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149B1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149B1
KR101962149B1 KR1020180094536A KR20180094536A KR101962149B1 KR 101962149 B1 KR101962149 B1 KR 101962149B1 KR 1020180094536 A KR1020180094536 A KR 1020180094536A KR 20180094536 A KR20180094536 A KR 20180094536A KR 101962149 B1 KR101962149 B1 KR 10196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heater
drawer
processing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927A (ko
Inventor
김성룡
김경환
김동원
김영민
유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1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터브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모이는 히터섬프가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하면은 상기 히터 섬프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cloth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보조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장치들은 상기 세탁기에 독립적인 장치로서 설계 및 제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독립적인 보조장치를 세탁기에 설치하는 것은 많은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세탁기는 좋은 외관을 갖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터브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모이는 히터섬프가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하면은 상기 히터 섬프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그 외주면에 상기 터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트랜싯볼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랜싯볼트 체결부에는 상기 드로워를 관통하는 트랜싯 볼트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랜싯볼트 체결부에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 2처리부를 관통하는 트랜싯 볼츠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섬프의 하부에는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관의 상부로 분기되는 분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수위센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관과 상기 압력수위센서의 사이에는 에어챔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상기 드로워에 지지되는 서스펜션이 결합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모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브를 4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터브의 일측에서 상기 드로워의 일측 양쪽 모서리부로 돌출되고, 상기 터브의 타측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브를 3점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섬프는 일측방항에서 히터가 삽입되며, 내부 타측에는 상기 히터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섬프에 삽입될 때 상기 히터의 끝단부가 상기 히터섬프의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의 내측에는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는 세탁수를 실링하기 위한 워터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제 2터브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의 히터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의 에어챔버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의 트렌싯볼트 체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의류 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구비하며, 캐비닛(110)은 세탁 대상물을 처리하는 제 1처리부(121)가 형성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1캐비닛(120)에 인접하여 세탁 대상물을 처리하는 제 2처리부(131)가 형성되는 제 2캐비닛(130)을 구비한다.
즉, 사용자는 제 1캐비닛(120) 및/또는 제 2캐비닛(130) 내부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여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refreshe)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리프레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향해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mist) 또는 수분 등을 제공하여 세탁대상물의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탈취(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방지 또는 세탁대상물을 따스하게 데우는(warming)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 세탁대상물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대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처리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대상물을 세탁, 즉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 1터브(미도시) 및/또는 제 1드럼(12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처리부(131)도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 2터브(200) 및/또는 제 2드럼(134)을 구비할 수 있다(도 2참조). 제 2처리부(131)는 제 1처리부(121)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처리부(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처리부(131)는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121)와 함께 제 2처리부(131)를 구비하는 경우에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31)는 서로 동일한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의류 처리장치(100)의 설치공간 등의 제약, 세탁장치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31) 중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더 작은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31)가 제 1처리부(121)에 비하여 세탁용량, 체적, 높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작도록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3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3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옷, 속옷 등과 같이 따로 구분하여 세탁이 필요하거나, 소량의 세탁 대상물들은 제 2처리부(131)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그 이외의 세탁 대상물을 제 1처리부(121)에서 세탁할 수 있다.
한편, 제 2처리부(131)가 제 1처리부(121)에 비하여 더 작은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제 2처리부(131)는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 2처리부(131)가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1처리부(121)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자가 제 1처리부(121)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제 1처리부(121)에서 세탁대상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가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31)을 구비하는 경우에 제 1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2처리부(131)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130)은 별개로 각각 제작되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제작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제 1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2처리부(131)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130)을 하나의 캐비닛(110)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캐비닛(110)을 공유하며 캐비닛(110) 내부에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31)를 구분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별도의 격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격벽에 의해 캐비닛(110)내의 공간이 제 1캐비닛과 제 2캐비닛(1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격벽은 소정의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31)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31)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처리부(131)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 1처리부(1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처리부(121)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 2처리부(13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31)가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처리부(121)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도어(12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도어(125)를 개방하여 제 1처리부(121)에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제 2처리부(13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을 위한 각종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성, 추후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31)는 슬라이딩 가능한 드로워(132)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로워(13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는 드로워(132)를 잡아당겨 용이하게 제 2처리부(131)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31)는 제 2캐비닛(13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인입축이 가능한 드로워(132)가 마련되며, 드로워(13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 2터브(200)와, 제 2터브(2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대상물의 세탁을 수행하는 제 2드럼(134)을 구비한다. 제 2터브(200)의 상부에는 제 2터브(200)를 개폐하기 위한 제 2도어(135)가 마련된다(도 1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31)가 드로워(132)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는 세탁대상물의 투입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투입되는 탑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드로워(132)를 인출한 후 제 2드럼(134)에 용이하게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제 2터브(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36)이 마련된다. 회전축(136)의 상부에는 제 2터브(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드럼(134)이 회전축(13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회전축(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37)가 설치된다.
한편 제 2터브(200)는 별도의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드로워(132)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어 설치된다. 제 2드럼(13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어 제 2터브(200)로 전달되는 진동은 서스펜션에 의해 완충 및 감소된다.
또한, 이러한 제 2처리부(131)에는 세탁대상물의 처리를 위하여 세탁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제 2처리부(131)로의 세탁수 공급은 제 1처리부(121)로 공급된 세탁수에서 분기되어 공급되거나, 별도의 공급원(예를 들어 수전 등, 미도시)에서 제 2처리부(131)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 2처리부(131)에는 세탁 대상물을 처리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미도시)가 필요하다. 제 2처리부(131)에서 배수되는 세탁수는 별도의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되며, 세탁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별도의 배수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 2처리부(131)의 경우 드로워(132)라는 일정 공간안에 설치되어야 되는 관계로 상술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급수장치, 배수펌프의 설치위치가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사각 형태의 드로워(132)와 드로워(1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터브(200) 사이의 잉여공간(구체적으로는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서스펜션, 급수장치, 배수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처리부(131)에 마련되는 제 2터브(200)의 경우 드로워(132)라는 한정된 공간에 설치됨으로 새로운 구조의 제 2터브(200)가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터브(2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제 2터브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2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터브(200)의 외주면에는 제 2터브(2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2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터브(200)의 외측에는 드로워(132)에 대하여 제 2터브(200)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미도시)이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대(2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21)는 제 2터브(20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221)는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사이의 공간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사이의 4군데의 모서리에 서스펜션이 결합되어 제 2터브(200)를 지지한다. 즉 서스펜션은 제 2터브(200)를 4점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측에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배수장치, 급수장치, 스팀발생장치 등)가 설치될 경우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는 드로워(132)의 내측일면에 하나의 지지대(221)가 형성되며, 하나의 지지대(221)의 대향되는 측에 2개의 지지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스펜션은 제 2터브(200)를 3점지지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 2터브(200)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36)이 관동하는 관통공(201)이 형성된다. 또한.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회전축(136)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231)이 제 2터브(2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하우징(231)은 제 2터브(200)의 성형시 제 2터브(200)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2터브(200)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는 제 2터브(200)의 사출성형시 베어링 하우징(231)이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어링 하우징(231)은 중앙부에 회전축(136)이 통과하는 회전축공(232)이 형성되며, 회전축공(232)에는 회전축(13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베어링(233)이 삽입된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231)의 회전축공(232)에는 회전축(136)에 접하여 회전축(136)과 제 2터브(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워터씰(234)이 마련된다. 워터씰(234)은 베어링 하우징(23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워터씰(234)의 내주면에는 회전축(136)으로 돌출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리브(235)가 형성된다(도 2참고).
그리고,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베어링 하우징(231)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37)가 설치된다. 여기서 모터 (137)는 제 2터브(200)의 회전축 외주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고정되는 로터를 구비하는 아웃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사용된다.
한편, 제 2터브(200)의 내부 하면에는 히터섬프(241)가 형성된다. 히터섬프(241)에는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42)가 설치된다. 히터섬프(241)에는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6)이 연결된다. 배수관(246)에는 제 2터브(200)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에어챔버(248, 도 5참고)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 2터브(200)의 하면은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히터섬프(241)로 집결되도록 경사지도록 경사면(2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배수될 경우 제 2터브(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51)에 의해 히터섬프(241)로 집수되고 히터섬프(241)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경사면(251)은 제 2터브(200)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할 경우 히터섬프(241)에 최우선적으로 세탁수가 모이도록 하여 세탁수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세탁수의 가열시 세탁수가 부족하더라도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경사면에 의해 우선적으로 히터섬프(241)로 모이게 됨으로 히터(242)의 과열 및 과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히터섬프(241)의 경우 제 2터브(200)가 드로워(132)라는 한정적인 공간에 의해 비교적 최소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즉, 히터섬프(241)를 형성하더라도, 히터(242)가 설치되는 최소한의 공간으로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히터(242)의 설치 자체가 문제될 수 있다. 히터(242)의 경우 전원이 연결되는 히터단자(243)와 가열로드(244)를 구비한다. 히터단자(243)의 경우 히터(242)를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히터단자(243)의 크기는 가열로드(244)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또한 히터단자(243)의 경우 일반적으로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열로드(244)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가열로드(2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히터섬프(241)가 제 2터브(20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더라도 히터(242)의 설치시 히터(242)의 히터단자(243)가 제 2터브(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211)에 의해 걸려 히터(242)가 삽입되는 경로를 방해하여 히터(242)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히터(242)의 설치시 히터(242)의 설치방향을 히터섬프(241)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하여 삽입한다. 즉, 히터(242)의 삽입시 가열로드(244)의 끝부분을 위로하고, 히터단자(243)를 아래로 하여 히터섬프(241)에 삽입하고, 가열로드(244)가 완전히 삽입된 후 가열로드(24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히터단자(243)를 히터섬프(241)에 고정한다(도 4참조).
한편, 히터섬프(241)의 내측면에는 삽입된 히터(242)의 가열로드(244)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클램프(245)가 설치된다. 이러한 클램프(245)는 히터의 좌우방향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클램프(245)는 제 2터브(200)와 별개로 제작되어 히터(242)의 설치 이전에 미리 히터섬프(241)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클램프(245)는 히터(242)의 삽입방향에 대항되는 위치에 마련되여 히터(242)의 가열로드 끝부분을 고정한다. 한편, 클램프(245)는 히터섬프(241)에 마련되는 설치공에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어 설치되며, 설치공에 삽입되는 단부에는 삽입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242)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히터단자(243)에 전원단자(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하여 히터단자(243)의 방향을 가열로드(244)와 동일하게 하도록 한다.
즉, 히터단자(243)의 방향이 기존의 히터와 같이 가열로드(24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하부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전원단자를 연결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히터단자(243)의 방향을 가열로드(2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할 경우에는 히터(242)의 설치방향을 따라 전원단자를 삽입하여 히터단자(243)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히터섬프(241)의 최하부에는 제 2터브(200)에 저수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6)이 연통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배수관(246)은 도시되지는 않은 배수장치에 연결되며, 배수장치에 마련되는 배수펌프에 의해 히터섬프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술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관(246)의 소정부에는 배수관의 상측으로 분기되는 분기관(247)이 형성되고, 분기관(247)에는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 수위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수위센서(미도시,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압력감지센서)가 연결된다. 또한 분기관(247)과 압력수위센서의 사이에는 에어챔버(248)가 마련된다. 에어챔버(248)는 분기관(247)의 압력변화를 체적를 통하여 압력수위센서에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5참조).
한편 제 2터브(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 제 2터브(200)의 진동을 고정하기 위한 트랜싯볼트 체결부(261)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트랜싯볼트 체결부(261)는 제 2터브(200)의 후방에 형성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 제 2터브(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트랜싯볼트 체결부(261)에는 드로워(132)를 관통하는 트랜싯볼트(263)가 체결되어 제 2터브(200)의 진동을 방지한다(도 6참조).
또한, 다르게는 트랜싯볼트 체결부(261)에는 드로워(132)와 제 2캐비닛(130)을 관통하는 트랜싯볼트(263)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 드로워(132)와 제 2캐비닛(1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트랜싯볼트(263)에 의해 제 2터브(200)의 진동이 방지되고, 제 2캐비닛(130)으로부터 드로워(132)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트랜싯볼트(263)에 의한 제 2터브(200)의 고정은 제 2터브(200)의 수평방향에 대한 진동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진동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 2터브(200)의 수직방향에 대한 진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제 2캐비닛(130) 및 드로워(132)의 하부를 개방된 상태로 하고, 개방된 제 2캐비닛(130)과 드로워(132)의 하부에 삽입되는 별도의 진동방지부재(271)를 삽입하여 제 2터브(200)의 수직방향 진동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방지부재(271)는 제 2터브(200)와 드로워 사이의 잉여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의류 처리장치(100)(구체적으로는 제 2캐비닛(130))의 하부에서 드로워(1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 2터브(200)를 고정한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싯볼트(263)와 진동방지부재(271)에 의해 의류 처리장치의 이동시 제 2터브(200)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의류 처리장치 110 : 캐비닛
120 : 제 1캐비닛 121 : 제 1처리부
130 : 제 2캐비닛 131 : 제 2처리부
200 : 제 2터브 231 : 베어링 하우징
241 : 히터섬프 242 : 히터
263 : 트랜싯볼트 271 : 진동방지부재

Claims (8)

  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개구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물을 저장하는 히터섬프;
    상기 히터섬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높이가 너비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히터섬프의 측면에는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은 일부라도 상기 히터섬프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히터섬프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서 상부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 저수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압력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섬프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의 상부면보다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하부면보다는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바닥면 및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된 리브는 상기 히터섬프의 외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배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와 상기 배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상기 드로워의 각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를 상기 드로워 내부에서 지지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서스펜션의 하단이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급수장치 또는 상기 배수장치가 구비된 상기 드로워의 모서리를 제외한 상기 드로워의 내면과 상기 터브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드로워의 후방 측면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전방 양측 모서리 및 상기 드로워의 후방면 중 양측 모서리 사이를 향하여 각각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94536A 2018-08-13 2018-08-13 의류 처리장치 KR10196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36A KR101962149B1 (ko) 2018-08-13 2018-08-13 의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36A KR101962149B1 (ko) 2018-08-13 2018-08-13 의류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364A Division KR20180002081A (ko) 2017-12-22 2017-12-22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927A KR20180092927A (ko) 2018-08-20
KR101962149B1 true KR101962149B1 (ko) 2019-03-26

Family

ID=6344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36A KR101962149B1 (ko) 2018-08-13 2018-08-13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73A1 (ko) * 2020-04-23 202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2685A1 (en) * 1994-02-22 1995-08-23 Dale E. Mueller Method of washing in a vertical axis washer
KR20030055973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히터장착구조
KR100479090B1 (ko) * 2002-11-28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 감지장치
KR101435796B1 (ko) *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73A1 (ko) * 2020-04-23 202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927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0355A1 (en) Laundry machine
EP3633092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KR100925735B1 (ko)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JP2023099193A (ja) 衣類処理装置
KR102271312B1 (ko) 의류 처리장치
CA2715089C (en) Laundry treating device
AU2009201737B2 (en) Laundry machine
KR2021010568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06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0676851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liquid dam
KR101962149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10121091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101056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02081A (ko) 의류 처리장치
JP4860461B2 (ja) 洗濯乾燥機
KR10243410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10519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84966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20180089688A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3114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21010579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0694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20180052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099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