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064B1 -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 Google Patents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064B1
KR100348064B1 KR1019970042334A KR19970042334A KR100348064B1 KR 100348064 B1 KR100348064 B1 KR 100348064B1 KR 1019970042334 A KR1019970042334 A KR 1019970042334A KR 19970042334 A KR19970042334 A KR 19970042334A KR 100348064 B1 KR100348064 B1 KR 10034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couple
temperature
lead
thickness
thermal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037A (ko
Inventor
서영근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7004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0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27Taphole forming equipment, e.g. boring machines, pierc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개수를 위하여 노내에 잔류되어 있는 용융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노저 연와에 임시로 개공하는 노저 출선작업시 출선 개공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고로 노저 출선 개공 위치 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로 노저 출선작업시 노저 출선을 위한 개공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고로 노심부에 삽입 설치한 2개의 열전대를 사용하여 화입후 최고온도 및 현재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각의 열전대에 대하여 잔존 연와두께와 응고층두께를 계산하여 노저 출선 개공위치를 산정하고, 상기 개공위치의 차이가 일정값(0.5m) 이하이면 양자의 개공위치의 평균값을 노저 출선 개공위치로 선정하고, 일정값 이상이면 양자중 작은 값을 개공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로 노저 출선 개공 위치 선정방법
본 발명은 고로 개수를 위하여 노내에 잔류되어 있는 용융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노저 연와에 임시로 개공 하는 노저 출선작업시 출선 개공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고로 노저 출선 개공 위치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의 노저 출선은 고로 개수를 위하여 노저 연와에 임시로 개공 하여 노내에 잔류되어 있는 용융물을 배출시키는작업으로, 노내에 잔류되어 있는 용융물을 최대한 배출하여 개수작업시의 발파 해체물량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개수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저 출선의 작업공정은 노저의 잔류 용융물의 바닥위치 즉, 연와 침식위치를 추정하여 노저 연와의 개공위치를 선정한 후 산소 토치방식으로 노저 연와의 철피 외면에서부터 용융물이 있는 위치까지 개공 하여 노내 용융물이 노외로 배출되게 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잔류하는 용융물의 물량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개공위치를 노저 용융물의 바닥위치를 정확하게 산정하여 이 위치로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 실제 용융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개공 하여 용융물을 배출시키면 개공한 위치만큼 용융물이 노내에 잔류하여 다량의응고된 용융물이 발생하여 개수작업시 발파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종래에는 노저출선의 개공위치를 선정하기 위하여 노저 중심부에 설치된 열전대 온도를 사용하여 잔존연와 두께 및 응고층 두께를 추정하고 이를 고려하여 개공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잔존 연와두께 및 응고층두께를 추정하는 방법은 일본 공개 특허공보 소 56-163220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다.
먼저 잔존 연와두께의 계산은 다음 수학식 1, 2에 의해서 계산된다.
Lr=(Tp-T2)/(T2-T1)*L12 (Lr〉L2)
Lr=(Tp-T2)/(T2-T1)*L12/K1-L1/K1}*K2 (Lr〈L2)
상기 수학식 1, 2에서 Lr은 잔존 연와두께, Tp는 가동면의 온도, T1 및 T2는 각각 열전대1, 2의 온도, L12는 열전대1과열전대2사이의 거리, K1은 연와1의 열전도도, L1은 냉각관에서 열전대까지의 거리, L2는 열전대와 연와 1과 2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응고층두께는 다음 수학식 3, 4에 의해서 계산된다.
Ls={(Tp-T2)/(T2-T1)*L12-Lr} (Lr〉L2)
Ls={(Tp-T2)/(T2-T1)*L12/K1-L1/K1-Lr/K2}*Ks (Lr〉L2)
상기 수학식 3, 4에서 Ls는 응고층두께, K2는 연와 2의 열전도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노저 출선 개공위치는 다음 수학식 5, 6에 의해서 구해진다.
Lp=L1+L2+Lr (Lr〉L2)
Lp=L1+L2+Lr+Ls (Lr〈L2)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 개공위치 선정을 위한 잔존 연와두께 및 응고층두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열전대의 온도가 입력자료로 활용되나, 고로를 개수하게 되는 노 말기가 되면 노저 바닥 중심에 설치된 열전대가 열부하를 받아서 접점부위의 단락 등으로 열전대의 온도가 정확하게 검지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노중심부에 있는 열전대는고로건설시에 한 번 설치하고 나면 보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로 개수시에 노저 출선을 위한 잔존 연와두께 및 응고층두께를 추정하는데 심각한 문제가 되며 정확한 개공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손상된 열전대 온도의 오차로 인하여 잘못된 개공위치를 선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열전대의 일부가 손상되어 정확한 열전대의 온도가 검지 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개공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고로 노저 출선 개공위치 선정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고로 노저 출선작업시 노저 출선을 위한 개공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고로 노심부에삽입 설치한 2개의 열전대를 사용하여 화입후 최고온도 및 현재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각의 열전대에 대하여 잔존연와두께와 응고층두께를 계산하여 노저 출선 개공위치를 산정하고, 상기 개공위치의 차이가 일정값(0.5m) 이하이면 양자의개공위치의 평균값을 노저 출선 개공위치로 선정하고, 일정값 이상이면 양자중 작은 값을 개공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저 출선 개공 위치 선정방법의 개략도,
도 2는 개공 위치 추정을 위한 노저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공 위치 선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노저 2: 연와1
3: 연와2 4: 열전대1
5: 열전대2 6: 냉각관
Lr: 잔존 연와두께 Ls: 응고층두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고로 노저 출선 개공위치 선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노저 출선시 개공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개공위치 추정을 위한 노저 개략도이며,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개공위치 선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첫 단계로 도 1에 나타낸 열전대1(4)과 열전대2(5)를 사용하여 화입후 최고온도 및 현재온도를 측정한다.
둘째 단계로서 각 열전대(4, 5)의 온도에 대하여 잔존 연와두께를 각각 계산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저(1)에 열전대(4, 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잔존 연와두께는 다음 수학식 7, 8에 의해 계산된다.
Lr=(Tp-Tm)/(Tm-Twb)*K1*(L1/K1+1/Hb) (Lr≤L2)
Lr=Lr 0 +L2={(Tp-Tm)/(Tm-Twb)*(L1/K1+1/Hb)-L2/K1}*K2+L2=(Tp-Tm)/(Tm-
Twb)*K2*(L1/K1+1/Hb-L2/K1)+L2 (Lr〉L2)
상기 수학식 7, 8에서 K1, K2는 연와1(2), 연와2(3)의 열전도도, L1, L2는 노저 냉각관(6)에서 열전대(4, 5)사이의 거리,열전대(4, 5)와 연와1(2)과 연와2(3)의 경계면까지의 거리, Tp, Tm, Twb는 가동면의 온도, 열전대(4, 5)의 화입후 최고온도, 냉각관(6) 냉각수의 온도, Lr은 잔존 연와두께를 나타낸다.
셋째 단계로서 열전대(4, 5)의 현재온도를 사용하여 응고층두께를 다음 수학식 9, 10에 의해 구한다.
Ls=(Tp-Tm)/(Tm-Twb)*Ks*(L1/K1+1/Hb)-(Ks/K1)Lr (Lr≤L2)
Ls={(Tp-Tm)/(Tm-Twb)*(L1/K1+1/Hb)-L2/K1-Lr 0 /K2}*K2 (Lr〉L2)
상기 수학식 9, 10에서 Ls는 응고층두께, Ks는 응고층의 열전도도, Tc는 열전대(4, 5)의 현재온도를 나타낸다.
넷째 단계로서 노저 출선의 개공위치를 다음 수학식 11, 12와 같이 결정한다.
Lp=L1+Lr+Ls (Lr〈L2)
Lp=L1+L2+Lr+Ls (Lr〉L2)
마지막 단계로서 노저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는 열전대1(4)과 열전대2(5)에 대하여 상기의 첫째 단계부터 넷째 단계까지수행하여 얻은 노저출선의 개공위치를 Lp1, Lp2라고 각각 표시하고 노저출선시 선정할 개공위치를 다음 수학식 13, 14에의해 구한다.
Lp=(Lp1+Lp2)/2
Lp=min(Lp1, Lp2)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내용적이 2500m3인 고로에 노저 출선의 개공위치의 선정을 실시하였다.
노저 바닥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는 열전대의 위치 및 온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물성치 및 냉각조건은 하기 표 2에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노저 출선의 개공위치를 산정한다.
먼저 열전대1에 대하여 잔존 연와두께는 상기 수학식 7에 의하여 Lr은 2.608m로서 1.6m인 L2보다 크므로, 상기 수학식 8에 의하여 Lr은 0.202m로서 구해진다.
한편, 응고층두께는 상기 수학식 10에 의하여 0.111m로 구해진다.
따라서, 열전대1에 의한 노저 출선 개공위치는 상기 수학식 12에 의해 3.113m로 된다.
다음으로 열전대2에 대하여 잔존 연와두께를 상기 수학식 7에 의하여 구하면 Lr은 2.97m로 1.0m인 L2보다 크므로 다시 수학식 8을 적용하면 Lr은 0.394m로 구해진다.
한편, 응고층두께는 상기 수학식 10에 의하여 0.138m로 구해진다.
따라서, 열전대2에 의한 노저 출선 개공위치는 상기 수학식 12에 의해 3.332m로 된다.
마지막으로 열전대1과 열전대2에 의한 개공위치의 차가 0.5m 미만이므로 상기 수학식 14에 의하여 노저 출선 개공위치는3.222m로 된다.
다음에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종래의 방법에 따른 계산을 해보면, 잔존 연와두께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Lr은 7.31m가 되고 1.0m인 L2보다 크므로 다시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면 1.383m가 된다.
한편, 응고층두께는 상기 수학식 4에 의해 0.219m가 되고 노저 출선의 개공위치는 상기 수학식 6에 의해 4.402m로 구해진다.
실제 고로 개수시에 측정한 노저 출선의 개공위치는 3.158m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보다 정확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로 노저 출선 개공 위치 선정방법을 사용하면, 열전대의 일부가 손상되어 정확하게온도가 검지 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개공위치를 선정할 수 있어, 노저 출선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고로 개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로 노저 출선작업시 노저 출선을 위한 개공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고로 노심부에 삽입 설치한 2개의 열전대를 사용하여 화입후 최고온도 및 현재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각의 열전대에 대하여 (용선과 연와 접촉면 온도-열전대 온도)/(열전대 온도- 냉각수 온도)*하부층 연와 열전도도*(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연와 열전도도+1/냉각관 열전달계수)의 식과 (용선과 연와 접촉면 온도-열전대 온도)/(열전대 온도-냉각수 온도)*상부층 연와 열전도도*(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연와 열전도도+1/냉각관 열전달계수-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연와 열전도도)+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의 식에 의하여 잔존연와두께를 계산하고, (용선과 연와 접촉면 온도-열전대 온도)/(열전대 온도-냉각수 온도)*응고층 열전도도*(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연와 열전도도+1/냉각관 열전달계수)-(응고층 열전도도/하부층 연와 열전도도)잔존연와두께의 식과 {(용선과 연와 접촉면 온도-열전대 온도)/(열전대 온도-냉각수 온도)*(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연와 열전도도+1/냉각관 열전달계수)-냉각관에서 열전대 사이의 두께/연와 열전도도-상부층 연와두께/상부층 연와 열전도도}*응고층 열전도도의 식에 의하여 응고층두께를 계산한 후 노저출선 개공위치를 산정하며, 상기 개공위치의 차이가 일정값(0.5m) 이하이면 양자의 개공위치의 평균값을 노저 출선 개공위치로 선정하고, 일정값 이상이면 작은 값을 개공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저 출선 개공 위치 선정방법.
KR1019970042334A 1997-08-29 1997-08-29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KR10034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334A KR100348064B1 (ko) 1997-08-29 1997-08-29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334A KR100348064B1 (ko) 1997-08-29 1997-08-29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37A KR19990019037A (ko) 1999-03-15
KR100348064B1 true KR100348064B1 (ko) 2002-10-25

Family

ID=3748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334A KR100348064B1 (ko) 1997-08-29 1997-08-29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45B1 (ko) 2002-12-27 2010-02-1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노저부 연와 두께 추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92B1 (ko) * 2008-08-08 2010-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쇽 업쇼바의 마운팅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45B1 (ko) 2002-12-27 2010-02-1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노저부 연와 두께 추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37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9164B2 (ja) 高炉炉底状況の推定および予測方法
KR100348064B1 (ko) 고로노저출선개공위치선정방법
JP5395000B2 (ja) 溶融鋳造耐火物の残厚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Barral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transient heat transfer in a blast furnace main trough during its complete campaign cycle
US5981917A (en) Ladle preheat indication system
JP4119620B2 (ja) 高炉の炉内状況推定方法
KR101119006B1 (ko) 열연강판의 냉각온도 제어방법
KR102531803B1 (ko) 용광로의 내화물 라이닝의 마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JPH0894264A (ja) 電気炉の耐火物残厚検知方法
Barral et al. Transient thermal response with nonlocal radiation of a blast furnace main trough
JP4081248B2 (ja) 高炉下部の制御方法
JPH10273708A (ja) 高炉炉底状況の推定方法
JPS58145344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短辺のテ−パ量制御方法
JP5073269B2 (ja) Rh装置の鉄皮冷却方法
JP4195539B2 (ja) 高炉炉底湯流れ検知方法
KR100992372B1 (ko) 바 쿨러를 사용하는 압연 공정을 위한 온도 계산 장치 및 방법
JP7448101B1 (ja) 高炉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7156550B2 (ja) 転炉吹錬制御方法及び転炉吹錬制御システム
JP2694847B2 (ja) アルミニウム溶解炉での溶湯温度測定方法
KR100941845B1 (ko) 고로 노저부 연와 두께 추정 방법
JP2530059Y2 (ja) 直流アーク炉の炉壁電極
KR20230078332A (ko) 온도 예측을 통한 연주 슬라브 등급 판정방법
JPH08261843A (ja) 溶融物の温度の測定方法
JPH07158848A (ja) 自己診断機能付きガス燃焼機器
KR20220089480A (ko) 고로의 용선 온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