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268B1 -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268B1
KR100346268B1 KR1019990053826A KR19990053826A KR100346268B1 KR 100346268 B1 KR100346268 B1 KR 100346268B1 KR 1019990053826 A KR1019990053826 A KR 1019990053826A KR 19990053826 A KR19990053826 A KR 19990053826A KR 100346268 B1 KR100346268 B1 KR 10034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data bus
central processing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942A (ko
Inventor
박종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2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7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using bus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중앙처리장치부가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중앙처리장치부와 메모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읽기/쓰기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를 전달하는 디코더/콘트롤 로직부 및 중앙처리장치부와 메모리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중앙처리장치부가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제어하는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부와, 데이터 래치부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중앙처리장치부가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며, 데이터 래치부는 양방향 32 비트 래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32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중앙처리장치부와 8/16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메모리부와의 접속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버스 폭과 무관하게 한 번의 버스 사이클로 32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Data bus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버스 제어(Data Bus Contro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2 비트(bit)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중앙처리장치부와 8/16 비트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메모리(memory)부와의 접속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버스 폭과 무관하게 한 번의 버스 사이클(cycle)로 32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버스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부와 메모리부 간의 데이터 전송시의 제어 신호 타이밍(timing)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101)와, 그 중앙처리장치부(101)가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는 메모리부 (102)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와 상기 메모리부(102)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읽기/쓰기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address) 정보를 전달하는 디코더/콘트롤 로직 (Decoder/Control Logic)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가 상기 메모리부(102)로부터 32 비트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경우, 먼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에서 초기 버스 동작을 알리는 /티에스(/TS) 신호를 어서트(assert)하고, 어드레스를 0으로 내보낸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0을 디코딩한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103)는 상기 메모리부(102)에 대한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 시간 후에 버스 종료 신호인 /티에이(/TA)를 어서트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가 상기 메모리부(102)로부터 32 비트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의 버스 동작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TA 신호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종료된다. 그런데, 이 신호는 상기 메모리부(102)와의 사이에 몇 바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나타내지는 않고 다만 버스 동작이 끝났다는 사실만 알려준다.
한편, 도 2의 디에이치에이치(DHH), 디엠에이치(DMH), 디엠엘(DML), 디엘엘 (DLL)의 영문은 각각 D(Data), H(High), M(Middle), L(Low)의 약자로서 데이터의 상위 비트부터 하위 비트까지 편의상 나누어 표기한 것으로서 각각 8 비트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2의 타이밍도에 /TA 신호가 로우(low)로 떨어지는 순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가 상기 메모리부(102)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가 32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지고 상기 메모리부(102)가 8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지는 경우에, 32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 번의 버스 사이클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1)의 버스 폭의 낭비와 연산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32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중앙처리장치부와 8/16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메모리부와의 접속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버스 폭과 무관하게 한 번의 버스 사이클로 32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와 메모리부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의 제어 신호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의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8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 신호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8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시 제어 신호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16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 신호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16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시 제어 신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301... 중앙처리장치부 102, 302... 메모리부
103, 303... 디코더/콘트롤 로직부 304...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
305... 데이터 래치부 306... 제어 회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읽기/쓰기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를 전달하는 디코더/콘트롤 로직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제어하는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data latch)부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래치부는 양방향 32 비트 래치로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32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중앙처리장치부와 8/16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메모리부와의 접속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버스 폭과 무관하게 한 번의 버스 사이클로 32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의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301)와, 그 중앙처리장치부(301)가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는 메모리부(30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와 상기 메모리부(302)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읽기/쓰기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를 전달하는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와 상기 메모리부 (302)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부(305)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305)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상기 메모리부(302)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306)를 구비하는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래치부 (305)는 양방향 32 비트 래치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초기에 버스 동작을 알리는 /TS 신호를 어서트하고,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는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기 (304)에 데이터 전송을 준비하라는 /DSACK 신호를 어서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는 상기 메모리부(302)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오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로 /DONE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로 /TA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데이터를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의 데이터 래치부(305)로부터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에서 상기 메모리부(302)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래치부(305)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로부터 32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메모리부(302)의 데이터 버스 폭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래치부(305)의 데이터 입출력은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의 제어 회로부(306)가 인풋/아웃풋 인에이블 제어(Input/Output Enable Control) 신호를 통하여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 회로부(306)가 상기 데이터 래치부(305)로 전송하는 바이트 선택 제어 신호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302)의 데이터 버스 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데이터 버스 폭이 8 비트인 경우에 있어서,중앙처리장치부가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동작 관계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8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 신호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8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시 제어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초기에 버스 동작을 알리는 /TS 신호를 어서트하고, 이에따라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는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에 데이터 전송을 준비하라는 /DSACK 신호를 어서트한다.
한편,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는 /DSACK 신호가 로우가 될 때, 상기 메모리부(302)로부터 DHH, DMH, DML, DLL의 총 32 비트 데이터를 네 번의 버스 사이클에 걸쳐 순차적으로 읽어 온다(DD(7:0)). 이때,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 (304)에서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로 /DONE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디코더 /콘트롤 로직부(303)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에 /TA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의 데이터 래치부(305)로부터 32 비트의 데이터를 읽어 온다(CD(31:24), CD(23:16), CD(15:8), CD(7:0)).
또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데이터 버스 폭이 16 비트인 경우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가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동작 관계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16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 및 제어 신호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가 16 비트 버스 폭을 가진 경우의 데이터 전송시 제어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초기에 버스 동작을 알리기 위하여 /TS 신호를 어서트하고,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303)는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에 데이터 전송을 준비하라는 /DSACK 신호를 어서트한다.
한편,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는 /DSACK 신호가 첫 번째 로우가 될 때 상기 메모리부(302)로부터 DHH, DMH의 16 비트 데이터를 읽어 오며, /DSACK 신호가 두 번째 로우가 될 때 상기 메모리부(302)로부터 DML, DLL의 16 비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 온다(DD(15:8), DD(7:0)).
이때,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에서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 (303)로 /DONE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디코더/콘트롤 로직부 (303)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에 /TA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부(301)가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304)의 데이터 래치부(305)로부터 32 비트의 데이터를 읽어 온다(CD(31:24), CD(23:16), CD(15:8), CD(7: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은, 32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중앙처리장치부와 8/16 비트의 데이터 버스 폭을 가진 메모리부와의 접속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버스 폭과 무관하게 한 번의 버스 사이클로 32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일정 비트의 제 1 데이터 버스폭을 가지고 데이터를 엑세스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제 1 데이터 버스와 다른 비트의 제 2 데이터 버스폭을 가지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메모리부간의 데이터 처리시, 데이터 읽기/쓰기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를 전달하는 디코더/콘트롤 로직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제 1 데이터 버스폭과 메모리부의 제 2 데이터 버스폭에 맞게 해당 비트의 데이터를 동적으로 입/출력해 주는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데이터 버스 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래치부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래치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에서 한 번의 사이클로 제 1 데이터 버스폭에 해당하는 비트 데이터를 엑세스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의 데이터 버스 사이클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하는 비트씩 순차적으로 버퍼링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버스 처리 시스템.
KR1019990053826A 1999-11-30 1999-11-30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KR10034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26A KR100346268B1 (ko) 1999-11-30 1999-11-30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26A KR100346268B1 (ko) 1999-11-30 1999-11-30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942A KR20010048942A (ko) 2001-06-15
KR100346268B1 true KR100346268B1 (ko) 2002-07-26

Family

ID=1962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826A KR100346268B1 (ko) 1999-11-30 1999-11-30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2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386A (ja) * 1996-10-15 1998-05-15 Seiko Instr Inc 携帯情報端末
JPH10228416A (ja) * 1997-02-17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
KR19980060759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컴퓨터에서의 메모리 인터페이싱 방법
JPH1131121A (ja) * 1997-07-10 1999-02-02 Yaskawa Electric Corp バス幅変換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386A (ja) * 1996-10-15 1998-05-15 Seiko Instr Inc 携帯情報端末
KR19980060759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컴퓨터에서의 메모리 인터페이싱 방법
JPH10228416A (ja) * 1997-02-17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
JPH1131121A (ja) * 1997-07-10 1999-02-02 Yaskawa Electric Corp バス幅変換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94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948B1 (ko) 제어된버스트메모리액세스기능을갖는데이타처리기및그방법
US5146582A (en)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eans to convert burst operations into memory pipelined operations
JPH06101225B2 (ja) コンピユータ・システム、コンピユータ・システム中のメモリの読取方法及び転送方法、メモリ制御の方法及びメモリ・コントローラ
US20070067580A1 (en) Memory Access Interface for a Micro-Controller System with Address/Data Multiplexing Bus
US61784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ipelined memory commands
US60947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ata rate of a clocking circuit
JPH05204820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処理システム、およびバスインタフェース
JP2007073052A (ja) 集積回路から外部メモリへのアクセス
KR900015008A (ko) 데이터 프로세서
US648424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processing multiple memory commands
KR970071302A (ko) 프로세서로부터의 프로그램가능한 판독/기록 억세스 신호 및 이 신호의 형성 방법
JPH05108484A (ja) キヤツシユメモリ
KR100346268B1 (ko) 데이터 버스 제어 시스템
KR920010977B1 (ko) 개선된 성능의 메모리 버스 아키텍쳐(memory bus architecture)
US20020188771A1 (en)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for carrying out data transfer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burst access can be utilized in an external bus and access control method thereof
EP0463352B1 (en) Microprocessor for use in in-circuit emulator having function of discriminating users space and in-circuit emulator space
KR0182644B1 (ko) 메모리의 읽기 및 쓰기제어장치
KR100243185B1 (ko) 공유 메모리를 통한 프로세서간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950000125B1 (ko) 듀얼 포트램을 이용한 at-버스와 입출력 콘트롤러 프로세서의 인터페이스 회로
JP2004087027A (ja) アクセス回路
KR0182954B1 (ko) 전송효율이 향상된 데이타 전송 제어회로
JP3242474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0184780B1 (ko) 메모리 인터페이스방법 및 장치
JPH10105457A (ja) メモリ制御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制御回路
JPH0793249A (ja) 拡張バスを有するcpuボードおよびイン・サーキット・エミ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