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175B1 -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 Google Patents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175B1
KR100349175B1 KR1019970072369A KR19970072369A KR100349175B1 KR 100349175 B1 KR100349175 B1 KR 100349175B1 KR 1019970072369 A KR1019970072369 A KR 1019970072369A KR 19970072369 A KR19970072369 A KR 19970072369A KR 100349175 B1 KR100349175 B1 KR 10034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ermanent magnets
magnetic separator
magnets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838A (ko
Inventor
박언병
양충진
최승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7007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1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03C1/1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with non-movable magnets
    • B03C1/145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with non-movable magnets with rotating annular or disc-shaped materia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 제강공장의 강판 압연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립 철계입자(산화피막의 미세파편을 포함)들이 압연 또는 강판이송 과정에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강판표면에 발생하는 각종의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력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자장력의 세기에 인위적으로 차이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강판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철, 제강공장의 강판 압연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립 철계입자(산화피막의 미세파편을 포함)들이 압연 또는 강판이송 과정에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강판표면에 발생하는 각종의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세립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력 선별기에 있어서, 원판형의 다수개의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종류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들을 고정해 주는 디스크(disk) 형태의 다수개의 조립식 홀더; 원통형 드럼의 최외곽에 둘러 싸이면서 드럼과는 별도로 그 주위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비자성체의 드럼케이스; 및, 상기 드럼케이스를 붙잡아 주면서 회전축을 이루는 샤프트(shaft); 상기 드럼케이스를 샤프트상에서 회전시켜주는 회전구동기구; 및, 상기 드럼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된 수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Magnetic separator for removing fine iron-particles on plates and sheets}
본 발명은 제철, 제강공장의 강판 압연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립 철계입자(산화피막의 미세파편을 포함)들이 압연 또는 강판이송 과정에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강판표면에 발생하는 각종의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력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자장력의 세기에 인위적으로 차이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강판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력선별기술(magnetic separation)이 필요한 분야는 다양하다. 첫째로는 비전도성과 전도성 금속입자의 혼합물질에서 전도성 금속입자를 제거하는 분야, 둘째로는 전도성 금속입자가 포함된 공업폐수 또는 그 페기물(sludge)에서 전도성 금속입자를 걸러주는 분야, 세째,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공장 폐수중에 함유된 금속입자를 걸러주는 분야등 많은 경우가 있다. 상기한 첫째 분야와 같은 경우는 일반적인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혼합물질이 지나가는 통로에 부착하여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최근에 선진기술로는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한 선별기가 진보된 기술이다.(미국특허 5,080,234호 Jan.14, 1992)(미국특허 5,064,075호, Nov.12, 1991). 그리고 전통적으로 많이 쓰이는 방식으로 주로 공장폐수를 분리처리하여 용수의 재활용 또는 환경개선을 위해 중금속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분야가 있다.(미국특허 5,221,323호 Jan.22, 1993)(일본특허 소52-120547호 Oct.10, 1977).
또한, 최근에는 공장발생 분진의 환경보호를 위해 필히 행하는 절차로서 자장중에 입자들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투자율이 큰 그물을 네트형식으로 장치하여 전자성 입자들이 효과적으로 그물에 걸려 필터역활을 하는 기술이다.(미국특허 제4,016,071호, Apr. 5, 1977)(미국특허 제4,528,096호 Jul, 9, 1985)(미국특허 제4,780,634호, Oct. 25, 1988)
한편, 강판의 압연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피막에서 유발하는 산화철 미립자 및 공중에서 떨어져 강판표면에 들어붙어 강판이송중에 계속하여 결함을 유발하는 미립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서 제거하고자 시도한 적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장력의 세기에 인위적으로 차이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강판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별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선별기의 측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자력선별기에 갖춰진 영구자석을 잡아주는 홀더 (holder)의 구성도;
도 3의 b)는 자력선별기 내부구조를 이루는 영구자석의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선별기 내부 및 최외곽 드럼케이스의 회전운동과 이송중인 강판과의 상호 위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선별기에서 드럼 케이스의 외면에 긴 걸림돌기가 형성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드럼 케이스 15..... 드럼
17..... 영구자석 24..... 홀더
30..... 샤프트 36..... 플랜지
50..... 회전구동기구 55..... 스프로켓
60..... 프레임 62..... 볼트
80..... 수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판형의 다수개의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종류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들을 고정해 주는 디스크(disk) 형태의 다수개의 조립식 홀더; 원통형 드럼의 최외곽에 둘러 싸이면서 드럼과는 별도로 그 주위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비자성체의 드럼케이스; 상기드럼케이스를 붙잡아 주면서 회전축을 이루는 샤프트(shaft); 상기 드럼케이스를 샤프트상에서 회전시켜주는 회전구동기구; 및, 상기 드럼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된 수거기;를 포함하고, 제철, 제강공장의 강판 압연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립 철계입자(산화피막의 미세파편을 포함)들이 압연 또는 강판이송 과정에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강판표면에 발생하는 각종의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세립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력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종류의 영구자석은 그 하나가 희토류계 영구자석으로서, Sm2Co17, SmCo5, 또는 Nd2Fe14B계 조성을 갖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으로서 Ba-ferrite 또는 Sr-ferrite계이며, 상기 영구자석들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며, 자화방향(easy magnetization direction)이 드럼의 방사상 방향으로 착자(magnetization)되며;
상기 영구자석들은 드럼의 원주방향으로 총 120°에 걸쳐 다수개의 Nd2Fe14B 희토류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Nd2Fe14B 희토류 영구자석의 배치가 끝나는 부분부터 계속해서 원주방향으로 270°에 이르도록 상기 희토류자석의 형상과 칫수가 동일한 Sr-ferrite 영구자석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력 선별기(1)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레스 드럼케이스(10) 내부에 강력한 희토류계 영구자석(Nd-Fe-B자석)(17a) 및페라이트(ferrite)계 영구자석(17b)을 동시에 사용하여 자장력의 세기에 인위적으로 차이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강판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영구자석의 복합배치형 자력선별기인 것이다.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판형의 다수개의 드럼(15)과, 상기 드럼(15)의 내부에 장착된 영구자석(17a)(17b)을 갖는 바, 상기 영구자석(17a)은 희토류계 영구자석으로서, Sm2Co17, SmCo5, 또는 Nd2Fe14B계 조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영구자석(17b)은 Ba-ferrite 또는 Sr-ferrite계 영구자석이다. 상기 영구자석(17a)(17b)들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며 특히 자화방향(easy magnetization direction)이 드럼선별기의 방사상 방향으로 착자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17a)(17b)들을 고정해 주는 디스크(disk) 형태의 다수개의 조립식 드럼(15)을 갖추며, 이러한 영구자석(17a)(17b)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디스크형의 알미늄(Al)재질의 드럼(15)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영구자석(17a)(17b)을 드럼(15)에 고정하는 또 다른 밴드형 띠(22)를 사용한다. 상기 조립식의 알미늄 드럼(15) 및 영구자석(17a)(17b) 뭉치는 원판형의 알루미늄 홀더(24)를 사이에 개재하여 조립식으로 차곡차곡 스텐레스 재질의 샤프트(30)에 끼워지며, 샤프트(30) 및 샤프트(30) 주위에 조립된 영구자석(17a)(17b)과 드럼(15) 및 홀더(24)는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30), 드럼(15), 홀더(24) 및 자석(17a)(17b)들은 샤프트(30)상에서 스텐레스 재질의 플랜지(flange)(36)에 의하여 양측이 봉합되고 상기 드럼(15)과홀더(24)를 가로지르는 스터드 볼트(38)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자석(17a)(17b)을 끼운 알미늄 드럼(15)과 홀더(24)는 주물제작 또는 Al 2024계통의 가공재를 사용하며, 원천적으로 가벼우며 기계적강도가 높고 비자성 금속이면 가능하다. 따라서 알미늄이 최적의 재료이지만 타 재료도 가능하다. 상기 홀더(24)는 Nd2Fe14B 희토류 자석(17a)(17b)의 한변길이와 동일하게 한 장착홈(15a)을 파지 않은 디스크 형태로 된 것이고, 상기 드럼(15)은 홀더(24)에 대하여 직경과 두께는 같으나 6개의 희토류 자석(17a) 및 페라이트자석(17b)을 270°에 걸쳐 일정간격 24°로 배치하기 위해 자석장착 홈(15a)을 판 것이다.
따라서 영구자석(17a)(17b)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4)와 드럼(15)에 의해 번갈아 가며 샤프트(30)에 끼워져서 그 사이사이에 영구자석(17a)(17b)이 위치한다. 영구자석(17a)(17b)의 위치를 견고히 하기위해 다시금 비자성체 금속판의 밴드띠(22)를 상기 영구자석(17a)(17b)을 장착한 드럼(15)에 감아서 고정하고, 최종으로 샤프트(30) 양단을 스텐레스 재질의 플랜지(36)로 봉합한다. 이때 사용한 금속밴드띠(22)도 스텐레스 강판이다.
그리고, 드럼(15)은 고정되어 있지만, 선별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내부구조와는 별도로 회전운동을 하는 스텐레스 재질의 드럼케이스(10)로 둘러싸이며, 이 드럼케이스(10)는 기계적강도와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양측단이 또다시 스텐레스 재질의 외부 플랜지(40)에 의하여 봉합이 된다. 상기 드럼케이스(10)는 원하는 속도로 조절이 가능하지만 강판의 이송속도와 거의 상응한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해 0-200m/sec의 회전속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렇게 샤프트(30)에 장착된 드럼케이스(10)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내부에 이물질이 전혀 삽입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플랜지(40)의 일측으로는 커버(cover)(43)를 씌으고 회전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40)는 샤프트(30)와의 사이에 베어링(42)을 위치시켜서 드럼 케이스(10)가 샤프트(3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기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상기 회전운동은 기어드모터(geared motor)(50)에 의하여 구동되며, 드럼케이스(10)의 일방향 회전만을 위해 샤프트(30)에는 라쳇트 핸드 휠(ratchet hand wheel)(52)로 연결되어 샤프트(3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드럼케이스(10)가 샤프트(30) 축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30)일측에 스프라켓(sprocket)(55)이 위치되며, 이는 드럼케이스(10)의 플랜지(40)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로켓(55)은 회전구동기구(50)를 이루는 구동모터(50)의 회전축 스프로켓(미도시)에 체인(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의 양단은 브라켓(57)이 위치되어 프레임(6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2에는 자력선별기 드럼(15)을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드럼케이스(10)의 회전력을 구동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브래킷(bracket)(57)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드럼(15)을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강판(S)과 선별기 드럼(15)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특히 간격조절은 브래킷(57)에 장착된 볼트(62)로서 가능하나, 필요하면 유압으로도 조절한다. 상기 샤프트(30)위에서 드럼케이스(1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프라켓(sprocket)(55)과 샤프트(30)사이에 베아링(55a)을 삽입하고, 손쉽게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운동의 구동은 회전구동기구(50)인 기어드 모터(5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라쳇휠(52)이 상기 샤프트(30)의 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라쳇휠(52)에는 라쳇바(52a)가 접촉되어 상기 샤프트(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력 선별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7a)(17b)이 드럼(15)에 장착되며, 상기 드럼(15)의 원주방향으로 총 120°에 걸쳐 다수개의 Nd2Fe14B 희토류 자석(17a)을 장착하고, 또한 Nd2Fe14B 희토류 영구자석(17a)의 배치가 끝나는 부분부터 계속해서 원주방향으로 270°에 이르도록 상기 희토류자석(17a)의 형상과 칫수가 동일한 Sr-ferrite 영구자석(17b)을 배치한다. 따라서 Sr-ferrite 자석(17b)의 끝부분과 Nd2Fe14B 희토류 자석(17a)의 첫부분은 드럼(15)상에 영구자석(17a)(17b)이 없는 빈 공간(P)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Nd2Fe14B 자석(17a) 및 Sr-ferrite 자석(17b)의 자화방향이 아래위로 번갈아 가며 바뀌도록 배치하고 자장의 흐름이 이웃 자석(17a)(17b)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설계한다. 사용하는 Nd2Fe14B 영구자석(17a)의 잔류자석 밀도(remanence; Br)는 7-10kG 범위, 고유보자력(coercovity;iHc)은 8-15kOe 범위, 그리고 최대자력에너지적(energy product; (B.H)max)은 20-35MGOe 범위에 있으면 된다. 또한 Sr-ferrite 자석(17b)의 자력특성으로는 잔류자속밀도가 3-4.5kG, 고유보자력이 2.5-4kOe, 그리고 최대자력에너지적은 3-4.5MGOe 범위에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영구자석(17a)(17b)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은 비자성체이어야하는 조건이 필수이다. 왜냐하면 조립된 영구자석(17a)(17b)에서 흐르는 자장의 흐름은 공기를 따라 단지 자석(17a)(17b)과 자석사이에서만 연결이 되어야 한다.
도 3을 사용하여 영구자석(17a)(17b)의 형상과 배치의 중요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알미늄 재질의 드럼(15)의 상세도이다. 알미늄 드럼(15)을 자석(17a)(17b)칫수에 맞춰 가공한 후 자석(17a)(17b)을 삽입하고 그위에 스텐레스 밴드 띠(22)를 고정하여 조여준다. 상기 영구자석(17a)(17b)의 간격은 전산모사(computer simulation)의 계산에 의해 설정되며, 일정한 크기의 영구자석(17a)(17b)을 사용할 대 그 자석(17a)(17b)의 배치에서 발생하는 자장력(magnetic flux)의 크기는 자석(17a)(17b)과 자석(17a)(17b)사이의 간격이 그 자석(17a)(17b)의 크기와 거의 동일할 때 최대가 됨을 알 수 있으며 그때의 자석(17a)(17b)과 자석(17a)(17b)사이의 간격이 본 발명에서는 20°- 30°로 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Nd2Fe14B 희토류 자석(17a)과 Sr-ferrite 자석(17b)을 도 3과 같이 20-30°간격으로 배치하고, 각 자석(17a)(17b)은 샤프트(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원하는 칫수의 길이까지 조립된다. 본 발명의 드럼(15)과 홀더(24)는 강판(S)의 최대폭을 고려하여 조립되는 것이고, 따라서 선별기 드럼(15)의 크기에 따라 소요되는 자석(17a)(17b)의 숫자는 정해지며, 자석(17a)(17b)의 크기와 형상은 본 발명에서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모두 포함되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Nd2Fe14B 자석(17a)의 크기는 큰 것이 유리하며, Sr-ferrite 영구자석(17b)의 칫수와 형상을 Nd2Fe14B 영구자석(17a)과 동일하게 한 이유는 선별기의 조립상 필요한 조건이다.
도 4를 사용하여 선별기 드럼(15)내부의 영구자석(17a)(17b)배치와 최외곽 스텐레스 드럼케이스(10)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Nd2Fe14B 영구자석(17a)과 Sr-ferrite 영구자석(17b)을 배치한 경우는 이송중인 강판(S)의 이동방향과 최외곽 스텐레스 케이스(10)의 회전방향이 일치하게끔 설치한다. 이때 강판 표면위에 있던 미세입자(70)들은 희토류자석(17a)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자장에 의해 드럼케이스(10) 표면에 부착되어 케이스(10)의 회전방향과 같이 이동한다. 희토류자석(17a)의 배열이 끝나는 지점에서는 Sr-ferrite 영구자석(17b)의 배열이 시작되며, 이때 Sr-ferrite 자석(17b)에서 발생하는 자장력은 희토류자석(17a)에서 발생한 자장력보다 약하다. 따라서 드럼케이스(10)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철계 미립자(70)들은 점점 부착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Sr-ferrite 자석(17b)의 배열이 끝나는 지점에서는 저절로 부착력을 완전 상실하여 미립자 수거기(80)에 덜어지게 된다. 만약 도 4와 같이 강판 이동방향이 좌측일 경우 미립자 수거기(80)가 드럼케이스(10) 좌측, 즉, 강판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이면, 드럼케이스(10) 표면에 부착되어 이동하던 미립자(70)의 일부가 또다시 이송중인 강판(S)에 떨어지게 되어 자력선별기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미립자 수거기(80)는 드럼케이스(10) 회전방향을기준으로 선별기 뒤쪽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도 5에서와 같이, 강판(S)이송 방향이 역으로 이루어지면, 두 종류의 영구자석(17a)(17b)을 역으로 배치하여 미립자 수거기(80)가 드럼케이스(10) 뒷편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도 5에는 드럼 케이스(10)의 외면에 미립자가 상기 드럼 케이스(10)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긴 걸림돌기(90)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드럼케이스(10)의 외주면에서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효과적으로 자력에 의하여 부착된 미립자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식 자력선별기에 서로 다른 자장력을 발생하는 두종류의 영구자석(17a)(17b)을 사용하고, 압연공정중 강판의 이송방향과 잘 조합하여 미립자 수거효능이 뛰어난 일체형 자력선별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강판(S)위의 미립자(70)는 스텐레스 재질의 자력선별기 드럼케이스(10)에 부착되어 수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15)의 외주면에 장착된 영구자석(17a)(17b)의 배치, 자장력, 강판과 선별기 드럼(15)과의 간격, 드럼케이스(10)의 회전속도 등을 적절히 계산하고 그 위치와 수치를 적의 선정함으로서 그 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럼케이스(10)의 회전속도는 최소 제로에서 최대로는 강판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게 지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철, 제강공장에서 압연과정중 강판의 이동속도는 주로 50-200m/sec 이므로 회전구동기구인 기어드 모터(50)와 연결하고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제철, 제강현장에서 압연라인의 강판위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영구자석(17a)(17b)이 적절히 배치 및 고정되어 그 영구자석(17a)(17b)의 자력회로가 발생하는 자장력에 의하여 흡착시키고, 회전하는 드럼케이스(10)에 부착시켜 원하는 지점에서 저절로 흡착력을 잃게하여 손쉽게 일정부분에서 미세입자들을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7)

  1. 원판형의 다수개의 드럼(15); 상기 드럼(15)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종류의 영구자석(17a)(17b); 상기 영구자석(17a)(17b)들을 고정해 주는 디스크(disk) 형태의 다수개의 조립식 홀더(24); 원통형 드럼(15)의 최외곽에 둘러 싸이면서 드럼(15)과는 별도로 그 주위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비자성체의 드럼케이스(10); 상기 드럼케이스(10)를 붙잡아 주면서 회전축을 이루는 샤프트(30)(shaft); 상기 드럼케이스(10)를 샤프트(30)상에서 회전시켜주는 회전구동기구(50); 및, 상기 드럼 케이스(10)의 일측에 위치된 수거기(80);를 포함하고, 제철, 제강공장의 강판 압연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립 철계입자(산화피막의 미세파편을 포함)들이 압연 또는 강판이송 과정에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강판표면에 발생하는 각종의 표면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세립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력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종류의 영구자석(17a)(17b)은 그 하나가 희토류계 영구자석(17a)으로서, Sm2Co17, SmCo5, 또는 Nd2Fe14B계 조성을 갖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17b)으로서 Ba-ferrite 또는 Sr-ferrite계이며, 상기 영구자석(17a)(17b)들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며, 자화방향(easy magnetization direction)이 드럼(15)의 방사상 방향으로 착자(magnetization)되며;
    상기 영구자석(17a)(17b)들은 드럼(15)의 원주방향으로 총 120°에 걸쳐 다수개의 Nd2Fe14B 희토류 자석(17a)이 장착되고, 상기 Nd2Fe14B 희토류 영구자석(17a)의 배치가 끝나는 부분부터 계속해서 원주방향으로 270°에 이르도록 상기 희토류자석(17a)의 형상과 칫수가 동일한 Sr-ferrite 영구자석(17b)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7a)(17b)들은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영구자석(17a)(17b)을 드럼(15)에 고정하는 또 다른 밴드형 띠(22)가 감겨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r-ferrite 자석(17b)의 끝부분과 Nd2Fe14B 희토류 자석(17a)의 첫부분은 드럼(15)상에 영구자석(17a)(17b)이 없는 빈 공간(P)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4. 제 1항 또는 3항 중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7a)의 잔류자석 밀도(remanence; Br)는 7-10kG 범위, 고유보자력(coercovity;iHc)은 8-15kOe 범위, 그리고 최대자력에너지적(energy product; (B.H)max)은 20-35MGOe 범위이고, 상기 자석(17b)의 잔류자속밀도가 3-4.5kG, 고유보자력이 2.5-4kOe, 그리고 최대자력에너지적은 3-4.5MGOe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7a)(17b)사이의 간격은 드럼(15)의 20°-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수거기(80)는 드럼케이스(10)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케이스(10)의 외면에는 미립자가 상기 드럼 케이스(10)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긴 걸림돌기(9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계 미세입자 수거를 위한 자력선별기.
KR1019970072369A 1997-12-23 1997-12-23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KR10034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369A KR100349175B1 (ko) 1997-12-23 1997-12-23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369A KR100349175B1 (ko) 1997-12-23 1997-12-23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838A KR19990052838A (ko) 1999-07-15
KR100349175B1 true KR100349175B1 (ko) 2002-11-18

Family

ID=3748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369A KR100349175B1 (ko) 1997-12-23 1997-12-23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1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65B1 (ko) 2012-07-13 2014-06-27 주식회사 포스하이메탈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20180021405A (ko) 2016-08-22 2018-03-05 한국전기연구원 자력선별기용 건식 전자석
KR20210060774A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37B1 (ko) * 1999-08-26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수재혼입 자성체 분리장치
KR100428847B1 (ko) * 1999-12-13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타입의 고자기장에 의한 강판표면의 미세철계 입자제거장치
KR100428846B1 (ko) * 1999-12-13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자기장에 의한 강판표면의 미세철계 입자 제거장치
CN114768935A (zh) * 2022-04-22 2022-07-22 山东国士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环保型建筑垃圾回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257A (ja) * 1982-12-16 1984-06-23 Riichi Maeda 選別装置
JPH0568908A (ja) * 1991-09-10 1993-03-23 Kiyokawa Mekki Kogyo Kk 磁気式選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257A (ja) * 1982-12-16 1984-06-23 Riichi Maeda 選別装置
JPH0568908A (ja) * 1991-09-10 1993-03-23 Kiyokawa Mekki Kogyo Kk 磁気式選別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65B1 (ko) 2012-07-13 2014-06-27 주식회사 포스하이메탈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20180021405A (ko) 2016-08-22 2018-03-05 한국전기연구원 자력선별기용 건식 전자석
KR20210060774A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83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9280A (en) Magnetic separator having field shaping poles
KR100345735B1 (ko)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압연용자력선별기
US3168464A (en) Permanent magnetic separator
KR100349175B1 (ko) 철계미세입자수거를위한자력선별기
US4359382A (en) Magnetic structure for a magnetic separator
CA2438862A1 (en) Ferrous particle magnetic removal and collection apparatus
JP3429725B2 (ja) 磁気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磁力選別機
US2992737A (en) Method and means for variation of magnetic strength of permanent magnetic drums
JP4197656B2 (ja) 磁力選別装置
KR100428847B1 (ko) 벨트타입의 고자기장에 의한 강판표면의 미세철계 입자제거장치
JPH0753251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JP3030403B2 (ja) 乾式磁力選別機
KR100428846B1 (ko) 고자기장에 의한 강판표면의 미세철계 입자 제거장치
JP3818883B2 (ja) 磁力選別機
JPS59109257A (ja) 選別装置
KR100481361B1 (ko) 철계칩 처리용 콘베어
JP4112062B2 (ja) 反撥磁束誘導型マグネットプーリ装置
JP3230254B2 (ja) 非磁性金属分離装置
JP2003062483A (ja) スピンドルマグネ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分離装置
JP3463254B2 (ja) 磁気分離装置
JP3307443B2 (ja) 磁性粉体の選別方法
JP3227728B2 (ja) 非磁性金属分離装置
JPH10314619A (ja) ドラム型金属回収装置
US2993601A (en) Radial flow magnetic filter with radially directed magnetic flux
JPH09173890A (ja) ドラム型金属選別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