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391B1 - 사료운반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사료운반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391B1
KR100349391B1 KR1020000006992A KR20000006992A KR100349391B1 KR 100349391 B1 KR100349391 B1 KR 100349391B1 KR 1020000006992 A KR1020000006992 A KR 1020000006992A KR 20000006992 A KR20000006992 A KR 20000006992A KR 100349391 B1 KR100349391 B1 KR 10034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in body
guide
feed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464A (ko
Inventor
장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강남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강남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강남기공
Priority to KR102000000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3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차량 후미의 적재공간에 소정의 적재함을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에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등과 같은 입자상의 적재물을 적재하고 지정된 장소에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는 사료배출장치가 장착된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상부, 좌, 우 양측이 개방된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개폐부재와, 본체의 개방된 좌, 우 양측면을 개, 폐하는 잠금손잡이와, 본체의 적재공간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한 쌍의 배출판과, 한 쌍의 배출판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사료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구동부는 한쌍의 배출판 사이 공간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안내풀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안내풀리와; 일단이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배출판을 상호 연결하면서 다수의 안내풀리 상에 권취된 와이어와; 실린더로드를 통해 제 2 안내풀리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제 2 안내풀리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료운반용 적재함{box for conveyance of fodder}
본 발명은 사료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차량 후미의 적재공간에 소정의 적재함을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에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등과 같은 입자상의 적재물을 적재하고 장소에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는 사료배출장치가 장착된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사료운반용 적재함을 첨부한 도 1 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함의 본체(3)는 사각체 형상으로 상부 일측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로 적재물을 적재하며, 하역시에는 상기 본체(3)의 일측 상부에 사각판 형성된 개폐부재(5)를 힌지(6)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폐한뒤 상기 적재함(2)에 잔존하는 적재물을 사람이 삽과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하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사료운반용 적재함(2)은 적재물(60)을 하역키 위해 다수의 인원과 과도한 시간이 소비되므로 비효율적이고 경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내부에 사료배출장치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인원,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사료운반용 적재함을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트럭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7 ;본체
10 ; 적재함 11 ; 안내홈
12 ; 개폐부재 13 ; 잠금손잡이
20,104 ; 실린더 21,105 ; 실린더로드
22 ; 실린더지지부재 30,106 ; 배출판
31 ; 배출판결합부재 32 ; 체결홈
33 ; 안내바퀴 34,110; 경사면
40 ; 슬라이드 50 ; 배출구
60 ; 적재물 100 ; 제1안내풀리
101 ; 제2안내풀리 102 ; 제3안내풀리
103 ; 제4안내풀리 107 ; 와이어
108 ; 전동풀리 109 ; 모터
111 ; 요홈 112 ; 결합핀
120 ; 구동부 130 ; 구동부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 등과 같은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상부, 좌, 우 양측이 개방된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개폐부재와, 본체의 개방된 좌, 우 양측면을 개, 폐하는 잠금손잡이와, 본체의 적재공간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한 쌍의 배출판과, 한 쌍의 배출판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사료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구동부는 한쌍의 배출판 사이 공간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 1 안내풀리와; 제 1 안내풀리의 하부측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안내풀리와; 본체의 저부측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 3 안내풀리와; 본체 저부의 좌, 우 양단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제 4 안내풀리와; 일단이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배출판을 상호 연결하면서 다수의 안내풀리 상에 권취된 와이어와; 실린더로드를 통해 제 2 안내풀리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제 2 안내풀리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 상에 설치된 전동풀리와; 전동풀리의 상, 하부에 위치되어 전동풀리에 권취된 와이어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풀리와; 한 쌍의 배출판을 상호 연결하면서 전동풀리 및 다수의 안내풀리 상에 권취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는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와;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의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좌, 우 양측면 상에 형성된 체결홈에 각 배출판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배출판결합부재와; 각 배출판의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바퀴가 슬라이딩되는 좌, 우 한 쌍의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운반용 적재함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차량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트럭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사시도이다.이하, 제1,제2,제3실시예에서 동일한 부재 및 물품에 대하여서 동일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먼저, 도 2 ,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료운반용 적재함은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 등과 같은 적재물(60)이 적재되도록 상부, 좌, 우 양측이 개방된 본체(7)와, 이러한 본체(7)의 개방된 상부의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힌지(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개폐부재(5)와, 이러한 본체(7)의 개방된 좌, 우 양측면을 개폐하는 잠금손잡이(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7)의 내측에는 폭방향의 중앙부에 좌, 우 양측의 배출판(106)이 좌, 우 대칭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한 쌍의 배출판(106) 상으로 회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130)가 좌, 우 양측의 배출판(106) 사이 공간 및 적재함(10)의 저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판(106)의 상부 일측에는 결합핀(112)이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핀(112)이 본체(7)의 전, 후측면 상에 형성된 요홈(111) 상으로 안내됨으로써, 배출판(106)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본체(7) 내의 적재물(60)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판(106)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130)는 다수의 안내풀리(100, 101, 102, 103)와, 와이어(107)와, 실린더(104)로 이루어진다.다수의 안내풀리(100, 101, 102, 103)는 좌, 우 한쌍의 배출판(106) 사이 공간의 소정 위치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 1 안내풀리(100)와, 이러한 제 1 안내풀리(100) 상에 권취된 와이어(107)를 통해 제 1 안내풀리(100)의 하부측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안내풀리(101)와, 본체(7)의 저부측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 3 안내풀리(102)와, 본체(7) 저부의 좌, 우 양단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제 4 안내풀리(103)로 이루어진다.와이어(107)는 그 일단이 본체(7)의 일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배출판(106)을 상호 연결하면서 다수의 안내풀리(100, 101, 102, 103) 상으로 권취되어 그 이동이 안내된다.실린더(104)는 유압 또는 공압 등과 같은 구동원이 공급됨에 따라 실린더로드(105)가 승하강하는 통상적인 유공압 실린더의 일종으로, 상술한 제 2 안내풀리(101)의 일측에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부(130)는 유압 또는 공압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실린더(104)의 실린더로드(105)가 승하강하여, 상술한 제 2 안내풀리(101)를 승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안내풀리(100, 101, 102, 103) 상에 권취된 와이어(107)는 인장력을 받아 상술한 한 쌍의 배출판(106)이 좌, 우 대칭되며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이러한 배출판(106)의 회동작동에 따라 본체(7) 내의 적재물(60)은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용을 도 2 ,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운반용 트럭은 차량의 운전석(1) 후방의 적재공간에 소정의 적재함(10)을 구비하고, 이러한 적재함(10) 내에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등과 같은 입자상의 적재물(60)을 적재한 뒤에,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적재물을 하역한다.이러한 하역 작업은 본체(7)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개폐부재(5)가 개폐됨에 따라 소정량의 적재물(60)을 일차적으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 본체(7)의 좌, 우 양측면 상에 설치된 잠금손잡이(13)에 의해 본체(7)의 좌, 우양측면이 개방되도록한다. 구동부(130)의 실린더(104)의 실린더로드(105)가 하강함에 따라, 실린더로드(105)에 연결된 제 2 안내풀리(101)가 중립하강하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을 받은 와이어(107)에 의해 좌, 우 한 쌍의 배출판(106)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잔존하는 다량의 적재물(60)을 외부로 2차적으로 배출한다.
이때, 좌, 우 양측 한 쌍의 배출판(106)은 그 각 상단부 측에 결합된 결합핀(112)이 본체(7) 일측에 형성된 요홈(111)을 따라 안내됨에 따라, 배출판(106)의 각 하단부가 본체(7)의 저면과 평형하게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좌, 우 양측 한 쌍의 배출판(106)은 소정각도로 경사져 벌어진다. 이러한 결합핀(112) 및 요홈(111)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각 배출판(106)은 그 하단부가 본체(7)의 저면 상에 잔존하는 적재물(60)을 긁어 내어 배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료운반용 적재함(10)은 본체(7) 내부의 적재물(60)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 적재물(60)의 배출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4)의 실린더로드(105)가 상승하여 와이어(107)의 인장력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배출판(106)의 하단부가 원위치되면서, 직립하여 복귀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료운반용 적재함(10)은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료운반용 적재함(10)은 구동부(130)의 구동원으로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109)가 이용되고, 이러한 모터(109)의 구동축에 소정 직경의 전동풀리(108)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동풀리(108)의 외주연 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요홈 상에 와이어(107)가 3~4 회 권취된다. 이러한 전동풀리(108)의 상, 하부 측에는 다수의 안내풀리(101, 102, 103)가 위치되어 전동풀리(108)의 외주연 상에 권취된 와이어(107)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 보면, 모터(109)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터(109)의 전동풀리(108) 상에 권취된 와이어(107)는 감기거나 풀어지는 작용을 하면서 다수의 안내풀리(101, 102, 103) 상으로 안내되어 좌, 우 양측 한 쌍의 배출판(106)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이러한 배출판(106)의 회동작동에 따라 본체(7) 내의 적재물(60)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 보도록 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료운반용 적재함(10)은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 등과 같은 적재물(60)이 적재되도록 상부, 좌, 우 양측이 개방된 본체(7)와, 이러한 본체(7)의 개방된 상부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힌지(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개폐부재(5)와, 이러한 본체(7)의 개방된 좌, 우 양측면을 개폐하는 잠금손잡이(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7)의 내측에는 폭방향의 중앙부에 좌, 우 한 쌍의 배출판(30)이 좌, 우 대칭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각 배출판(30)은 그 하단부에 안내바퀴(33)가 장착되며, 본체(7)의 하부 양단부 상에는 이러한 각 배출판(30)의 안내바퀴(33)가 슬라이딩되는 좌, 우 한 쌍의 슬라이드(40)를 구비한다. 이러한 슬라이드(40)는 그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배출판(30)을 좌, 우 양측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며 벌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130)가 본체(7)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실린더 지지부재(22)에 의해 본체(7)의 상부면 상에 고정설치된 실린더(20)와, 이러한 실린더(20)의 실린더로드(21)가 결합되어 실린더(20)와 연동하는 배출판결합부재(31)로 이루어진다.실린더(20)는 유압 또는 공압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작동하는 통상의 유공압 실린더 일종이다.배출판결합부재(31)는 본체(7)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원통체이고, 그 양단부 상에 상술한 배출판(30)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체결홈(32)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먼저, 본체(7)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부재(5)를 개폐하면 소정량의 사료가 외부로 1 차적으로 배출된다.
다음, 구동부(130)의 실린더(20)의 실린더로드(21)가 하강함에 따라, 배출판결합부재(31)가 하강한다. 이에 따라, 배출판결합부재(31)에 힌지결합된 각 배출판(30)의 상단부는 하향이동하게 되고, 배출판(30)의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바퀴(33)가 슬라이드(40)를 따라 직선운동함에 따라, 배출판(3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판(30)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됨에 따라, 본체(7)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60)이 외부로 2 차적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발명은 기존의 사료운반용 적재함의 본체에 배출장치를 설치 함으로서, 상기 배출장치에 의하여 적재물의 하역을 자동화시키므로 인원 및 경비의 절감을 이루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5)

  1. 각종 곡물 및 곡물의 표피, 톱밥, 사료 등과 같은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상부, 좌, 우 양측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좌, 우 양측면을 개, 폐하는 잠금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적재공간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적재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한 쌍의 배출판과, 상기 한 쌍의 배출판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배출판 사이 공간에 배치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사료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한쌍의 배출판(106) 사이 공간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 1 안내풀리(100)와;
    상기 제 1 안내풀리(100)의 하부측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안내풀리(101)와;
    상기 본체(7)의 저부 중앙부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 3 안내풀리(102)와;
    상기 본체(7) 저부의 좌, 우 양단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제 4 안내풀리(103)와;
    일단이 상기 본체(7)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배출판(106)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다수의 안내풀리(100, 101, 102, 103) 상에 권취된 와이어(107)와;
    상기 제 2 안내풀리(101)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 2 안내풀리(101)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운반용 적재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109)와;
    상기 모터(109)의 구동축 상에 설치된 전동풀리(108)와;
    상기 전동풀리(108)의 상,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전동풀리(108)에 권취된 와이어(107)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풀리(101, 102, 103)와;
    상기 한 쌍의 배출판(106)을 상호 연결하면서 전동풀리(108) 및 다수의 안내풀리(101, 102, 103) 상에 권취된 와이어(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운반용 적재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20)와;
    상기 실린더(20)의 실린더로드(21)의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좌, 우 양측면 상에 형성된 체결홈(32)에 상기 각 배출판(30)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배출판결합부재(31)와;
    상기 각 배출판(30)의 하단부에 장착된 안내바퀴(33)가 슬라이딩되는 좌, 우 한 쌍의 슬라이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운반용 적재함.
  5. 삭제
KR1020000006992A 2000-02-15 2000-02-15 사료운반용 적재함 KR10034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992A KR100349391B1 (ko) 2000-02-15 2000-02-15 사료운반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992A KR100349391B1 (ko) 2000-02-15 2000-02-15 사료운반용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464A KR20010083464A (ko) 2001-09-01
KR100349391B1 true KR100349391B1 (ko) 2002-08-22

Family

ID=1964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992A KR100349391B1 (ko) 2000-02-15 2000-02-15 사료운반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4931A (zh) * 2020-10-26 2021-01-15 江西才智重工机械有限公司 重型板式给料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8275A (en) * 1975-04-09 1976-10-18 Hitachi Metals Ltd Demolishing method for bulk cargo
JPS599992U (ja) * 1982-07-12 1984-01-21 宮田工業株式会社 折畳み自転車におけるフレ−ムの安全掛止装置
JPS5999992U (ja) * 1982-12-25 1984-07-06 株式会社ナシヨナルマリンプラスチツク 輸送コンテナ
JP3040463U (ja) * 1997-02-12 1997-08-19 株式会社ジョーニシ 穀類の搬送コンテナ
JPH11189290A (ja) * 1997-10-22 1999-07-13 Taishoo:Kk 粒体搬送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8275A (en) * 1975-04-09 1976-10-18 Hitachi Metals Ltd Demolishing method for bulk cargo
JPS599992U (ja) * 1982-07-12 1984-01-21 宮田工業株式会社 折畳み自転車におけるフレ−ムの安全掛止装置
JPS5999992U (ja) * 1982-12-25 1984-07-06 株式会社ナシヨナルマリンプラスチツク 輸送コンテナ
JP3040463U (ja) * 1997-02-12 1997-08-19 株式会社ジョーニシ 穀類の搬送コンテナ
JPH11189290A (ja) * 1997-10-22 1999-07-13 Taishoo:Kk 粒体搬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464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098B1 (en) Hay bale loader and hauler
US7108125B2 (en) Extendable belt conveyor
US5397209A (en) Workpiece-transport trolley
CN109110022A (zh) 一种具有自卸货功能的电动车
US4548542A (en) Disposal vehicle loading apparatus
KR100349391B1 (ko) 사료운반용 적재함
EP1084069B1 (en) Device for handling waste collection containers
US3575309A (en) On and off cargo loading mechanism
CN110562755B (zh) 一种运输装置
CN202156337U (zh) 移动底板自载自卸车
US3679078A (en) Basket device for refuse trucks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US20050095097A1 (en) Receptacle lifter with retractable gripper arms
US5401134A (en) Telescoping apparatus for lifting and discharging of containers
CN211496075U (zh) 一种自卸式运输装置
EP1407876B1 (fr) Compacteur de matières telles que des déchets d&#39;emballages
KR102588908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GB2101680A (en) Power-driven lids for refuse skips
JP3668619B2 (ja) 貨物自動車
JPH0890295A (ja) 空容器圧縮機
KR102314145B1 (ko) 체인 기반의 적재함 바닥 셔틀 구조
KR200201761Y1 (ko) 물품하역장치
US20040191039A1 (en) Device for loading material into hauling vehicles
US7654378B1 (en) Conveying device
JPS62218392A (ja) 荷役機械用ハ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