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628B1 -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628B1
KR100348628B1 KR1020000064277A KR20000064277A KR100348628B1 KR 100348628 B1 KR100348628 B1 KR 100348628B1 KR 1020000064277 A KR1020000064277 A KR 1020000064277A KR 20000064277 A KR20000064277 A KR 20000064277A KR 100348628 B1 KR100348628 B1 KR 10034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factor
volume
digital audio
frequency band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212A (ko
Inventor
백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6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 출력할 때 대상 파일이 교체되는 것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음량을 유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정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서 각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1)를 획득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서 각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2)를 획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두 스케일팩터를 비교하여 차값을 구하고, 그 차값을 근거로 스피커측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사용자가 지정한 음량으로 보정하여 출력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VOLUME CONTROL METHOD FOR DIGITAL AUDIO PLAYER}
본 발명은 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 출력할 때 대상 파일이 교체되는 것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음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브 파일의 진폭이 각기 다른 소오스 파일로 제작된 MP3 파일들을 재생 출력하더라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사용자가 설정한 음량으로 일치시켜 출력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MP3)의 재생 출력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되는 MP3 파일에 대한 32개의 주파수 대역을 디코딩하여 32개의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 Scale Factor)를 획득한다.(SA1-SA3)
이후, 상기 32개의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신호 성분에 상기 각각의 SF를 곱하여(Mixing)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오디오신호 성분의 진폭 크기를 결정한다.(SA4)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SA5,SA6)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단지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스케일팩터만을 근거로 하여 출력 음량을 결정하게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가수의 MP3 파일일지라도 출력 음량이 다르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즉, MP3 파일을 제작할 때 스케일팩터는 웨이브 파일의 진폭에 의해 결정되는데, 제작 환경에 따라 웨이브 파일의 진폭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볼륨을 고정시키고 각기 다른 조건에서 제작된 MP3 파일을 재생 출력해 보면 그들의 음량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스케일팩터를 기준 스케일팩터와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만큼 음량을 자동으로 보정해 주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MP3 파일의 재생 처리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량 보정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량 보정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B1-SB11 : 제1-제11단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서 각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를 획득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서 각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를 획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두 스케일팩터를 비교하여 차값을 구하고, 그 차값을 근거로 스피커측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사용자가 지정한 음량으로 보정하여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량 보정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준 MP3 파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한 MP3 파일에 대한 32개의 주파수 대역을 디코딩하여 32개의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1)를 획득하고, 이를 소정 영역에 메모리에 저장한다.(SB1-SB3)
이와는 별도로, 재생 출력하고자 하는 MP3 파일에 대한 32개의 주파수 대역을 디코딩하여 32개의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2)를 획득한다.(SB4-SB6)
이후, 상기 각 대역별 두 스케일팩터(SF1),(SF2)를 비교하여 그들간의 차값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케일팩터(SF2)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구한다.(SB7,SB8)
즉, 상기 보정용 스케일 팩터(SF3)는 상기 스케일 팩터(SF2)를 스케일 팩터(SF1)와 일치시키기 위한 스케일 팩터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비교 결과 스케일팩터(SF2)의 값이 동일하면 보정용 스케일 팩터(SF3)는 "1"로 설정되고, 그 스케일팩터(SF2)의 대소에 따라 스케일 팩터(SF3)가 그에 상응되게 작은 값으로 설정되거나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후, 상기 스케일팩터(SF2)에 상기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곱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진폭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SB9-SB11)
이후에도 상기와 같은 일련의 보정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스케일팩터(SF2)에 상기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곱한 결과를 저장해 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상기 보정용스케일팩터(SF3)를 업데이타(updata)하여 이후에 음량을 보정할 때 이용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와 비교하여 다른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각의 스케일팩터(SF1),(SF2)를 구하여 그들간의 차값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케일팩터(SF2)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구한 후, 다시 그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볼륨 제어 데이터로 변환한다.(SC7-SC9)
이와 함께, 상기 32개의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신호 성분에 상기 각각의 스케일팩터(SF3)를 곱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오디오신호 성분의 진폭 크기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오디오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증폭기를 통해 증폭할 때 상기 볼륨 제어 데이터로 증폭률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볼륨에 상응되는 레벨의 음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SC10-SC1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스케일팩터를 기준 스케일팩터와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만큼 음량을 보정해 줌으로써, MP3 파일의 제작환경에 따라 웨이브 파일의 진폭이 다르게 적용되더라도 사용자가 설정하는 음량에 일치시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지정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서 각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1)를 획득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서 각 주파수 대역의 스케일팩터(SF2)를 획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두 스케일팩터를 비교하여 차값을 구하고, 그 차값을 근거로 스피커측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사용자가 지정한 음량으로 보정하여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상기 각 대역별 두 스케일팩터(SF1),(SF2)를 비교하여 그들간의 차값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케일팩터(SF2)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팩터(SF2)에 상기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곱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진폭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상기 각 대역별 두 스케일팩터(SF1),(SF2)를 비교하여 그들간의 차값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스케일팩터(SF2)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용 스케일팩터(SF3)를 볼륨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각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신호 성분에 상기각각의 스케일팩터(SF2)를 곱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오디오신호 성분의 진폭 크기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증폭출력할 때 상기 볼륨 제어 데이터에 따라 증폭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KR1020000064277A 2000-10-31 2000-10-31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KR10034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277A KR100348628B1 (ko) 2000-10-31 2000-10-31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277A KR100348628B1 (ko) 2000-10-31 2000-10-31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212A KR20020034212A (ko) 2002-05-09
KR100348628B1 true KR100348628B1 (ko) 2002-08-13

Family

ID=1969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277A KR100348628B1 (ko) 2000-10-31 2000-10-31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86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KR101108809B1 (ko) * 2004-11-15 2012-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 시스템
US9998082B1 (en) * 2017-01-16 2018-06-12 Gibson Brands, Inc. Comparative balanc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530A (ja) * 1994-05-19 1995-11-28 Sony Corp 音量制御装置
JPH0918264A (ja) * 1995-06-28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音量調整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たデジタル混合装置
KR19990006301A (ko) * 1997-06-11 1999-01-25 구자홍 자동 음량보정 방법 및 장치
JPH11145842A (ja) * 1997-11-05 1999-05-28 Nec Corp 音声帯域分割復号装置
KR19990069532A (ko) * 1998-02-10 1999-09-06 윤종용 채널 변경시 일정한 크기의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
JPH11355145A (ja) * 1998-06-10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音響符号器および音響復号器
KR20000025075A (ko) * 1998-10-08 2000-05-06 전주범 카오디오의 자동 볼륨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530A (ja) * 1994-05-19 1995-11-28 Sony Corp 音量制御装置
JPH0918264A (ja) * 1995-06-28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音量調整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たデジタル混合装置
KR19990006301A (ko) * 1997-06-11 1999-01-25 구자홍 자동 음량보정 방법 및 장치
JPH11145842A (ja) * 1997-11-05 1999-05-28 Nec Corp 音声帯域分割復号装置
KR19990069532A (ko) * 1998-02-10 1999-09-06 윤종용 채널 변경시 일정한 크기의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
JPH11355145A (ja) * 1998-06-10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音響符号器および音響復号器
KR20000025075A (ko) * 1998-10-08 2000-05-06 전주범 카오디오의 자동 볼륨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212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7835B2 (ja) オーディオ再生の効果付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8025358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udio volume and audio player
US7369906B2 (en) Digital audio signal processing
US9478235B2 (en)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8507934A (ja) 音声強調
JPH06177688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US20120148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dening audio signal band
JPWO2004109661A1 (ja) 音質調整装置および音質調整方法
KR100348628B1 (ko)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음량 보정방법
JP5052460B2 (ja) 音量制御装置
JP3888239B2 (ja) デジタル音声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165635A1 (en)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harmonic sound
JPH06289898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4803193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利得制御装置および利得制御方法
JP5375861B2 (ja) オーディオ再生の効果付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145733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3365113B2 (ja) 音声レベル制御装置
KR100835637B1 (ko) 음성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H03204210A (ja) オーディオ装置
JP2611243B2 (ja) 振幅圧縮伸長回路
JP2006114998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式
KR100412903B1 (ko) 다이나믹 사운드 시스템
JP6226166B2 (ja) 音響再生装置
JPH04362804A (ja) 信号処理回路
JP2006093767A (ja) 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