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613B1 - 물품수송설비 - Google Patents

물품수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613B1
KR100349613B1 KR1019970053547A KR19970053547A KR100349613B1 KR 100349613 B1 KR100349613 B1 KR 100349613B1 KR 1019970053547 A KR1019970053547 A KR 1019970053547A KR 19970053547 A KR19970053547 A KR 19970053547A KR 100349613 B1 KR100349613 B1 KR 10034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article
arm
stoc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954A (ko
Inventor
마수다쥰이찌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3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14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provided with satellite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층계로 쌓여진 물품을 꺼낼 때에, 주행대차를 대기시킬 필요없이, 더욱이 주행대차를 이동시키지 않고 좌우로 위치하는 물품을 계속해서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주행대차(3)를 스톡영역(R) 과 반출컨베이어(C)와의 사이에서 주행하도록 배치하는 것.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3)와, 경동장치(4) 및 물품을 떠내는 장치(5) 등을 구비하고, 경동장치(4)는 주행대차(3)에 대하여 승상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6)과, 프레임(6)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아암(7)과, 아암(7)의 선단측으로 설치된 경동구(8) 등을 구비하고, 떠내는 장치(5)는 주행대차에 대하여 승강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22,23)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아암(25)의 선단측으로 설치된 구제도구 등을 구비하며, 경동장치(4)는 프레임(6)에 대하여 아암(7)을 좌우로 이동자재하게 설치하고, 떠내는 장치(5)는 프레임(22,23)에 대하여 아암(25)을 좌우로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것.

Description

물품수송설비
본 발명은, 물품을 격납하는 스톡영역으로 층계로 쌓여진 물품무리로부터 개별적으로 물품을 접어들어, 접어든 물품의 적당한 수를 모아서 반출컨베이어로 인도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물품수송설비에는, 스톡영역으로 여러 종류의 물품을 각 종류마다 층계로 쌓아서, 스톡영역으로부터 요구에 따른 종류의 물품을 수송하고, 수송된 복수개의 물품을 한무리로서 반출컨베이어로 인출하는 것이 있다. 종래에, 그 물품의 수송설비에는, 물품을 층계로 쌓는 상태에서 격납하는 스톡영역과, 스톡영역으로 층계로쌓여진 물품무리로부터 개별적으로 물품을 수송하는 물품수송장치와, 물품수송장치로부터 물품을 인수하여 모아두는 스톡장치와, 물품의 수송장치 및 스톡장치를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스톡장치로부터 물품을 인수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설된 반출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한 물품수송장치의 일예로서는, 경동장치와, 그 경동장치에서 기울어진 물품의 아래쪽공간으로 진입하여 물품을 떠내는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리고, 경동장치는, 주행대차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아암과, 그 아암의 선단측으로 설치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아암과, 그 아암의선단측으로 설치된 경동구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떠내는 장치는, 주행대차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그 아암에 대하여 전후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아암과, 그 아암의 선단측으로 설치된 구제하는 도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한 주행대차는, 반출컨베이어의 위를 올라탄 상태에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행대차는, 스톡장치로부터 반출컨베이어로 인출된 물품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인출된 물품이 반출컨베이어로 반출되는 것을 대기하여 주행을 재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행대차를 대기시키는 것은, 설비의 처리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된다.
좌우로 위치하는 물품을 계속해서 수송할 때에는, 주행대차를 주행시켜서, 물품의 수송장치를 소정의 좌우수송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행대차는, 물품의 수송장치 및 스톡장치를 설치한 무거운 것이므로, 좌우방향으로의 급속한 이동과 정지가 곤란하며, 이동과 정지를 저속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설비는, 수송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설비의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행대차를 대기시키는 필요없는 물품수송설비, 및 수송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행대차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좌우로 위치하는 물품을 계속해서 수송할 수 있는 물품수송설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의 요지는, 물품을 층계로 쌓는 상태에서 격납하는 스톡영역과, 스톡영여으로 층계로 쌓여진 물품무리로부터 개별적으로 물품을 수송하는 물품수송치와, 물품수송장치로부터 물품을 인수하여 모아두는 스톡장치와, 물품수송장치 및 스톡장치를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스톡장치로부터 물품을 인수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된 반출컨베이어 등을 구비한 물품수송설비에 있어서, 전기한 주행대차를, 전기한 스톡영역과 상기한 반출컨베이어의 사이에서 주행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청구범위 제1항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행대차가 스톡여역과 반출컨베이어의 사이를 주행하므로, 반출컨베이어위에 인출된 물품의 존재에 관계없이 주행대차를 주행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본 발명의 요지는, 상기한 스톡장치는, 상기한 물품수송장치로부터 좌우방향에 따라서 이동해오는 물품을 인수하도록, 상기한 물품수송장치의 좌우외측의 한쪽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인수하여 모아둔 물품을 전후방향에 따라서 반출하여 상기한 반출컨베이어로 인도하도록 된 청구범위 제1항의 물품수송설치이다. 청구범위 제2항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품수송장치의 좌우외측의 한쪽으로 스톡장치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고, 스톡영역과 반출컨베이어의 사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본 발명의 요지는,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경동장치를, 그 경동장치에서 기울게한 물품이 아래쪽공간으로 진입하여 물품을 떠내는 장치를 구비하여, 그 경동장치는 주행대차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 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아암과, 그 아암의 선단측으로 설치된 경동구를 구비하고, 그 떠내는 장치는 주행대차에 대하여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아암과, 그 아암의 선단측으로 설치된 구제하는 도구를 구비한 물품수송설비에 있어서, 상기한 경동장치는 상기한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한 아암을 좌우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하고, 상기한 떠내는 장치는 상기한 프레임에 대하여 상한 아암을 좌우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설치된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행대차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경동장치는 아암을 좌우이동시켜서 경동구의 위치를 다음의 수송위치로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떠내는 장치는 아암을 좌우이동시켜서 구제하는 도구의 위치를 다음의 수송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수송설비(이하「본 발명설비」라고 말함.」)를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설비의 하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고, 도 1은 스톡영역(S)의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설비전체를 본 사시도, 도 2는 반송컨베이어(C)의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설비전체를 본 사시도, 도 3은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요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물품의 경동을 개시하기 직전의 상태의 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5는 물품을 경동시킨 상태의 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6은 경동시킨 물품을 떠내는 상태의 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이다. 「앞」이란 스톡여역(S)측을 말하며, 「뒤」란 반송컨베이어(C)측을 말한다. 「오른쪽」이란 뒤로부터 앞을 정시했을 때의 우측을 말하며, 「왼쪽」이란 뒤로부터 앞을 정지했을 때의 좌측을 말한다.
본 설비는, 도 1, 도 2 및 도 5에 표시하듯이, 물품(B)을 층계로 쌓는 상태에서 격납하는 스톡영역(S)과, 스톡영역(S)에 층계로 쌓여진 물품 무리로부터 개별적으로 물품(B)을 수송하는 물품수송장치(1)와, 몰품수송장치(1)로부터 물품(B)을 인수하여 모아두는 스톡장치(2)와, 물품수송장치(1) 및 스톡장치(2)를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3)와, 스톡장치(2)로부터 물품(B)을 인수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된 반출컨베이어(C)를 구비한 것이다. 본 설비의 특징의 하나는, 주행대차(3)를 스톡영역(S)과 반출컨베이어(C)의 사이에서 주행하도로 배치함과 아울러, 스톡장치(2)를 물품수송장치(1)의 좌우외측의 한쪽(도 1 및 도 2는 죄외측)으로 배치된 것이다. 스톡장치(2)는, 물품수송장치(1)로부터 좌우방향에 따라서 송출되어 오는 물품(B)을 인수함과 아울러, 인수하여 모아둔 물품(B)을 전후방향에 따라서 인출하여 반출컨베이어(C)로 인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물품수송장치(1)는, 도 5에 표시하듯이, 층계로 쌓여져 있는 물품(B)의 자기 앞아래쪽을 올려서 경동시키는 경동장치(4)와, 경동장치(4)에 기울게한 물품(B)의 아래쪽공간(D)으로 진입하여 물품(B)을 떠내는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경동장치(4)는, 도 1 및 도 5에 표시하듯이, 주행대차(3)의 좌우의 마스트(3a,3a)로 안내되는 승강이 자유자재한 프레임(6)과, 프레임(6)에 설치된 안내구(19,19)(도 10참조)로 안내 되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자유자재하며 또한 선단부(7a)가 전후로 이동하는 신축이 자유자재한 아암(7)과, 아암(7)의 선단부(7a)에 설치된 경동구(8)를 구비하고 있다.
그 경동구(8)는, 도 7 내지 도 9에 표시하듯이, 압압구(11) 및 들어올리는아암(16)을 구비하고 있다. 압압구(11)는, 신축이 자유자재한 아암(7)의 선단부(7a)에 슬라이더(9) 및 래크(10)를 개지하여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배치되어 있다. 압압구(11)는, 구동모우터(17a) 및 구동벨트(17b)로된 구동장치(17)로 구동되고, 위쪽의 대기위치(도 8참조)로부터 물품(B)의 위면을 압압하는 압압위치(도 7참조)까지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압압구(11)는, 슬라이더(10)의 하단으로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축받이 되어 있고, 떠내는 장치(5)(도 6참조)에서 건저내어져서 경사하고 있는 물품(B)의 위면을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들어올리는 아암(16)은, 아암(7)의 선단부(7a)에 전후이동이 자유자재하게 배치된 좌우의 슬라이더(12,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슬라이더(12,12)에 장착된 반송나사막대(13)와 나합된 너트(8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들어올리는 아암(16)은,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연결된 3개 1조로된 링크(16a,16b,16c)로 이룩하며, 아암(7)의 선단부(7a)에 안내되는 전후이동이 자유자재한 슬라이더(12)를 모우터(18)로 구동하므로서 링크구조전체가 전후로 이동함과 아울러, 반송나사막대(13)를 모우터(84)로 구동하므로서, 피보팅(14와 15)을 이접시켜서 압압선단(16d)을 상하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들어올이는 아암(16)은, 너트(83)가 피보팅 14와 15사이를 떨어뜨려 반대로 향하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압선단(16d)을 상승시켜, 역으로 너트(83)가 피보팅 14와 15의 사이를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압선단(16d)을 강하시킨다. 들어올리는 아암(16)은, 위쪽의 대기위치(도 7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강하된 압압선단(16d)을 물품(B)의 자기앞면에 위치시켜(도 4참조), 계속하여 물품(B)의 자기앞면으로 압압시키면서, 압압선단(16d)을 약간 상승시키므로서, 물품(B)을 경도시킬 수 있다(도 5참조).
상기한 경동구(8)는, 도 7 및 도 8에 표시하듯이, 신축이 자유자재한 아암(7)의 선단부(7a)에, 수송하는 무품(B)의 배면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20)를 구비하고 있다. 백플레이트(20)는, 신축이 자유자재한 플레이트(20a,20b,20c)를 구비하여 자중으로 강하된 선단플레이트(20c)를 에어실린더, 활자 및 로우프로 된 승강조작구(21)로 끌어올려서 수납(도 8참조)하도록 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20)는, 경동시키는 물품(B)의 앞쪽으로 물품(B)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위쪽의 수납위치로부터 아래쪽의 지지위치까지 강하된 성단플레이트(20C)로, 경동시키는 물품(B)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떠내는 장치(5)는, 도 1 및 도 5에 표시하듯이, 주행대차(3)이 좌우의 마스트(3a,3a)로 안내되는 승강이 자유자재한 프레임(22,23)과, 프레임(22,23)사이로 배치된 끌어내는 컨베이어(6)와, 프레임(22,23)에 안내되어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아암(25)(도 5참조)과, 아암(25)의 선단측으로 연결된 구제도구(24)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2,23)의 사이에는, 도 11 내지 도 13에 표시하듯이, 프레임(22,23)에 안내되어서 전후로 이동하는 좌우의 중간프레임(28,29)이 배치되어 있다. 중간프레임(28,29)은, 도 12에 표시하듯이, 연결프레임(35,35)으로 연결되며, 연결프레임(35,35)에 좌우로 연장되는 안내레일(36,36)이 부설되어 있다. 안내레일(36,36)은 슬라이더(90)를 좌우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안내하고, 슬라이더(90)는 상기한 아암(25)을 전후로 이동이 자유자재하게 안내한다.
상기한 중간프레임(28,29)은, 상기한 프레임(22,23)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구동이 구동장치(30)로 실시된다. 구동장치(30)는, 프레임(22,23)에 양단을 축받이한 전후의 풀리축(31,31)과, 각 풀리축(31)의 좌우로 고착된 풀리(32)와, 전후의 풀리(32,32)에 건너지른 좌우의 엔드레스 벨트(33,33)와, 풀리축(31)을 구동하는 모우터(34)를 구비하고, 엔드레스벨트(33,33)의 적소가 중간프레임(28,29)에 연결(41)(도 14참조)되어 있다.
상기한 아압(25)은, 중간프레임(28,29)에 대한 좌우방향으로의 구동이 구동장치(91)로 실시됨돠 아울러, 중간프레임(28,29)에 대한 전후방향의 구동이 구동장치(37)로 실시된다. 구동장치(91)는, 중간프레임(28,29)에 좌우방향으로 건너지름과 아울러 양단(92a,92a)을 슬라이더(90)와 연결된 벨트(92)와, 벨트(92)를 회전구동하는 모우터(93)를 구비하고, 아암(25)을 안내하는 슬라이더(9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과 정지를 모우터(93)의 제어로 실시한다.
상기한 구동장치(37)는, 중간프레임(28,29)에 양단을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축받이 된 스프라인축(38)과, 스플라이축(38)을 회전구동하는 모우터(39)와, 슬라이더(90)에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스플라인축(38)으로 접동이 자유자재하게 외감하는 톱니가 달린 풀리(40)와, 톱니가 달린 풀리(40)와 맞물리도록 아암(25)에 설치된 톱니가 달린벨트(94)를 구비하고, 모우터(39)로 톱니가 달린 풀리(40)를 회전제어하여, 톱니가 달린 벨트(94) 및 아암(25)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과 정지를 실시한다.
상기한 구동장치(30)는 인출된 컨베이어(26)와 함께 구제도구(24)를 전후로이동시켜, 구동장치(37,91)는 인출된 컨베이어(26)와 무관계로 구제도구(24)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떠내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도 11 및 도 12중의 그 점쇄선참조).
상기한 인출된 컨베이어(26)는, 도 11,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중간프레임(28,29)에 복수개의 로울러(42)의 양단을 축받이하고, 중간프레임(28,29)에 축받이 된 최후단의 로울러(42-1)에 복수개의 로울러(42)가 굴곡이 자유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굴곡이 자유자재한 연결구조는, 서로 이웃하는 로울러(42)가 축 끼리를, 링크(43)에서 차례로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연결된 것이다. 굴곡하는 부분의 로울러 무리는, 프레임(22,23)의 내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44,45)에 안내되며, 중간프레임(28,29)의 진퇴에 따라서 전후로 이동한다.
상기한 로울러 무리용의 회전구동장치(46)는, 각 로울러(42)의 축부에 체인스프로킷(47)을 장착하고, 서로 이웃하는 스프로킷(47,47)끼리에 체인(48)을 차례로 건너지르며, 임의의 스프로킷(47)과 로울러 구동용 모우터(47)의 출력스프로킷(50)으로 체인(48)이 건너지르게 되어 있다. 로울러 구동용 모우터(49)는, 중간프레임(29)에 장착되고, 중간프레임(29)과 아울러 전후로 이동한다. 로울러 구동용 모우터(49)는, 그 기동에 의하여, 모든 로울러(42)를 동시에 자전시킨다.
상기한 인출된 컨베이어(26)는, 도 5에 표시하듯이, 그 후단 근처의 컨베이어 휴효폭 역에 걸쳐서 스토퍼(65)를 설치하므로서, 뒤쪽으로 반송된 물품(B)을 스토퍼(65)로 받아내어서 방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인출된 컨베이어(26)는, 도 2에 표시하듯이, 푸셔(66)를 우측의 대기위치로부터 좌측으로 향해서 전진(화살표H방향)하도록 배치하므로서, 스토퍼(65)(도 5참조)에서 받아내어져 있는 물품(B)을 스톡장치(2)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한 인출된 컨베이어(26)는, 후퇴시에 굴곡연결된 후퇴측을, 프레임(22,23)사이로 수납하기 위하여, 그 후퇴측을 소정위치로부터 뒤쪽으로 향해서 돌출시키는 일 없이, 설비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제도구(24)는,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하듯이, 아암(25)의 선단측으로 핀 연결(51)된 프레임(52,52)과, 프레임(52,52)사이의 뒤쪽 근처에 설치되고, 프레임(52,52)으로부터 좌우로 돌출하는 출력축(53a,53a)을 보유하는 구동모우터(53)와, 프레임(52,52)의 앞쪽근처 및 뒤쪽 위쪽으로 각각 축받이된 종동축(54,54)과, 출력축(53a,53a) 및 종동축(54,54)의 좌우양단의 각각으로 장착된 풀리(55)와, 프레임(52,52)에 장착된 좌우의 텐션풀리(63,63)와, 각조의 풀리(55,55,55) 및 텐션풀리(63)에 건너지른 좌우의 엔드레스벨트(56,56)와, 프레임(52,52)의 선단으로 장착된 연장프레임(57,57)과, 연장프레임(57,57)의 선단근처에 축박이된 종동축(58)과, 양 종동축(54,58)으로 장착된 풀리(59,59)와, 풀리(59,59)에 건너지를 도입용 엔드레스벨트(60)와, 선단의 종동축(58)의 양단으로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축받이 된 안내로울러(61,6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제도구(24)는, 구동모우터(53)의 기동에 의하여, 도입용 엔드레스벨트(60) 및 풀리(55,55)를 떠내는 방향(화살표F방향)으로 구동한다. 구제도구(24)는, 검지막대(62,62)를 진퇴자재하게 설치하고, 수송하는 물품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표시하는 전기한 경동장치(4)를 구성하는 위쪽의 프레임(6) 및 떠내는 장치(5)를 구성하는 아래쪽의 프레임(22,23)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는,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주행대차(3)의 위쪽으로 설치된 주된 위치와, 위쪽의 프레임(6)에 설치된 부윈치 등을 구비하고, 주된 윈치의 감겨올려지는 로우프의 하단을 위쪽의 프레임(6)에 연결하고, 부윈치의 감겨올려지는 로우프의 하단이 아래쪽의 프레임(22,2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스톡장치(2)는, 도 18 및 도 19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인출된 컨베이어(26)로부터 압출되어오는 물품(B)을 인수하기 위한 받아들이는 컨베이어(68)의 복수조와, 이 받아들인 컨베이어(68)의 반송방향(도 18중의 화살표 H방향)과 직교하는 뒤쪽으로 인출하는 컨베이어(69)의 복수조를 구비하고, 받아들이는 컨베이어(68)의 반송면(68a)을 인출된 컨베이어(69)의 반송면(69a)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자재(도 19참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인수컨베이어(68) 및 인출컨베이어(69)는, 서로 이웃하는 인수컨베이어(68,68)사이로 각 인출컨베이어(69)가 배설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인수컨베이어(68,68)의 간격(P)을, 인출 상류측(앞측)을 넓게, 하류측(뒤측)을 좁게하므로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스톡장치(2)는, 넓은 간격(P)의 영역에서 큰 물품(B)을 받아서, 좁은 간격(P)의 영역에서 작은 물품(B)을 받도록 되어 있다.
각 인수컨베이어(68)는, 출몰시키기위한 승강장치(70,70)에 접합된 긴 프레임(71,71)사이로, 다수의 자유회전하는 굴대(72)를 설치한 것이고, 굴대(72)의 외주면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반송면(68a)을, 우측의 인수된 상류측으로부터 좌측의 하류측으로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시켜져 있다. 스톡장치(2)는, 좌측으로 스토퍼(72)를 설치하고, 인수컨베이어(68)에 안내되어서 경사이동되어온 물품(B)을 받아내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설비의 하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고, 스톡영역의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설비전체를 본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의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설비전체를 본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의 경동을 개시하기 직전의 상태 주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을 경도시킨 상태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6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 경동시킨 물품을 떠내는 상태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 아암의 선단부를 전진시킴과 아울러 들어올리는 아암을 전진시킨 상태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8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 들어올리는 아암, 압압구 및 백플레이트를 후퇴시킨 상태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9는, 도 7의 1×-1×선에서 단면된 확대도.
도 10은, 위쪽의 프레임과 아암 관계를 표시하는 일부단면된 우측면도.
도 11은, 끌어내는 컨베이어와 구제하는 도구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끌어내는 컨베이어를 생략함과 아울러 일부를 잘라내어서, 아암과 구제하는 도구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Ⅲ-×Ⅲ선에서 단면된 확대도.
도 14는, 도 11의 ×Ⅲ-×Ⅲ선에서 단면된 확대도.
도 15는, 구제하는 도구를 표시하는 우측면도.
도 16은, 구제하는 도구를 부분단면하여 표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스톡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스톡장치를 표시하는 배면도.
도 19는, 스톡장치의 인수하는 컨베이어와 인출하는 컨베이어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확대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품수송장치, 2 : 스톡 장치,
3 : 주행대차, 4 : 경동장치,
5 : 떠내는 장치, 6 : 프레임,
7 : 아암, 8 : 경동구,
22,23 : 프레임, 24 : 구제하는 도구,
25 : 아암, R : 스톡영역,
C : 바출컨베이어.
상기한 각 인출컨베이어(69)는, 좌우의 본체프레임(73,74)에 양단을 접합한 회전이 자유자재한 로울러(75)로 이루어진다. 로울러(75)를 강제구동하는 구동자치(76)는, 각 로울러(75)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엔드레스벨트(77)와, 엔드레스벨트(77)를 팽팽하게 걸기위한 풀리(78,78)와, 엔드레스벨트(77)를 구동하는 모우터(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스톡장치(2)는, 주행대차(3)의 마스트(3a)에 승강이 자유자재하게 안내되고, 주행대차(3)의 위쪽으로 설치된 승강용 윈치(도시생략)의 권상로우프(79)의 하단이 본체프레임(80)에 연결되어 있다. 스톡장치(2)는, 승강용 윈치의 구동에 의하여, 도 2에 표시하는 전기한 인출컨베이어(26)로부터 압출되어오는 물품(B)을 인수하는 높이로부터, 인수도니 물품(B)을 반송컨베이어(C)로 인출하는 높이 까지 승강한다.
상기한 반송컨베이어(C)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듯이, 좌우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 또는 로울러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주행대차(3)는, 레일(81,82)로 안내되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장치(도면에 표시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본 설비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표시하듯이, 물품수송장치(1)는, 아암(7)의 선단부(7a)를 후퇴시킴과 아울러 구제도구(24)를 후퇴시켜서 대기상태로 한다. 다음에, 물품을 꺼내는 신호가 발신되면, 주행대차(3)는, 소정의 물품을 꺼내는 위치까지 주행하여 정지한다. 그 후에, 위쪽의 프레임(6) 및 아래쪽의 프레임(22,23)은, 각각 소정의 꺼내는 높이까지 승강한다.
계속하여, 물품수송장치(1)는, 도 4에 표시하듯이, 아암(7)의 선단부(7a)를 소정위치까지 전진시킨후에, 꺼내는 물품(B)의 배후의 물품(B)을 강하시킨 압압구(11)로 압압한다. 그리고, 들어올리는 아암(16)은, 압압부(16d)를 꺼내는 물품(B)의 정면으로 압압한다. 더욱이 계속하여, 들어올리는 아암(16)은, 도 5에 표시하듯이, 압압부(16d)를 상승시키므로서, 물품(B)을 경동시킨다. 그리고, 구제도구(24)는, 경동된 물품(B)의 아래쪽으로 형성된 아래쪽공간(D)으로 안내로울러(61,61)에 의하여 물품(B)을 튀어오르게 하면서 진입하도록 전진한다. 이것과 병행하여, 경동구(8)는, 압압구(11)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들어올리는 아암(16)을 후퇴시킨다. 더욱이, 경동구(8)는, 아암(7)의 약간의 후퇴와 압압구(11)의 강하에 의하여, 도 6에 표시하듯이, 구제도구(24)에 옮겨실은 물품(B)의 우면을 압압구(11)로 압압하고, 떠내는 물품(B)을 급속하게 이동시켜도, 물품(B)을 전도등 시키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대로에서, 구제도구(24)의 엔드레스벨트(56) 및 압압구(11)는, 동기상태에서 후퇴되고, 물품(B)을 인출컨베이어(26)로 송출한다. 인출컨베이어(26)은,인수된 물품(B)을 반송하고, 스토퍼(65)로 정지시킨다. 계속하여 인출컨베이어(26)는, 압출장치(66)로 물품(B)을 스톡장치(2)로 밀어낸다. 스톡장치(2)는, 도 18에 표시하듯이, 상승된 인수컨베이어(68)로 물품(B)을 인수하여 스토퍼(72)로 정지시킨다.
최후에, 스톡장치(2)는, 소정개수의 물품(B)을 인수되었으면, 반송컨베이어(C)의 높이 까지 강하되고, 그후에 인출컨베이어(69)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구동되고, 물품(B)을 반송컨베이어(C)로 인출하여 물품의 수송의 1사이클을 완료한다.
이상으로 상술하듯이, 본 발명에 관한 물품수송설비는, 다음과 같이 우수한 효과를 보유한다. 청구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은, 반출컨베이어위로 인출된 물품의 존재에 관계 없이, 주행대차를 주행시키면서 다음물품의 수송동작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본 발명은, 스톡영역과 반출컨베이어의 사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본 발명은, 주행대차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중량적으로 가벼운 경동구 및 구제도구의 위치를, 좌우로 위치하는 다음의 수송위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송위치의 변경을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고, 설비의 처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물품을 층계로 쌓는 상태에서 격납하는 스톡영역과, 스톡영역에 층계로 쌓여진 물품군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물품을 수송하는 물품수송장치와, 물품수송장치로부터 물품을 인수하여 저장하는 스톡장치와, 물품수송장치 및 스톡장치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스톡장치로부터 물품을 인수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해서 설치된 반출컨베이어를 구비한 물품수송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를, 상기 스톡영역과 상기 반출컨베이어의 사이에서 주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톡장치는, 상기 물품수송장치로부터 좌우방향을 따라서 이동해오는 물품을 인수하도록, 상기 물품수송장치의 좌우외측의 한쪽에 배치함과 아울러, 인수하여 저장된 물품을 전후방향을 따라서 반출하여 상기 반출컨베이어로 인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수송설비.
  2.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경도장치 및 상기 경동장치로 기울게 한 물품의 아래쪽 공간에 진입하여 물품을 들어올리는 들어올리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경동장치는 주행대차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측에 설치된 경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들어올리기장치는 주행대차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선단측에 설치된 들어올리기도구를 구비한 물품수송설비에 있어서, 상기 경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아암을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들어올리기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아암을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수송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장치는, 꺼내는 물품의 배후물품을 압압하는 압압도구와, 꺼내는 물품의 정면을 압압하는 들어올리기 아암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수송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들어올리기 아암은, 선단을 물품의 정면으로 압압시킴과 아울러, 선단을 상승시키므로써 물품을 경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수송설비.
KR1019970053547A 1996-10-22 1997-10-18 물품수송설비 KR100349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79605 1996-10-22
JP8279605A JPH10120184A (ja) 1996-10-22 1996-10-22 物品取上げ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54A KR19980032954A (ko) 1998-07-25
KR100349613B1 true KR100349613B1 (ko) 2002-12-16

Family

ID=1761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547A KR100349613B1 (ko) 1996-10-22 1997-10-18 물품수송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120184A (ko)
KR (1) KR100349613B1 (ko)
SG (1) SG54577A1 (ko)
TW (1) TW334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2777A (zh) * 2017-10-26 2018-02-06 东莞华数机器人有限公司 一种自动生产线
CN113003237B (zh) * 2021-02-21 2022-01-25 浙江立镖机器人有限公司 基于双动力驱动的平行移动架及其卸货装置
NO347558B1 (en) * 2022-06-29 2024-01-15 Autostore Tech As Container handling vehicle
WO2024086883A1 (en) * 2022-10-26 2024-05-02 Fastbrick Ip Pty Ltd Adhesive appl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54577A1 (en) 1998-11-16
TW334412B (en) 1998-06-21
KR19980032954A (ko) 1998-07-25
JPH10120184A (ja) 1998-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35213U (zh) 一种辊道式输送机
US897946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oading and unloading by pallet truck
JP6482046B2 (ja) ローラコンベア装置、及びそのローラ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板材搬出入・仕分装置
JPH0356306A (ja) 帯状部材の取出し移送装置
KR100349613B1 (ko) 물품수송설비
CN117002990B (zh) 一种仓储物流用货物夹取输送装置
JP2002114314A (ja) 立体自動倉庫
JP3337114B2 (ja) 物品保管装置
CN110733871A (zh) 物料传送设备
US4650390A (en) Stacker-loader for stacking double sided printed circuit boards
JPS62157137A (ja) 荷物の整列装置
JPH10120185A (ja) 物品引取り装置
CN212892539U (zh) 电池钢壳冲制自动生产线的出料过渡传送装置
US3874521A (en) Stripping mechanism for lumber stackers
JP3807147B2 (ja) 搬送設備
JPH06199421A (ja) ケース積下ろし装置
CN210972671U (zh) 横向物料传输装置
CN218144347U (zh) 一种拆垛装置
CN213010950U (zh) 应用于改进型电池钢壳冲制自动生产线的展开输送装置
JPS6233174B2 (ko)
JPH10120187A (ja) 物品取上げ装置
JPH0678346U (ja) 板材ストックコンベヤ
JP3285756B2 (ja) 苗箱回収機
JPH0739853Y2 (ja) 円筒状物の搬送装置
JP3903356B2 (ja)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部材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