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40B1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40B1
KR101706940B1 KR1020100022318A KR20100022318A KR101706940B1 KR 101706940 B1 KR101706940 B1 KR 101706940B1 KR 1020100022318 A KR1020100022318 A KR 1020100022318A KR 20100022318 A KR20100022318 A KR 20100022318A KR 101706940 B1 KR101706940 B1 KR 10170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eam
lower case
cov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137A (ko
Inventor
이상헌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2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4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1224948A priority patent/AU2011224948B2/en
Priority to CN201180013595.9A priority patent/CN102792097B/zh
Priority to CN201410815539.2A priority patent/CN104534436B/zh
Priority to US13/045,909 priority patent/US9074311B2/en
Priority to EP11753646.6A priority patent/EP2545324B1/en
Priority to RU2012139076/06A priority patent/RU2524481C2/ru
Priority to PCT/KR2011/001724 priority patent/WO2011112041A1/en
Priority to BR112012021210-9A priority patent/BR112012021210B1/pt
Publication of KR2011010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137A/ko
Priority to US14/724,431 priority patent/US102148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40B1/ko
Priority to US16/242,633 priority patent/US1099544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Steam generator and Wahs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급수된 세탁수와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장치 및 젖은 세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한편, 최근의 세탁장치는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살균, 냄새제거 및 주름제거까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히터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 내부에 구비되되 저장된 물과 직접 접촉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이러한 스팀발생장치는 히터의 과열방지와 같은 안전성 확보를 위해 상기 히터가 물에 완전히 잠긴 경우에만 히터를 구동시켰다. 즉,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저장수단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남아있더라도 상기 히터가 물에 잠기지 않으면 히터의 작동을 중단한 뒤 재급수하였다.
따라서, 종래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스팀발생장치로 최초 공급된 물을 모두 소비한 뒤 재급수가 진행되는 구조가 아니라 히터가 물 밖으로 드러나면 스팀발생(히터구동)을 중단한 뒤 재급수하는 방식이었다.
즉, 종래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잔수가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존재함에도 재급수 한 뒤 히터를 구동하게 되므로 최초 급수를 통해 공급된 물을 모두 스팀으로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잔수가 존재함에도 재급수 한 뒤 히터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히터의 ON/OFF 주기가 짧아지고, 스팀을 공급하는 해당코스의 진행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히터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최저 수위감지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제한이 따랐다.
한편,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를 구비하였으나, 종래 스팀발생장치의 실링부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실링부를 구비하여 누수 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잔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여 물이 저장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탑커버와, 상기 측벽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접합커버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물과 스팀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실링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에 결합하는 상부플랜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상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 사이에는 강도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접합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강도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도보강 리브는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합커버에 구비되는 제1요철부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요철부에 상응하는 제2요철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가열장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로 제공되는 열이 상기 상부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부는 상기 측벽과 접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여 물이 저장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탑커버, 상기 측벽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접합커버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물과 스팀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실링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접합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강도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잔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세탁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스팀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케이스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팀공급유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상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스팀공급유로와 유로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세탁장치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세탁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장치(W)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13)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므로 세탁수를 이용하지 않는 세탁장치를 구현하는 경우라면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즉,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의 살균이나 냄새를 목적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젖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세탁장치를 구현하는 경우라면 상기 의류수용부는 드럼 만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브가 구비된 세탁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터브(213)는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211)은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드럼 개구부를 구비하여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터브의 개구부는 도어(400)에 의해 개폐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드럼의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브(213)는 터브지지부에 의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지지되는데, 이는 드럼의 회전 시 터브로 전달된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며, 스프링(311)과 댐퍼(313)가 터브지지부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배면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터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스테이터(611), 상기 드럼의 배면에 연결된 샤프트(615) 및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로터(6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W)는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의 공급을 위한 세탁수 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공급부는 급수원과 터브(213)를 연결하는 공급호스(511)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급호스(511)는 세제박스(513)를 경유하여 터브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세탁 시 요구되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공급호스가 세제박스를 경유하여 터브에 연결되된다면 별도의 장치나 제어 없이도 세탁에 필요한 세제와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513)는 캐비닛(100)의 전방면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공급호스는 주름관(미도시)의 형태로 구비되어 세제박스의 인출 시에도 세제박스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세탁장치는 터브(213)에 저장된 세탁수의 배출을 위해 배수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배수펌프 및 배수호스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의류의 살균, 탈취, 세탁수 가열을 위한 스팀발생장치(7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되는 스팀을 상기 터브에 공급하는 장치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되 물과 직접 접촉하는 히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히터가 물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저장부 내부에 물이 없거나 히터가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수위의 물이 저장부에 남아 있는 경우 스팀발생장치의 안전성이 문제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히터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 수위감지 수단이 필요하였고, 상기 최소 수위감지 수단은 히터가 물에 잠기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히터의 작동을 중단시켰다.
즉,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잔수가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존재함에도 재급수 한 뒤 히터를 구동하게 되므로 최초 급수를 통해 공급된 물을 모두 스팀으로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는 잔수가 존재함에도 재급수 한 뒤 히터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히터의 ON/OFF 주기가 짧아질 수 밖에 없고, 스팀발생장치의 잦은 ON.OFF는 스팀을 공급하는 해당코스의 진행시간이 길어지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는 상술한 종래 스팀발생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스팀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스팀발생장치(700)는 하부케이스(710)와 상부케이스(7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7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저장 및 가열하는 구성이고, 상기 상부케이스(730)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311)과 하부케이스에서 발생된 스팀을 배출시키는 스팀배출관(731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케이스(730)와 하부케이스(710)는 결합부(716, 735)를 통해 결합되는데 상하부케이스의 결합관계는 후술할 것이다.
도 3은 하부케이스(710)의 사시도이고,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하부케이스(71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711),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측벽(7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의 물공급관(7311)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베이스와 측벽에 의해 저장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711)에는 가열장치(7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열장치(712)는 전열선(electrothermal wire)의 형태로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700)는 베이스와 측벽에 수용된 물을 가열장치가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가열장치(712)가 베이스와 측벽을 가열함으로써 베이스와 측벽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는 가열장치가 물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 스팀발생장치와 같이 가열장치가 물에 잠겨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고, 하부케이스로 공급된 물을 모두 스팀으로 변환될 수 있으므로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잔수가 존재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는 열전도체(heat conduction material)로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710)는 상기 가열장치(712)의 고장이나 가열장치의 과열을 감지하여 스팀발생장치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부(7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도감지부(713)는 상기 베이스(71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710)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스팀배출관(7313, 도2참고)으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스팀공급유로(7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유로(715)는 상기 베이스(711)에서 스팀배출관(7313)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외벽부(7151)와, 상기 외벽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외벽부 유로(C)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7151)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이 외벽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711)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벽부 유로(C)는 상기 외벽부(7151)를 관통하는 홀(hole)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의 상단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외벽부 유로(C)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공급되는 물의 최고 수위보다는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 만이 상기 스팀배출관(7313)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스팀배출관(7313)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의 압력이 높은 경우 하부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이 스팀과 함께 스팀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상기 외벽부(7151) 및 외벽부 유로(C)는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이 스팀과 함께 스팀배출관(7313)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최고수위'(L, 도 4참고)는 상기 하부케이스가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최고수위를 의미하며, 스팀발생장치의 용량에 따라 스팀발생장치의 제작 시 설정될 것이다.
상기 외벽부(7151)는 상기 가열장치(712)에서 상기 베이스(711)로 제공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벽부를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성형하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례가 될 것이다.
이는 하부케이스의 베이스, 측벽 뿐 아니라 상기 외벽부(7151)도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므로 보다 빨리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유로(715)는 상기 외벽부(7151)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내벽부(715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외벽부 유로(C)가 하부케이스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물이 외벽부 유로로 유입될 경우 물이 스팀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내벽부(7153)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내벽부(7153)는 상기 스팀배출관(7313)과 연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7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외벽부(7151)의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내벽부(7153)의 상단에는 내벽부 유로(D)가 구비되되 상기 외벽부 유로(C)와 엇갈리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외벽부 유로(C)로 물과 스팀이 함께 유입되더라도 스팀 만이 내벽부 유로(D)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외벽부 유로(C)로 스팀과 물이 유입되면 도 4(a)의 화살표로 표시된 유동을 거쳐야만 스팀배출관(731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에 비해 무거운 물은 외벽부 유로에서 내벽부 유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 저장될 것이므로 물이 스팀과 함께 외벽부 유로(C)로 유입되더라도 스팀 만이 스팀배출관(7313)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내벽부(7153)도 상기 가열장치(712)에서 상기 베이스(711)로 제공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의 공간에 저장된 물까지 스팀으로 변환시켜 배출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a)는 외벽부(7151)가 측벽(714)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외벽부의 형상은 도 4(b) 내지 도 4(C)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4(b)와 도 4(c)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7151)는 베이스에서 상부로 연장되되 측벽(714)에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외벽부 유로(C)와 내벽부 유로(D)는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엇갈리도록) 형성되어야만 스팀과 물이 외벽부 유로로 유입되더라도 스팀 만을 스팀배출관(7313)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부케이스(730)의 사시도이고, 이하에서는 상부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케이스(730)는 물공급관(7311)과 스팀배출관(7313)이 구비되는 탑커버(731), 상기 탑커버(731)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되 하부케이스의 측벽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접합커버(7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710)와 상기 상부케이스(730)는 접합커버(732)가 베이스(711)와 접촉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며, 이 경우 상기 측벽(714)은 상기 접합커버(732)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 시 하부케이스의 열이 상부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절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측벽과 접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갭(G, 도6참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G, 도6참고)은 하부케이스의 열이 상부케이스로 절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수단으로, 상기 접합커버(732)와 상기 측벽(714)이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장치(712)에서 하부케이스(710)로 제공되는 열이 상부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열손실최소화)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을 빠른시간 내에 스팀으로 변환 가능하고, 상부케이스에 구비되는 감지수단(737, 738)들의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부(734)는 탑커버(731)와 측벽(714)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케이스의 열이 상부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과 스팀이 누출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결합부에 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한편, 상기 탑커버에 구비되는 물공급관(7311)은 급수원과 연결되어 하부케이스로 공급될 물이 유입된다. 상기 물공급관(7311)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급호스(510)와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관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공급호스(510)를 분지시켜 물이 공급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스팀배출관(7313)은 하부케이스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관이고, 배출된 스팀은 의류수용부(200)와 스팀배출관(7313)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관을 통해 의류에 공급된다.
나아가, 상기 탑커버(730)에는 유로커버(733, 도5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커버(733)는 하부케이스의 스팀공급유로(715) 상단과 접하는 부분으로, 외벽부(7151)가 수용되는 외벽부 커버(7331)와 내벽부에 삽입되는 내벽결합부(7333)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부 커버(7331)는 외벽부(7151)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외벽부 상단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되 외벽부로 유입된 스팀이 누출되지 않도록 외벽부의 상단을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외벽부 커버의 형상은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벽부 커버가 외벽부의 상단 내주면 및 외주면과 모두 접하는 형태가 아니라 상기 외벽부 상단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내벽결합부(7333)는 스팀배출관(7313)의 말단이 상기 탑커버(73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벽부(7153)에 삽입된다.
나아가, 상기 유로커버(733)는 외벽부 유로 커버(7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 유로 커버(7335)는 상기 외벽부 유로(C)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하부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이 출렁이게 될 경우 물이 외벽부 유로(C)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하부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은 가열장치에서 베이스, 측벽 및 스팀공급유로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끓게 되고, 물이 끓는 과정에서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의 수위는 등락을 거듭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물이 외벽부 유로(C)로 유입될 수 있는데, 상기 외벽부 유로 커버(7335)는 수위의 등락으로 외벽부 유로(C) 방향으로 유동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도 7은 스팀공급유로와 유로커버의 결합을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외벽부 커버(7331)와 외벽부(7151)의 결합관계, 내벽부(7153)와 내벽결합부(7333)의 결합관계 및 외벽부 유로 커버(7335)의 위치는 도 7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나머지 구성 및 상하부케이스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탑커버(731)의 상부에는 수위감지수단(73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수단(737)은 하부케이스에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수단은 한쌍의 전극을 가지는 전극센서(Electrode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전극은 하부케이스의 최고수위까지 물이 공급된 경우 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종래 전극센서를 이용한 스팀발생장치는 공통전극, 최소수위 감지전극, 최고수위 감지전극을 포함하여 구비되어야 했다.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히터가 물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이었고, 스팀발생장치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상기 최소수위 감지전극은 히터가 물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는 가열장치(712)가 베이스에 구비되되 물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종래 스팀발생장치에 구비되었던 최소수위 감지전극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수단은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될 수 있는 최고수위 만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탑커버(731)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738)이 더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은 스팀발생장치의 오작동여부 판단과 같은 스팀발생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케이스(730)와 하부케이스(71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735, 716)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는 접합커버(732)에 구비되는 상부플랜지(735)와 측벽(714)에 구비되는 하부플랜지(716)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는 체결부재(S)가 관통할 수 있는 홀(7351, 7161)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합커버(732)에는 강도보강 리브(7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는 가열장치가 하부케이스를 가열하고, 가열된 하부케이스에 의해 저장된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는 방식이므로 각 케이스의 열변형이 동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열변형이 있으면 상기 체결부재(S)는 큰 전단응력을 받게 될 것이고, 전단응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단강도가 높은 체결부재를 제작하거나 결합부의 수(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수)를 늘려야 한다.
그러나, 본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강도보강 리브(736)가 접합커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케이스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단강도가 높은 체결부재를 택하지 않더라도 결합부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강도보강 리브가 접합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기만 하면 상부케이스의 열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강도보강 리브의 위치를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2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4개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다만,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부플랜지를 구비할 경우 상기 강도보강 리브는 상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 사이에 구비됨이 제작시간과 비용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스팀이나 물이 케이스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73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링부(734)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스팀이나 물이 케이스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부케이스의 열이 상부케이스로 전달되는 것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상기 실링부(734)는 상기 탑커버(731)와 측벽(714)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결합부(716, 735)가 구비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종래 스팀발생장치의 실링부는 결합부가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거나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었다.
즉,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측벽(714)없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물을 저장하였고, 상기 실링부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접하는 부위를 따라 구비되었다.
따라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실링부가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물의 최고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물의 누수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되는 실링부(734)와 같이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실링부를 구비하게 되면 물이나 스팀이 스팀발생장치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결합부는 상부플랜지(735)와 하부플랜지(716)로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8에 개시된 형태의 결합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는 접합커버(732)에 구비되는 제1요철부(739)와 베이스(711)에 구비되는 제2요철부(71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철부는 상기 접합커버(732)의 단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요철부는 상기 제1요출부와 치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711)의 상단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상기 결합부는 제1요철부와 제2요철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50)가 더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750)의 양단은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B)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는 상부 및 하부케이스의 분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케이스의 열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고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캐비닛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700)는 하부케이스(710)가 가열장치(712)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하부케이스에 저장된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700)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캐비닛(100)과 의류수용부(200) 사이에 구비되되 캐비닛 및 의류수용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그 외주면이 캐비닛(100)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되 터브(213)의 외주면(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경우에는 드럼의 외주면)과도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팀발생장치(700)의 표면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캐비닛 및 의류수용부와 스팀발생장치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의 열이 캐비닛이나 의류수용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효과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을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캐비닛의 상부면 사이(또는 스팀발생장치와 캐비닛의 배면 사이)에 구비시킨다면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열은 캐비닛 뿐만 아니라 의류수용부로도 전달되지 않을 것이므로 있을지 모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은 캐비닛이나 스팀발생장치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캐비닛의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프레임(미도시)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상부케이스에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발생장치의 작동 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비해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스팀발생장치: 700 하부케이스: 710 베이스: 711
가열장치: 712 온도감지부: 713 측벽: 715
스팀공급유로: 715 외벽부: 7151 내벽부: 7153
하부플랜지: 716 상부케이스: 730 탑커버: 731
물공급관: 7311 스팀배출관: 7313 접합커버: 732
유로커버: 733 외벽부 커버: 7331 내벽 결합부: 7333
외벽유로 커버: 7335 실링부: 734 상부플랜지: 735
강도보강 리브: 736 수위감지수단: 737 온도감지수단: 738

Claims (1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여 물이 저장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탑커버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채 상기 측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접합커버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측벽과 상기 접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갭;
    물과 스팀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벽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에 접하는 실링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가 결합하도록 상기 측벽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에 결합하는 상부플랜지로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실링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상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 사이에는 강도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강도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 리브는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합커버에 구비되는 제1요철부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요철부에 상응하는 제2요철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로 제공되는 열이 상기 상부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측벽과 접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여 물이 저장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탑커버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채 상기 측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접합커버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측벽과 상기 접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갭;
    물과 스팀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벽의 상단에 구비되어 탑커버에 접하는 실링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가 결합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접합커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에 결합하는 상부플랜지로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실링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강도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00022318A 2010-03-12 2010-03-12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10170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318A KR101706940B1 (ko) 2010-03-12 2010-03-12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CN201180013595.9A CN102792097B (zh) 2010-03-12 2011-03-11 蒸汽发生器和具有该蒸汽发生器的洗衣机
CN201410815539.2A CN104534436B (zh) 2010-03-12 2011-03-11 蒸汽发生器和具有该蒸汽发生器的洗衣机
US13/045,909 US9074311B2 (en) 2010-03-12 2011-03-11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U2011224948A AU2011224948B2 (en) 2010-03-12 2011-03-11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11753646.6A EP2545324B1 (en) 2010-03-12 2011-03-11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RU2012139076/06A RU2524481C2 (ru) 2010-03-12 2011-03-11 Парогенератор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тако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PCT/KR2011/001724 WO2011112041A1 (en) 2010-03-12 2011-03-11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BR112012021210-9A BR112012021210B1 (pt) 2010-03-12 2011-03-11 gerador de vapor compreendendo um invólucro inferior para armazenar água
US14/724,431 US10214849B2 (en) 2010-03-12 2015-05-28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6/242,633 US10995446B2 (en) 2010-03-12 2019-01-08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318A KR101706940B1 (ko) 2010-03-12 2010-03-12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37A KR20110103137A (ko) 2011-09-20
KR101706940B1 true KR101706940B1 (ko) 2017-02-15

Family

ID=4495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318A KR101706940B1 (ko) 2010-03-12 2010-03-12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9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6990A1 (en) * 2005-05-23 2008-10-23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for Laundry Device
US20080271500A1 (en) * 2005-03-25 2008-1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20090139550A1 (en) * 2007-08-03 2009-06-04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3517A (en) * 1973-01-04 1974-05-28 I Mcgruder Battery operated coffee m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1500A1 (en) * 2005-03-25 2008-1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20080256990A1 (en) * 2005-05-23 2008-10-23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for Laundry Device
US20090139550A1 (en) * 2007-08-03 2009-06-04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37A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5446B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U2009201735B2 (en) Laundry machine
EP1892467B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JP5209704B2 (ja) 洗濯機と乾燥器
US20070199353A1 (en) Steam genera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US20100058815A1 (en) Heating part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60037474A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6003747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812580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431433B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170693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101684966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10170694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EP2118357A1 (en) Heating apparatus, and steam generator and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KR101962149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80089688A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785411B2 (ja) 洗濯機
KR101453269B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070052469A (ko) 증기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180002081A (ko) 의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