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336B1 - 수직축세탁기에서의세탁물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수직축세탁기에서의세탁물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336B1
KR100348336B1 KR1019950003403A KR19950003403A KR100348336B1 KR 100348336 B1 KR100348336 B1 KR 100348336B1 KR 1019950003403 A KR1019950003403 A KR 1019950003403A KR 19950003403 A KR19950003403 A KR 19950003403A KR 100348336 B1 KR100348336 B1 KR 10034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basket
bottom plate
washing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836A (ko
Inventor
델리이.뮬러
알.부루스쉐어러
제랄드엘.크레취맨
커트워너
제임스더블유.티투스
마크씨.셀머
린다에이.히그비
Original Assignee
월풀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풀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월풀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5003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wash tub)와, 세탁조내에 배치되고 수직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관통 세탁 바구니(wash basket)와, 세탁 바구니의 하부내에 배치되고 워블링 운동(wobbling motion)을 위해 장착된 바닥판을 구비한 자동 세탁기내에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모터는 바구니 및 바닥판을 함께 회전시키고 세탁 바구니에 대해 바닥판을 워블링 운동시키키 위해 바구니 및 바닥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그 동안에 바구니는 세탁물이 세탁 바구니내에서 교반되도록 고정 유지된다. 제어된 회전 장치는 세탁 바구니의 바닥내에서 감소된 속도로 바닥판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워블링 운동으로 바닥판을 구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액체 높이 제어 시스템은 세탁조내에 세탁액의 최적량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며, 세탁 바구니내의 세탁물은 침수되지 않고 물 밖에서 세탁된다. 재순환 시스템은 바구니내에 위치된 세탁물상에 그리고 세탁물에 재순환 라인을 통해 세탁조의 바닥에 배치된 섬프로부터 세탁액을 펌프하도록 작동한다. 세탁기의 이 작동 방법은 세탁 바구니내에 세탁물을 넣는 단계와, 세탁액을 형성하도록 세탁조에 물과 세제를 첨가하는 단계와, 미동 운동(nutating movement)으로 바닥판을 구동하는 동안에 세탁물상에서 세탁액을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동 운동은 바닥판의 운동이며, 바닥판은 급속 워블링 운동으로 구동되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내에서 천천히 회전된다. 이런식으로, 세탁물은 원하는 우수한 때 제거를 성취하기 위해 부딪치고 구부러지는 동안에 세탁액의 스프레이 패턴하에서 반복 이동된다.

Description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A method of washing in a vertical axis washer}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수직축 세탁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워블 운동(wobble motion)이 가능한 바닥판을 갖는 수직축 세탁물 세탁기의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자동 세탁기에 우수한 세탁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에너지와 물이 적게 드는 개선된 자동 세탁물 세탁기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예를들면, 그러한 개선된 세탁기는 미국 특허 제 4, 784, 666호 및 4,987,627호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상기 특허들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참고로 여기에 합체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기본은 세척 성능이 화학적(세제 효과 및 물의 양), 열적(물을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및 기계적(섬유를 통해 유동체를 적용, 섬유상에 유동체를 적용 및 섬유상에 유체 충격을 적용 및 섬유 유연성) 에너지 투입량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한정되는 방정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에너지 형태의 어떠한 감소는 세척 성능이 비교되는 수준으로 이뤄지도록 다른 에너지 입력중 하나 이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수직축 세탁기는 세탁조내에 배치된 수직 정렬 세탁 바구니내로 세척할 세탁물을 넣고 세탁 바구니내에 중심적으로 지지되는 수직 방향 교반기(agitator)를 구비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한다. 세제 및 물은 세탁물이 세탁액에 완전히 적셔지도록 세탁액을 담기 위한 튜브 및 바구니내로 공급되며, 교반기의 진동은 세탁물을 세탁 바구니의 세탁액내로 이동시킨다. 그러한 형상에서, 세제는 화학적 에너지 투입량이며, 세제와 혼합시키기 위해 뜨겁거나 따뜻한 물을 도입하는 것은 열적 에너지 투입량이며, 교반기의 작동은 기계적 에너지 투입랑이며, 따라서 이들 에너지 투입량 모두는 세탁물으로부터 때(soil)를 함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세탁기의 이러한 시스템은 한번 세탁물을 넣고 적당히 세탁물을 세척하는데 약 46 캘런 정도의 많은 물이 필요하다. 이것은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세탁물에 기계적 에너지를 적절히 가하기 위한 진동 교반기의 인자로 인해, 모든 세탁물을 세탁액내에 충분히 적셔야 한다. 이리한 직물의 완전한 침수는 세탁 싸이클 및 연속적인 헹굼 싸이클의 각각에서 이뤄진다.
수직축 세탁기에 사용된 세탁액의 양을 실제로 줄이기 위해서, 세탁물에 기계적 에너지를 입력하기 위한 다른 수단은 모든 세탁물을 완전히 침수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 예견되어 왔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고로 여기에 구체화한 코비치(Kovich)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7/815,781호에는 세탁물내로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기 위한 시스템을 활용한 수직축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물 소비량이 실제로 감소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세탁기는 바구니내로부터 내부로 연장한 램프(ramp) 및 배플(baffle)을 구비한 바구니가 제공된다.
수직축 세탁기에 넣어진 세탁물내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커비(Kirby)의 미국 특허 제 2,802,356호에는 세탁 바구니가 세탁조내에 배치되어 제공된 수직축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옷감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가 없으며, 오히려 세탁조내에 워블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세탁 바구니가 장착되어 있으며, 세탁 싸이클 동안에 바구니는 세탁액으로 충전되고 세탁물을 교반시키는 워블링 운동(wobbling motion)이 가해지고 이들을 세탁하게 한다. 그러나, 물 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이나 제안은 커비의 특허에서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밀러(Miller)의 미국 특허 제 2,145,453호에는, 세탁조내에서 선회(gyratory) 운동을 위해 장착된 바닥판을 구비한 수직축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세탁 바구니는 제공되지 않았다. 세탁 동안에, 바닥판은 세탁물이 교반되도록 선회 진동 운동을 가한다. 밀러는 세탁 싸이클 동안에 세탁액내에 세탁물을 완전히 침수시키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보다 많은 물과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줄이는 것은 보다 바람직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직축 세탁 시스템에 의해 성취된다. 더우기, 세탁액으로 세탁물을 완전히 침수시킬 필요 없이 수직축 세탁기내에서 세탁물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상당히 개선되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물과 에너지를 최소로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넣어진 세탁물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지만 세탁물은 세탁액내에 완전히 침수시킬 필요 없는 수직 세탁기에서의 세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을 최적으로 세탁하기 위해 화학적, 기계적 및 열적 에너지 투입을 최적 투입량으로 성취하도록 회전 가능한 세탁 바구니의 하부에 위치된 선회 운동용의 장착 바닥판을 구비한 수직 세탁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무공(imperforate) 세탁조와, 세탁조내에 배치되어 수직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멍난 세탁 바구니와, 세탁바구니의 하부내에 위치되며 워블링 운동을 위해 장착된 바닥판을 구비한 자동 세탁기에 의해 성취된다. 모터는 바구니와 바닥판을 함께 회전시키기 위해 그리고,세탁물이 세탁 바구니내에서 교반되도록 바구니가 고정 유지되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에 대해 바닥판을 워블링시키기 위해 바구니 및 바닥판과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탁 바구니의 바닥내에서 감소된 비율로 바닥판이 회전하는 동안에 워블운동으로 바닥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된 회전 장치가 제공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워블판(wobble plate)은 바구니내에서 회전이 없는 동안에 워블링 운동으로 구동되어지도록 지지 구속된다.
본 발명은 세탁조내로 최적양의 세탁액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 높이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어, 세탁 바구니내의 세탁물은 침수되기 보다는 물밖에서 세척된다. 재순환 시스템은 재순환 라인을 통해 그리고 바구니내에 배치된 세탁물상에 및 세탁물을 통해 세탁조의 바닥에 배치된 섬프(sump)로부터 세탁액을 펌프하도록 작동한다.
단호한 실시예에서, 세탁기의 작동 방법은 세탁 바구니내에 세탁물을 넣는 단계와, 세탁액을 형성하도록 세탁조내에 물과 세제를 넣는 단계와, 미동 운동(nutating motion)시에 바닥판을 구동하는 동안에 세탁물상에서 세탁액을 재순환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미동 운동은 바닥판의 운동을 말하며, 여기에서 바닥판은 급속 워블링시에 구동되는 세탁 바구니내에서 천천히 회전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세탁물은 세탁액의 스프레이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며, 그 동안에 원하는 우수한 때 제거를 성취하기 위해 부딪히고 구부러진다. 제 2 실시예에서, 세탁액의 스프레이 폐턴하에서 세탁물을 운동시키기 위해 세탁 바구니를 천천히 회전시키는 단계는 세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해 바닥판을 워블링시키는 단계와 조합된다. 이러한형태에서, 세탁물은 하나의 모드(mode)에서 세탁액의 스프레이 하에서 이동하며 다른 모드에서 세탁 바구니내에서 교반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도면 번호 20은 자동식 세탁기, 즉, 자동 세탁, 헹굼 및 건조 조작의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세탁기를 작동하기 위한 미리 설정 가능한 연속 제어 수단을 구비한 기계를 표시하며, 본 발명은 상기 세탁기에 실시된다. 상기 세탁기(20)는 이 세탁기(20)를 케비넷(25)의 측면(24a), 상부면(24b), 정면(24c) 및 배면(24d)을 형성하는 수직 패널(24)을 지지하는 프레임(22)을 포함한다. 힌지 결합된 뚜껑(26)은 세탁기(20)의 내부나 처리 영역(27)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된다. 세탁기(20)는 타이머 다이얼(30) 또한 다른 타이밍 기계 및 온도 선택기(32) 뿐만 아니라 싸이클 선택기(33) 및 원하는 다른 선택기를 포함한 콘솔(28)을 갖고 있다.
예시적으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세탁기(20)의 내부에는 관통 또는 구멍(35)이 있는 회전 세탁 바구니(36)가 그 안에 있는 무공 액체 함유 세탁조(34 ; tub)가 배치되어 있으며, 펌프(38)는 세탁조(34) 아래에 제공된다. 상기 회전 세탁 바구니(36)는 세탁실을 형성하며, 실제로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적으로 구형(spherical)인 측벽면(37)을 포함한다. 모터(100)는 바구니(36)를 고정 세탁조(34)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전동 장치(102)를 통해 바구니(36)에 작동 결합된다. 케비넷(25) 측면의 모든 부품은 버팀대(strut)(39)에 의해 지지된다.
물은 온수 및 냉수 공급 입구(40, 42)에 의해 무공 세탁조(34)에 공급된다.온수 밸브(44) 및 냉수 밸브(46)는 메니폴드 도관(48)에 결합된다. 메니폴드 도관(48)은 개방 가능한 뚜껑(26) 바로 아래에서 세탁조(34) 위의 상부 개구부(56)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세탁 디스펜서(50, 52, 54)에 상호 결합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 디스펜서는 힌지 결합된 뚜껑(25) 개방 위치에 있을때 접근할 수 있다. 디스펜서(50, 52)는 표백제 또는 직물 연화제와 같은 첨가물을 투입하는데 사용되며, 디스펜서(54)는 자동 세탁 싸이클시에 적당한 시간에 세탁물내에 세제(액체나 입자)를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6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펜서(50, 52, 54)의 각각은 개별 용도의 도관(58, 60, 62)을 통해 각각 액체(일반적으로 깨끗한 물)이 공급된다. 도관(58, 60, 52)의 각각은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64, 66, 68)에 의해 종래의 방법으로 유체원(fluid source)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들은 메니폴드 도관(48)에 각각 도관을 결합하여 광범위한 입구 압력과 동일한 유속을 제공하도록 유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34)의 바닥에 배치된 것은 세탁 첨가물 디스펜서(5O, 52, 54)를 통해 세탁조내로 공급된 세탁액을 수용하기 위한 섬프 부분(sump portion)(72)이다. 압력 센서(73)는 세탁조(34)에 첨가된 세탁액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섬프(72)내에 배치된다. 상기 펌프(38)는 섬프(72)와 유체적으로 상호 결합되며, 섬프(72)로부터 세탁액을 끌어들이고 제 1 부분(74a) 및 제 2 부분(74b)을 구비한 재순환 라인(74)을 통해 세탁액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2 방향 배수 밸브(76)는 배수 라인(77)으로 또는 재순환 라인(74)의 제 2 부분(74b)으로 세탁액 유체를 선택적으로 보내기 위한 재순환 라인(74)에 제공된다. 노즐(78)은 상기 재순환 라인(74)에 유체적으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노즐(78)은 세탁조(34)의 상부 개구부(56)를 지나 연장하며 세탁 바구니(36)위에 배치되어, 재순환 라인(74)을 통해 유동하는 세탁액이 바구니(36)내로 그리고 노즐(78) 아래의 바구니(36)내에 배치된 세탁물상으로 분무된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 세탁액은 세탁 바구니(36)내에 배치된 세탁물상에서 재순환될 수 있다. 더우기, 압력 센서(73)는 세탁조(34)내의 세탁액의 높이를 세탁물 아래까지로 제어하도록 세탁액 재순환 동안에 작동될 수 있으며, 세탁물은 종래의 세탁기와 같이 세탁액에 침수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에서, 세탁물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물밖에서 세탁 처리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 보울(bowl) 부재(82) 및 중심이 융기된 도움(dome) 부재(84)를 구비한 바닥판(80)이 세탁 바구니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환형 보울 부재(82)는 최하부 포인트(82b ; 보울 부재에 대해) 쪽으로 연장한 원뿔형으로 하방으로 연장한 부분(82a)과, 하방으로 연장한 부분(82a) 둘레에 배치된 상승 립 부분(82c)으로 한정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리브(86)는 하방으로 연장한 부분(82a)으로부터 환형 보올 부재 (82)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시일 부재(88)는 바구니(36)의 부분적으로 구형인 측벽 표면(37)을 밀봉 결합하기 위한 환형 보올 부재(82)의 상승 립 부분(82a)으로부터 연장한다. 바닥판 조립체(80)는 중심축(89)을 한정하며, 바닥판(80)은 바닥판의 중심축(89)이 바구니(36) 및 세탁조(34)의 중심축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바구니(36)내에 장착된다. 더우기 바닥판(80)은 모터(100) 및 전동 장치(102)에 작동 결합되어, 세탁 바구니(36)를 고정 지지하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36)에 대해 워블링으로바닥판이 구동된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바닥판용 구동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 튜브(90)는 구동 샤프트(92) 둘레에 배치되며, 회전 튜브(90) 및 구동 샤프트(92)는 전동 장치(102)에 구동 결합된다. 브레이크 기구(94)는 회전 바구니(36)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 위해 회전 튜브(90) 및 구동 샤프트(92)와 관련해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조를 위해 여기에 구체화한 가우어(Gauer)등의 미국 특허 제 4,254,641호에는 브레이크 기구(94)가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회전 튜브(90)는 튜브(34)를 통해 밀봉되게 연장되고 회전 튜브(90)에 고정될 수 있는 구동 블럭(97)에 의해 세탁 바구니(36)에 결합된다. 구동 너트(98)는 구동 블럭상에 나사 결합되며, 구동 블럭(97)과 너트(98) 사이에 세탁 바구니(35)가 끼워진다. 나사 패스터는 바구니(35)를 구동 블럭(97)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된 회전 기어 시스템(95)은 바닥판 회전과 조합하여 바닥판 워블을 성취하도록 바닥판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닥판(80)은 워블 기어(106), 중심 베어링(108) 및 판(110)을 통해 구동 샤프트(92)에 결합된다. 중심 베어링(108)은 구동 샤프트(92)에 고정될 수 있는 내부 링(112) 및 외부 링(114)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내부 링(112)은 외부 링(114)의 외경으로 한정된 축에 대해 일정 각도에서 제공된 내부 보어(116)를 갖고 있다. 나사 패스터(113)는 구동 샤프트(92)를 내부 링(112)에 고정한다. 외부 링(114)은 워블 기어(106)의 내경에 가압 끼워 맞춰진다. 판(110)은 바닥판(80)을 워블 기어(106)에 고정하기 위해 워블 기어(106)에 고정되어, 바닥판(80)에 세탁 바구니(36)의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에서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워블 기어(106) 및 바닥판(80)은 구동 샤프트(92)의 중심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경사진 축상에 자유 저널 지지된다.
직선 베이스 기어(96)를 지지하는 웨이브 스프링(104)은 구동 블럭(97)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워블 기어(106)의 바닥면상에 제공된 다수의 대응 방사상 치형부(120)와 맞물리는 다수의 방사상 치형부(118)는 베이스 기어(96)의 상부면상에 배치된다. 웨이브 스프링(104)은 베이스 기어(96)와 기어(106) 사이에서 이 기어들이 적당히 맞물리도록 위치 허용 오차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워블 기어(106)가 구동 샤프트(92)의 중심축에 대해 선회될 때, 워블 기어(106)의 치형부(120)의 치형부(120)와 베이스 기어(195)의 치형부(118)와 맞물림으로써 구동 샤프트(92)와 함께 워블 기어(106)가 대응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 샤프트(92)의 각각의 회전에 대해, 워블 기어(106)는 360°워블 운동하며, 워블 기어(106)의 치형부(120)의 모두는 베이스 기어(96)와 연속적으로 맞물린다.
도시된 바와같이, 워블 기어(106)가 지지되는 일정한 각도로 인해서, 워블 기어는 베이스 기어(96) 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워블 기어(106)가 베이스 기어(96) 보다 많은 갯수의 방사상 치형부(120)를 이동시키며 베이스 기어(96)와 워블 기어(106) 사이에 기어 비가 존재하게 한다. 이러한 기어 비율은 구동 샤프트(92)의 각각의 회전을 위해 소정의 각도에서 워블 기어(106)를 회전 가능하게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형태에서, 베이스 기어(96)와 워블 기어(106)의 맞물림은 구동 샤프트(92)의 축 둘레에서 워블 기어(106)의 제어된 회전을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어된 회전 기어 시스템(95)은 바닥판이 2 내지 8 RPM 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다.
기어 비율은 워블 기어(106)와 베이스 기어(96) 사이의 직경 차이를 변화시킴으로서 바닥판의 최적 회전 속도를 제공하도록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바닥판(80)이 지지되는 일정 각도를 변화시켜 워블 기어(96)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워블 기어(106)의 높이를 변화시켜 베이스 기어(96)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서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판(80)의 운동은 바닥판(80)의 외주면상에 각각의 포인트가 웨이브형 또는 파동형 운동에서 최대 하부 제한치로 한 방향에서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낮아지거나 최대 상부 제한치로 상승되게 하는 방법으로 바닥판(80)의 선회 진동을 포함하며, 바닥판(80) 주변의 높은 포인트가 구동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해 선행적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더우기, 워블 기어(106)와 베이스 기어(96) 사이의 기어 비율로 인해서, 바닥판(80)은 구동 샤프트(92)의 회전 속도에서 감속된 회전 속도에서 중심축 둘레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바닥판(80)의 모든 마진 포인트는 최대 상부 한계치쪽으로 또는 제한치로부터 멀리 수직으로 이동하며, 구동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해 천천히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닥판(80)의 이러한 운동을 회전 또는 미동이나 미동 운동하는 바닥판 워블로서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으로 인해, 바닥판 운동을 한정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의 명확한 이해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유익하다. 용어 "워블(wobble)" 또는 "워블링(wobbleing)"은 상술한 바와같이 선회 운동을 말하며, 여기에서 바닥판 주변의최고 포인트는 구동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해 선행적으로 선회한다. 바닥판 "워블" 또는 "워블링" 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닥판 회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반대로 용어 "미동(nutate)" 또는 "미동 운동(nutation)"은 보다 좁은 범위의 선회 진동 운동을 말하며 바닥판 회전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의에서, 미동 운동은 워블링의 일부분이다.
제 6 도에서는 바닥판(80')에 워블 운동을 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세탁 바구니(36')는 구동 블럭(121) 및 나사 패스너(124)에 의해 회전 튜브(90')에 결합된다. 바닥판(80')은 상술한 바와같이 중심 베어링(108') 및 판(110')을 활용하는 워블판(126)을 통해 구동 샤프트(92')에 결합된다. 따라서, 유사한 형태에서, 바닥판은 구동 샤프트(92')의 중심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경사진 축상에서 자유롭게 저널 지지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워블판(125)과 구동 블럭(121) 사이에서의 기어 맞물림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워블 스프링(128)은 고정 세탁 바구니(36')와 바닥판(80')을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동 샤프트(92')의 회전은 바닥판을 상술한 바와같이 워블시킨다. 그러나, 워블 스프링(128)은 세탁 바구니에 대해 바닥판(80')을 회전식으로 고정하여, 바닥판(80')의 워블링 동안에 구동 샤프트(92')의 축 둘레에서 바닥판(80')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워블 스프링(128)은 소켓 부재(130)에 의해 워블판(120) 및 구동 블록(120)에 결합된다. 상기 소켓 부재는 워블 스프링(128)의 말단부에 위치된 구면체(132)를 수용하여, 워블 스프링(128)의 말단부는 제한된 측방 및 종방향 각도 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바닥판(80')의 구동은 세탁 바구니에 위치된 세탁물에 우수한 기계적 에너지를 입력시키도록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상되는 바와같이 물밖에서 세탁 처리하는 바닥판(80)의 작동은 세탁물을 엉키게 한다. 이러한 엉킴(tangling)은 각종 세탁물이 중첩될 때 세탁 바구니의 중심부에서 발생한다. 바닥판(80)의 외주면부는 바닥판(80)의 중심부보다 비교적 빠른 RPM 에서 세탁물을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세탁물의 상호 걸림이나 엉킴이 발생한다. 그러나, 세탁물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호한 실시에에 다양한 요소들이 구체화될 수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를 보면, 원추형으로 하방으로 연장한 부분(82a)은 바닥판 워블 동안에 세탁물에 접속하는 주요 표면이다. 더우기, 하방으로 연장한 부분(82a)에 의해 가해진 힘은 세탁조 바닥에 대해 상방으로 그리고 세탁 바구니(36)의 중심축에 대해 외측으로 향해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세탁 바구니내에 넣어진 세탁물은 세탁 바구니의 외주면쪽의 외부로 연속적으로 강제되어, 바구니(36)의 중심에 위치된 세탁물이 엉키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중심 도움(center dome)(84)의 구조는 엉킴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중심 도움(84)은 환형 보울 부분(82)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움의 크기 및 높이는 보통의 세탁물량에 대해서 세탁 바구니(36)내의 적셔진 세탁물의 높이가 도움(84)의 높이보다 높지 않거나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3ft3의 체적을 가진 세탁 바구니에서, 도움(84)은 세탁 바구니의 전체 높이중 약 1/4 정도 상방으로 연장한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전동 장치(102)가 상세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전동 장치(102)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고를 위해 여기에서 구체화한 메이슨(Mason)의 미국 특허 제 4,291,556호에 기재된 전동 기구의 한 변형이다.
구동 샤프트(92)는 전동 장치(102)의 하우징(136)내의 용기(134)내로 연장되고 베어링 판(138) 및 베어링(140)상에 위치되어 최소의 마찰로 중심 수직축에 대해 샤프트(92)의 회전을 허용한다. 회전 운동은 하기와 같이 교반기 샤프트(92)에 가해진다. 워엄 기어(142)는 전동 장치 하우징(136)에 저널 지지되고 모터(100)에 의해 구동된 구동 샤프트에 결합된다. 워엄(142)은 메인 기어(146)상에서 치형부(144)를 맞물어 잭(jack) 샤프트(148)상에서 메인 기어(146)에 회전 운동을 가한다. 편심기(147)는 메인 구동 기어(146)의 상부 부분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잭 샤프트(148) 및 구동 샤프트(92)는 서로 평행하며, 구동 기어(150)는 구동 샤프트(9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동 기어(150)는 원주 둘레에 있는 치형부(152)를 갖고 있고, 이 치형부(152)는 허브 기어(156)상에 지지된 치형부(154)를 맞물고 있다. 구동 허브(158)는 공동 회전을 위해 허브 기어(256)와 맞물린다. 상기 구동 허브(258)는 구동 샤프트(92)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압축 스프링(160)의 강제에 반응하여 구동 허브의 회전 운동이 구동 샤프트(92)에 전달되고 그 다음에 바닥판(80)이 워블 운동하도록 구동 샤프트상에 배치된 스플라인(162)을 결합한다.
바닥판(80)을 미동시키도록 세탁물 적용 싸이클의 교반 부분 동안에 단지 구동 허브(158)와 구동 샤프트(92)가 맞물려 유지되고 그리고 바닥판(80)이 회전 바구니(36)와 함께 자유 회전하도록 싸이클의 회전 부분 동안에 구동 허브(158) 및 구동 샤프트(192)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과가 반복될 때, 바닥판(80)의 미동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동 허브(158)와 구동 샤프트(92)를 재결합시켜 다시 그 결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허브(158)와 구동 샤프트(92)의 맞물림 및 분리는 구동 허브(158)와 기부 와셔(base washer)(170)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칼라(166, 168)를 포함하여 구동 샤프트(92)를 둘러싸는 캠 수단에 의해 성취된다. 상부 칼라(166)는 다수의 하방으로 연장한 캠 램프 표면을 가지며, 하부 칼라(168)는 상방으로 연장한 결합 캠 램프 표면을 동일한 갯수 예컨대 3 개를 갖고 있다. 이들 칼라는 참고로 구체화한 메이슨의 미국 특허 제 4,291,556호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92)를 따라 구동 허브(158)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메이슨 특허와 유사한 방식으로, 시프터 포크(172)는 하부캠(168)을 회전시키기 위한 편심기(147)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공되어, 지지 와셔(174)를 통해 구동 허브(158)의 하부 부분에 대해 지지하는 상부 캠(165)이 칼라(166, 168)의 램프 표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융기될 수 있다.
싸이클의 회전 동안에, 회전 바구니(36)는 회전 칼라(180)상에 지지된 치형부(182)를 결합하는 원주 둘레에 치형부(178)를 가진 회전 기어(176)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회전 칼라(180)의 회전은 회전 클러치 및 바구니 브레이크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세탁물 기부(182)의 회전을 실행한다. 회전 기어(176)의 하부에서 환형 홈(186)내에 배치된 지연 수단(184)은 반시계 방향에서 메인 기어(146)의 완전한 회전이 방샐될때까지 바구니(36)의 회전을 개시하도록 맞물리지 않는다. 시프터 포크(172)가 위치를 변화시키고 하부 칼라(168)가 구동 허브(158) 및 구동 샤프트(92)를 맞물도록 적당한 방향에서 회전되도록 일 회전하면 충분하다. 타이머(15)를 통한 프로그램 제어 수단은 세탁 싸이클중 회전과 교반 부분 사이에서 모터의 방향을 반전시키도록 신호를 제공한다.
제 9 도 및 제 10 도와 함께 제 8 도를 참조하면, 세탁기의 양호한 실시예의 작동을 이해할 수 있다. 세탁기의 작동 초기의 제 1 단계는 단계(202)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수직축 세탁기에서 표준이 될 수 있게 세탁 바구니(36)내로 세탁물(200)은 집어 넣는다. 공지된 바와같이 처음에 세탁물을 넣을때, 세탁물(200)은 세탁 바구니(36)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전체 높이가 세탁 바구니(36)의 상부 립(lip)에 근접할 것이다. 그러나, 침수되면 세탁물(200)은 부피가 감소하여 세탁 바구니(36)의 하부 부분만을 치지한다.
단계(204)에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액체 또는 분말의 세제와 함께 세탁 바구니(36)에는 물이 들어간다. 세제는 도시한 세제 디스펜서(54)와 같은 세제 디스펜서를 통해 필요한 양만큼 처음 충전 싸이클 동안에 세탁기에 첨가된다. 세탁기가 충전되면, 세제는 섬프(72)내에 모아지기 위해 디스펜서(54)로부터 세탁조(34)내로 뿌려지어, 여기에서 세탁액은 공급된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제 디스팬서는 세제 농도가 1 중량 % 인 세탁액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된 물과 혼합시키기 위해서 세제의 일정양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농도의 이러한 수치는 종래의 깊게 충전되는 세탁기에 사용된 세제의 농도 보다 비교적 크다. 세탁조(34)내로 세탁액을 도입한 후 동시에 또는 즉시, 세탁물(200)상에서 재순환 라인(74) 및 노즐(78)을 통해 섬프(72)로부터 많은 세탁액의 재순환이 펌프(38)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서 개시된다.
바닥판(80)의 회전 또는 미동과 함께 바닥판 워블은 세탁물(200)상에서 세탁액을 순환시키는 동안 개시된다. 구동 샤프트(92)의 축 둘레에서 바닥판(80)의 저속 회전은 세탁물(200) 전체를 세탁 바구니(36)내에서 회전시킨다. 이런식으로, 세탁물 전체는 스프레이 노즐(78)로부터 분배된 세탁액의 스프레이의 영향하에서 반복 순환하여, 모든 세탁물이 완전히 적셔지게 한다.
세탁물상에서의 세탁액의 재순환의 개시의 결과로, 충전 벨브(44, 46)는 섬프에 위치된 압력 센서(73)에 반응하여 폐쇄된다. 이런식으로, 세탁조(34)에 첨가되는 세탁액의 양은 세탁물(200)의 크기 및 흡수도에 따라 좌우되며, 세탁조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세탁물을 충분히 적시도록 그리고 물이 튀거나 과잉 거품을 방지하도록 바닥판(80) 아래의 세탁조(34)내의 세탁액 높이를 유지하는 동시에 섬프(78)에 공급되는 과잉 액체를 펌프(38)에 공급하기 위해 적당하게 된다. 이런식으로, 세탁물은 물과 에너지를 최소로 사용하면서 물 밖의 세탁 방법으로 세탁된다. "물 밖의 (out-of-water)" 세탁법은 세탁 바구니내의 세탁물이 세탁 단계 동안에 많은 부피의 세탁액에 잠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액체가 스프레이 수단에 의해 세탁물상에 그리고 세탁물을 통해 연속적으로 재순환되는 세탁 단계 동안에 세탁액 밖에서 세탁물이 유지되는 세탁법으로 이해하면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탁액 체적은 가정용의 대형 세탁에서 필요한 3ft3이다. 이러한 크기의 세탁 바구니 및 대응 크기의 세탁조(34)를 구비함으로써, 물 높이 제어는 세탁물에 의해 흡수된 양의 초과시에 세탁조로 1 내지 4 갤런의 양을 공급하도록 양호하게 작동한다. 상기 섬프(72)는 이러한 초과한 세탁액이 재순환을 위해 펌프(38)에 공급되어 적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계(205)에서, 세탁기의 작동은 고성능 스프레이 세탁법을 이용함으로서 향상된다. 이 단계에서, 세탁물(200)은 기계적으로 교반되기 보다는, 오히려 세탁물(200)은 바구니 벽의 내주연부에 대해 세탁물이 강제되도록 원심력이 가해지며 동시에 세탁액이 회전하는 세탁물에 가해지기에 충분한 속도로 바구니(36)와 함께 회전한다. 세탁액의 이러한 적용은 바구니 벽에 대해 유지되는 세탁물에 대해 세탁액을 스프레이 시키기 위한 스프레이 노즐(78)을 통해 세탁액이 적용됨으로써 성취된다. 이러한 형태의 단계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고로 여기에서 구체화한 브레너(Brenner)등의 미국 특허 제 4,784,666호에 기재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탁 바구니(36)는 단계(205) 동안에 약 400 RPM 의 속도로 회전한다.
고속 회전 동안에 회전하는 바구니의 비균형 조건이 감지된다면, 회전 싸이클은 차단되며 바닥판은 비균형 조건을 교정하기 위해 세탁물을 재분배하도록 미동될 수 있다. 바닥판 미동에 의해 세탁물을 재분배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같은 고성능 스프레이 세탁법 또는 고속 바구니 회전 단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단계(208)에서, 세탁 바구니는 고정 유지되며, 바닥판(80)은 세탁액이 세탁물상에서 재순환되는 동안에 미동된다. 이러한 단계 동안에, 세탁 펌프(38)는 세탁물(200)상에서 세탁액을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위해 작동된다. 이런식으로, 세탁물(200)은 스프레이 노즐(78)로부터 분배된 세탁액의 스프레이 동안에 연속적으로 회전한다. 더우기, 바닥판(80)에 가해진 급속 워블 운동은 바구니(36)내에서 세탁물을 부딪치게 만들음으로서, 세탁물의 필요한 구부러짐 및 운동을 발생시켜 세탁물의 때를 적당히 제거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동 동안에 바닥판 회전 속도는 3 내지 6 RPM 이며, 바닥판은 약 290 진동/분 정도로 워블링한다.
바닥판(80)과 세탁물(20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저속 회전 동안에는 바닥판(80)은 회전하지만 세탁물은 회전하지 않는다면, 바닥판 회전의 효과는 없어진다. 따라서, 세탁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서, 세탁물과 바닥판 사이의 맞물림은 리브(86)에 의해 이뤄지며, 이 리브(86)는 바닥판(80)과 세탁물(200)을 대응 회전시킨다. 또한, 거친 바닥판 표면에 의해 또는 바닥판(86)에 적용된 탄성 패드에 의해 맞물림은 성취될 수 있다.
세탁물(200)에 의한 세탁액의 부가적인 흡수의 결과로서 부가적인 세탁액이 필요하다면, 압력 센서(73)가 만족될때까지 단계(205 또는 208)에서 부가적인 물이 부가될 수 있다. 루프(209)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계(205, 208)는 최적 세탁 싸이클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을 반복한다.
세탁기(20)가 정지하고 세탁액을 최적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가열기(210)가세탁액을 최적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가열기(210)가 에너지를 가할때는 세탁 싸이클 동안의 세탁기의 작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단계는 소망의 세탁 성능, 세탁기 물 높이 및 최초 물 충전 온도에 따라 선택하며, 섬프가 적당양의 세탁액을 갖고 있을 때 세탁 또는 헹굼 싸이클 동안의 어떤 때라도 실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우기, 단계(208) 동안에, 표백제는 세탁조에 넣어진 양호하게 도시한 표백제 디스펜서(5O)와 같은 표백제 디스펜서를 통해 필요한 투입량의 표백제는 단계(208)의 후반부에서 세탁기에 첨가될 수 있다. 이것은 세탁조내로 표백제를 넣기 위한 표백제 디스펜서를 통해 세탁조에 부가적인 물을 넣음으로서 원하는 시간에 이뤄지며, 여기에서 표백제는 세탁액과 혼합되며 세탁액 재순환에 의해 세탁물상에 스프레이된다.
세탁 싸이클의 마지막에는 단계(2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탁 바구니는 세탁물으로부터 탈수한 세탁액은 섬프(72)로부터 라인(77)까지 세탁액을 향하도록 2방향 벨브(76)의 작동에 의해 하수구에 보내지는 동안에 고속 회전으로 구동된다. 이 단계는 수직축 세탁기용의 표준 고속 탈수 방법과 유사하다. 이 단계의 다음에는 단계(214)에 도시한 바와같이 헹굼 싸이클의 준비를 위해 세탁물을 부풀게 하기위해 바닥판은 미동한다.
세탁기(20)의 양호한 실시예를 위한 헹굼 싸이클은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정된다. 단계(216)에서 물은 세탁조에 넣어진다. 단계(218)에서 바닥판(80)의 미동 및 세탁물상에서 헹굼 액체의 재순환이 개시된다. 이 단계는 상술한 바와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헹굼 액체 스프레이 하에서 세탁물(200)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우기, 충전 밸브는 상술한 바와같이 압력 센서(206)에 반응하여 잠겨진다.
단계(218) 다음에는, 세탁물으로부터 탈수한 세탁액이 단계(220)에 도시한 바와같이 섬프(72)로부터 라인(77)으로 행굼 액체를 향하게 하도록 3 방향 벨브(75)의 작동에 의해 배수구로 보내지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는 고속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단계는 수직축 세탁기용의 표준 고속 탈수 방법과 유사하다.
단계(216, 218, 220)는 세탁물을 적당히 헹구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반복된다. 더우기 섬유 연화제는 헹굼 싸이클중 한번 헹굼액에 첨가된다. 섬유 연화제는, 양호하게 도시한 섬유 연화제 디스펜서(52)와 같은 섬유 연화제 디스펜서를 통해 필요한 양만큼 세탁기에 넣어진다. 세탁조(34)내로 헹굼액를 첨가하는 동안에, 물은 세탁 세탁조내로 섬유 연화제를 뿌리기 위한 섬유 연화제 디스펜서를 통해 뿌려지며, 연화제는 헹굼 액체와 혼합하여 헹굼액 재순환에 의해 세탁물상에 스프레이된다.
이러한 세탁기의 헹굼 작동은 각 헹굼 사이클 동안에 스프레이 헹굼 사이클을 포함함으로써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스프레이 헹굼 단계에서, 바구니(36)는 세탁 바구니벽에 대한 원심력의 가압에 반응하여 세탁물을 유지하고, 또한 노즐(78)에 의하여 회전하는 세탁물에 헹굼물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형태의 단계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허여되고 참고로 본원에 합체된 파스트릭(Pastryk) 등의 미국 특허 제 5,167,722 호에 기재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 바구니(36)는 스프레이 헹굼 단계동안에 약 400RPM 의 속도로회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판은 도면부호 222 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자에 의해 꺼내는 준비 단계로서 세탁물을 부풀리도록 미동된다. 이러한 단계는 세탁 바구니(36)의 내주로부터 세탁물(200)을 제거하며, 여기에서 세탁물은 원심력으로 인하여 가압되고 세탁 바구니(36)내에서 세탁물을 느슨하게 배치시킨다. 따라서, 세탁기 작동의 결과로써 작동자에게 나타나는 부풀림 작동은 원심 추출 방법을 겪게 되는 세탁물을 세탁하고 종래의 세탁기에서 공통적으로와 같이 세탁 바구니의 내주를 따라서 부착되기 보다는 느슨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세탁 사이클의 끝에서 세탁 바구니로부터 세탁물은 더욱 손쉽게 꺼낼 수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작동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방법은 바닥판(80)이 미동 모드(회전으로 바닥판 워블 운동)에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지 않으면서 워블링하는 것으로 보다 적절하다. 세탁 바구니(36)내에서 회전식으로 세탁물을 제거하기 위해 바닥판(80)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 단지 워블링만 하는 모드에서, 모든 세탁물이 재순환 세탁액의 스프레이하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판(80)을 워블링시키는 단계에 잇따라 바구니(36)를 천천히 회전시키는 다른 단계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이들 단계들은 미동 모드에 잘 이용될 수 있다.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제 1 단계는 단계(224)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그리고 수직축 세탁기에서 표준적인 바와같이 세탁 바구니(36)내로 세탁물(200)을 넣는 것이다.
단계(226)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은 단계(204)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액체 또는 분말의 세제와 함께 세탁 바구니(36)에 넣어진다. 세탁조(34)내로 세탁액을 넣은 바로 후에 또는 동시에, 재순환 라인(74) 및 노즐(78)을 통해 섬프(72)로부터 세탁물(200)상에서 세탁액의 재순환은 펌프(38)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서 개시된다. 처음 재순환 동안에, 세탁 바구니(34)는 20 RPM 정도의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저속 회전은 모든 세탁물이 충분히 적셔지도록 스프레이 노즐(78)로부터 분배된 세탁액의 스프레이하에서 반복적으로 전체 세탁물을 이동시킨다.
세탁물상에서 세탁액의 재순환의 개시에 이어서, 충전 밸브(44, 46)는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섬프(72)내에 위치된 압력 센서(73)에 반응하여 폐쇄된다.
단계(228)에서, 바닥판(80)은 워블링하는 동안에 충전 밸브는 에너지가 제거되고 세탁 바구니는 고정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 세탁물은 충분히 적셔지지만 세탁액에 침수되지는 않는다. 세탁물에는 세탁물(200)의 각각의 부분이 교대로 융기 또는 떨어지도록 바닥판(80)의 워블링이 가해지며, 여기에서 세탁물은 우수한 때 제거를 위해 세탁물을 구부리고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를 투입량으로 함께 부딪치고 충돌한다.
소정의 시간후에, 단계(230)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78)을 통해 세탁물(200)상에서 세탁액이 재순환되는 동안에 바닥판의 워블링은 정지하여 세탁 바구니의 저속 회전은 시작된다. 세탁물(200)에 의해 세탁액이 부가적으로 흡수된 결과 부가적인 세탁액이 필요하다면, 부가적인 물은 압력 센서(73)가 만족할때까지첨가된다. 단계(210) 다음에, 바닥판은 단계(232)에 도시한 바와같이 워블 모드에서 다시 구동될 수 있다. 단계(230, 232)는 세탁물(200)이 충분히 적셔질 수 있도록 루프(234)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된다.
세탁 싸이클의 작동의 어느 시점에서는 섬프가 세탁액으로 충전될 경우에 세탁기는 정지할 수 있으며, 가열기(210)는 최적 세탁 온도로 세탁액을 가열하기 위해 에너지를 가한다. 이 단계는 소망의 세탁 성능, 세탁 물 높이 및 최초 물 충전 온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섬프가 적당한 양의 세탁액을 갖고 있을때 세탁 또는 헹굼 싸이클 동안의 어느 시점에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단계(235)에서, 세탁기는 단계(205)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고성능 스프레이 세탁 모드에서 다시 작동될 수 있다. 고속 회전 동안에 회전 바구니의 불균형 상태가 감지된다면, 회전 싸이클은 정지되며 바닥판은 불균형 상태를 고정하도록 세탁물을 재분배하기 위해 워블링한다. 바닥판 워블링에 의한 세탁물의 재분배는 상술한 바와같이 고성능 스프레이 세탁 방법 동안에 또는 고속 바구니 회전 단계 동안에 이뤄질 수 있다. 단계(236)에서 세탁물(200)은 세탁물상에서 세탁액이 재순환되는 동안에 저속 회전이 다시 적용될 수 있다. 단계(238)에서 세탁 바구니(36)는 바닥판이 워블링하고 세탁액이 세탁물(200)상에서 재순환되는 동안에 고정 유지된다. 단계(240)에서, 세탁액의 재순환은 정지하며, 바닥판은 워블 운동한다. 이들 단계(235, 236, 238, 240)들은 루프(242)로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세탁 싸이클의 종료시에, 단계(244)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탁 바구니는 세탁물로부터 탈수한 세탁액의 섬프(72)로부터 라인(77)으로 세탁액을 향하도록 3 방향벨브(75)의 작동에 의해 하수구로 보내지는 동안에 고속 회전으로 구동된다. 이 단계는 수직축 세탁기용의 표준 고속 탈수 방법과 유사하다. 이 단계에 이어서, 바닥판은 헹굼 싸이클의 준비를 위해 세탁물을 부풀리게 하기 위해 단계(246)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동한다.
세탁기(20)의 다른 실시예의 헹굼 싸이클은 제 11 도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248)에서, 물은 세탁조내에 넣어진다. 단계(250)에서, 세탁물상에서 행굼액의 재순환이 개시되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의 저속 회전이 발생한다. 이 단계는 헹굼 액체 스프레이 하에서 세탁물(200)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우기, 충전 밸브는 상술한 바와같이 압력 센서(206)에 반응하여 차단된다.
단계(252)에서, 충전 밸브는 바닥판(80)은 워블링하며 세탁액은 세탁물(200)상에서 재순환된다. 단계(254)에서, 재순환은 정지하며 바닥판은 워블링한다. 따라서, 양 단계(252, 254)에서 세탁물은 충분히 적셔지지만 세탁액이 침수되지는 않는다. 세탁물에는 세탁물(200)의 각 부분이 교대로 융기 또는 떨어지도록 바닥판(80)의 상대적으로 격심한 워블링이 가해지며, 여기에서 세탁물은 적당히 헹궈지도록 함께 부딪친다.
단계(256)에서, 세탁물(200)은 헹굼액이 세탁물상에서 재순환되는 동안에 고속 회전으로 구동된다. 단계(256)에 이어서, 세탁 바구니가 고속 회전하여 세탁물으로부터 탈수된 세탁액은 단계(258)에 도시한 바와같이 섬프(72)로부터 라인(77)으로 헹굼액을 가하도록 3 방향 밸브(76)의 작동에 의해 배수구로 보내진다.
단계(250, 252, 254, 256, 258)들은 세탁물이 적당히 헹궈지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반복된다. 더우기, 상술한 바와같이 행굼 싸이클중 한번 동안에 섬유 연화제가 헹굼액에 첨가될 수 있다.
세탁기의 헹굼 작동은 상술한 바와같이 각각의 헹굼 싸이클 동안에 스프레이 헹굼 단계를 추가함으로서 향상된다.
마지막으로, 바닥판은 조작자가 세탁물을 꺼내기 좋게 하기 위해 세탁물이 부풀어지게 단계(260)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동된다. 따라서 이 부풀리기 작동은 상술한 바와같이 세탁 작동의 마지막에서 원심력 탈수 방법의 영향으로 세탁 바구니(36)내에 느슨하게 배치되기 보다는 종래의 세탁기에서와 같이 세탁 바구니의 내주면을 따라 붙어 있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세탁물을 조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세탁 싸이클의 종료시에 세탁 바구니로부터 세탁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효율 및 고효과 자동 세탁기를 성공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바닥판의 워블링 작용의 의해 세탁물에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는 물밖의 세탁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하기 특히 적당하다. 더우기, 바닥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된 회전 기어 시스템은 세탁 바구니에 대해 워블링 운동 및 낮은 회전 운동을 포함한 소망의 바닥판 운동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많은 설명서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한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 에컨대, 세탁 싸이클 및 헹굼 싸이클 동안에 세탁액의 높이는 세탁 바구니내의 세탁물이 세탁액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침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에 의해 경제적으로 물 손실은 줄일 수 있지만 바닥판의 작용은 세탁물 세탁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른 시스템이 가능하다. 예컨대, 워블 기어(106)와 직선 베이스 기어(96)는 상술한 바와같이 치형부의 맞물림 보다는 서로 마찰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워블 기어는 워블판이 되며, 직선 베이스 기어는 베이스 판이 되며, 여기에서, 워블 판 및 베이스 판은 바닥판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서로 마찰 결합될 수 있다. 더우기, 제어된 회전 기어 시스템은 워블 기어(106)가 워블 기어의 치형부와 결합되도록 고무형 표면을 가진 베이스 판과 결합하도록 제공되도록 구성되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제 1 도는 여러가지 내부 부품을 도시하기 위해 부분 절단된 자동 세탁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세탁기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III - 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선(IV - IV)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자동 세탁기에서 세탁 바구니, 바닥판 및 관련된 구동 수단의 일부를 도시하는 상세 단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자동 세탁기에서 세탁 바구니, 바닥판 및 관련된 구동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의 상세 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선(VII - V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유체관 및 밸브의 개략도.
제 9 도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자동 세탁기에 관한 세탁 싸이클(wash cycle)에서 구체화된 단계들의 흐름도.
제 10 도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자동 세탁기에 관한 헹굼 싸이클(rinse cycle)에서 구체화된 단계들의 흐름도.
제 11 도는 다른 세탁 싸이클에서 구체화된 단계들의 흐름도.
제 12 도는 다른 헹굼 싸이클에서 구체화된 단계들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세탁기 25 : 케비넷
26 : 뚜껑 34 : 세탁조
36 : 세탁 바구니 50, 52, 54 : 디스펜서
80, 80' : 바닥판 90 : 회전 튜브
92 : 구동 샤프트 102 : 전동 장치
147 : 편성기 150 : 구동 기어
166, 168 : 칼라 200 : 세탁물

Claims (28)

  1. 세탁조(wash tub)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 바구니(wash basket)와, 상기 바구니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세탁 바구니와 상호 구동 결합된 모터와, 상기 세탁 바구니의 하부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세탁 바구니내에서 미동(notating)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와 상호 구동 결합된 바닥판(bottom plate)을 구비한 수직축(vertical axis)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세탁물을 세탁 바구니에 넣는 단계와,
    (2) 상기 세탁물의 교반을 실행하고 세탁물을 세탁 바구니내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판을 미동시키는 단계와,
    (3) 상기 미동하는 세탁물상에 재순환 세탁액의 스프레이(spray)를 가하는 단계와,
    (4) 상기 세탁액을 세탁조로부터 배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로부터 세탁액을 배수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세탁물상의 원심력 보다 큰 속도로 세탁 바구니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세탁물상에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가하는 동안에 저속으로 세탁 바구니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액의 배수에 이어서 세탁물을 부풀게 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을 미동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을 미동시키는 단계는 2 내지 6 RPM 의 속도로 상기 바닥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상에 재순환 세탁액을 가하기 전에 세탁조에 세탁액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의 미동 동안에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높이가 바닥판 아래에 있도록 세탁조에 넣어진 세탁액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공급된 세탁액과 함께 세제 농도가 약 1 중량 % 인 세탁액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탁조에 일정량의 세제를 넣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세탁물상에 재순환 세탁액의 스프레이를 가하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의 주변 벽에 세탁물을 붙여 유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세탁 바구니와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9. 세탁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 바구니와, 상기 바구니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세탁 바구니와 상호 구동 결합된 모터와, 상기 세탁 바구니의 하부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세탁 바구니내에서 선회 진동 방법으로 워블링(wobbling)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와 상호 구동 결합된 바닥판을 구비한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에 있어서,
    (1) 세탁물을 상기 세탁 바구니내에 넣는 단계와,
    (2) 상기 세탁 바구니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3) 상기 회전하는 세탁물상에 재순환 세탁액의 스프레이를 가하는 단계와,
    (4) 상기 세탁물의 교반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을 계속하여 워블링시키는 단계와,
    (5)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계 (2), (3) 및 (4)를 반복하는 단계와,
    (6) 세탁조로부터 세탁액을 배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액의 배수에 이어서 세탁물을 부풀리기 위해서 상기 바닥판을 워블링 운동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출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상에서 세탁액을 제순환시키기 전에 세탁조에 세탁액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의 워블링 동안에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높이가 바닥판 아래가 되도록 세탁조에 넣어진 세탁액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공급된 세탁액과 함께 세제 농도가 약 1 중량 % 인 세탁액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탁조에 일정량의 세제를 넣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세탁물상에 재순환 세탁액의 스프레이를 가하는 동안에 세탁 바구니의 주변 벽에 세탁물을 붙여 유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세탁 바구니와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상기 세탁물상에 가하는 동안에 상기 세탁물의 교반을 실행하기 위해 바닥판을 워블링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5. 세탁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 바구니와, 상기 바구니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바구니와 상호 구동 결합된 모터와, 상기 세탁 바구니의 하부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판이 세탁 바구니내에서 미동 방법으로 구동되도록 모터와 상호 구동 결합된 상기 바닥판을 구비한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에 있어서,
    (1) 세탁 바구니내에 세탁물을 넣는 단계와,
    (2) 세탁물을 세탁 바구니의 주변 벽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세탁물 및 세탁 바구니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3) 회전하는 세탁물상에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가하는 단계와,
    (4) 상기 세탁물의 교반을 실행하고 그리고 세탁 바구니내에서 상기 세탁물을 회전시키기 위해 바닥판을 미동시키는 단계와,
    (5) 미동하는 세탁물상에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가하는 단계와,
    (6)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계 (2), (3), (4) 및 (5) 를 반복하는 단계와,
    (7) 상기 세탁조로부터 세탁액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상에 재순환 세탁액을 가하기 전에 세탁조에 세탁액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의 미동 동안에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높이가 바닥판 아래에 있도로 세탁조에 넣어진 세탁액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공급된 세탁액과 함께 세제 농도가 약 1 중량 % 인 세탁액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탁조에 일정량의 세제를 넣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세탁물상에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가하는 동안에 저속으로 세탁 바구니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액의 배수에 이어서 세탁물을 부풀게 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을 미동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을 미동시키는 단계는 2 내지 6 RPM 의 속도로 상기 바닥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1. 세탁 바구니와, 상기 세탁 바구니의 최하부내에 배치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상호 구동 결합된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은 세탁 바구니내에서 워블링 방법(wobbling manner)으로 구동될 수 있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세탁물을 세탁 바구니에 넣는 단계와,
    (2) 상기 세탁물에 세탁액을 가하는 단계 및,
    (3) 상기 세탁 바구니내에서 바닥판을 워블링시킴으로써 세탁액의 밖에서 세탁물을 교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상기 세탁물에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세탁액의 재순환 스프레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 바구니의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세탁조에 소정의 레벨로 세탁액을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동안에 세탁조내의 소정 레벨의 세탁액은 워블링 바닥판의 최하부 아래에 있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동안에 세탁조내의 소정 레벨의 세탁액은 워블링 바닥판의 최하부 위에 있음으로써, 상기 워블링 바닥판의 최하부는 세탁물을 젖게 하기 위하여 세탁액내로 침수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모두는 세탁액의 소정의 레벨 아래로 동시에 침수되지 않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세탁 바구니내에서 세탁물을 워블(wobble)시키고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을 미동(notat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세탁 방법.
KR1019950003403A 1994-02-22 1995-02-22 수직축세탁기에서의세탁물세탁방법 KR100348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008694A 1994-02-22 1994-02-22
US200086 1994-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36A KR950032836A (ko) 1995-12-22
KR100348336B1 true KR100348336B1 (ko) 2002-12-02

Family

ID=2274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403A KR100348336B1 (ko) 1994-02-22 1995-02-22 수직축세탁기에서의세탁물세탁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507053A (ko)
EP (2) EP0668389B1 (ko)
JP (1) JP3701999B2 (ko)
KR (1) KR100348336B1 (ko)
CN (1) CN1064094C (ko)
AU (1) AU696108B2 (ko)
BR (1) BR9500725A (ko)
CA (1) CA2142685A1 (ko)
CO (1) CO4370128A1 (ko)
CZ (1) CZ285763B6 (ko)
DE (2) DE69508989T2 (ko)
DK (2) DK0668389T3 (ko)
ES (2) ES2129754T3 (ko)
FI (1) FI108050B (ko)
HU (1) HU218186B (ko)
IN (1) IN189953B (ko)
MY (1) MY112138A (ko)
NO (1) NO303839B1 (ko)
NZ (1) NZ2705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2275B1 (it) * 1995-12-06 1998-03-16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Lavabiancheria con cicli di risciacquo a basso consumo
US5791167A (en) * 1996-05-23 1998-08-11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washer and a wash plate clothes deflector therefor
US6092739A (en) * 1998-07-14 2000-07-25 Moen Incorporated Spray head with moving nozzle
US6186414B1 (en) 1998-09-09 2001-02-13 Moen Incorporated Fluid delivery from a spray head having a moving nozzle
US6199771B1 (en) 1998-11-16 2001-03-13 Moen Incorporated Single chamber spray head with moving nozzle
US6115863A (en) * 1999-03-08 2000-09-12 Whirlpool Corporation Drive system for a vertical axis washer
US6269666B1 (en) 1999-06-22 2001-08-07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for an automatic washer with spray pretreatment
US6254014B1 (en) 1999-07-13 2001-07-03 Moen Incorporated Fluid delivery apparatus
US6557199B2 (en) * 2001-09-05 2003-05-06 Maytag Corporation Wash solution mixing system for clothes washing machine
KR100444956B1 (ko) * 2002-02-15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444957B1 (ko) * 2002-02-18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444958B1 (ko) * 2002-02-20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US7690063B2 (en) * 2002-05-09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Random tumbling washing machine wash chamber for improving cleaning while minimizing mechanical damage to clothes
KR100477113B1 (ko) 2002-07-09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워블링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473319B1 (ko) * 2002-07-0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07001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워블링 세탁기의 제어방법
US6886372B2 (en) * 2002-12-13 2005-05-03 Maytag Corporation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including rotating/tipping agitator
US7013517B2 (en) * 2002-12-13 2006-03-21 Maytag Corp. Rotating/tipping agitator for a washing machine
KR100461873B1 (ko) * 2003-02-06 200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080092305A1 (en) * 2003-05-28 2008-04-24 Jae Cheol Lyu Control Method for the Drum Washing Machine
US7636973B2 (en) * 2003-05-30 2009-12-29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wash cycle method and apparatus
KR100716255B1 (ko) * 2003-07-23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0550543B1 (ko) * 2003-08-07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50017655A (ko) * 2003-08-08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3984940B2 (ja) * 2003-09-10 2007-10-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BRMU8400819Y1 (pt) * 2004-04-29 2009-05-05 disposição introduzida em elemento estrutural para caixa de redução aplicada em eixo vertical de máquinas de lavar roupa.
BRMU8400820Y1 (pt) * 2004-04-29 2009-05-05 disposição introduzida em caixa de redução aplicada em eixo vertical de máquinas de lavar roupa.
BRMU8401086Y1 (pt) * 2004-05-24 2009-05-05 disposição introduzida em rotor de caixa de redução aplicada em eixo vertical de máquinas de lavar roupa.
US7424810B2 (en) * 2004-06-15 2008-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with water direction device
KR100657478B1 (ko) * 2004-10-21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20070084000A1 (en) * 2005-10-13 2007-04-19 Bernardino Flavio E Stain removal process using combination of low and high speed spin
US7934281B2 (en) * 2005-11-14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Stain removal process control method using BPM motor feedback
US7765628B2 (en) 2006-06-09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a dual speed spin pre-wash
US7941885B2 (en) 2006-06-09 2011-05-17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dry spin pre-wash
US7730568B2 (en) 2006-06-09 2010-06-08 Whirlpool Corporation Removal of scale and sludge in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DE602006017056D1 (de) * 2006-07-06 2010-11-04 Candy Spa Trommel für eine Waschmaschine, einen Waschtrockner und dergleichen
US7681418B2 (en)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US7886392B2 (en) 2006-08-15 2011-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sanitizing a fabric load with steam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41219B2 (en)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7665332B2 (en) 2006-08-15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7707859B2 (en) 2006-08-15 2010-05-0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753009B2 (en) 2006-10-19 2010-07-13 Whirlpool Corporatio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MX2007003397A (es) 2007-03-22 2008-09-22 Mabe Mexico S De R L De C V Lavadora y metodo para lavado y enjuague de textiles.
US8393183B2 (en) 2007-05-07 2013-03-12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control panel and associated steam operations
US8555676B2 (en)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8555675B2 (en)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7905119B2 (en) 2007-08-31 2011-03-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7690062B2 (en) 2007-08-31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steam generator
US8037565B2 (en) 2007-08-31 2011-10-1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having a steam generator
US7966683B2 (en) 2007-08-31 2011-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918109B2 (en) 2007-08-31 2011-04-0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7861343B2 (en) 2007-08-31 2011-01-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MX2009011126A (es) 2009-10-15 2011-05-03 Mabe Sa De Cv Metodo de lavado de alta eficiencia con ahorro de agua.
KR101708635B1 (ko) * 2010-01-22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방법
DE112011106124B9 (de)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US20130025072A1 (en) * 2011-07-28 2013-01-3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method to increase chemical action
MX358858B (es) 2013-07-04 2018-09-05 Mabe Sa De Cv Boquilla de rocío para baja presión.
CN106381636A (zh) * 2015-07-27 2017-02-08 郭明 可以进行循环洗涤、漂洗和脱水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5862310B (zh) * 2016-05-27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设备及洗涤设备的洗涤方法
KR101962149B1 (ko) * 2018-08-13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IT201900001815A1 (it) * 2019-02-08 2020-08-08 Candy Spa Macchina lavabiancheria
US20230279603A1 (en) * 2022-03-07 2023-09-0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movable laundry guid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649A (en) * 1901-07-09 1903-02-24 Pendleton Tapscott Company Machine for scouring grain, &c.
US2145453A (en) * 1935-03-07 1939-01-31 Remi J Gits Washing machine
US2145454A (en) * 1936-07-20 1939-01-31 Remi J Gits Washing machine
US2186786A (en) * 1937-02-17 1940-01-09 Electric Household Utilities Washing machine
US2432766A (en) * 1942-04-23 1947-12-16 Apex Electrical Mfg Co Apparatus for washing clothes
US2438273A (en) * 1945-08-29 1948-03-23 James A Easters Wobble basket washing machine
US2802356A (en) * 1947-07-12 1957-08-13 Apex Electrical Mfg Co Acceleration control device for centrifugal extractors
US2554573A (en) * 1947-11-05 1951-05-29 Nineteen Hundred Corp Clutch and brake mechanism
US2574617A (en) * 1948-07-05 1951-11-13 Apex Electrical Mfg Co Washing machine
US2669660A (en) * 1951-10-27 1954-02-16 Western Electric Co Leak detecting apparatus
US2867105A (en) * 1953-03-31 1959-01-06 Murray Corp Washing machines
US2902852A (en) * 1953-07-30 1959-09-08 Philco Corp Clothes washing machines
FR1096362A (fr) * 1953-07-30 1955-06-20 Thor Corp Perfectionnements à une machine à laver
US2776558A (en) * 1953-08-06 1957-01-08 George Hart Washing machines having magnetically actuated diaphragms
US2823975A (en) * 1954-04-05 1958-02-18 Apex Electrical Mfg Co Washing machine
GB795302A (en) * 1955-02-21 1958-05-21 Thor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
US2883844A (en) * 1955-05-17 1959-04-28 Gil Artigas Washing machine
US2831333A (en) * 1955-12-27 1958-04-22 Maytag Co Wobble plate laundry machine
US2974515A (en) * 1957-02-04 1961-03-14 Maytag Co Wobble agitator
US2948128A (en) * 1957-10-28 1960-08-09 Maytag Co Wobble agitator restraining assembly
US2902851A (en) * 1957-12-12 1959-09-08 Philco Corp Clothes washing machine having a wobble-type agitator
US2931201A (en) * 1958-08-05 1960-04-05 Philco Corp Drive coupling
FR1300565A (fr) * 1961-09-15 1962-08-03 Thomson Houston Comp Francaise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à laver
US3139771A (en) * 1962-02-01 1964-07-07 Maroth Engineering Co Speed-change mechanical transmission
US3102410A (en) * 1962-02-21 1963-09-03 Philco Corp Laundry machine utilizing a wobble-type agitator
US3139772A (en) * 1963-05-03 1964-07-07 Maroth Engineering Co Mechanical transmission
US3520158A (en) * 1968-06-18 197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achine
US4168615A (en) * 1978-05-17 1979-09-25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water recirculation
US4193275A (en) * 1978-12-04 1980-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Agitator mechanism for clothes washing machine
JPS57203491A (en) * 1981-06-08 1982-12-13 Tokyo Shibaura Electric Co Washing machine for use with dehydrator
JPH0368197A (ja) * 1989-08-05 1991-03-25 Fuji Electric Co Ltd 実装部品組立品
US4987627A (en) * 1990-01-05 1991-01-29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washing process for vertical axis automatic washer
US5191667A (en) * 1992-01-02 1993-03-0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washing fabric articles in a vertical axis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233295A (en) 1995-08-31
CA2142685A1 (en) 1995-08-23
DE69508989T2 (de) 1999-08-26
CZ45795A3 (en) 1995-09-13
ES2174158T3 (es) 2002-11-01
NO950671L (no) 1995-08-23
CO4370128A1 (es) 1996-10-07
NZ270521A (en) 1995-09-26
CN1111697A (zh) 1995-11-15
EP0668389B1 (en) 1999-04-14
EP0668389A1 (en) 1995-08-23
HU218186B (hu) 2000-06-28
HUT70626A (en) 1995-10-30
JPH07323176A (ja) 1995-12-12
CZ285763B6 (cs) 1999-11-17
US5507053A (en) 1996-04-16
NO303839B1 (no) 1998-09-07
FI950804A0 (fi) 1995-02-21
CN1064094C (zh) 2001-04-04
DK0839943T3 (da) 2002-06-17
FI950804A (fi) 1995-08-23
AU696108B2 (en) 1998-09-03
ES2129754T3 (es) 1999-06-16
DE69508989D1 (de) 1999-05-20
IN189953B (ko) 2003-05-24
NO950671D0 (no) 1995-02-22
DE69526596T2 (de) 2002-11-07
HU9500517D0 (en) 1995-04-28
EP0839943B1 (en) 2002-05-02
DK0668389T3 (da) 1999-10-25
EP0839943A1 (en) 1998-05-06
JP3701999B2 (ja) 2005-10-05
BR9500725A (pt) 1995-10-24
MY112138A (en) 2001-04-30
FI108050B (fi) 2001-11-15
KR950032836A (ko) 1995-12-22
DE69526596D1 (de) 200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336B1 (ko) 수직축세탁기에서의세탁물세탁방법
KR100348335B1 (ko) 수직축세탁기에서의세탁물헹굼방법
KR100326889B1 (ko) 수직축세탁기
NZ502991A (en) Drive system for a vertical axis washer with wash plate moved from canted orientation during washing to vertical orientation during spinning
EP0837171B1 (en) Vertical axis washer and a rotating washplate therefor
CA2645413C (en) Washing machine spray device and method
US5193361A (en) Agibasket washer with centrally located premixing chamber
CA2482376C (en) Washing machine and coupling apparatus
NZ299406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wobble plate in bottom of wash 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