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718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718B1
KR100346718B1 KR1019990066010A KR19990066010A KR100346718B1 KR 100346718 B1 KR100346718 B1 KR 100346718B1 KR 1019990066010 A KR1019990066010 A KR 1019990066010A KR 19990066010 A KR19990066010 A KR 19990066010A KR 100346718 B1 KR100346718 B1 KR 10034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squeeze roller
roller
drip line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8656A (ko
Inventor
장기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7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은, 현상롤러를 하강시키고 감광벨트를 1회전시킴으로써 그 현상롤러와 감광벨트 간의 현상갭을 벌려서 그 안에 고여있던 현상액을 하방으로 떨어뜨리는 이격단계와, 감광벨트에 대한 스퀴즈롤러의 압착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스퀴즈롤러를 감광벨트의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퀴즈롤러 입측에서 감광벨트에 남아 있던 현상액을 쓸어내는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드립라인 제거방법에 의하면, 이격단계에서 일차로 드립라인의 볼륨을 줄여놓기 때문에 제거단계를 위해 감광벨트 상에서 확보해야 하는 필요길이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감광벨트 자체의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감광벨트가 순환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프린터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Drip-line removing method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감광벨트에서 드립라인 제거동작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를 주행하는 감광벨트(30)에 소정 이미지를 현상하는 현상유닛(20)과, 상기 감광벨트(30)에 현상된 이미지를 용지(1)에 전사하는 전사유닛(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현상유닛(20)은 레이저스캐너(15)에 의해 감광벨트(30)에 형성된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소정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감광벨트(30)와 약 0.15mm의 현상갭(G)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공급되는 현상액이 현상갭(G) 속에 머물면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하는 현상롤러(21)와, 그 현상롤러(21) 후단에서 감광벨트(30)를 압착함으로써 현상에 기여하지 못한 여분의 현상액을 짜내는 스퀴즈롤러(2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인쇄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현상유닛(20)에서는 감광벨트(30)에 원하는 이미지를 현상하고, 현상된 이미지는 다시 상기 전사유닛(10)을 통과하면서 용지(1)에 전사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현상유닛(20)의 스퀴즈롤러(22)는 상기 감광벨트(30)를 압착하여 여분의 현상액을 계속 짜내게 된다. 도면의 참조부호 23은 현상백업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스퀴즈백업롤러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25는 상기 현상롤러(21)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현상액을 하방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그 현상롤러(21)에 밀착되는 제1블레이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6은 후술하게 될 드립라인 제거시에 상기 스퀴즈롤러(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현상액을 제거하는 제2블레이드를 나타낸다.
그런데 인쇄작업이 종료되더라도, 상기 감광벨트(30)에는 상기 현상롤러(21)와 스퀴즈롤러(22)의 사이 구간에 현상액이 정체되어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체된 현상액을 통상 드립라인(drip line;D)이라 칭하며, 이 드립라인(D)을 인쇄 종료시 마다 제거해내야만 선명한 화질의 이미지를 계속 현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드립라인(D)을 제거하였다.
일단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도 2와 같이 현상롤러(21)가 현상갭(G)을 유지하고 있으며 스퀴즈롤러(22)로 감광벨트(30)를 약 20kgf 정도의 힘으로 압착하고 있다. 이후 현상이 종료되어 마지막 화상(I)이 스퀴즈롤러(22)를 통과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21)를 감광벨트(30)에서 4mm 정도 이격시키고 동시에 감광벨트(30)에 대한 스퀴즈롤러(22)의 압착력을 약 5kgf 정도로 감소시킨 다음, 스퀴즈롤러(2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광벨트(30)와의 사이에 정체되어 있던 드립라인(D)을 쓸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블레이드(26)는 상기 스퀴즈롤러(22)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도 4와 같이 스퀴즈롤러(22)를 감광벨트(30)와 완전히 떨어지도록 하강시킨 후, 다음 인쇄명령이 있을 때까지 인쇄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여기서 상기 스퀴즈롤러(22)와 현상롤러(21)를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8-47537호(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롤러 승강장치)등에서 자세히 개시한 바 있다.
한편, 참조부호 S는 감광벨트(30)를 무한궤도로 만들기 위해 그 양단을 서로 접합한 시임(seam)부를 나타내며, 상기 드립라인 제거동작은 이 시임부(S) 바로 앞의 영역에서 수행된다. 왜냐하면, 상기 감광벨트(30)상에는 통상 전장(全長)에 걸쳐 3∼4매의 화상을 현상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그 중 이 시임부(S) 근처는 어차피 화상을 현상할 수 없는 비화상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한 드립라인 제거동작은 감광벨트(30)와 스퀴즈롤러(22)가 상호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마찰을 일으킴에 따라 감광벨트(30)의 표면층에 마모 손상을 줄 수 있는 작업이기 때문에, 가장 피해가 적은 이 시임부(S) 근처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시임부(S) 바로 위에서 스퀴즈롤러(22)를 역회전시키면, 쓸려나가던 현상액이 시임부(S)의 이음매 틈새에 끼여있다가 다음 현상 및 인쇄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시임부(S) 바로 앞에서 제거작업을 수행하고 끝내는 것이다. 시임부(S) 근처에는 소정 센서로 감지할 수 있는 마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주행하는 감광벨트(30)에서 시임부(S)의 위치를 계속 추적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드립라인(D)을 제거하게 되면, 드립라인(D) 제거동작을 위해 감광벨트(30)에 확보되어야 하는 길이가 최소한 상기 현상롤러(21)에서 스퀴즈롤러(22) 까지의 거리는 되어야 한다. 즉, 스퀴즈롤러(22)를 역회전시켜서 드립라인 제거동작을 시작하려고 할 때 상기 드립라인(D)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롤러(21)에서 스퀴즈롤러(22) 까지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그 만큼의 거리는 스퀴즈롤러(22)가 쓸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지 드립라인(D) 제거만을 위해 상기와 같은 영역이 감광벨트(30)에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것이 감광벨트(30)를 크게 만드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감광벨트(30)의 제조원가도 높아지며, 그를 순환주행시키기 위한 프린터 내부의 공간도 커지는 단점이 생긴다. 따라서, 감광벨트에서 드립라인 제거를 위한 영역을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드립라인 제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보다 감광벨트에서 드립라인 제거동작에 필요한 영역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드립라인 제거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라인 제거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 내지 도 8의 드립라인 제거과정을 정리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용지 10...전사유닛
15...레이저 스캐너 20...현상유닛
21...현상롤러 22...스퀴즈롤러
23...현상백업롤러 24...스퀴즈백업롤러
25...제1블레이드 26...제2블레이드
30...감광벨트 D...드립라인
S...시임(seam)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상작업 종료 후 현상롤러와 스퀴즈롤러 사이 구간에서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를 하강시키고 감광벨트를 1회전시킴으로써 그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벨트 간의 현상갭을 벌려서 그 안에 고여있던 현상액을 하방으로 떨어뜨리는 이격단계와, 상기 감광벨트에 대한 상기 스퀴즈롤러의 압착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감광벨트의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퀴즈롤러 입측에서 상기 감광벨트에 남아 있던 현상액을 쓸어내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하기로 한다.
도 5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라인 제거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는 시임부(S) 직전에 감광벨트(30)에 현상된 화상(I)이 스퀴즈롤러(22)를 막 통과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에는 아직 현상모드 중이므로 현상롤러(21)는 0.15mm의 현상갭(G)을 유지하고 있고, 스퀴즈롤러(22)도 약 20kgf정도의 힘으로 감광벨트(30)를 압착하고 있다.
이후 화상(I)이 스퀴즈롤러(22)를 지나가면, 일단 현상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21)를 하강시켜서 감광벨트(30)에서 약 4mm 정도 이격시킨다. 이렇게 되면 0.15mm의 현상갭(G) 안에 고여 있던 현상액은 표면장력이 파괴되어 더 이상 머무르지 못하고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결국 드립라인(D) 중 현상갭(G)에 남아 있던 현상액은 이 단계에서 먼저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스퀴즈롤러(22)는 아직 감광벨트(30)를 압착한 채 그 주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다음 단계에서 스퀴즈롤러(22)를 역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시임부(S) 근처가 돌아와야 하므로 감광벨트(30)가 한 바퀴 돌아서 시임부(S)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이어서 감광벨트(30)가 1회전하여 도 7과 같이 시임부(S)가 스퀴즈롤러(22) 측으로 돌아오면, 도 5에서의 화상(I)이 현상되었던 영역이 스퀴즈롤러(22)를 통과한 직후에 스퀴즈롤러(22)의 압착력을 20kgf에서 5kgf 정도로 감압한다. 동시에 상기 제2블레이드(25)를 스퀴즈롤러(22)에 밀착시키고, 스퀴즈롤러(22)를감광벨트(30)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드립라인(D)이 쓸려나가며 감광벨트(30)에서 제거되는데, 이때의 드립라인은 전술한 현상롤러(21) 하강 단계에서 대부분 제거되어 스퀴즈롤러(22) 입측에만 소량의 현상액이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종래보다 감광벨트(30)를 쓸어내야 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퀴즈롤러(22) 역회전동작은 시임부(S)가 스퀴즈롤러(22)에 도달하기 전에 종료하므로, 결과적으로 시임부(S) 앞에 드립라인 제거동작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길이가 종래보다 작아지는 것이다. 한편, 드립라인(D)을 쓸어내는 스퀴즈롤러(22)의 역회전 속도는 감광벨트(30)의 주행속도 보다 빠른 것이 효과적인데, 선속도로 감광벨트(30) 주행속도의 3배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드립라인(D)을 제거한 후에는, 도 8과 같이 스퀴즈롤러(22)를 감광벨트(30)에서 이격시키고 제2블레이드(25)도 스퀴즈롤러(22)에서 이격시킨 다음 인쇄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플로우 챠트로 정리하면 도 9와 같다.
즉, 감광벨트(30)의 시임부(S) 직전에 형성된 화상(I)이 스퀴즈롤러(22)를 통과하면(S1), 이후 감광벨트(30)가 1회전 하는 동안 상기 현상롤러(21)를 감광벨트(30)로부터 약 4mm 정도 하강시켜서 드립라인(D) 중 현상갭(G)에 고여있던 현상액을 하방으로 떨어뜨려 제거한다(S2). 이어서 감광벨트(30)가 1회전하여 상기 화상(I)이 형성되었던 영역이 다시 스퀴즈롤러(22)를 통과하면(S3), 감광벨트(30)에 대한 스퀴즈롤러(22)의 압착력을 20kgf에서 5kgf 정도로 감압하고 동시에 스퀴즈롤러(22)를 역회전시켜 그 입측에 남아있던 드립라인을 쓸어낸다. 이때 제2블레이드(25)는 스퀴즈롤러(22)에 밀착된다(S4). 그리고 시임부(S)가 스퀴즈롤러(22)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와 같은 드립라인 제거동작을 마치고 스퀴즈롤러(22)를 하강시켜서 감광벨트(30)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25)도 스퀴즈롤러(22)에서 이격된다(S5).
그러므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드립라인을 제거하게 되면, 현상롤러(21)의 하강단계에서 이미 드립라인(D)의 현상액 볼륨을 많이 줄여놓기 때문에 스퀴즈롤러(22)의 역회전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감광벨트(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에 의하면, 드립라인 제거동작을 위해 감광벨트 상에서 확보해야 하는 필요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감광벨트 자체의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라 감광벨트가 순환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프린터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현상작업 종료 후 현상롤러와 스퀴즈롤러 사이 구간에서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를 하강시키고 감광벨트를 1회전시킴으로써 그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벨트 간의 현상갭을 벌려서 그 안에 고여있던 현상액을 하방으로 떨어뜨리는 이격단계와,
    상기 감광벨트에 대한 상기 스퀴즈롤러의 압착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퀴즈롤러를 상기 감광벨트의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퀴즈롤러 입측에서 상기 감광벨트에 남아 있던 현상액을 쓸어내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단계는 상기 감광벨트의 시임부 직전에 형성된 화상이 상기 스퀴즈롤러를 통과한 후 즉시 수행되고,
    상기 제거단계는 상기 감광벨트가 1회전하여 상기 시임부 직전의 화상이 형성되었던 영역이 다시 상기 스퀴즈롤러를 통과한 후 시작되어 상기 시임부가 스퀴즈롤러에 진입되기 전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에서의 상기 스퀴즈롤러의 역회전시 그 선속도는 감광벨트 주행속도의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KR1019990066010A 1999-12-30 1999-12-30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KR10034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010A KR100346718B1 (ko) 1999-12-30 1999-12-30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010A KR100346718B1 (ko) 1999-12-30 1999-12-30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656A KR20010058656A (ko) 2001-07-06
KR100346718B1 true KR100346718B1 (ko) 2002-08-03

Family

ID=1963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010A KR100346718B1 (ko) 1999-12-30 1999-12-30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7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656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71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라인 제거방법
EP0837375B1 (en) Prevention of excess liquid toner contamination in the formation of electrophotographic images
JP2006053177A (ja)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904773B2 (ja) レーザープリンタ用ローラー離隔装置
KR100524062B1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KR100219654B1 (ko)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조립체
JP3056734B2 (ja) 湿式印刷機用現像液除去装置
KR100561456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크리닝방법
KR200160901Y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조립체
KR10037020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용 감광벨트
KR10023032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4082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JPH06250558A (ja) 定着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装置のリトラクトシステム
JP2944633B1 (ja) 現像装置
KR20000009242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드립 라인 제거방법
KR100346697B1 (ko) 습식인쇄기의 스퀴즈롤러 지지구조체 및 현상액 크리닝방법
KR100370215B1 (ko) 습식 인쇄기용 감광벨트의 훼손 감지장치
KR100358093B1 (ko)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KR20000051024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스퀴즈 롤러 크리닝장치
JPH0623897B2 (ja) スクイ−ズ装置
JP3734305B2 (ja) 定着装置
KR100338758B1 (ko) 습식 인쇄기의 스퀴지롤러 크리닝장치
KR100346706B1 (ko) 습식 인쇄기의 스퀴즈롤러 지지 구조체
JPH06130824A (ja) 液体現像装置
KR100261091B1 (ko) 습식현상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