A (ko) 1995-12-20
KR100352696B1 true KR100352696B1 (ko) 2003-02-05

Family

ID=2593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444A KR100352696B1 (ko) 1994-01-12 1995-01-12 분산성수지로서적합한중합체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56918A (ko)
JP (1) JPH0935242A (ko)
KR (1) KR100352696B1 (ko)
DE (1) DE4446383C2 (ko)
FR (1) FR2714911B1 (ko)
GB (1) GB2285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6784A1 (de) * 1995-05-11 1996-11-14 Basf Magnetics Gmbh Als Dispergierharze geeignete polymere Massen
DE19734893A1 (de) * 1997-08-12 1999-02-18 Emtec Magnetics Gmbh Lösungsmittelfrei herstellbare Polyurethane und ihre Verwendung als Bindemittel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EP1207522A1 (en) * 2000-11-16 2002-05-22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KR100921364B1 (ko) 2002-06-26 2009-10-14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내충격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CN100343327C (zh) * 2002-06-26 2007-10-17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公司 抗冲击聚烯烃组合物
ES2296187T3 (es) * 2004-06-08 2008-04-16 Basf Se Composiciones polimeras anfifilas y su empleo.
KR101580849B1 (ko) * 2008-02-29 2015-12-30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폴리올레핀 조성물
JP5470945B2 (ja) * 2008-03-24 2014-04-1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分散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顔料組成物、顔料分散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
GB0813433D0 (en) * 2008-07-23 2008-08-27 Fujifilm Imaging Colorants Ltd Process
JP2013512294A (ja) 2009-11-27 2013-04-1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溶解度が低い活性物質を可溶化するための樹状ポリ尿素
GB0921009D0 (en) * 2009-12-01 2010-01-13 Fujifilm Imaging Colorants Ltd Process for preparing a dispersion of a particulate solid
US8360296B2 (en) 2010-09-09 2013-01-2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head assembly with firing lockout for a surgical stapler
US9113884B2 (en) 2011-03-14 2015-08-25 Ethicon Endo-Surgery, Inc. Modular surgical tool systems
US11284890B2 (en) * 2016-04-01 2022-03-29 Cilag Gmbh International Circular stapling system comprising an incisable tissue support
US10542991B2 (en) 2016-04-01 2020-01-28 Ethicon Llc Surgical stapling system comprising a jaw attachment lockout
US10307159B2 (en) 2016-04-01 2019-06-04 Ethicon Llc Surgical instrument handle assembly with reconfigurable grip portion
US10376263B2 (en) 2016-04-01 2019-08-13 Ethicon Llc Anvil modification members for surgical staplers
US11138998B2 (en) 2018-03-22 2021-10-05 Fujifilm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composition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including polyalkyleneimine compoun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996A (en) * 1970-05-21 1974-01-29 Du Pont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ic dispersing aids
GB1389930A (en) * 1971-06-23 1975-04-09 Fooderies Pty Ltd Foamed plastic sheeting
DE2500921C3 (de) * 1975-01-11 1986-10-2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lösungen
EP0547432B1 (de) * 1991-12-18 1996-02-28 BASF Magnetics GmbH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DE4141839A1 (de) * 1991-12-18 1993-06-24 Basf Magnetics Gmbh Magnetische aufzeichnungstraeger
DE4234325A1 (de) * 1992-10-12 1994-04-14 Basf Magnetics Gmbh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00467D0 (en) 1995-03-01
KR950032353A (ko) 1995-12-20
GB2285985A (en) 1995-08-02
FR2714911A1 (fr) 1995-07-13
GB2285985B (en) 1998-04-29
DE4446383C2 (de) 2003-04-17
JPH0935242A (ja) 1997-02-07
US5556918A (en) 1996-09-17
DE4446383A1 (de) 1995-07-20
FR2714911B1 (fr)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696B1 (ko) 분산성수지로서적합한중합체재료
EP0622785B1 (en) Magnetic recording media whose magnetic layer incorporates nonhalogenated vinyl copolymer
KR100328605B1 (ko) 가교성 결합제성분으로서적합한재료
US6265060B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incorporating fluorine-containing, solvent-soluble vinyl copolymer having no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components
US4340494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erromagnetic chromium dioxide
JPH04270719A (ja) スルホン化及び非スルホン化チオールヒドロキシ官能ポリウレタン並びにそれらを用いて製造したグラフト共重合体
EP0772642B1 (en) Strong carboxylic acid functional polyurethane polymers and blends thereof used in magnetic recording media
JPH05266459A (ja) 磁気記録担体
JP2002508873A (ja) 表面処理された磁性顔料を含む磁気記録媒体
US5756637A (en) Polymeric materials suitable as dispersing resins
KR100232244B1 (ko) 자기 기록 매체
DE4234325A1 (de)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JPH0256719A (ja) ウレタン樹脂を含有する磁気記録媒体用結合剤
DE4433931A1 (de) Magnetische Aufzeichnungsträger
US4507457A (en) Production of magnetic recording media
KR100191765B1 (ko) 카르바메이트 변성 술폰화 및 비술폰화된 히드록시 작용기를 가진 폴리우레탄 마크로이니펄터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상기 화합물로 제조된 자기 기록 매체
US5968658A (en) Magnetic recording media
US4937151A (en) Coating composition with vinyl chloride polymer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2283775A (ja) 磁気記録媒体に使用する結合剤組成物
JPH0363129B2 (ko)
KR100352695B1 (ko) 가교성결합제성분으로서적합한재료
RU2174988C2 (ru) Полимерное связующее для содержащих пигмент препаратов или масс для покрытий
JP2799221B2 (ja) 磁気記録媒体
JPH0448433A (ja) 磁気記録体用結着剤
JPH01494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