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244B1 - 트위스팅장치 - Google Patents

트위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244B1
KR100352244B1 KR1019960701238A KR19960701238A KR100352244B1 KR 100352244 B1 KR100352244 B1 KR 100352244B1 KR 1019960701238 A KR1019960701238 A KR 1019960701238A KR 19960701238 A KR19960701238 A KR 19960701238A KR 100352244 B1 KR100352244 B1 KR 10035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s
row
pulley
axi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090A (ko
Inventor
그레이엄 필립스 데이비드
알랜 토마스 키이스
Original Assignee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filed Critical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Publication of KR96070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8Rollers or other friction causing elements
    • D02G1/087Rollers or other friction causing elements between the flanks of rotating dis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9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transient twist, i.e. false tw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송가닥 트위스팅장치는 회전축X-X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구조물(12) 및 회전축X-X에 평행하며 구조물(12)의 회전시 그 축주위로 운동하는 풀리회전의 각각의 축주위로 회전하기위해, 각 풀리가 일렬로 구조물(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X-X 주위에 배치되어 구조물(12)에 일렬로 설치된 일련의 풀리들(48,52,54 및 65)로 구성되어 있다. 투입가닥안내풀리(60)는 투입가닥이 꼬여져 풀리들(48,50,52,54 및 56)에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통로로 안내하며, 가닥출구안내풀리(62)는 그 통로로부터 출구통로로 축X-X을 따라 가닥을 안내한다. 회전구조물(12)은 구동축(16)을 통해 구동되며 풀리들(48,50,52,54 및 56)은 기어(32)에 의해 회전된다.

Description

트위스팅 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송 가닥을 트위스팅(twisting)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가닥"(strand)이라는 용어는 섬유(fibre)나 필라멘트(filament) 혹은 섬유들이나 필라멘트들의 긴 일체의 어셈블리(assembly)까지를 의미한다.
슬라이버(sliver)나 조방(roving)과 같은 스테이플(staple)직물섬유의 어셈블리에 꼬인(twisted) 가닥을 삽입하는 것은 예를 들면, 방직제조에서와 같이 섬유어셈블리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지의 방직 공정이다. 또한 예를 들면, 드래프팅(drafting)공정에서와 같이, 스피닝(spinning)전의 작업동안 섬유어셈블리에 대한 일정한 제어를 제공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 실제의 트위스트와는 반대로 가연(false twist)이 삽입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방직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 번호 PCT/AU90/00349(국제 공고번호 WO 91/02835)는 가연이 어셈블리에 부가되어 섬유들 사이에서 섬유들이 끌리는 대신 당겨지도록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버나 조방(roving)과 같이 스테이플(staple) 섬유의 어셈블리에서 섬유를 당기는 방법과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끌림"(drafted)이라는 용어는-어셈블리의 섬유들 사이의 길이방향 미끄럼에 의한 섬유어셈블리의 연장을 의미한다. 그러한 당김은, 두개의 이격된 닙롤러들 사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적어도 2열의 풀리들 사이에서 일어나며, 풀리열들은 장치를 통해 섬유어셈블리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국제특허출원번호 PCT/AU90/00349에 예시된 종류의 장치는 풀리구동시스템에 사용되는 베벨기어의 과도한 마모, 부식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는 베어링들과 기어들에 대한 손상, 회전풀리 운반의 동력학적 밸런스를 맞추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및 회전 어셈블리들 내의 부품들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에 따른 보수의 어려움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크게 경감하기 위한 교대(alternative)형의 트위스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스테이플섬유들을 당기기 위한 종전의 장치와 관련된 상술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어떠한 목적을 위해서도 이송가닥을 트위스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며 본 발명은 어떠한 목적을 위한 이송가닥을 트위스트하기 위한 장치로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구조물;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며 회전구조물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주위로 운동하는 풀리회전의 각각의 축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각 풀리가 구조물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주위에 배치되어 회전구조물에 설치된 일열의 다수의 풀리들:
트위스트될 투입가닥이 풀리열에 연속적으로 투입될 통로로 안내하는 투입가닥안내수단;
상기 통로로부터 장치의 출구통로로 가닥을 안내하는 가닥출구안내 수단; 및
상기 회전축주위로 회전구조물을 회전시키며 또한 상기 열의 풀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그 각각의 개별적인 축주위로 회전시켜 가닥을 상기 출구통로를 향하여 전방으로 구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이송가닥을 트위스팅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가닥투입안내수단은 이송가닥을 상기 회전축을 따라 연장하는 투입경로로부터 상기 열의 풀리들에 연속적으로 맞물릴 경로로 안내하는 데 효과적이다.
가닥투입안내수단은 이송가닥을 상기 회전축을 따라 특정위치에 맞물리게 하여 가닥이 맞물릴 상기 열의 제 1 풀리를 향하여 그 축의 원주외부로 가닥을 안내하도록 상기 회전구조물에 설치된 투입안내풀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투입안내풀리는 회전구조물의 회전축에 횡으로 축주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특히, 가닥출구안내수단은 연속적으로 상기 열의 풀리들에 맞물리는 경로로부터 회전구조물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하는 출구경로로 이송가닥을 안내하는데 효과적이다. 가닥출구안내수단은 상기 열의 풀리들과 맞물린 후에 이송가닥에 맞물려 회전구조물의 회전축의 원주내부로 연장하는 방향으로부터 방향을 상기 출구경로로 변화시키도록 회전구조물에 설치된 출구안내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구동수단은 상기 열의 모든 풀리들을 그들의 각각의 개별축 주위로 일정한 원주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되어 이송가닥을 장치를 통해 적극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테이플 섬유들의 이송 어셈블리를 당기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당겨질 스테이플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를 통과시키는 트위스트블럭과 트위스트블럭으로부터 하류의 스테이플섬유의 이송 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한 쌍의 트위스트장치로 구성되며, 각 트위스팅장치들은 앞서 설명한 구조물들 중의 하나에 따라 구성된 장치로 구성되며, 트위스트장치의 구동수단이 상류의 트위스팅장치의 피동풀리나 풀리들 보다 빠른 원주속도로 하류 트위스팅장치의 피동풀리나 풀리들을 구동하도록 작동되어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가 한 쌍의 트위스팅장치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를 당기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스테이플 섬유를 당기기 위한 장치에의 적용례를 다음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트위스팅장치의 측면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트위스팅장치의 중앙부의 정단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3-3선에 따른 도면이다.
제 4 도는 제 2 도의 4-4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한 쌍의 트위스팅장치를 통합한 스테이플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를 당기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된 트위스팅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트위스팅장치(10)는 벨트피동풀리(14)에 의해 종축 X-X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하우징(12) 형태의 회전구조물로 구성된다. 풀리(14)는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하는 중공의 샤프트(16)에 설정되어 있다. 샤프트(16)는 샤프트에 용접된 원형 플랜지(18)로 하우징(12)에 설정되어 있다(제 2 도 참조). 제 2의 중공샤프트(20)는 하우징(12)의 반대측에 유사하게 설정되어 그로부터 연장한다. 샤프트(16,20)는, 프레임이나 베드(30)에 설정되며 그로부터 연장하는 브라켓(26,28)으로 지지되는 베어링(22,24)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하우징(12)은 기어(32)에 의해 구동되는 일련의 풀리들(아래서 설명됨)을 포함한다. 기어(32)는 벨트 및 풀리구동부(34)에 의해 구동되며, 그 풀리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샤프트(20)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동시, 하우징(12)은 구동풀리(14)에 의해 회전되며 하우징내의 일련의 풀리들은 벨트와 풀리구동부(34) 및 기어(32)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가닥(36)을 중공축(20,16)을 거쳐 장치(12)를 통해 구동한다. 하우징(12)의 회전은, 슬라이버 혹은 스테이플 직물섬유인 이송가닥(36)으로 비틀림(twist)을 준다.
제 2 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다수의, 예를 들면 4개의 볼트와 간격체 어셈블리(42)로 이격되어 함께 부착된 원형의 종단플레이트 혹은 벽(38,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들(38,40)의 중앙 구멍들(44,46)은 각기, 섬유어셈블리의 통로로서 샤프트(16,20)의 중공의 중심과 소통한다.
일련의 풀리들(48,50,52,54,56)은 하우징(12)의 회전축 X-X주위에 배치되어 일렬로 종단벽(40)에 설치된다. 5개의 모든 풀리들이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으나 제 2 도는 간단히 하기 위해 일부를 생략하였다. 각 풀리는 관련축(48a,50a,52a,54a,56a)의 종단에 부착되어있고, 축들의 타 종단들은 풀리들을 구동하기 위해 거기에 부착된 관련 기어들(48g,50g,52g,54g,56g)을 가지고 있다. 축들(48a 내지 56a)은 예를 들면 볼트(58)에 의해 종단 플레이트(40)에 부착된 관련된 받침대(48p,50p,52p,54p,56p)에서 지지되는 베어링들로 설치된다. 따라서, 각 풀리들(48,50,52,54,56)은 하우징의 회전축 X-X에 일반적으로 평행하며 하우징의 회전시 측X-X 주위로 이동할 각각의 풀리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하우징(12)에 설치된다.
자유로이 구동하는 투입안내풀리(60)와 자유로이 구동하는 출력안내 풀리(62)가 또한 하우징(12)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풀리(60)는 내향 이송 가닥(36)을 피동풀리(48)로 전환시키고 안내풀리(62)는 피동풀리(56)로부터 비틀림축으로 이송하는 가닥을 전환하여 구멍(44)과 중공축(16)을 통하여 하우징외부로 이송한다. 특히, 투입안내풀리(60)는 풀리(48)에 맞물리도록 회전축 X-X를 따라 연장하는 투입경로로부터 원주외부로 가닥(36)을 안내하는 데 효과적이며 투출안내풀리(62)는 피동풀리(56)로부터 가닥을 수용하여 가닥투입경로의 연장에 따라 회전축 X-X을 따라 연장하는 출구경로로 안내한다.
하우징(12)의 각 플레이트들(38,40)은 각기 외각근방의 그 내부에 각기 구분된 커버(66)가 안착되는 내향홈(64)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12)은 종단플레이트들(38,40)로 형성되어 원통형 커버(66)를 둘러싼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6)는 홈(64)내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부분들(66a,66b)로 구성된다. 하우징내부로의 접근은 부분(66b)을 부분(66a)위로 슬라이드시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편리하게 된다. 부분(66b)은 부분(66a)보다 짧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길이이며, 즉 하우징(12)의 원주의 약 반정도로 각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 종단플레이트(38,40)는 각기 다수의 커버부를 미끄럼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두개의 밀집되고 평행한 내향홈들(홈(64)에 유사한)을 포함하며, 일부의 커버부들은 하나의 홈내에서 이격되어 있고 다른 커버부분들은 다른 홈내에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도시된 슬라이딩부(66a,66b)보다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커버부는 그 외부표면에 핸들들을 포함하여 홈 내에서의 슬라이딩시키기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제 4 도는 풀리들(48 내지 56)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32)를 도시하고 있다. 벨트구동부(34)는 풀리(50,54)용 기어들(50g, 54g)과 맞물리는 선기어(68)를 구동한다. 작은 기어들(70,72,74)이 선기어(68)와 풀리기어들(48g,52g,56g)사이에 배치되어 관련 풀리들(48,52,56)에 대한 옳은 회전방향을 보장한다. 소형기어들(70,72,74)은 종단플레이트(40)에 볼트 체결된 관련 샤프트(예를 들면 제 2 도의 76)에 베어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들(48g 내지 56g, 70,72,74)이 하우징(12)의 회전플레이트(40)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동안, (샤프트(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벨트 및 풀리드라이브(34)에 의해 구동되는 선기어(68)에 의해(트위스트장치(10)를 통해 풀리들에 의해 슬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해) 동시에 구동된다.
가닥(36)은 투입안내풀리(60)에 의해 회전축 X-X를 따라 그 입력경로로부터 변환되어 트위스팅장치를 통해 풀리들(48-50-52-54-56)에 의해 구동된다. 피동풀리(56)로부터, 슬라이버는 출구안내풀리(62)로 변환되어 회전축 X-X를 따라 출구경로로 하우징을 나오게 된다. 각 풀리(48 내지 56a)에서, 원형의 바닥(제 2 도에 가장 잘 도시됨)을 가진 V형 홈(78)이 그 외향원주에 형성되어 있다. 충분한 구동풀리들을 제공하는 것과 그들의 구동홈형상이 비틀릴 가닥이 미끄러지지 않고 트위스팅장치를 통과하도록 구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는 최대회전속도 약 750 rpm에서 관통속도 24 m/s로 80-100 kTEX의 방직섬유의 슬라이버를 구동하여 꼬는 데 적당하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의 하우징(12)은 직경이 약 42 Cm, 폭이 22 Cm이다. 풀리들(48 내지 56)은 직경이 약 10 Cm이고 구동홈의 바닥에서 측정하여 직경이 약 5.5 Cm 이다. 하우징(12)내의 구성요소들은 스텐레스 스틸이나 하우징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부식 환경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트위스팅장치(10)는 장치를 두개의 트위스트블럭 사이에 설치하여 이송가닥에 가연을 삽입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트위스트블럭은 한쌍의 상류공급롤러들 사이의 닙(nip)과 한 쌍의 하류전달롤러 사이의 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트위스팅장치를 사용하여 직물 섬유(예를 들면, 슬라이버)의 어셈블리에 섬유를 당겨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이 장치는 출원인의 상기한 국제특허출원 번호 PCT/AU90/00349에 설명된 방법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한 쌍의 상류공급롤러(104)들과 한 쌍의 하류전달롤러들(105)사이의 공통 트위스트축을 따라 이격된 가닥처리배스(bath,100)와 4개의 트위스팅장치(101,102,103,122)로 구성된다. 각각의 트위스팅장치(101,102,103,122)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시,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 번호 PCT/AU90/00349에 상세히 설명된 방법으로 당겨질 섬유어셈블리(110)를 먼저 적절한 경화제로 배스(100)에서 적신다. 경화된 어셈블리는 이어 트위스팅장치(101,102,103,122)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롤러들(104) 사이의 닙은, 가연이 회전장치(101,102,103,122)에 의해 이송슬라이버로 삽입되도록 트위스트블럭을 구성한다. 트위스팅장치(101,102) 사이의 영역은 섬유를 당기기 위한 영역이고, 장치들(102,103) 사이의 영역은 섬유의 당김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장치(103,122) 사이의 영역은 슬라이버가 풀리상에서 미끄러짐 없이 트위스팅장치를 통해 구동되도록 장치(103)의 하류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101,102)에 의해 삽입된 가연은 섬유들 사이를 충분히 지지하여 섬유들이 끌리기보다는 당겨지도록 해야한다.
트위스팅장치(102,103)사이의 설정영역에서는, 장치는 120으로 표시된 가닥축적 및 스팀설정장치가 통합되어 있다. 이 장치는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는 정지스팀캐비넷(111)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튜브형 샤프트(112,113)가 스팀캐비넷(111)의 종단벽들을 통해 돌출하며 각기 트위스팅 장치(102,103)의 회전구동샤프트들에 결합되어, 샤프트(112)가 트위스팅장치(102,103)의 회전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며 샤프트(113)는 장치(103)의 회전하우징과 함께 회전한다. 샤프트(112)의 내부종단은 회전중심축의 일측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축적기 풀리(115)가 설치된 풀리설치용 브라켓(114)을 운반한다. 샤프트(113)의 내부종단은 어큐믈레이터풀리(115)에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된 한 쌍의 어큐믈레이터 풀리(117)가 설치된 풀리설치용 브라켓(116)을 운반한다. 이송 슬라이버(110)는 스팀캐비넷 내에서의 슬라이버의 존속시간을 연장하도록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한 연속적인 통로의 스팀캐비넷(111)내에서 전후로 통과하도록 어큐믈레이터풀리들(115,117)주위로 이동한다.
캐비넷(111)에는 스팀 유입구(118)가 설치되어, 스팀이 챔버로 유입되어 캐비넷 내의 축적된 슬라이버를 세 개의 트위스팅장치들(101,102,103,122)의 회전에 의해 부가되는 가연을 설정하도록 스팀처리되게 된다. 회전덥개밀봉부(119,121)를 회전튜브형 샤프트(112,113)와 정지 스팀캐비넷(111)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스팀캐비넷(111)내에 어큐믈레이션 풀리들을 설치할 때, 샤프트들(112,113)의 회전속도가 동일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두 장치의 하우징을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트위스팅장치(102,103)의 구동부들을 연결하는 전자속도제어 수단으로 성취될 수 있다. 튜브형 샤프트(112,113)사이의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트위스팅장치(122)는 섬유 어셈블리(110)가 장력제어를 극대화하도록 트위스팅장치(103)에 고정되도록 해야한다. 또한, 그 장치들 사이에 당김영역에 스팀처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트위스팅장치(101,102)를 둘러싸는 스팀캐비넷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시된 트위스팅장치는 트위스팅 및 당김 풀리들이 중앙의 트위스팅축을 따라 펼쳐진 종래의 장치보다 훨씬 쉽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예시된 장치의 풀리들은 중심 트위스트축 주위로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열로 배열되어 완전한 운동학적 균형을 제공하도록 장치의 원주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내부에서 이송가닥이 꼬이거나 달리 처리되게 되는 밀폐부로부터 더욱 이격될 수 있는 유성기어시스템을 통해 더 간단한 구동기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송가닥의 처리와 관련된 부식환경이 구동시스템에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어떠한 원하는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컴팩트한 트위스팅장치의 구성을 편리하게 한다. 스테이플섬유의 당김시 당김을 부가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간격을 보장하도록 트위스팅장치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된 당김동작이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울 섬유의 "느린 당김"이 당겨진 섬유에 모섬유의 웨트 스티프니스(wet stiffness)값이 섬유의 건(dry) 질김성 및 습(wet) 질김성(tenacity)이 증가하는 동안 유지된다는 유리한 특성을 부가한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Claims (10)

  1. 스테이플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가 통과되어 당겨지게 되는, 한 쌍의 이격된 트위스트 블록;
    제1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구조물,
    상기 제1 회전축 주위에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구조물에 장착된 것으로서, 각 풀리들은 제1 열 상기 제1 회전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1 회전구조물의 회전시 상기 제1 회전축 주위로 운동하는 각각의 풀리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풀리들,
    상기 이송 어셈블리를 상기 제1 열의 풀리들을 연속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통로로 안내하는 제1 투입안내수단 및
    상기 통로로부터의 상기 이송 어셈블리를 상기 제1 트위스팅 장치로부터의 출구 통로로 안내하는 제1 출구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블록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트위스팅 장치: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구조물,
    상기 제2 회전축 주위에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구조물에 장착된 것으로서, 각 풀리들은 제2 열로 상기 제2 회전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2 회전구조물의 회전시 상기 제2 회전축 주위로 운동하는 각각의 풀리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풀리들,
    제2 트위스팅 장치에 진입하는 이송 어셈블리를 상기 제2 열의 풀리들을 연속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통로로 안내하는 제2 투입안내수단, 및
    상기 이송 어셈블리를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제2 트위스팅 장치로부터의 출구통로로 안내하는 제2 출구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위스팅 장치를 빠져나온 상기 이송 어셈블리를 받아들이도록 상기 트위스트 블록 사이에 위치된 제2 트위스팅 장치;
    상기 제1 회전구조물을 상기 제1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열의 풀리들을 그 각각의 개별적인 풀리축들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2 회전구조물을 상기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열의 풀리들을 그 각각의 개별적인 풀리축들 주위를, 상기 제1 열의 풀리들에 비하여 더 빠른 원주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가 상기 제1 및 제2 트위스팅 장치를 통과함에 따라 당겨지도록 하는 제2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섬유의 이송 어셈블리의 당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제1 구동수단의 작동시, 상기 제1 회전구조물의 회전 속도보다 더 높은 회전속도에서 상기 제2 회전구조물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풀리들은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더욱 크거나 작은 거리로 상기 제1 구조회전물의 상기 제1 회전축 주위에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수단은 상호 반대의 회전방향들로 제1 열의 연속적인 풀리들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의 풀리들은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더욱 크거나 작은 거리로 상기 제2 구조회전물의 상기 제2 회전축 주위에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상호 반대의 회전방향들로 제2 열의 연속적인 풀리들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위스팅 장치로부터 하류로 상기 섬유 이송 어셈블리를 수용하도록 상기 트위스트 블록 사이에 위치된 제3 트위스팅 장치;
    상기 제2 및 제3 트위스팅 장치의 사이에서 그 이송방향으로 통과하는 섬유 이송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밀폐수단;
    상기 밀폐부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수단; 및
    상기 제3 회전구조물을 상기 제3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제3 열의 풀리들을 그 각각의 개별적인 풀리축들의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3 트위스팅 장치는
    제3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제3 회전구조물,
    상기 제3 회전축 주위에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3 회전구조물에 장착된 것으로서, 각 풀리들은 제3 열로 상기 제3 회전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 회전축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3 회전구조물의 회전시 상기 제3 회전축 주위로 운동하는 각각의 풀리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제3 풀리들,
    상기 제3 트위스팅 장치에 진입하는 상기 이송 어셈블리들을 상기 제3 열의 풀리들을 연속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통로로 안내하는 제3 투입안내수단, 및
    상기 통로로부터의 이송 어셈블리를 상기 제3 트위스팅 장치로부터의 출구 통로로 안내하는 제3 출구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은 상기 제2 회전구조물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상기 제3 회전구조물을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열의 풀리들과 동일한 원주속도로 상기 제3 열의 풀리들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방향의 역전을 통하여 상기 밀페부 내로 이송 어셈블리를 안내하기 위한 어셈블리 안내수단을 더욱 포함함으로써 상기 밀폐부 내에서 상기 이송 어셈블리가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안내수단은 상기 밀폐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어큐뮬레이터 풀리 수단 및
    상기 밀폐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회전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어큐뮬레이터 풀리 수단을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송 어셈블리를 상기 밀폐수단 내의 연속적인 통로들 내의 상기 제1 및 제2 어큐뮬레이터 풀리 수단 사이에서 전후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큐뮬레이터 풀리 수단은 한 쌍의 어큐뮬레이터 풀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큐뮬레이터 풀리 수단은 한 쌍의 어큐뮬레이터 풀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60701238A 1993-09-17 1994-09-15 트위스팅장치 KR100352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M127293 1993-09-17
AUPM1272 1993-09-17
PCT/AU1994/000544 WO1995008012A1 (en) 1993-09-17 1994-09-15 Twis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090A KR960705090A (ko) 1996-10-09
KR100352244B1 true KR100352244B1 (ko) 2002-12-26

Family

ID=377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238A KR100352244B1 (ko) 1993-09-17 1994-09-15 트위스팅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58483A (ko)
EP (1) EP0719352B1 (ko)
JP (1) JP3527244B2 (ko)
KR (1) KR100352244B1 (ko)
AT (1) ATE194396T1 (ko)
AU (1) AU683932B2 (ko)
BR (1) BR9407548A (ko)
CA (1) CA2170252C (ko)
DE (1) DE69425144T2 (ko)
NZ (1) NZ273546A (ko)
WO (1) WO1995008012A1 (ko)
ZA (1) ZA947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6117C (zh) * 1999-10-28 2006-01-11 新西兰羊毛研究组织(股份有限公司) 拉伸动物纤维纤维束的改进方法和设备
US9179709B2 (en) 2012-07-25 2015-11-1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ixed fiber sliver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igarette filter elements
US10524500B2 (en) 2016-06-10 2020-01-0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taple fiber blen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igarette filter ele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8130A2 (en) * 1980-09-15 1982-03-24 Northern Telecom Limited Planetary 'SZ' twist accu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085C (ko) *
US3439394A (en) * 1964-07-13 1969-04-22 Celanese Corp Process for making a splittable crimped tow
US3373549A (en) * 1965-06-10 1968-03-19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alternate reverse twisting of indefinite lengths of strand material
US3503100A (en) * 1966-09-08 1970-03-31 Eastman Kodak Co Method of processing large denier tow
US3481012A (en) * 1968-06-17 1969-12-02 Eastman Kodak Co Roll for transporting,drafting and/or treating continuous fiber tow and the like
ES356165A1 (es) * 1968-07-08 1970-01-01 Memmingen Espanola S A Maschf Un huso de arana de maquina retorcedora a doble torsion.
CH529427A (de) * 1971-03-31 1972-10-15 Siemens Ag Rotierender Zwischenspeicher zur Verseilung von Verseilelementen für elektrische Kabel
FR2183429A5 (ko) * 1972-05-04 1973-12-14 Dev Fil Metall
US4112668A (en) * 1976-10-04 1978-09-12 Monsanto Company, St. Louis, Missouri Method for treating polyester filaments
WO1987000877A1 (en) * 1985-08-08 1987-02-12 Syncro Machine Company Twin track buncher
US4961307A (en) * 1989-08-09 1990-10-09 Cook Paul P Textile processing employing a stretching technique
BR9007603A (pt) * 1989-08-17 1992-08-25 Commw Scient Ind Res Org Processo e aparelho para estirar comprimentos de fibras e comprimentos de fibras
FI84110C (fi) * 1989-10-20 1991-10-10 Maillefer Nokia Holding Foerfarande och utrustning foer tillverkning av ett flerfibrigt optiskt ledarelement.
CA2024299C (en) * 1990-06-28 2000-05-23 Kenneth Michael Kot Apparatus for making metallic cord
GB9024846D0 (en) * 1990-11-15 1991-01-02 Northampton Machinery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an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8130A2 (en) * 1980-09-15 1982-03-24 Northern Telecom Limited Planetary 'SZ' twist accu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88794A (en) 1995-04-03
ATE194396T1 (de) 2000-07-15
KR960705090A (ko) 1996-10-09
JPH09502772A (ja) 1997-03-18
CA2170252A1 (en) 1995-03-23
WO1995008012A1 (en) 1995-03-23
NZ273546A (en) 1996-12-20
DE69425144D1 (de) 2000-08-10
EP0719352B1 (en) 2000-07-05
US5758483A (en) 1998-06-02
JP3527244B2 (ja) 2004-05-17
DE69425144T2 (de) 2001-03-01
EP0719352A1 (en) 1996-07-03
AU683932B2 (en) 1997-11-27
BR9407548A (pt) 1996-12-31
ZA947092B (en) 1995-05-03
CA2170252C (en) 2005-08-09
EP0719352A4 (en) 199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3572A (zh) 产生包芯纱的方法和纺纱机
CS215068B2 (en) Appliance for making the yearn
US2908133A (en) False twister
US47005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sliver
US4507913A (en) Vacuum spinning
KR880000290B1 (ko) 코어 방적사 제조 방법 및 장치
CS209436B2 (cs) Způsob spřádání vláken v přízi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KR100352244B1 (ko) 트위스팅장치
CN114540999B (zh) 一种单牵伸区的等隔距双通道环锭纺纱装置
EP0184277B1 (en) Vacuum spinning
TWI467071B (zh) 用於針織機的拉伸單元
US3439486A (en) Spinning
GB2448822A (en) Drafting system drive arrangement
GB1593448A (en) Apparatus for spinning textile fibres
CN106460253A (zh) 具有假捻设备的纺纱机
US45935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pun yarn
JP2002235252A (ja) 繊維ストランドを凝縮するための紡糸機のための集成装置
US3334478A (en) Manufacture of elastic yarns
US4719744A (en) Vacuum spinning method
CS244401B2 (en) Staple fibres spinning device
JPS58214537A (ja) 精紡機におけるドラフトロ−ラ駆動装置
CN101135085A (zh) 针织横机的牵拉装置
ITGE970015A1 (it) Macchina di filatura o di ritorcitura, in particolare macchina ritorcitrice a doppia torsione o macchina di cablaggio diretto.
JPS61138734A (ja) 紡績糸、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3298168A (en) Apparatus for driving a spinning frame for making covered elastic ya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