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0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05B1
KR102434105B1 KR1020170096703A KR20170096703A KR102434105B1 KR 102434105 B1 KR102434105 B1 KR 102434105B1 KR 1020170096703 A KR1020170096703 A KR 1020170096703A KR 20170096703 A KR20170096703 A KR 20170096703A KR 102434105 B1 KR102434105 B1 KR 10243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r
cabinet
support
hol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942A (ko
Inventor
정연수
강민수
김창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 하부에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레그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지지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캐비닛이 상하로 적층되어 구비는 경우 상기 복수의 캐비닛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말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 의류처리장치와 대형 의류처리장치가 하나로 병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공간활용도를 위하여 소형의류처리장치가 대형의류처리장치 상부에 구비되거나, 대형의류처리장치가 소형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었다.
한편, 상부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전방에 구비된 프론트 로드타입 의류처리장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투입구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부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 하부에 구비되어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를 상기 하부의류처리장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의 무게중심이 상기 하부의류처리장치의 무게중심과 쉽게 일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의 하단에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를 지지하는 레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를 상기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에 강력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부의류처리장치에서 상부 의류처리장치가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상부와 하부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의 레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레그가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에 레그를 부착하고,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를 상기 하부 의류처리장치 위에 안착시키기 시작하면, 상기 레그가 정위치에 자연스럽게 맞춰지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부재 없이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안착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 하부에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레그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지지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제2캐비닛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더바디와, 상기 가이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레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더관통홀과,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더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리브는 상기 가이더 관통홀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의류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전방에 투입구를 구비한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제2캐비닛의 모든 모서리 마다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의 가이더리브는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수용부는 전방에 상기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제2캐비닛의 모든 모서리 마다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 중 일부는 상기 가이더리브가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더리브가 상기 가이더 관통홀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제1캐비닛의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가이더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더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의 외측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는 높이방향의 모서리에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제1곡면부와, 하단 모서리에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리브는 상단에 상기 가이더관통홀을 향하여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상단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관통홀은 상기 가이더리브 사이에 구비되는 양 모서리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삽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제1캐비닛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리브와 상기 지지레그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상부와 하부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의 레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레그가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에 레그를 부착하고, 상기 상부의류처리장치를 상기 하부 의류처리장치 위에 안착시키기 시작하면, 상기 레그가 정위치에 자연스럽게 맞춰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부재 없이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의류처리장치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상부 의류처리장치를 하부 의류처리장치에 안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지지레그를 도시한 것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 지지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부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이 상부 또는 하부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메인 의류처리장치인 제1처리부(110)와 보조 의류처리장치인 제2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도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20)는 상기 제2처리부(120)보다 세탁 또는 건조 용량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처리부(120) 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처리부(120)가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속옷, 아기옷, 소량의 의류 등을 신속하게 세탁 또는 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구분되어 상기 제1처리부(110)와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10)에 결합되어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상기 제1처리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2캐비닛(111)과 구분되어 구비되는 제2캐비닛(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와 간섭을 피하기 위해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제2캐비닛(121)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121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121a)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부에 제1처리부(110)가 안착되므로, 상기 제1처리부(110)의 제1캐비닛(111) 하부에는 상기 제2처리부(120)의 제2캐비닛(1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부(300)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드로워(121a)가 인출되었을 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처리부(110)가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만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캐비닛(11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11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112,113)는 물을 저장하는 제1터브(112), 상기 제1터브(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113)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전방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제1터브(11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114)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14), 상기 제1터브(112)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부(115), 상기 제1터브(112)의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114)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114a),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터(114b),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는 회전축(114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터브(112)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와,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고 터브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급수부(115)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1터브(112)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115a)과, 상기 제1급수관(115a)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급수밸브(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부(116)는 상기 제1터브(112)에서 상기 캐비닛(111) 외부에 연장되어 구비된 제1배수관(116a)과, 상기 제1터브(112)의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배수관(116a)에 연통되어 구비된 제1배수펌프(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크기만 다를 뿐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처리부(120)는 캐비닛(11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수용부(12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는(122,123)는 물을 수용하는 제2터브(122)와, 상기 제2터브(12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2터브(12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123)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24)와, 상기 제2터브(120)에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부(125)와, 상기 제2터브(120)의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12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제1터브(112)를 상기 캐비닛(111)에서 지지하는 제1서스펜션(1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2터브(122)를 상기 캐비닛(111)에서 지지하는 제2서스펜션(12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서스펜션(112a)와 상기 제2서스펜션(122a)는 스프링과 댐퍼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고, 브라켓과 연결바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스펜션 (112a)와 상기 제2 서스펜션 (122a)는 상기 제1터브(112)와 상기 제2터브(122)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처리부(120)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11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111a)가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111a) 내부에 상기 제2터브(122)와 상기 제2드럼(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124)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124a),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122b),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회전축(12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터브(122)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와,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고 터브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급수부(125)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122)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125a)과, 상기 제2급수관(125a)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급수밸브(12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수부(126)는 상기 제2터브(122)에서 상기 캐비닛(121) 외부에 연장되어 구비된 제2배수관(126a)과, 상기 제2터브(122)의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배수관(126a)에 연통되어 구비된 제2배수펌프(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는 상기 제1터브(110)에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118)와, 상기 제1터브(110)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18)는 상기 제1터브(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스히터(sheath heater)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히터(118)는 상기 제1터브(110)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열풍공급부(119)는 상기 제1터브(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119a)와, 상기 덕트(119) 내부에 구비되는 덕트히터(119b)와, 상기 덕트(119b)의 공기를 제1터브(110)로 공급하는 팬(119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10)도 상기 제1처리부(120)와 같이 히터(118)와 열풍공급부(119)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는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캐비닛(111)에 구비되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처리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17)와, 상기 제2처리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12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10)와 상기 제2처리부(120) 중 건조장치로 구비된 처리부는 전술한 급수부, 배수부, 터브, 히터의 구성을 모두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100)가 상기 제2처리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무게중심이 한곳으로 치중되거나, 진동 등에 상기 제1처리부(100)가 상기 제2처리부(200)에서 전도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처리부(100)가 상기 제2처리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안착된 것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부(100)가 상기 제2처리부(200)에 의도된 위치에 안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처리부(100)는 상당한 부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처리부(100)가 메인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되면 그 부피는 상기 제2처리부(200) 보다 월등히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부(100)를 사용자 등의 설치자가 상기 제2처리부(200)에 배치시킬 때 상기 제1처리부(100)의 하단 시야가 차단되어 상기 제1처리부(100)를 의도하였던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처리부(100) 하부에 레그가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레그를 상기 제2처리부(200)의 상부에 의도한 부분(예를들어, 모서리 부근)에 정확히 배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부(100)를 상기 제2처리부(200)에 안착시키는 것이 성공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처리부(100)를 상기 제2처리부(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재 등이 필요하여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부(100)를 상기 제2처리부(200)의 상부 중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1처리부(100)가 상기 제2처리부(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1캐비닛(111)이 상기 제2캐비닛(121)에 안착되면 상기 제1캐비닛(111)이 상기 제2캐비닛(121)에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1캐비닛(1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레그(310)와, 상기 제2캐비닛(1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31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지지가이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310)는 상기 제1캐비닛(111) 꼭지점 또는 그 부근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제1캐비닛(111)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제2캐비닛(121)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캐비닛(121)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제2캐비닛(121)
도3은 본 발명 상기 지지레그(31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레그(310)는 상기 제1캐비닛(111)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부(311)와, 상기 제2캐비닛(121)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제1캐비닛(111)을 지지하는 접지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11)은 상기 지지레그(31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체결공(111a)을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도5참조)
상기 접지부(313)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캐비닛(1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320)와 용이하게 결합하며, 결합력도 강화하기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313)는 높이보다 너비가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레그(310)는 상기 제1캐비닛(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캐비닛(111)이 제2캐비닛(121)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캐비닛(111)에 미리 설치되는 별도의 레그를 분리하고, 상기 지지레그(3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310)의 체결부(311)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1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캐비닛(121)의 상부면이 지면과 수평이 맞춰져 있지 않더라도 상기 제1캐비닛(111)과 결합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제1캐비닛(11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311)와 상기 접지부(313) 사이에는 상기 지지레그가 상기 제1캐비닛(111)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하게 하는 너트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312)는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제1캐비닛(111)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때,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로 상기 너트부(312)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 편의성을 더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상기 지지가이더(32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제2캐비닛(121)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더바디(321)와, 상기 가이더바디(321)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레그(3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더관통홀(323)과,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더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은 상기 지지레그(310)의 상기 접지부(313)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지지레그(310)가 설치되어야 하는 장소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은 상기 지지레그(310)가 정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지지레그(310)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로써,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가이더 관통홀(323)에 삽입되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은 상기 접지부(313)의 외측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부(3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에 삽입될 때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지지레그(320)와 결합되므로, 상기 제2캐비닛(121)의 상부 모든 모서리 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지지가이더(320)의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처리부(100)가 프론트로드(front load) 타입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드럼(113)이 회전하면 상기 제2드럼(113)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제1캐비닛(111)의 너비방향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제2드럼(113)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제2드럼(113)의 원주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캐비닛(111)은 상기 제2캐비닛(121)의 상단에서 너비방향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본 발병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지지레그(320)의 양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드럼(113)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상기 제1캐비닛(1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진동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가이더리브(322)는 내측면에 방진부재가 더 부착되어 상기 제1처리부(100)에서 발생한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전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지지레그(31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가이더(320)에 설치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지지가이더(3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지지가이더(320)는 가이더리브(322)의 설치위치 외에는 도4의 지지가이더(32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제2캐비닛(322)의 모든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320) 중 일부는 상기 가이더리브(322)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320)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더리브(322)가 상기 가이더 관통홀(323)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더리브(322)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것이 아니라, 일부만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양측면에서 돌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전방과 후방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지지레그(320)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일부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지지레그(320)의 전방과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제1캐비닛(111)이 전방이나 후방, 양측면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 방향의 진동에도 상기 제1캐비닛(1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효과적으로 상기 제1캐비닛(11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캐비닛(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동일하게 상기 가이더리브(322)가 상기 지지가이더(320)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오른쪽 지지가이더(320)의 가이더리브(322)와, 후방 왼쪽 지지가이더(320)의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지지관통홀(323)의 전방과 후방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전방 왼쪽 지지가이더(320)의 가이더리브(322)와, 후방 오른쪽 지지가이더(320)의 가이더리브(322)는 상기 지지관통홀(323)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캐비닛(111)이 상기 제2캐비닛(121)에 설치된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지지부(300)는 상기 제1처리부(110)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상부에 안착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처리부(110)가 상기 제2처리부(120)의 정위치에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부(313)는 높이방향의 모서리에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제1곡면부(313a)와, 하단 모서리에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제2곡면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부(313a)는 상기 접지부(313)의 높이방향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부(313)의 모서리 일면이 상기 가이더리브(322)에 접촉하면 상기 접지부(313)가 상기 가이더리브(322) 사이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곡면부(313b)는 상기 접지부(313)의 바닥면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부(313)가 상기 가이더리브(322)에 접촉하거나,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의 외측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상기 접지부(313)가 상기 가이더관통홀(323)로 미끌어져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리브(322)는 상단 내측 모서리가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상단안내부(32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단안내부(322a)는 상기 가이더리브(322)는 상단에 상기 가이더관통홀(323)을 향하여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더리브(322)의 상단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지부(313)가 상기 상단안내부(322a)에 접촉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지지레그(310)가 상기 가이드관통홀(323)로 미끌어져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더관통홀(323)는 상기 가이더리브(322) 사이에 구비되는 양 모서리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삽입안내부(323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안내부(323a)는 상기 접지부(313)가 상기 삽입안내부(323a)에 접촉되면, 상기 지지레그(310)를 상기 가이더관통홀(323)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캐비닛(111)이 상기 제2캐비닛(121)의 상단에 개략적으로 안착되기만 하면, 상기 제1곡면부(313a), 상기 제2곡면부(313b), 상기 상단안내부(322a)와, 상기 삽입안내부(323a)로 인해 상기 제1캐비닛(111)은 상기 제2캐비닛(121)이 정확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지지레그(310)와 상기 지지가이더(3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레그(310)는 상기 지지가이더(32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지지가이더(320)는 상기 가이더관통홀(323)로 상기 지지레그의 접지부(310)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더리브(323)는 상기 접지부(3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캐비닛(111)과 상기 제2캐비닛(121)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상기 제1캐비닛(111)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리브(322)와 상기 지지레그(31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리브(322)와 상기 지지레그(310)는 상기 체결부재(400)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리브고정홀(322b)과, 레그고정홀(31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그고정홀(314)은 상기 접지부(313)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리브고정홀(322b)은 상기 가이더리브(322)에 상기 레그고정홀(314)과 대응되는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고정홀(322b)과 상기 레그고정홀(314)은 내주면에 상기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10 제1처리부 111 캐비닛 111a 레그결합부
120 제2처리부 121 캐비닛
300 지지부 310 지지레그 311 체결부
312 너트부 313 접지부 314 레그고정홀
320 지지가이더 321 가이더바디 322 가이더리브

Claims (12)

  1.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 하부에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레그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지지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제2캐비닛 상단에 안착되는 가이더바디와,
    상기 가이더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더관통홀과,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가이더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리브는 상단에 상기 가이더관통홀을 향하여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상단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리브는 상기 가이더 관통홀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의류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전방에 투입구를 구비한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제2캐비닛의 모든 모서리 마다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의 가이더리브는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전방에 상기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제2캐비닛의 모든 모서리 마다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 중 일부는 상기 가이더리브가 상기 가이더관통홀의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가이더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더리브가 상기 가이더 관통홀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제1캐비닛의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가이더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더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의 외측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방향의 모서리에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제1곡면부와,
    하단 모서리에 완만한 곡선으로 구비되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관통홀은 상기 가이더리브 사이에 구비되는 양 모서리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삽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제1캐비닛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리브와 상기 지지레그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96703A 2017-07-31 2017-07-31 의류처리장치 KR102434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03A KR102434105B1 (ko) 2017-07-31 2017-07-3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03A KR102434105B1 (ko) 2017-07-31 2017-07-3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42A KR20190012942A (ko) 2019-02-11
KR102434105B1 true KR102434105B1 (ko) 2022-08-19

Family

ID=6536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703A KR102434105B1 (ko) 2017-07-31 2017-07-3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89B1 (ko) * 2004-02-06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KR101065705B1 (ko) * 2009-02-19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KR102486960B1 (ko) * 2015-06-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42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550B1 (ko) 의류처리장치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KR102597820B1 (ko) 의류처리장치
US9127395B2 (en) Washing machine
KR101265623B1 (ko)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KR101328953B1 (ko) 세탁장치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KR101012388B1 (ko)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1265622B1 (ko) 페데스탈 건조기
US10011937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y
WO2009102106A2 (en) Laundry treating device
EP3540113A1 (en)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treatment apparatus
KR101306723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20675B1 (ko) 페데스탈 세탁기
KR10243410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65705B1 (ko) 복합세탁장치
US202301839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333920B2 (ja) スパイク固定部材及びスパイク固定部材が備えられた衣類処理装置
KR101962149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64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6687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25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