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524B1 - 휴대용무선기 - Google Patents

휴대용무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524B1
KR100349524B1 KR1019950031560A KR19950031560A KR100349524B1 KR 100349524 B1 KR100349524 B1 KR 100349524B1 KR 1019950031560 A KR1019950031560 A KR 1019950031560A KR 19950031560 A KR19950031560 A KR 19950031560A KR 100349524 B1 KR100349524 B1 KR 10034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adio
antenna body
conductor plat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006A (ko
Inventor
하마노리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롯 안테나체의 형상을 개량하여, 측단부면이 곡면을 취하며 튀어나온 케이스속등에 수납하여도 내부에 쓸데없는 공간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이, 소형화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기 케이스(13)내에 배치된 안테나체(20)는 회로 기판(30)의 외주측 위치에 슬롯홈(22)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과, 도전체판 끼리를 슬롯홈(22)을 통해서 단락시키는 단락부(24)를 구비한다. 단락부(24)와 반대측 위치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에 동조용 용량소자(301)가 접속되어 있다. 무선기 케이스(13)는 외주측으로 향하여 구부러지게 돌출된 측면부(130)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은 회로기판(30)에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210, 230)와, 외주 주변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튀어나온 측면부(215, 235)를 가지는 것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제 5 도 참조).

Description

휴대용 무선기{Portable radio apparatus}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포켓벨(pager) 등에 사용되는 휴대용 무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내의 슬롯 안테나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휴대용 무선기에는 페라이트 안테나, 미소 루프 안테나 또는 판상 루프 안테나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의 수신 효율은,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과 안테나 길이의 비에 의하여 규정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루프 안테나를 사용하여 휴대용 무선기를 구성하면, 고주파수에서 사용하여야만 하고, VHF 대역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루프 안테나의 개구면적을크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안테나 효율()을 방사 저항(rad)과 안테나 저항(loss)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방사저항(rad)은 루프 안테나의 개구 면적의 2승에 비례한다. 또한, 안테나 저항(loss)은 안테나 길이에 비례하고, 안테나체(antenna休)의 표면적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높은 안테나 효율()을 확보하면서, 안테나체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체의 표면적을 크게 확대할 필요가 있는 등, 그 형상면에서 제약이 많다. 그러므로, 폭이 넓은 루프 안테나를 사용하여, 측단부면이 곡면으로 돌출된 케이스내에 안테나체를 수용하면, 내부에 필요없는 공간이 생긴다. 예를 들어, 일본국 실공평 1-34414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넓은 표면적을 가진 안테나에서는 루프 안테나의 개구면에 평행한 면은 높이가 있는 수직한 면이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에 수용하면, 필요없는 공간이 생기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소형의 휴대용 무선기에서는 공간상 제약으로 회로 기판을 안테나와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므로 이와 같은 배치로 하면, 루프 안테나는 회로기판상의 전자 회로의 영향을 받아서 감도가 약화된다. 특히,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를 사용하면,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가 같기 때문에, 국부 발진 신호와 그에 기생하는 잡음은 자타의 무선기의 송수신을 방해한다.이러한 문제점을 루프 안테나에서 해소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와 국부 발진 회로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거나, 또는 국부 발진 회로로부터의 방사를 막아주는 강력한 차폐 구조를 취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와 같은 점에서, 루프 안테나에서는 휴대용 무선기의 소형화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포켓벨 등의 휴대용 무선기에 슬롯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슬롯 안테나에 있어서도 제 21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측 위치에 슬롯홈(91)을 형성하는 2 매의 도전체판(92, 93)의 사이에 회로기판(94)을 삽입한 슬롯 안테나체(90)에서는 도전체판(92, 93)의 간격(슬롯홈)이 너무 넓고 측단부면(951)이 곡면으로 돌출된 무선기 케이스(95)내에 슬롯 안테나체(90)를 수용하므로 내부에 필요없는 공간(S)이 생겨 소형화를 방해한다.
또한, 제 21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장의 도전체판(92, 93)을 겹쳐 단순히 그 외주측 위치에 슬롯홈(91)을 형성한 슬롯 안테나체(90)에서는 도전체판 사이의 회로기판(94)으로부터의 잡음을 그대로 받으므로, 감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함과 동시에 그 형상을 개량하여 측단부면이 곡면 케이스내에 수납하여도 케이스내에 필요없는 공간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소형화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과제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는 내부 구조를 구성하여 회로 기판과 안테나체를 근접시켜서 소형화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선기 케이스내에,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서 삽입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회로기판의 외주측 위치에 슬롯 흥홈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 및 상기 도전체판 끼리를 상기 슬롯홈을 걸쳐 단락시키는 단락부를 구비하는 슬롯 안테나체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 케이스에는 외주측을 향해 얇아지는 측면부를 설치하고,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에는 외주 가장자리로 향해 도전체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부러지는 측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의 측면부가 외주 가장자리로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안테나체, 또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의 측면부가 외주 가장자리로 향해 구부러지게 돌출된 안테나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무선기 케이스내에,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기판과, 이 회로 기판을 내장하도록 배치되어 회로 기판의 외측 위치에 슬롯홈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 및 상기 도전체판 끼리를 슬롯 홈을 걸쳐 단락시키는 단락부를 구비하는 슬롯 안테나체를 내장하는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무선기 케이스의 외형을 대략 구형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의 외형을 대략 반구형과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짧은 슬롯홈에서도 가장 높은 안테나 이득이 얻어질 수 있도록, 단락부의 형성 위치와 반대측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도전체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조용 용량 소자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에는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므로써, 회로 기판상의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을 개구부에서 바깥으로 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회로 기판 또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의 국부발진 회로 등의 잡음 발생원은 안테나체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단락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무선기 회로가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 중 회로 기판에 대하여 무선기 회로의 국부 발진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도전체판측에 대해 무선기 회로의 고주파증폭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슬롯홈내에는 유전체를 장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휴대시에 있어서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을 제 1 및 제 2 도전체판과 동조용 용량소자의 접속 위치가 있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휴대시에는 슬롯 안테나체의 방사 중심을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감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는 직교 변환 믹서 회로와 베이스 밴드 신호 검파 회로가 동일한 집적 회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는 전지 전압을 승압시키는 승압 회로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이 승압 회로의 동작 주파수는 무선기 회로에 포함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용 여파 회로에 있어서의 비통과대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작 주파수를 수정 진동자로써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기 케이스에 대하여는 동조용 용량 소자 또는 단락부에서 가까운 부분에 커얼 코드(curled cord)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에서는 무선기 케이스가 외주측을 향하여 돌출된 측면부를 구비하는 한편, 슬롯 안테나체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의 측면부가 외주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한 슬롯홈을 구성한다. 여기서, 휴대용 무선기는 포켓 등에 넣어서 휴대하는 점에서, 소형일 것은 물론이고, 디자인성이 높아야하고, 부가적으로, 손에 닿을 떼의 감촉이 좋을 것도 요구된다. 그래서, 무선기 케이스에는 외주측을 향해 얇아지는 측면부를 설치하여 디자인성이나 감촉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슬롯 안테나체의 측면부를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슬롯 안테나체는 무선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무선기 케이스내에 필요없는 공간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어느쪽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안테나체는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포켓벨 등의 케이스 내장형의 휴대용 무선기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실시예
제 1A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 1B 도는 그 측면도이다.
제 1A 도 및 제 1B 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10)에서는 상측 케이스(11)와 하측 케이스(12)를 마주 겹치게 한 무선기 케이스(13)를 사용하고 있고, 이 무선기 케이스(13)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무선기 케이스(13)는 그 측면부(130)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게 돌출되기 때문에, 휴대용 무선기(10)의 디자인성을 높임과 동시에, 휴대용 무선기(10)를 포켓 등으로부터 넣고 꺼내기 쉽게 하고 있다. 무선기 케이스(13)의 상면에서는 상측 케이스(11)에 설치된 보호렌즈(140)를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14)에 표시된 수신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아래쪽 위치에는 2 개의 조작 버튼(151, 15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기(10)를 포켓등에 넣어서 휴대할 때, 상부측이 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측 케이스(11)에는 화살표 마크(1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크(16)가 나타내는 방향을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하여 휴대용 무선기(10)를 휴대할 때에, 그 감도가 가장 높은 내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크(16) 대신에, 마크(16)를 기재한 위치 부근에 커얼 코드(74)를 부착하면, 제 1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달아 휴대할 때, 무선기 케이스(13)에 대한 커얼 코드(74)의 부착 위치가 자연적으로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무선기(10)의 특정의 부분을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향하게 하여 휴대용 무선기(10)를 고감도 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 형상의 무선기 케이스(13)의 내부에 수용하는 안테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기 케이스(13)의 내부 형상에 따른 형상을 구비하고, 동시에, 전자 회로로부터 영향을 덜 받는 구조의 슬롯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 슬롯 안테나의 구조를 제 2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3A 도는 안테나체의 평면도, 제 3B 도는 안테나체의 정면도, 제 3C 도는 안테나체의 좌측면도, 제 3D 도는 안테나체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제 4 도는 안테나체의 전개도이다.
제 2 도에서 상측 케이스(11)와 하측 케이스(12)의 사이에는 그들에 삽입되도록 안테나체(20; 슬롯 안테나체)가 수용되어 있고, 이 안테나체(20)는 상측 케이스(11) 및 하측 케이스(12)의 내부 형상을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제 3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체(20)는 전체로서 팔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제 3B 도 내지 제 3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가장자리로 경사지게 돌출된 측면부(200)를 가진다. 안테나체(20)는 그 상반부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체판(21)과, 상기 도전체판에 덮여서 외주측에 슬롯흠(22)을 구성하는 제 2 도전체판(23)과 슬롯홈(22)을 건너서 제 1 도전체판(21)과 제 2 도전체판(23)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부(2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의 양쪽 모두에는 그 평면부분에 사각형의 개구부(210, 230)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체(20)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체판(21)과 제 2 도 전체판(23)이 단락부(24)에서 서로 결합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단락부(24)와,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의 연속부분(241, 242)에서 접어 구부림에 의하여,제 3 도에 나타나는 안테나체(20)로 된다. 이때, 안테나체(20)의 측면부(200)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에서 외주 가장자리로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측면부(215, 235)로 구성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제 1 도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와, 제 6 도에 도시된 제 1 도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안테나체(20)를 사용하여 휴대용 무선기(10)를 제조할 때에는 무선기 케이스(13)의 내부에, 안테나 체(20),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기판(30), 액정 표시 패널(14) 및 전지(33) 등을 내장시킨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안테나체(20)는 측면부(200)에 돌출된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상측 케이스(11) 및 하측 케이스(12)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무선기 케이스(13)의 측면부(130)의 내부에도 필요없는 공간이 거의 없다.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 기판(30)은 제 1 도전체판(21)과 제 2 도전체판(23)의 사이에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고, 안테나체(20)의 슬롯홈(22)은 회로 기판(30)의 외주측 위치에 있다. 회로 기판(30)의 표면측에는 제 1 도전체판(21)의 개구부(210)가 위치하고 있고, 이 개구부(210)를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14)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로 기판(30)의 이면측에는 제 2 도의 도전체판(23)의 개구부(230)가 위치하고 있고, 하측 케이스(12)의 이면 덮개(125)를 떼어내지 않고, 개구부(230)를 통하여, 휴대용 무선기(10)의 전력원인 버튼형의 전지(33)를 교환할 수 있다.
회로기판(30)에 대하여, X' 방향측의 위치에서는 슬롯홈(22)을 걸치도록 하여 단락부(24)가 제 1 도전체판(21)과 제 2 도전체판(23)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회로 기판(30)에는 그 X 방향측에 동조용 용량 소자(301)가 실장되고, 이 동조용 용량 소자(301)는 단자(302, 303)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도 전체판(21, 23)의 쌍방에서 슬롯홈(22)을 걸치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동조용 용량 소자(301)의 접속 위치는 안테나체(20)의 등가 회로를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부(24)에 의한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의 단락 위치와 반대측의 위치이다.
동조용 용량 소자(301)는 슬롯홈(22)의 길이가 사용 주파수의 반파장에 상당하는 길이보다 짧아도 안테나체(20)가 높은 안테나 이득을 가지고 동조하도록 하며, 그 위치는 슬롯흠(22)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 즉, 단락부(24)와 반대 위치에 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동조용 용량 소자(301)와 안테나체(20)의 접속 위치 부근은 안테나체(20)의 고 인터페이스 부분이고, 그곳을 중심으로서 전자파가 방사된다. 그러므로, 휴대용 무선기(10)를 포켓에 넣어서 휴대하는 때에는 감도가 가장 높도록, 동조용 용량 소자(301)와 안테나체(20)의 접속 위치가 상부측 또는 하부측을 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시에 있어서의 방향을 상측 케이스(11)의 화살표 마크(16)가 표시하고 있다.
본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구성된 무선기 회로가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이고, 이러한 무선기 회로의 블럭도를 제 8A 도에 나타낸다.
제 8A도에서, 안테나체(20)에 대하여는 RF 증폭기(340; 고주파 증폭 회로), 혼합기(341), 국부 발진기(342; 국부 발진 회로), 로우 패스 필터(343),검파기(344), 디코더(345), 및 CPU(346)가 구성되어 있고, 싱글 수퍼 헤테로다인 방식과 다르게 되어 있어, 중간 주파수로의 변환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에서는 안테나체(20)의 동조 주파수를 국부 발진기(342)의 발진 주파수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국부 발진기(342)의 국부 발진 신호가 안테나체(20)에 도입하기 쉽다. 그 결과 발진 신호가 수신해야할 신호를 차폐하거나, 다른 수신을 방해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발진 신호에 기생하는 잡음으로서, 승압 회로의 동작 클럭이 전원선을 통하여 혼입하게 된다. 동작 클럭은, 예컨대, 수십 kHz 로부터 수 MHz 이지만, 너무 낮으면, 클럭 발진의 C/N 비가 나쁜 경우에는 그 밴드잡음이 안테나체(20)로부터 RF 회로, 믹서 회로를 통하여, 다이렉트 컨버젼 검파회로 출력에 있어서의 베이스 밴드 잡음으로 변환되어, 신호의 S/N 비를 저하시킨다.
상기 이유 때문에,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에서는 안테나체(20)와 국부 발진기(342)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해야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10)와 같이, 소형의 것에서는 이러한 배치 구조가 불가능하다.
또한, 승압 회로의 동작 클럭의 밴드 잡음이 혼입하지 않는 수단도 겸하여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예에서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에 실제 장치하는 부품 중 국부 발진기(342)를 안테나체(20)에 영향을 가장 미치기 어려운 위치에 실장하기 위해, 회로 기판(20)의 표면측에서 안테나체(20)의 중심 위치로부터 X 방향측으로 치우친 위치, 즉, 단락부(24)에 가까운 위치에 차폐함 속에 들어 있는 국부 발진기(342)를 실장하고 있다. 따라서, 국부 발진기(342)는 동조용 용량소자(301)와 안테나체(20)의 접속 위치(안테나체(26)중, 인터페이스가 가장 높은 부분)로부터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위치는 국부 발진기(342)로부터의 안테나체(20)에 가장 들어가기 어려운 위치이다. 또한, 회로기판(30)의 표면측에는 디코더(345; decorder) 및 CPU(346)로서 기능하는 디지탈 IC(347) 등도 실장되어 있지만, 디지탈 IC(347)는 안테나체(20)에 영향을, 비교적 적게 미치므로, 그 배치 위치에는 제약이 없다.
승압 회로 동작 클럭의 밴드 잡음이 국부 발진 신호에 기생하는 문제는 상술한 배치로하여 안테나체(20)으로의 혼입도 없애버릴 수 있지만, 동작 클럭을 상기 검파 회로의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의 비통과대역에 설정하고, 클럭 발진을 수정 진동자로 결정하여, 더욱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제 8B 도는 전원선을 가한 블럭도이다. 전지(348)는 건전지, 공기 전지 등 1.5V 이하의 전원이다. 다이렉트 컨버젼 IC(349)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2V 이상의 전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DC/DC 컨버터(347)에 의해 전지(348)의 전압을 숭압한다. 승압은 리액턴스 소자에 의한 전하 펌프 방식으로 수행하지만, 전하를 축적 방출하기 위한 기준 신호원으로 수정 진동자(350)를 사용한다. 이것은, CPU에 있어서의 시계 동작이나 자료 복조의 기준 신호로서도 사용하고, 32.768kHz나 76.8kHz 등을 사용한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343)의 32.768kHz에 있어서의 감쇠량은 90dB 이상이고, 수정 진동자(350)의 높이(Q)와 서로 작용하여 충분하게 동작 클럭 및 밴드 잡음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제 8B 도에 나타나는 구성으로는 국부 발진기(342)가 독립되어 있고, 흔합기(341)는 IC 내에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신호선(351)이 기판상의 프린트 패턴등에 노출되는 형태로 된다. 신호선(351)에 있어서의 신호 강도는 50Ω종단 환산으로, -10dBm 내지 -20dBm 에 달한다. 또한, 신호선(351)의 임피던스는 수 kΩ이기 때문에, 외부 방사 레벨이 매우 크고, 특히 신호선(351)의 상하 방향으로 방사하고, 루프 안테나에서 신호선(351)을 덮는 소형 및 박형의 무선기는 국부 발진회로(342)의 강대한 외부 방사를 직접 받으며, 본 발명자의 측정에 의하면 RF 증폭기(340)의 입력단에 있어서의 방사 전계 레벨은 110dB㎶로 된다. 반면, 휴대용 무선기(10)의 최저 레벨의 수신 전계 레벨은 10dB㎶ 내지 15dB㎶ 이기 때문에, 100dB 만큼 높은 스스로 방출하는 방해 전파에 의한 수신 신호파는 RF 증폭기(340) 또는 혼합기(341)에서 왜곡, 억제되어 버린다.
또한, 발진 신호의 밴드 잡음의 레벨도, 상기의 전계 레벨에 비례하여 크게되고, 상술한 대로, 베이스 밴드 잡음으로 나타나므로 수신 신호파의 S/N 비를 악화시킬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회로 블럭 구성을 가진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도 양호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 8B 도에 나타나는 구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20)와 상기한 배치 구조를 사용하므로써, RF 증폭기(340) 입력단에 있어서의 방사 전계레벨을 80dB㎶로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수신 신호파는 억제되지 않고, 밴드 잡음의 레벨도 저하되기 때문에, S/N 비가 향상한다. 물론, 제 8B 도에 나타나는 구성이외에도 국부 발진 신호(342)와 혼합기(341)를 일체로 하여 차폐 구조를 형성하고, 이 출력이 베이스 밴드 신호가 되도록 하고, 또한, 로우 패스 필터(343)와 검파기(344)를 별도의 IC로 한 구성에서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체(2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 공급 회로 또는 수신 회로가 평형 회로인 경우에는 슬롯홈(22)을 통과하도록 하여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의 쌍방에 RF 증폭기(340)를 접속한다. 이것에 대하여, 전원 공급 회로 또는 수신 회로가 불평형 회로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중 어느 한쪽에 RF 증폭기(340)를 접속한다. 이러한 불평형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잡음 발생원인 국부 발진기(342)가 회로 기판(30)의 표면측에 실장되고, 국부 발진기(342)로부터의 잡음은 제 1 도전체판(21)의 개구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국부 발진기(342)로부터의 잡음의 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도전체판(23)에 대해서 커넥터(304)를 거쳐서 RF 증폭기(340)를 접속하고, 제 1 도전체판(21)에 커넥터(305)를 거쳐서 그라운드 전위를 부가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2 도전체판(23)에 대한 RF 증폭기(340)의 접속 위치(급전점)은 안테나체(20)와 RF 증폭기(340)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간단히할 목적으로 임피던스가 가장 높은 동조용 용량 소자(301)의 접속 위치 부근에서 어긋난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RF 증폭기(340)와 안테나체(20)와의 접속 위치 및 국부 발진기(342)의 위치를 제 7 도에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휴대용 무선기(10)에서는 안테나체(20)가 슬롯 안테나이기때문에 자계 성분을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10)를 가슴 포켓에 넣는 경우에는 인체의 이미지 효과에 의해 안테나 이득이 높아지기 때문에 포켓벨(pager) 등에 적합하다.
또한, 휴대용 무선기(10)에서는 무선기 케이스(13)의 측면부(130)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게 돌출되는 형상에 대응시켜서 안테나체(20)의 측면부(200)를 외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기 케이스(13)의 측면(130)의 내측에서도 그 내면을 따라서 안테나체(20)가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무선기 케이스(13)의 내부에 필요없는 공간이 없다. 그런 까닭에, 휴대용 무선기(10)의 디자인에 높은 자유도를 얻으면서 휴대용 무선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휴대용 무선기(10)에서는 안테나체(20)에 개구부(210, 23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회로 기판(30)에서 발생한 잡음은 개구부(210, 230)로 빠져나와 안테나체(20)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또한, 개구부(210)를 이용하여 액정 표시 패널(14)을 설치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체(20)의 임피던스가 낮은 위치(단락부(24)의 형성위치) 근처에 국부 발진기(342)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국부발진기(342)로부터 발생한 잡음이 안테나체에 들어가기 어렵다. 때문에,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휴대용 무선기(10)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342)와 안테나체(20)를 근접시킨 상태로 설치하여도 국부 발진기(342)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므로, 높은 감도를 유지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 일본국 특개소 제 60-239106 호에 있는 슬롯 안테나의 구성에서는 안테나 이외의 구성을 본원과 동일하게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또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자인 구성으로 하는 것도 어려운 것이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10)에 있어서 안테나체(20)의 슬롯홈(22)에 대해서 유전체(유리-에폭시)등을 충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안테나체(20)를 사용하면 수신 신호가 슬롯홈(22)내의 유전체의 유전율의 평방근에 비례해서 외관상 단축되고 안테나체(20)의 유효 길이가 연장된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안테나체(20)를 소형, 박형화(thinner)하여도 긴 파장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역으로, 같은 파장의 신호라면 안테나체(20; 휴대용 무선기(10))를 소형,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30)에 실장한 전자 부품으로부터의 영향을 차폐하기 위해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된 잡음 발생원인 국부 발진기(342)를 안테나체(20)의 중심 부분에서 단락부(24)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였으나 그밖의 잡음 발생원도 단락부(24)의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하는 편이 좋다. 더욱이 회로기판(30)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회로기판(30) 자신을 안테나체(20)의 중심 부분에서 단락부(24)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의 수신감도를 제 9 도 내지 제 12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9 도에는 제 7 도에 도시하는 도전체판(21, 23)이 도시하는 대로 수직으로 형성된 슬롯 안테나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1)으로 표시하고, 제 2B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체판(21, 23)이 측면부(200)를 형성하는 형상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20)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0)으로 표시하고 있다. 안테나체(20)의 전체 거리는 각각 동일하게 150mm 이다. 수신 주파수는 280MHz 이다. 방위 특성(100)에서 가장 좋은 값은 14dB㎶/m이고, 방위 특성(101)에 비교해서 3dB∼4dB 정도 향상하고 있다. 이 만큼의 특성 향상을 하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루프 안테나에 있어서 개구 면적을 크게 해야만 하므로, 소형화하는데 장해가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21 도에 도시된 필요 없는 공간(S)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특성을 확보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0 도에는 제 5 도에 도시하는 국부 발진기(342)를 안테나체(20)의 중심위치에서 X'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0)으로 표시하고, 그것의 역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국부 발진기(342)를 배치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특성(102)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들의 방위 특성(100, 102)에는 약 10dB 차가 있고, 설치 위치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롯 안테나에서는 단락부(24) 부근이 가장 임피던스가 낮고 이 근처에서 국부 발진기(342)로부터의 잡음 방사가 있어도 안테나체(20)로 들어가는 잡음이 적다.
제 11 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20)를 설치한 휴대용 무선기(10) 단체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0)으로 표시하고 이 휴대용 무선기(10)를인체에 장착하였을 때의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3)으로 표시하고 있다. 장착 자세는 제 1D 도이다. 인체의 정면(front)에서는 인체 장착 효과로서 약 4dB이 향상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20)는 루프 안테나 등과 같은 자계 성분을 검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2 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20)를 설치한 휴대용 무선기(10)의 인체 장착시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3)으로 표시하고 종래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 수퍼 헤테로 다인(super heterodyne)형 휴대용 무선기의 인체 장착시에 있어서 수신 감도를 방위 특성(104)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들의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수신 감도는 거의 동등하고 정면에 있어서 수신 감도는 쌍방 모두 10dB㎶/m를 얻었다. 그러나, 수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무선기에서는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가 다르다. 상기 차이는, 예컨대, 455kHz 나 10MHz 만큼이며, 국부 발진 신호가 자타의 무선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루프 안테나를 사용해서 방위 특성(104)을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휴패용 무선기에 있어서는 안테나체(20)를 가장 적절히 설치하므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제 1 도와 같은 디자인의 무선기가 구성이 되고, 또한 종래의 수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무선기와 같은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제 2 실시예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무선기 케이스(13)의 측면부(130)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게 돌출된 형상에 대응시켜서 안테나체(20)의 측면부(200)를 외주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같은 형상의 무선기 케이스(13)의 내부에 대해서, 제 1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 케이스(13)와 같이 측면(400)이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게 돌출한 안테나체(40; 슬롯 안테나체)를 수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도의 X-X'선에서의 단면을 제 14 도에 도시하고, 제 1 도의 Y-Y' 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제 1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체(40)의 측면부(400)는 무선기 케이스(13)의 측면(130)의 내부에 밀착한 상태로 되고 필요없는 공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안테나체(40)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10a)라도 무선기 케이스(13)내에는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 기판(30)과 이 회로 기판(30)의 표면쪽에 배치된 표시 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체(40)의 평면을 제 16A 도에 도시하고 그것의 정면을 제 16B 도에 도시하고, 그것의 우측면을 제 16C 도에 도시하도록 안테나체(40)는 회로 기판(30)을 양면쪽에서 삽입하도록 설치되어 회로 기판(30)의 외주측 위치에 슬롯홈(42)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41, 43)과 그들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부(44)에 의해 구성이 되어 있다. 안테나체(40)의 측면부(400)는 완만히 외주 가장자리로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41, 43)의 측면부(415, 4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체판(41, 43)에는 회로 기판(30)의 양면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부(410, 430)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무선기(10)로도 안테나체(20)가 슬롯 안테나이기 때문에 자계 성분을 검출함과 동시에 가슴 포켓에다 넣은 경우에는 인체의 이미지효과에 의해 안테나 이득이 높아지는 등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10)에서는 외장 케이스(13)의 측면부(130)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게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여 안테나체(40)의 측면부(400)를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외장 케이스(13)의 측면부(130)의 내부에 필요없는 공간이 없으므로, 휴대용 무선기(10)의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를 얻으면서 휴대용 무선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제 3 실시예
제 17 도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제 18A 도는 상기에 사용한 안테나체의 전개도, 제 18B 도는 안테나체의 사시도, 제 18C 도는 안테나체의 저면도, 제 18D 도는 안테나체의 측면도이다.
제 17 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50)는 무선기 케이스(53)가 대략 구형이고, 무선기 케이스의 끝에 해당하는 부분에 보호 렌즈가 부착된 액정 표시 패널(5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54)의 측방 위치에는 조작 버튼(551, 552)이 배치되어 있다. 다시 무선기 케이스(53)에는 그것을 포켓에 넣어서 휴대할 때에, 상부측의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마크(5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크(56)가 표시하는 방향을 상부쪽으로 하여 휴대용 무선기(10)를 휴대하였을 때에, 그 감도가 가장 높은 내부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형의 휴대용 무선기(5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8A 도 내지 18C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구형에 유사한 제 1 및 제2 도전체판(61, 63)을 겹쳐서 슬롯홈(62)을 형성한 안테나체(60;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하고 있다. 제 1 도전체판(61)과 제 2 도전체판(63)과는 단락부(64)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고, 제 18D 도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단락부(64) 반대측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도전체판(61, 63)과 동조용량소자(301)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도전체판에서는, 극 부분에 개구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50)의 종단면도이고, 제 1 도 전체판(61)의 개구부(610)에는 보호 렌즈(140)가 부착된 액정 표시 패널(14)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도전체판(63)의 극 부분에도 개구부(630)가 형성되어 있고 뒤덮개(525)를 열면, 개구부(630)에서 전지(33)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체(60)의 내부가 비교적 넓으므로, 회로기판(30)은 회로 블록으로서 안테나체(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단, 본 예에서도 회로기판(30)에 구성한 무선기 회로가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이기 때문에, 그것의 국부 발진기가 발생하는 잡음이 안테나체(60)에 들어가지 않도록, 국부 발진기는 안테나체(60)의 중앙 부분에서 단락부(64)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30) 자체를 안테나체(6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단락부(64)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이와같이 구성한 휴대용 무선기(50)에서는 안테나체(60)가 슬롯 안테나이기 때문에, 자계성분을 검출함과 동시에 가슴 포켓에 넣은 경우에는 인체의 이미지 효과에 의해 안테나 이득이 높아지는 등,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기(50)에서는 외장 케이스(53)를 구형으로 하고, 이에 따라 반구형상의 제 1 및 제 2 도전체판(61, 63)으로 구형의 안테나체(60)를 구성하고 그것을 외장 케이스(53)에 수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외장케이스(53)의 내부에 필요없는 공간이 없으므로 휴대용 무선기(50)의 디자인에 높은 자유도를 얻으면서 휴대용 무선기(5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예컨대 제 20 도에 도시하는 휴대용 무선기(70)를 구성해도 좋다. 이 휴대용 무선기(70)에서는 손으로 집기 좋도록 평면 형상으로 하여, 한쪽에 오목부(71)를 형성하고 다른쪽에는 팽창부(7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측면부(73)는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사용한 슬롯 안테나체와 같이 측면부가 외주측으로 돌출된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휴대용 무선기(70)에서는 디자인성에 뛰어남과 더불어 포켓내에서 더듬으면서도 그것의 촉감에 의해 휴대용 무선기(70)의 방향을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얼 코드(74)에 의해 매달려진 경우에는 제 1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이 자세로 안테나 이득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휴대성이 뛰어남과 함께 액세사리의 감각으로 가벼운 마음으로 들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에서는 무선기 케이스가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측면부를 구비하는 한편 슬롯 안테나체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은 측면부가 외주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한 슬릇 홈을 구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무선기 케이스가 구형에 가까운 외형을 구비하고, 그것에 내장된 슬롯 안테나체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이 반구형에 가까운 외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롯 안테나체의 형상을 무선기 케이스의 형상으로 대응시키고 있기 때문에 무선기 케이스의 내부에 필요없는 공간이 없으므로 휴대용 무선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에는 회로기판이 대향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한 경우, 회로기판에 실장한 전자부품에서 발생한 잡음을 개구부에서 빼낼 수 있으므로 감도가 높다.
잡음 발생원을 이루는 회로 기판 또는 그것에 실장한 국부 발진 회로를 안테나체의 중심 부분에서 단락부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안테나체의 인피던스가 높은 부분에서 잡음 발생원을 분리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잡음 신호가 안테나체에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채용해도 자타의 무선기에 있어서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는다. 특히, 직교 변환 믹서회로와 베이스 밴드 신호 검파 회로가 동일한 IC 에 들어가 있고, 국부 발진 회로와 상기한 믹서 회로가 프린트 패턴으로 접속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발진 신호의 방사가 강하게 나타나지만, 그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시, 발진 신호의 밴드 잡음의 원인이 되는 승압 회로의 동작 클록은 다이렉트 컨버젼 검파 회로의 로우 패스 필터의 비통과 대역에 설정하며, 또한, 수정 진동자를 클록의 근원으로서 사용하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대해서 무선기 회로의 국부 발진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쪽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도전체판에 대해서 무선기 회로의 고주파 증폭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경우에도 국부 발진 회로로부터의 잡음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슬롯 홈내에 유전체를 장전한 경우에는, 수신 파장이 외관상 단축되므로 소형의 안테나라도 긴 파장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A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사시도.
제 1B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측면도.
제 1C 도는 무선기 케이스에 커얼 코드(curl code)를 부착한 형태의 휴대용 무선기의 평면도.
제 1D 도는 제 1C 도의 휴대용 무선기를 인체에 매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분해 사시도.
제 3A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평면도.
제 3B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정면도.
제 3C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좌측면도
제 3D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우측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전개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X-X'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Y-Y'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에 나타나는 안테나체의 등가 회로도.
제 8A 도 및 제 8B 도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의 블럭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單休)에서의 수신 감도와, 종래의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서의 수신 감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국부 발진기의 배치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서의 수신 감도와, 비교예에 관한 국부발진기의 배치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서의 수신 감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를 배치한 휴대용 무선기 단체에서의 수신 감도와, 휴대용 무선기 단체를 인체에 장착한 때의 수신 감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체를 배치한 휴대용 무선기의 인체 장착시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와, 종래의 루프 안테나체를 사용한 수퍼 헤테로다인형 휴대용 무선기의 인체 장착시의 수신 감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에 내장된 안테나체의 사시도.
제 14 도는 제 13 도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제 1 도의 X-X' 선에서의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3 도에 나타나는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제 1 도의 Y-Y'선에서의 단면도.
제 16A 도는 제 13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평면도.
제 16B 도는 제 13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정면도.
제 16C 도는 제 13 도에 도시된 안테나체의 우측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사시도.
제 18A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기에 내장된 안테나체의 전개도.
제 18B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기에 내장된 안테나체의 사시도.
제 18C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기에 내장된 안테나체의 평면도.
제 18D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기에 내장된 안테나체의 측면도.
제 19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기의 종단면도.
제 20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무선기의 사시도.
제 21A 도는 종래의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의 설명도.
제 21B 도는 기타의 종래의 슬롯 안테나체를 사용한 휴대용 무선기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50, 70 : 휴대용 무선기 13, 53 : 무선기 케이스
14, 54 : 액정 표시 패널 16, 56 : 화살표 마크
20, 40, 60 : 안테나체(슬롯 안테나체)
21, 41, 61 : 제 1 도전체판
22, 42, 62 : 슬롯홈 23, 43, 63 : 제 2 도전체판
24, 44, 64 : 단락부 30 : 회로기판
71 : 오목부 72 : 팽창부
73, 130 : 무선기 케이스의 측면부 200, 400 : 안테나체의 측면부
210, 230, 410, 430, 610, 630 : 개구부
215, 235, 415, 435 : 도전체판의 측면부
301 : 동조용 용량 소자 340 : RF 증폭기(고주파 증폭 회로)
342 : 차폐함속에 들어 있는 국부 발진기(국부 발진 회로)
347 : 디지탈 IC 348 : 전지
350 : 수정 진동자 351 : 신호선
469 : 다이렉트 컨버젼 IC

Claims (15)

  1. 무선기 케이스(13)내에,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 기판(30)과, 슬롯 안테나체(20)를 가지며,
    상기 슬롯 안테나체(20)는, 상기 회로 기판(30)을 양면 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외주측 위치에 슬롯홈(22)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 및 상기 도전체판(21, 23)을 상기 슬롯홈(22)을 걸쳐 단락시키는 단락부(24)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 케이스(13)는 상기 슬롯 안테나체(20)를 상하에서 덮은 상측 케이스(11)와 하측 케이스(12)를 구비함과 함께, 외주측을 향해 돌출하는 측면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은 도전체판 끼리의 이간 거리가 외주 가장자리를 향해 좁아지도록 돌출하는 측면부(215, 235)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기 케이스(13)의 상기 측면부(130) 내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21, 23)의 상기 측면부(215, 235)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도전체판의 측면부는 외주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도전체판의 측면부는 외주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지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4. 무선기 케이스내에, 무선기 회로가 구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내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 위치에 슬롯홈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체판, 및 상기 도전체판 끼리를 상기 슬롯홈을 걸쳐 단락시키는 단락부를 구비하는 슬롯 안테나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 케이스는 대략 구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은 대략 반구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부의 형성 위치와 반대측 위치에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조용 용량소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대향한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슬롯 안테나체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단락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 회로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이고,
    상기 무선기 회로의 국부 발진 회로는 상기 안테나체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단락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 회로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 중,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상기 무선기 회로의 국부 발진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도전체판 측에 대해 상기 무선기 회로의 고주파 증폭 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홈내에는 유전체가 장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시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이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체판과 상기 동조 용량 소자의 접속 위치가 있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는, 직교 변환 믹서 회로와 베이스밴드 신호 검파 회로가 동일한 집적 회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무선기 회로는 전지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회로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승압 회로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무선기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베이스 밴드 신호용 여파 회로의 비통과 대역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주파수는 수정 진동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동조용 용량소자 또는 상기 단락부의 근방에 커얼 코드(curled cord)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
KR1019950031560A 1994-10-04 1995-09-25 휴대용무선기 KR100349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22794A JP3417083B2 (ja) 1994-10-04 1994-10-04 携帯用無線機
JP94-240227 1994-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006A KR960016006A (ko) 1996-05-22
KR100349524B1 true KR100349524B1 (ko) 2003-02-19

Family

ID=1705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560A KR100349524B1 (ko) 1994-10-04 1995-09-25 휴대용무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46610A (ko)
EP (1) EP0706232B1 (ko)
JP (1) JP3417083B2 (ko)
KR (1) KR100349524B1 (ko)
CN (1) CN1082281C (ko)
DE (1) DE695248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3995B2 (ja) 1999-03-31 2004-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高周波無線通信装置
US6483473B1 (en) * 2000-07-18 2002-11-19 Marconi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6806842B2 (en) 2000-07-18 2004-10-19 Marconi Intellectual Property (Us)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cs
ATE541246T1 (de) * 2001-06-29 2012-01-15 Maruman Products Co Ltd Funkarmbanduhr
JP2003209419A (ja) 2002-01-16 2003-07-25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アンテナ実装方法
EP1420476B1 (en) * 2002-11-13 2008-02-06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Wrist watch containing internal tag, radio watch, and antenna for wrist watch
US8175547B1 (en) * 2005-07-15 2012-05-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sposable chemical sens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577405B1 (en) * 2005-07-15 2009-08-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spos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FI124133B (fi) * 2005-10-21 2014-03-31 Suunto Oy Elektroninen puettava laite
US7215600B1 (en) * 2006-09-12 2007-05-08 Timex Group B.V. Antenna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D626963S1 (en) * 2008-04-22 2010-11-09 Samsung Techwin Co., Ltd. Integrated RFID reader
US20090289855A1 (en) * 2008-05-23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Inverted Loop Antenna in a Wireless Device
CN101938541A (zh) * 2010-09-17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无线通讯功能的腕戴式电子装置
USD697510S1 (en) * 2011-03-23 2014-01-14 Brother Industries, Ltd. Scanner with projector
US11050142B2 (en) 2013-03-11 2021-06-29 Suunto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US11059550B2 (en) 2013-03-11 2021-07-13 Suunto Oy Diving computer with coupled antenna and water contact assembly
US10594025B2 (en) 2013-03-11 2020-03-17 Suunto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s
GB2570904B (en) * 2018-02-08 2021-10-27 Suunto Oy Slot mode antennas
US10734731B2 (en) 2013-03-11 2020-08-04 Suunto Oy Antenna assembly for customizable devices
TWI580107B (zh) * 2016-01-25 2017-04-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裝置
CN105976591B (zh) * 2016-06-23 2019-03-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日照供电公司 基于等电位环原理的高压输电线路无线通讯装置
USD834565S1 (en) * 2016-11-10 2018-11-27 Crestron Electronics, Inc. Conference microphone
TWI790344B (zh) 2018-02-08 2023-01-21 芬蘭商順妥公司 槽孔模式天線
TWI798344B (zh) 2018-02-08 2023-04-11 芬蘭商順妥公司 槽孔模式天線
US11296731B2 (en) 2018-03-07 2022-04-05 Phc Holdings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US10539700B1 (en) 2019-03-14 2020-01-21 Suunto Oy Diving computer with coupled antenna and water contact assembly
CN111029747A (zh) * 2019-12-25 2020-04-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D991250S1 (en) 2021-09-14 2023-07-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ference device
USD986308S1 (en) 2021-09-14 2023-05-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USD997902S1 (en) 2021-09-14 2023-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eaker
USD989047S1 (en) * 2021-09-14 2023-06-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crophone
USD1017588S1 (en) * 2022-05-04 2024-03-12 Solid State Logic Uk Limited Microphone

Family Cites Families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0088A (en) * 1934-05-17 1937-02-09 Montaruli Antonio Radio cabinet
BE472157A (ko) * 1945-08-13
NL71623C (ko) * 1945-08-25
BE472929A (ko) * 1946-01-12
US2611865A (en) * 1946-06-19 1952-09-23 Alford Andrew Transversely gapped cylindrical antenna
DE1090140B (de) * 1957-06-26 1960-09-29 Autophon Ag Tragbarer, eine Antenne umfassender Rufempfaenger fuer Personensuchanlagen
CH379586A (de) * 1960-05-23 1964-07-15 Patelhold Patentverwertung Hochfrequenzsender
US3172112A (en) * 1961-05-29 1965-03-02 Elwin W Seeley Dumbbell-loaded folded slot antenna
US3210766A (en) * 1962-02-15 1965-10-05 Ralph O Parker Slot type antenna with tuning circuit
JPS5441192B2 (ko) * 1973-08-01 1979-12-07
US4035807A (en) * 1974-12-23 1977-07-12 Hughes Aircraft Company Integrated microwave phase shifter and radiator module
JPS5512762A (en) * 1978-07-14 1980-01-29 Toshiba Corp Glass sealing typ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S5627514A (en) * 1979-08-13 1981-03-17 Pioneer Electronic Corp Tuning circuit of balanced antenna
JPS56169401A (en) * 1980-05-31 1981-12-26 Shuichi Sakai Antenna for wrist watch type receiver
US4419770A (en) * 1981-05-02 1983-12-06 Sony Corporation Wrist AM radio receiver
JPS5894204A (ja) * 1981-11-30 1983-06-04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磁心入りル−プアンテナ
JPS5910049A (ja) 1982-07-07 1984-01-19 Fujitsu Ltd クロツク再生方式
US4509053A (en) * 1982-07-26 1985-04-02 Sensor Systems, Inc. Blade antenna with shaped dielectric
JPS5944103A (ja) * 1982-09-07 1984-03-12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
DE3465840D1 (en) * 1983-03-19 1987-10-08 Nec Corp Double loop antenna
JPS607204A (ja) * 1983-06-27 1985-01-16 Toyo Commun Equip Co Ltd 小型無線機のアンテナ
JPS60239106A (ja) * 1984-05-14 198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ロツトアンテナ
JPS6126307A (ja) * 1984-07-17 1986-02-05 Yagi Antenna Co Ltd アンテナ装置
JPS6150542A (ja) * 1984-08-18 1986-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165396B (en) * 1984-10-09 1987-12-23 Standard Telephones Cables Plc Buoyant antenna
US4713808A (en) * 1985-11-27 1987-12-15 A T & E Corporation Watch pager system and communication protocol
JPS61150410A (ja) * 1984-12-24 1986-07-09 Sony Corp チユ−ナ装置
JPS61200702A (ja) * 1985-03-04 1986-09-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ンテナ切替形携帯無線機
JPH0682974B2 (ja) * 1985-04-17 1994-10-19 日本電装株式会社 携帯型受信アンテナ装置
JPH0685487B2 (ja) * 1985-05-18 1994-10-26 日本電装株式会社 2周波共用平面アンテナ
JPS6224705A (ja) * 1985-07-25 1987-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ンテナ
US4736390A (en) * 1986-10-15 1988-04-05 Itt Avionics, A Division Of Itt Corporation Zero IF radio receiver apparatus
US4862181A (en) * 1986-10-31 1989-08-29 Motorola, Inc. Miniature integral antenna-radio apparatus
GB2201266A (en) * 1986-12-23 1988-08-24 Upperpace Limited A radio paging watch
JPH0727020B2 (ja) * 1986-12-25 1995-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ダ−装置
US4817196A (en) * 1987-01-02 1989-03-28 Motorola, Inc. Apparatus for tuning the antenna of a miniature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KR930010832B1 (ko) * 1987-01-02 1993-11-12 모토로라 이코포레이티드 소형휴대 통신장치용 안테나 및 그 자동동조 시스템
SE460704B (sv) * 1987-06-24 1989-11-13 Bjarne Nilsson Filterpaase
JP2624257B2 (ja) * 1987-06-29 1997-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機用アンテナ
US5007105A (en) * 1987-08-14 1991-04-09 Nec Corporation Watch type paging receiver
US4873527A (en) * 1988-01-07 1989-10-10 Motorola, Inc. Antenna system for a wrist carried paging receiver
GB8803871D0 (en) * 1988-02-19 1988-03-23 Woodville Polymer Eng Trihedral reflectors
JP2806525B2 (ja) * 1988-03-04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受信機
US5265265A (en) * 1990-02-09 1993-11-23 Seiko Epson Corporation Wristwatch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noise shielding structure
US5280646A (en) * 1988-03-23 1994-01-18 Seiko Epson Corporation Paging device with structure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JPH01241927A (ja) * 1988-03-24 1989-09-26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呼出用受信機
JPH01246904A (ja) * 1988-03-28 1989-10-02 Kokusai Electric Co Ltd 小形アンテナ
JPH01245721A (ja) * 1988-03-28 1989-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線装置
CH672870B5 (ko) * 1988-04-26 1990-07-13 Ebauchesfabrik Eta Ag
US5227804A (en) * 1988-07-05 1993-07-13 Nec Corporation Antenna structure used in portable radio device
JP2830095B2 (ja) * 1988-08-05 1998-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ンテナ回路及び腕装着型無線機
KR920002439B1 (ko) * 1988-08-31 1992-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슬로트 안테나 장치
JPH02116228A (ja) * 1988-10-26 1990-04-27 Nec Corp 携帯用無線機
JPH02126702A (ja) * 1988-11-07 1990-05-15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用無線受信機
US5136719A (en) * 1988-12-05 1992-08-04 Seiko Corp. Automatic antenna tubing method and apparatus
US5113196A (en) * 1989-01-13 1992-05-12 Motorola, Inc. Loop antenna with transmission line feed
GB2229319B (en) * 1989-01-20 1993-10-20 Antenna Products Ltd Antenna
US5128686A (en) * 1989-01-23 1992-07-07 Motorola, Inc. Reactance buffered loop antenna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138651A (en) * 1989-02-23 1992-08-11 Fujitsu Limited Cordless loud speaking telephone
US4980694A (en) * 1989-04-14 1990-12-25 Goldstar Products Company, Limite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folded-slot edge-congruent antenna
US5231407A (en) * 1989-04-18 1993-07-27 Novatel Communications, Ltd. Duplexing antenna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
US4973944A (en) * 1989-05-19 1990-11-27 Maletta Gabriel J Electrical signal and alarm protection proximity device
US5048118A (en) * 1989-07-10 1991-09-10 Motorola, Inc. Combination dual loop antenna and bezel with detachable lens cap
AT393054B (de) * 1989-07-27 1991-08-12 Siemens Ag Oesterreich Sende- und/oder empfangsanordnung fuer tragbare geraete
JPH073924B2 (ja) * 1989-10-09 1995-01-18 公人 堀江 バンド型アンテナ装置
US4977614A (en) * 1989-10-23 1990-12-11 Motorola, Inc. Wristband with loop antenna
JPH03147406A (ja) * 1989-11-02 1991-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小形アンテナ
JPH03181208A (ja) * 1989-12-08 199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形アンテナ
JPH03228407A (ja) * 1989-12-11 1991-10-09 Nec Corp アンテナおよび該アンテナを用いた携帯用無線機
JP3055703B2 (ja) * 1990-02-20 2000-06-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腕時計形受信機
US5179733A (en) * 1990-04-23 1993-01-12 Seiko Epson Corporation Wristwatch band with radio antenna
US5134724A (en) * 1990-05-08 1992-07-28 Seiko Corp. Wrist band for wrist-mounted radio with an uninsulated buckle
US5182568A (en) * 1990-05-21 1993-01-26 Motorola, Inc. Loss cancellation element for an integral antenna receiver
US5134418A (en) * 1990-06-04 1992-07-28 Motorola, Inc. Apparatus for sensing the integrity of a wristband antenna
FR2677814B1 (fr) * 1990-06-22 1993-10-29 Thomson Csf Antenne plate hyperfrequence a deux polarisations orthogonales avec un couple de fentes orthogonales rayonnantes.
WO1992002970A1 (en) * 1990-07-27 1992-02-20 Motorola, Inc. Insulated clasp for a wrist band loop antenna
GB9021292D0 (en) * 1990-10-01 1990-11-14 Watt Mervyn R Ladder scaffolding
DE69216983D1 (de) * 1991-05-09 1997-03-06 Seiko Epson Corp Antenne und kleines, tragbares funkgerät
US5144325A (en) * 1991-08-02 1992-09-01 Motorola, Inc. Detachable wrist band antenna
US5465098A (en) * 1991-11-05 1995-11-07 Seiko Epson Corporation Antenna apparatus for transceiver
US5589840A (en) * 1991-11-05 1996-12-31 Seiko Epson Corporation Wrist-type wireless instrument and antenna apparatus
US5280296A (en) * 1992-04-29 1994-01-18 Motorola, Inc. Antenna system for a wrist carried selective call receiver
GB2276274B (en) * 1993-03-17 1997-10-22 Seiko Epson Corp Slot antenna device
GB9410557D0 (en) * 1994-05-26 1994-07-13 Schlumberger Ind Ltd Radio antenna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281C (zh) 2002-04-03
CN1128441A (zh) 1996-08-07
DE69524834T2 (de) 2002-06-27
US5946610A (en) 1999-08-31
DE69524834D1 (de) 2002-02-07
KR960016006A (ko) 1996-05-22
JP3417083B2 (ja) 2003-06-16
EP0706232A2 (en) 1996-04-10
EP0706232A3 (en) 1997-01-22
EP0706232B1 (en) 2002-01-02
JPH08107308A (ja) 1996-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524B1 (ko) 휴대용무선기
RU220418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 антенной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радиотелефона
RU2676211C1 (ru) Спаренные многодиапазонные антенны в носимых беспро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US5627550A (en) Wideband double C-patch antenna including gap-coupled parasitic elements
EP1109250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611299B2 (ja) 「逆l型」平面アンテナにおける同調の改善
CN112038773B (zh) 近场通信天线及电子设备
JP2005051766A (ja)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アンテナの放射利得向上方法
KR100587276B1 (ko) 휴대 전화기 및 휴대 전화기의 밧데리
JPH07288415A (ja) 小型無線装置
KR100346990B1 (ko) 휴대무선기의안테나장치
JP3752963B2 (ja) Gpsセンサ
JP2003158410A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
JPH11312998A (ja) 携帯無線機
CN112448126A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JPH07131241A (ja) 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CN220963744U (zh) 天线组件和电子设备
CN218919276U (zh) 天线结构及电子设备
CN209930822U (zh) 屏蔽装置
US7072187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such an assembly
JPS6047522A (ja) 携帯無線機
JP3036171B2 (ja) 平面アンテナ
JPH0225283B2 (ko)
JPS62284503A (ja) 小形受信機の補助空中線
JPH08265030A (ja) 小形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