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873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873B1
KR100461873B1 KR10-2003-0007317A KR20030007317A KR100461873B1 KR 100461873 B1 KR100461873 B1 KR 100461873B1 KR 20030007317 A KR20030007317 A KR 20030007317A KR 100461873 B1 KR100461873 B1 KR 10046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bearing
shaft
inclined surfa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379A (ko
Inventor
이명규
윤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8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경사 회전축과 제 1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이 회전 마찰저항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개시된다.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 사이에는 제 1 베어링이 설치되며, 경사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2 회전부재의 중공부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각각 제 2 베어링과 제 3 베어링이 설치된다. 제 1 베어링은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에 마련된 제 1 그루브에 설치되어 그 상부면이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 2 베어링은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에서 중공부의 주위에 마련된 제 2 그루브에 설치되어 그 내주면이 경사 회전축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 3 베어링은 제 2 회전부재의 상단부에서 중공부에 압입되어 그 내주면이 경사 회전축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탈수조의 내측에 설치되는 세탁판을 워블링(wobbling)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하는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축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형상의 탈수조 또는 세탁조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탈수조의 내부에 펄세이터를 설치하여 펄세이터가 정역회전할 때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수직축 세탁기가 펄세이터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서 세탁물들을 세탁하게 되면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따라 세탁물들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세탁물들이 서로 엉키게 되어 세탁효과가 반감되게 되고, 세탁이 완료되면 세탁물들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수직축 세탁기는 펄세이터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정역 방향으로 회전해야 하므로 모터의 전력소모가 증대되게되며, 펄세이터에서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세탁물들을 세탁하기 위해서는 수조에 많은 양의 물을 채워야 하므로 세제와 물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수직축 세탁기의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2-8244 호를 통하여 탈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세탁판을 회전시키지 않고 제자리에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워블링 동작에 의해 세탁물들을 세탁하도록 하는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워블링 장치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단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제 1 회전부재와, 이 제 1 회전부재의 경사면과 대응하여 하단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제 2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헐겁게 끼워져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 회전축과, 각각 상기 제 2 회전축의 상단면에서 서로 대향하여 상향으로 돌출한 워블링 핀 및 레벨링 핀과,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배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세탁판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회전부재와 함께 경사 회전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사 회전축의 상단에 수평하게 돌출한 돌출핀이 워블링 핀에 당접하여 제 2 회전부재의 경사면의 상단부가 제 1 회전부재의 경사면의 상단부와 맞닿도록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 2 회전부재의 상단면이 워블링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워블링 장치가 워블링 위치로 전환되게 되면, 지지부재와 세탁판이 워블링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제자리에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워블링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세탁판이 세탁물들과 세탁수를 상방향으로 차주게 되어세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경사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경사 회전축의 돌출핀이 레벨링 핀에 맞닿아서 제 2 회전부재의 경사면의 상단부가 제 1 회전부재의 경사면의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제 2 회전부재의 상단면이 수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와 세탁판이 수평한 상태로 탈수조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탈수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워블링 세탁기가 워블링 위치와 레벨링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기 위해서는 제 1 회전부재에 고정되며 제 2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경사 회전축이 제 2 회전부재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동작을 해야 하며, 또한 이러한 전환 동작시에는 제 1 회전부재의 상단의 경사면은 제 2 회전부재의 하단의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경사 회전축과 제 2 회전부재 사이의 간극은 매우 작게 형성되어서 경사 회전축이 회전할 때 제 2 회전부재와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전환 동작이 반복되게 되면 경사 회전축과 제 2 회전부재의 접촉부위에서 마모나 소착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전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또한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의 접촉부위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세탁수와 함께 많은 양의 세탁물이 세탁판 위에 올려져서 세탁판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상기한 부위들에서 회전 저항이 더욱 증대하게 되어 전환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촉부위들에서의 마모나 소착현상이 더욱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한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경사 회전축과 제 1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이 회전저항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수직축 세탁기가 레벨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수직축 세탁기가 워블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회전부재와 경사 회전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워블링 장치가 레벨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워블링 장치가 워블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2: 경사 회전축 30: 제 1 회전부재
31: 제 1 경사면 40: 제 2 회전부재
41: 제 2 경사면 43: 중공부
100: 제 1 베어링 105: 제 1 그루브
110: 제 2 베어링 115: 제 2 그루브
120: 제 3 베어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탁축과, 상기 세탁축과 결합되며 워블링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워블링 장치는, 상기 세탁축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배치되는 경사 회전축; 상기 세탁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세탁축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경사면이 마련된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과 상응하는 제 2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경사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가진 제 2 회전부재;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워블링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레벨링되는 세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과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 사이에는 제 1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에 마련된 제 1 그루브에 설치되어 그 상부면이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루브는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제 1 그루브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상의 니들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 회전축이 관통되는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중공부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각각 제 2 베어링과 제 3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상기 경사 회전축의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에서 상기 중공부의 주위에 마련된 제 2 그루브에 설치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경사 회전축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베어링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베어링은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중공부에 압입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경사 회전축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축 회전구조가 적용되는 워블링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 2002-8244 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워블링 장치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축 회전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수직축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 1은 워블링 장치가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레벨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워블링 장치가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워블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조(2), 수조(2)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탈수공(3c)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조(3), 수조(2)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5)와 동력전달장치(6), 탈수조(3)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20)를 구비한다.
탈수조(3)의 바닥판(3a)의 외면에는 탈수축 지지대(9)가 설치되며, 이 탈수축 지지대(9)의 중앙에는 동력전달장치(6)의 탈수축(6a)이 결합되어 탈수행정시 탈수조(3)를 회전시키게 된다. 탈수축(6a)의 내부에는 세탁축(6b)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세탁축(6b)의 상단은 워블링 장치(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탈수축(6a)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더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20)는 탈수조(3)의 내측 바닥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탈수행정시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레벨링 위치로 전환되어서 탈수조(3)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세탁물을 탈수시키게 되며, 세탁행정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워블링 위치로 전환되어서 세탁물을 상하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장치(20)는 세탁축(6b)과 연결되는 수직 회전축(21)과, 수직 회전축(21)의 상부에 경사져서 배치되는 경사 회전축(22)과, 수직 회전축(21)과 경사 회전축(22)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제 1 회전부재(30)와, 경사 회전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그 하단면이 제 1 회전부재(30)의 상단면에 놓여지는 제 2 회전부재(40)와, 제 2 회전부재(40)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워블링 장치(20)를 워블링 위치와 레벨링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작동하는 레벨링 핀(52) 및 워블링 핀(53)과, 워블링 위치 또는 레벨링 위치로의 전환에 따라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조절되는 지지부재(80) 및 세탁판(60)과, 제 2 회전부재(40)의 상단에 고정되어 레벨링 위치와 워블링 위치에서 지지부재(80)가 각각 제 2 회전부재(40)에 구속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클러치(90)를 포함한다.
수직 회전축(21)은 그 하단이 보스(70)에 의해 동력전달장치(6)의 세탁축(6b)의 상단과 연결되며 그 상단이 제 1 회전부재(30)와 수직 회전축(21)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핀(32)에 의해 제 1 회전부재(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세탁축(6b)이 회전하게 되면 제 1 회전부재(3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 1 회전부재(30)의 상단면은 일정각도를 이루어 경사진 제 1 경사면(31)으로 형성되며, 제 1 회전부재(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회전부재(40)의 하단면도 상기 제 1 경사면(31)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제 2 경사면(41)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경사면(31) 위에 올려져서 배치된다.
경사 회전축(22)은 제 1 및 제 2 경사면(31)(41)들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수직 회전축(21)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제 2 회전부재(40)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핀(33)에 의해 제 1 회전부재(3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지지부재(80)는 베어링(42)을 개재하여 제 2 회전부재(40)의 외면에 배치되어 제 2 회전부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세탁행정시 세탁판(60)이 회전됨이 없이 상하로 워블링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제 2 회전부재(40)의 상단면은 하단의 제 2 경사면(41)과는 달리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단면에는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레벨링 핀(52)과 워블링 핀(53)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경사 회전축(22)의 상단부에는 수평하게 돌출한 돌출핀(54)이 결합되어 있다.
다수의 홀(64)이 형성되어 있는 세탁판(60)을 지지부재(80)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80)의 외주면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 리브(81)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세탁판(60)의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 리브(81)들과 결합되는 복수의 그루브(6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80)의 상부에는 지지부재(8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서 세탁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65)가 지지부재(8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워블링 장치(20)가 워블링 위치와 레벨링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때 경사 회전축(22)과 제 1 회전부재(30)는 제 2 회전부재(4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전환동작시 경사 회전축(22)과 제 1 회전부재(30)가 제 2 회전부재(40)에 대해 회전 마찰저항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서 제 1 회전부재(30)의 제 1 경사면(31)과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 사이에는 제 1 베어링(100)이 설치되며, 경사 회전축(22)과 제 2 회전부재(40)의 중공부(43)사이에는 제 2 베어링(110)과 제 3 베어링(120)이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베어링의 설치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회전부재와 경사 회전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부재(30)의 제 1 경사면(31)에는 제 1 베어링(1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원환 형상의 제 1 그루브(105)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 1 베어링(100)은 상기 제 1 그루브(105)에 대응하여 원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베어링(100)은 니들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그루브(105)에 헐겁게 끼워져서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 1 베어링(100)의 두께는 제 1 그루브(105)의 깊이보다 미세할 정도로 커서 제 1 회전부재(30)의 제 1 경사면(31) 위에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이 올려지게 되면 제 1 베어링(100)의 상부면이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과 접촉하여 제 1 회전부재(30)가 제 2 회전부재(40)에 접촉하지 않은 채로 제 1 베어링(100)에 의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에는 제 2 베어링(1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를 가진 제 2 그루브(1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 2 그루브(115)는 제 2 경사면(41)에서 중공부(43)의 하단부를 포함하여 그 주위에 일정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제 2 그루브(115)에 제 2 베어링(110)이 삽입되어 그 하단이 제 2 회전부재(40)의 경사면(41)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베어링(110)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져서 그 외주면(111)과 내주면(112) 사이에 다수의 볼(113)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 2 베어링(110)의 외부면(111)은 제 2 그루브(115)에 끼워져서 배치되며, 그 내주면(112)은 경사 회전축(22)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 2 회전부재(40)의 중공부(43)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경사 회전축(22)이 제 2 회전부재(40)의 중공부(43)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면 경사 회전축(22)의 하단부는 제 2 회전부재(40)와 접촉되지 않은 채로 제 2 베어링(110)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 3 베어링(120)은 제 2 회전부재(40)의 중공부(43)의 상단에 배치되어 경사 회전축(22)의 상단이 제 2 회전부재(40)와 접촉되지 않은 채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 3 베어링(120)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그 외경이 제 2 회전부재(40)의 중공부(43)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서 상기 중공부(43)의 상단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3 베어링(120)은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이루어져서 자체적으로 오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 회전축(22)이 제 3 베어링(12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내지 제 3 베어링(100)(110)(120)에 의해 경사 회전축(22)과 제 1 회전부재(30)는 제 2 회전부재(40)에 대해 회전 마찰저항 없이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축 회전구조를 구비한 워블링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워블링 장치가 레벨링 위치와 워블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5의 "A" 부분과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워블링 장치(20)가 레벨링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경사 회전축(22)의 돌출핀(54)이 레벨링 핀(52)에 걸려지게 되며(도 3 참조), 이러한 레벨링 위치에서는 제 1 회전부재(30)의 제 1 경사면(31)의 하단부(31b)는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의 하단부(41b)에 맞닿아서 제 2 회전부재(40)의 상단면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80)와 세탁판(60)은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90)에 의해 제 2 회전부재(40)에 구속된 지지부재(80)와 세탁판(60)은 제 2 회전부재(4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워블링 장치(20)의 세탁판(60)이 레벨링 위치에서 회전하는 탈수행정이 완료되면 헹굼과정을 거쳐서 다시 세탁판(60)이 워블링 위치에서 회전됨이 없이 상하로 요동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워블링 장치(20)가 도 5와 같은 레벨링 위치에서 도 6과 같은 워블링 위치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경사 회전축(22)의 돌출핀(54)이 레벨링 핀(52)에 맞닿은 상태에서 워블링 핀(53)에 맞닿은 상태로 전환되도록 경사 회전축(22)이 대략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정도로 회전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 회전축(22)의 돌출핀(54)이 레벨링 핀(52)에 맞닿은 상태에서 워블링 핀(53)을 향해 회전하게 될 때는 도 7과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회전축(22)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각각 제 2 회전부재(40)의 중공부(43)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배치된 제 2 베어링(110)과 제 3 베어링(120)에 접촉한 채로 회전저항 없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부재(30)는 제 1 베어링(100)에 의해 제 1 회전부재(30)의 제 1 경사면(31)이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에 접촉하지 않아서 회전저항 없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회전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제 1 회전부재(30)의 제 1 경사면(31)의 상단부(31a)가 제 2 회전부재(40)의 제 2 경사면(41)의 하단부(41b)에 배치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부재(40)와 지지부재(80)의 상단면은 워블링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80)의 외면에 결합된 세탁판(60)도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클러치(90)에 의해 지지부재(80)는 제 2 회전부재(40)와 연결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사 회전축(22)과 제 2 회전부재(4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 세탁판(60)이 경사 회전축(22)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회전됨이 없이 일정 진폭으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요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워블링 장치(20)가 워블링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다시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레벨링 위치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지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판을 워블링시키는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워블링 세탁기는 워블링 위치에서 레벨링 위치로, 그리고 레벨링 위치에서 워블링 위치로 전환될 때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경사 회전축과 제 1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회전저항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워블링 장치의 전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장기간 사용하게 되어도 경사 회전축과 제 2 회전부재 사이에서, 그리고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 사이에서 마모나 소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세탁축과, 상기 세탁축과 결합되며 워블링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워블링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워블링 장치는, 상기 세탁축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배치되는 경사 회전축; 상기 세탁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세탁축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경사면이 마련된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1 회전부재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과 상응하는 제 2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경사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가진 제 2 회전부재;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워블링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레벨링되는 세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과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 사이에는 제 1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제 1 경사면에 마련된 제 1 그루브에 설치되어 그 상부면이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루브는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제 1 그루브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상의 니들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회전축이 관통되는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중공부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각각 제 2 베어링과 제 3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재에 대한 상기 경사 회전축의 상대적인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제 2 경사면에서 상기 중공부의 주위에 마련된 제 2 그루브에 설치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경사 회전축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은 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베어링은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중공부에 압입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경사 회전축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3-0007317A 2003-02-06 2003-02-06 세탁기 KR10046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317A KR100461873B1 (ko) 2003-02-06 2003-02-06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317A KR100461873B1 (ko) 2003-02-06 2003-02-0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379A KR20040071379A (ko) 2004-08-12
KR100461873B1 true KR100461873B1 (ko) 2004-12-18

Family

ID=3735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317A KR100461873B1 (ko) 2003-02-06 2003-02-0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8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004A (en) * 1981-07-31 1984-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Wobble washer
KR860007410A (ko) * 1985-03-08 1986-10-13 한순윤 일조식(一槽式) 탈수세탁기의 구동장치
JPH07323176A (ja) * 1994-02-22 1995-12-12 Whirlpool Corp 竪軸型洗濯機での洗濯方法
KR20040058726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40058724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004A (en) * 1981-07-31 1984-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Wobble washer
KR860007410A (ko) * 1985-03-08 1986-10-13 한순윤 일조식(一槽式) 탈수세탁기의 구동장치
JPH07323176A (ja) * 1994-02-22 1995-12-12 Whirlpool Corp 竪軸型洗濯機での洗濯方法
KR20040058726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40058724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379A (ko)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899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유닛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0444489Y1 (ko) 드럼세탁기용 실링부재, 드럼세탁기용 스파이더 및 이를이용한 드럼세탁기의 실링구조
JP2021508564A (ja) 洗浄機器及び洗浄水の吐出方法
KR100461873B1 (ko) 세탁기
JP4057375B2 (ja) 洗濯機
KR100765273B1 (ko) 드럼세탁기의 리프터
JP4057374B2 (ja) 洗濯機
JP2002113285A (ja) 洗濯機
JPH114990A (ja) 水平運動をする洗濯板を有する洗濯機
KR100461872B1 (ko) 세탁기
JP3939288B2 (ja) 洗濯機
JP2004209210A (ja) 洗濯機
KR100622158B1 (ko) 세탁기의 교반익
KR100400570B1 (ko) 직결식 세탁기
KR100493307B1 (ko) 세탁기
SU1498851A1 (ru) Диафрагма бака центрифуги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дл герметизации свободно вращающегос вала
KR200217379Y1 (ko) 세탁 조 드럼의 흔들림 방지 앵커
KR100451858B1 (ko) 세탁기
KR20040058726A (ko) 세탁기
KR100370011B1 (ko) 드럼세탁기
CN101086108B (zh) 波轮摇摆式洗衣机摇摆装置的水封结构
KR19980054823U (ko) 세탁기
KR19990068964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구조
JPH035197B2 (ko)
KR20050088612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