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144B1 - 생산설비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설비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44B1
KR100346144B1 KR1019950006946A KR19950006946A KR100346144B1 KR 100346144 B1 KR100346144 B1 KR 100346144B1 KR 1019950006946 A KR1019950006946 A KR 1019950006946A KR 19950006946 A KR19950006946 A KR 19950006946A KR 100346144 B1 KR100346144 B1 KR 10034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ontrol means
data
work machin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185A (ko
Inventor
이와모토히로시
우에야마마사토
모리모토다츠로
Original Assignee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916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08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89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26940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41/00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according to classes B21, B23, or B24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86Communication of carriage, agv data, workpiece data at each st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88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supervisor and cell, machine grou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04Identification of workpiece and data for control, inspection, safety, calib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Abstract

자동제어가능 작업기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작업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은 작업기가 지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작업기의 작동에 관한 데이타를 다른 작업스테이션과 통신하여 상기 작업기의 작동에 상기 데이타를 반영할 수 있도록 매개 작용을 하는 데이타 통신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작업편 반송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작업 스테이션에서 작업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산 설비의 자동화 추세에 따라, 재공의 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작업편에 관한 정보분리수집의 자동화 및 단순화가 더욱 요구되어지고 있다. 자동생산라인에서 작업편에 필요한 작업을 행하기 위해, 정보 수수 수단을 통해 작업 스토어와 여러 작업 스테이션사이에서 작업편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일본특허공보 No. 3-246704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술된 자동생산 제어시스템은 작업스테이션 각각에서 다수의 작업편에 대한 정보를 제어유닛이 집중적으로 제어하고, 작업기에 지령신호를 공급하여 작업기가 작업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생산라인의 제어시스템을 설계할 때 그 전체를 포괄적으로 설계해야 되고, 상기 시스템은 여러 제어유닛에 대한 회로및 플로우 챠트 설계시에 여러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생산 라인을 포괄적으로 설계한 이후 세부적으로 특정제어유닛을 설계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요하며, 제어시스템의 제조사양이 일부 변경된 때에도 제어 시스템의 전체 회로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완성된 작업편의 최대 갯수 및 균일한 재질을 얻기 위해 미리 설정된 소정 회수의 매번의 서비스마다 새 공구를 교환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중인 공구의 서비스 회수에 대한 정보 및 공구 교환에 대한 정보를 부여하는 등의 공구교환기술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으며 서비스회수를 계수하는 데에도 여러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한 시도 중의 하나는 일본특허공보 No. 6-106459에 기재되어 있다. 운송 머신 등과 같은 생산설비에 이용된 시도는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식 순차 제어 유닛에 설치된 카운터에 의해 작업스테이션에서 현재 사용중인 공구의 서비스 회수를 각각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회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구 교체에 있어서, 순차 제어 유닛은 관련 작업스테이션의 공구의 서비스회수만을 모니터한다. 따라서, 다수의 작업스테이션에서 교체되는 공구의 목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업 스테이션의 계수기들의 계수-판독-순회를 해야 했으며 이는 많은 시간을 요하는 데다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게다가, 때때로 작업스테이션에서 공구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공구 교체시마다 생산 설비의 가동이 중지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즉 이러한 시도에서는 공구교환 정보를 통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처리되어야 할 정보의 총량을 증가시키므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다른 시도는 라인순차제어유닛에 제공된 카운터에 의해 작업스테이션에서 현재 사용중인 공구의 서비스 회수를 계수하여 각 공구의 서비스의 만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공구의 고장경고시 작업스테이션의 고장 공구를 서치할 수 있고 이들을 한꺼번에 교체시킬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에서보다 데이타 제어를 통합한다는 잇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각각의 순차제어유닛에 관한 필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생산라인전체의 교체공구목록을 파악하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외에도,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의 파손에 관한 정보를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어떤 시스템도 생산라인에 준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동자가 생산제어정보 및 수선부품구입을 관리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제어유닛을 용이하게 설계함과 동시에 시스템 사양변경에 따라서 이들 부품제어유닛을 용이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작업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제어시스템상의 데이타처리부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산설비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작업편 반송라인을 따라 배치한 다수의 작업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에는 자동제어가능한 다수의 부품장치를 갖추고 있는 작업기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편에 소정 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관련 작업기를 제어하는 작업기 제어수단은 각각의 부품장치가 지정작업을 행하도록 상기 각각의 부품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품장치에 대해 교체가능한 유닛으로 형성되어 있는 터미널 제어수단과, 작업스테이션들간의 각각의 작업기의 작동에 관한 데이타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타통신 제어수단과, 상기 터미널 제어수단과 데이타통신 제어수단을 관리하는 한편 각각의 작업기의 작동에 대한 데이타를 통합하는 작동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쪽 작업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쪽 작업스테이션으로 전송된 데이타가 상기 수신쪽 작업스테이션 내의 작업기의 작동에 반영된다. 또한 상기 작동 제어수단은 상기 터미널제어수단과 데이타통신제어수단과 작동제어수단을 서로 인터페이스시키는 데이타통신라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작업편 반송라인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타통신 제어수단을 통해 전송된, 각각의 작업기의 작동조건에 관한 데이타에 의거하여 구동지령신호를 공급하며, 작업편 반송라인은 상기 신호와 함께 작업편을 반송한다.
터미널 제어수단은 관련부품장치의 기동조건의 일치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부품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부품장치에 기동지령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부품장치의 작동이상을 검출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은 각각의 터미널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타 통신라인으로 전송된 데이타에 식별 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상기 데이타 통신 제어수단은 한쪽 작업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쪽 작업스테이션에 전송된 데이타에 식별 번호를 부여한다.
상기 생산설비 제어수단은 각각의 작업기에 대한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을 관리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데이타 특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작업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작업기들의 작동에 관한 데이타를 통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기의 작동에 대한 데이타를 서로 통신하도록 데이타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작동기 제어수단에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간헐 제어수단과;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간헐 제어수단을 관리하고 상기 각각의 간헐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통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타를 서로 통신하도록 데이타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각각의 간헐 제어수단에 인터페이스되어 었는 호스트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통합 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간헐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각각의 작동기의 고유한 데이타 특성들의 데이타를 그 관련 작동기 제어수단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통합 제어수단에도 전송한다.
상기 작동에 대한 데이타는 각각의 작업기의 공구가 서비스한 작업의 회수와, 각각의 작동기의 고장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타 특성은 서비스된 작업의 회수 및 작업기의 공구가 서비스할 것으로 예측되는 미리 설정된 작업의 최종 회수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은 상기 간헐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의 미리 설정된 특성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기의 각각의 공구의 작업의 회수에 대한 데이타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통합 제어수단은 상기 간헐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미리 설정된 데이타 특성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작업기의 공구 교환에 관한 데이타를 목록화하며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생산설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작동제어수단은 작업스테이션의 작업기의 자율적 작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다른 작업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다른 작업스테이션의 작업기의 조건에 관한 정보 또는 데이타와 협동하여, 그 관련된 작업스테이션의 작업기의 기동조건을 판단한다. 또한, 각각의 작업기의 각 터미널 제어수단은 작업기의 나머지 터미널 제어수단들로부터의 데이타 또는 정보에 협동하여, 그 관련 부품요소가 기동될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기의 작업유닛의 자율적 작동을 가능케 한다.
이와함께, 주 작동 제어수단은 상기 각각의 간헐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작업 공구의 서비스 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합하므로 작동 공구교체에 관한 처리 부하를 훨씬 덜 가지게 된다. 또한, 주 작동 제어수단은 작업공구의 교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각의 간헐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정보의 통합제어에는 나쁜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 이외에도,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실제적인 작업 서비스 및 유용한 작업 서비스의 회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서비스회수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교환하여야 할 작업공구목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특성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같은 부분 및 유사부분을 표시할 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산설비 제어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생산 설비는 다수의 작업스테이션(W1, W2,···)이 배치되어 있는 작업편 반송라인(1)을 포함한다. 각각의 작업 스테이션은 운반 머신 등의 작업기를 포함한다. 작업편 반송라인(1)은 라인제어유닛(1a)에 의해 공급된 반송 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각각의 작업스테이션(W1, W2,···)은 작업기 제어수단 또는 유닛으로서 작업기의 순차 작동제어를 위하여 주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순차 제어장치(5)와, 작업 유닛(M1, M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의 블럭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기(W1)는 다수의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는 작업구가 부착된 축(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장치(6)와, 축에 부착된 공구를 새 공구로 교환하도록 공구헤드를 구동시키는 헤드 구동장치(7)와, 공구를 이동시키는 공구 구동장치(3)와, 작업편의 위치를 결정하는 작업 위치결정장치(9)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기에는 부품의 작동을 완수하는 데에 필수적인 유압 공급부, 냉각제 공급부, 구동 공기 공급부 등의 부대설비를 구동하는 부대설비 구동장치(10)가 부착되어 있다.
순차제어장치(5)는 각각의 부품장치(6-10)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축 구동제어유닛(11)과, 헤드 구동제어유닛(12)과, 공구 구동제어유닛(13)과, 작업 위치결정제어유닛(14)과 부대설비 구동제어유닛(15)을 포함하는 터미널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들 터미널 제어유닛수단(11-15)은 교체가능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순차제어장치(5)는 주 작동 제어유닛(16)과, 조작 지령신호를 상기 주 작동제어수단(16)으로 입력하는 입력제어유닛(17)과, 라인내의 네트워크(18)를 통해서 다른 작업스테이션(W2)의 순차 제어 장치(5)와 라인제어유닛(1a)사이에서의 데이타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타통신 제어유닛(19)을 포함한다. 상기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이들 각각의 터미널 제어유닛(11-15)과 데이타통신 제어유닛(19)을 관리한다. 순차제어장치(5)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부대설비를 제어하는 부대설비 제어유닛(20)과, 고장 발생시 상기 각각의 터미널제어유닛(11-15)으로 고장처리 서브루틴을 실행하는 서브루틴 제어유닛(21)과, 보조 제어유닛(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보조제어유닛(22)은 각각의 터미널 제어유닛(11-15)으로부터 주 작동 제어유닛(16)으로 전송된 데이타에 식별번호 또는 지정번호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공통 데이타 버스(23)을 통해, 각각의 제어유닛(16-22)들 사이의 데이타통신이 행해진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 제어유닛(11-16)은, 3개의 부분, 즉 기동조건 판단부(24), 기동신호출력부(25)과 고장검출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기동조건 판단부(24)는 주 작동 제어유닛(16) 및 부품장치(6-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품장치(6-10)들이 기동될 준비가 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동신호 출력부(25)는 기동조건 일치시에 각각의 부품장치(6-10)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기동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고장검출부(25)는 부품장치(6-10)의 고장 발생을 표시하는 고장신호를 주 작동 제어유닛(16)에 공급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4개의 부분, 즉 준비신호 출력부(27)와 데이타 판독부(28)와, 데이타 저장부(29)와, 데이타 기록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신호출력부(27)는 지령입력제어유닛(17)을 통해서 입력된 작동지령신호에 따라 작업기를 작동준비시키기 위해 작동지령신호를 상기 부대설비제어유닛(15)에 공급하며, 상기 작동지령신호를 받아서 상기 부대설비 구동장치(10)는부대설비를 작동시키게 된다. 데이타 판독부(28)는 다른 작업스테이션(W2,···)의 상태에 대한 데이타를 판독하고, 그에 기초하여 관련 작업스테이션(W1)의 작업기가 작동될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타 저장부(29)는 전개된 논리 신호에 공통 데이타 버스(23)의 지정번호를 부여하고, 데이타를 이 번호와 함께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데이타 기록부(30)는, 보조 제어유닛(22)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부품장치(6-1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타를 그 내부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맨(man)-머신 등으로 이루어진 지령입력 제어유닛(17)은 사용자가 이를 통해서 작업기의 자동 작동 또는 수동 작동에 대한 지령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스테이션 버스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타통신 제어유닛(19)은 3개의 부분, 즉 데이타 수신부(31)와 데이타 송신부(32)와 식별번호 부여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타 수신부(31)는 라인 내의 네트워크(18)를 통해서 다른 작업스테이션들(W2,···)의 상태에 관한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주 작동 제어유닛(9)으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타 송신부(32)는 관련 작업스테이션(W1)의 상태에 대한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를 라인내의 네트워크(18)를 통해서 다른 작업스테이션들(W2,···)에 송신한다. 상기 식별번호 부여부(33)는 데이타 송신부(32)로부터 송신된 상태 데이타에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대설비 제어유닛(20)은 2개의 부분, 즉 주 작동 제어유닛(16)으로부터 전송된 작동지령신호에 응답하여 각종 전기구동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35)와, 표시장치에 표시지령신호를 공급하는표시제어부(3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지령신호를 받아서, 부품장치(6-10)들이 작동중에 있음을 표시하는 신호 및 상기 장치들중의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서브루틴 제어유닛(21)은 부품장치(6-10)들 중의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 데이타를 소정 타이밍으로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소정 타이밍으로 통신 제어유닛부(19)를 통해서 작업스테이션들(W2,···) 및 라인제어유닛(1a)에 송신한다.
마이크로 컴퓨터에 대한 순차 제어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인 제6도 및 제7도를 재검토함으로써 제1도에 도시한 순차 제어장치(5)의 작동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작성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며, 종래 기술에 익숙한 프로그램 작성자가 마이크로 컴퓨터에 대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음 설명을 기술한다. 상기 프로그램의 특정 세부 사항은 선택된 특정 컴퓨터 구성에 따라 변경됨은 물론이다.
제6도는 부품장치 제어순차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상기 순차과정은 개시되어 S1단계의 기능블럭으로 직접 진행된다. 지령입력제어유닛(17)을 통해 주 작동 제어유닛(16)내로 작동지령신호가 입력되는 때에 상기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생산 설비의 필수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보조기기 제어유닛(20)의 전원제어부(35)로 전원-온(on) 신호를 송신한다. 동시에,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상기 부대설비 구동장치(10)가 부대설비를 구동시키도록 부대설비 제어유닛(15)으로 작동지령신호를 송신하며, 이로써 작업스테이션(W1)으로 하여금 작동을 준비하도록하게 된다. 비상정지시 또는 우발적 정지시에 상기 부품장치들을 정상 상태로 재복귀하는 과정도 S1단계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S2단계에서, 데이타 판독부(28)에서의 주 작동 제어유닛(16)을 통신제어유닛(19)으로부터 수신한 다른 작업스테이션(W2)의 상태에 대한 데이타 및 부대설비 제어유닛(15)으로부터 수신한 부대설비 구동장치(10)의 상태에 대한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들 상태 데이타를 전개하여 작업스테이션(W1)이 작동될 준비가 되었는가에 대한 판단의 근거가 되는 논리 신호를 공급한다. 다음에, S3단계에서 데이타 저장부(29)의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상기 전개된 논리 신호에 공통 데이타 버스(23)의 특수번호를 부여하고 한 사이클의 제어순차과정이 끝날 때까지 상기 논리신호를 상기 특수번호와 함께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S4단계에서, 보조 제어유닛(22)은 각각의 터미널 제어유닛(11-15)으로부터 주 작동 제어유닛(16)으로 전송된 신호에, 공통 데이타 버스(23)의 특수번호에 해당하는 식별번호들을 부여한다.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S5단계에서,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터미널 제어유닛(11-15)에 작동지령신호를 각각 부여한다. 이들 작동지령신호는 터미널 제어유닛(11-15)으로 하여금 부품장치(6-10)들을 각각 구동하도록 하므로 S6단계에서는 작업편을 자동으로 가공하거나 드릴 작업하는 등의 특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S7 단계에서, 식별번호 지정부(33)에서의 통신제어유닛(19)은 주 작동 제어유닛(16)으로부터 전송된 부품장치(6-10) 각각에 관한 작동 상태신호에 장치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다음에 작업완료 또는 부품장치(6-10)의 고장을 표시하는 상태신호를 소정 타이밍으로 다른 작업스테이션(W2)에 공급한다.
공구교환 순차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인 제7도를 참고하면, 공구교환 순차과정은 공구교환 헤드구동장치(7)를 작동시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헤드구동제어유닛(12)을 가동시키는 방식으로, 주 작동 제어유닛(16)에 의해 공급된 기동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순차루틴의 개시직후에 기동조건 판단부(24)에서의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 공구교환 헤드구동장치(7)의 서보-모터, 클램핑 액튜에이터, 클러치 등과 같은 필수 작동요소(도시하지 않음)의 상태를 판단한다. S101단계에서, 예를들면 서보-모터의 기동준비 조건을 확인하면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 S102단계에서 기동신호 출력부(25)에서의 기동신호를 서보-모터에 공급한다. S103단계에서 적절한 타이밍으로 서보-모터를 기동시킨 후에, S104 단계에서 고장검출부(26)의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 서보-모터의 작동상태를 검출한다. 이어서, S105단계에서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 서보-모터의 동작상태 또는 긴장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상기 보조 제어유닛(22)에 송신한다. 또한, S105단계에서, 보조 제어유닛(22)은 공통 데이타 버스(23)를 통해 주 작동 제어유닛(16) 및 서브루틴 제어유닛(21)으로 상기 식별번호와 함께 신호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S101단계에서, 클램핑 액튜에이터가 클램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 S106 단계에서 기동신호출력부(25)에서의 클램핑 신호를 클램핑 액튜에이터에 공급한다. S107 단계에서 적절한 타이밍으로 클램핑 액튜에이터를 기동시킨 후, 고장검출부(26)에서의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S108단계에서 클램핑 액튜에이터의 작동상태를 검출한다. 이어서, S105단계에서 헤드구동 제어유닛(12)은 클램핑 액튜에이터의 작동 상태 또는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보조 제어유닛(22)으로 송신하며, 보조 제어유닛(22)은 공통 데이타 버스(23)를 통해서 식별 번호가 부여된 상기 신호를 주 작동 제어유닛(16) 및 서브루틴 제어유닛(21)으로 송신한다.
상기 클러치에 대해서도 S101단계, S109-S111단계, S105단계를 거쳐 유사한 작동이 수행된다. 헤드구동 장치(7)가 공구 교환을 완료했을 때에, 공구교환 데이타 또는 헤드구동장치(7)의 고장 데이타는 데이타 기록부(30)에서의 주 작동 제어유닛(16)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데이타는 필요시 불러오게 되어 터미널 제어유닛(11-15) 및/또는 다른 작업스테이션(W2)으로 송신된다. 상기 작업스테이션(W1 및 W2)로부터 라인제어유닛(1a)으로 출력된 작업유닛(M1) 등의 상태 데이타에 기초하여 작업편에 대한 작업이 각각 완료된 것이 확인된 시점에서, 라인 제어유닛(1a)은 상기 작업편을 다음 작업 스테이션으로 각각 운반하기 위해 작업편 반송라인(1)에 라인구동 지령신호를 공급한다.
주 작동 제어유닛(16)은 각각의 작업스테이션(W1)에서의 작업기의 각 부품장치(6-10)에 대한 터미널 제어유닛(11-15) 및 다른 작업 스테이션들간의 데이타 통신용 통신제어유닛(19)을 관리 및 제어하기 때문에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을 자율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과는 별개로 각각의 작업 스테이션에 대한 설계작업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각각의 작업 스테이션의 제어시스템을 설계하는 시간을 단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스테이션의 일부 사양변경에 따른 설계변경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 스테이션의 시운전도 전체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행해진다.
제8도는 공구 제어 및 고장 제어면이 개선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생산설비의 통합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생산설비(50)는 다수의 작업스테이션(ST1, ST2, ‥)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작업 스테이션은 운반 머신 등의 n개의 작업기(W1, W2,··, Wn)를 가지는 절단 작업라인, 드릴작업 라인 등의 특수 작업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기들은 부품작업유닛(M1, M2,··, Mn) 및 터미널 제어유닛(C1, C2,··Cn)을 각각 포함한다. 이들 부품작업유닛(M1, M2,··, Mn)은 터미널 제어유닛(C1, C2,··Cn)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작업편에 다른 타입의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펠릿 상에 배치된 작업편은 제1 작업 스테이션(ST1)에서 각각의 작업기(W1, W2,··,Wn)에 의해 하나씩 가공되고 이어서 제2 작업스테이션(ST2)에서 작업기(W21, W22,··)에 의해 가공되며, 그 이후에 다음 작업스테이션으로 운반되는 식으로 가공 과정을 거친다.
작업유닛(M1, M2,··, Mn)에 대해서, 데이타 통신은 터미널 제어유닛(C1, C2,··Cn)과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사이에서 행해진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은 프로그램가능 논리 제어기(PLC)로 주로 구성된 순차 제어기(52), 데이타 입력 키보드(53), 디스플레이 장치(54)로 구성된다. 또한,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은 데이타통신 네트워크(56)를 통해서 프로그램가능 논리 제어기(PLC)로 주로 구성된 주 작동 제어유닛(57)에 인터페이스되어 있다. 데이타 입력 키보드(58), CRT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59)와, 프린터(60)가 설치되어 있는 주 작동 제어유닛(57)는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을 관리 및 제어한다. 상기 주 작동 제어유닛(57) 및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은 분리 타입의 제어시스템이다. 데이타통신 네트워크(61)는 호스트 컴퓨터(62)등의 생산관리작용을 하는 통합제어유닛에 각각의 주 작동 제어유닛(57)을 인터페이스한다. 데이타 입력 키보드(63)와 CRT 등의 표시장치(64)와 프린터(65)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62)는 주 작동 제어유닛(57)을 관리 및 제어한다.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여진 바와 같이, 각각의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에는 서비스회수 정보 관리 및 고장정보 관리용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있다. 작업기(W1, W2,···)의 작동동안 매우 짧은 기간에 반복 발생하는 서비스회수 정보관리는 주 작동 제어유닛(57)에 송신된 작업공구나 서비스 회수를 계수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작용이다.
제10도는 각각의 간헐 순차제어유닛(S1, : i는 1 내지 n의 정수)에서 수행된 서비스회수 정보관리의 순차루틴의 플로우 챠트이며, 상기 제10도에 의하면, 순차논리는 개시되어 기능블럭(S201)으로 곧장 진행되며, 상기 기능블럭에서는 터미널 제어유닛(Ci)으로부터 여러 신호를 불러 와서 그 관련 간헐 순차제어유닛(Si)의 순차 제어기(52)로 전송한다. 이어서, 간헐 순차제어유닛(Si)에 의한 공구교환 제어에 의해서, S202단계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이전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헤드구동장치(7)에 의해 공구교환 작업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각각의 작업기(Wi)에 대해 결정한다. 만약 상기 답변이 "YES"이면, S203단계에서, 적어도 헤드번호 및 공구 번호를 포함하는 공구교환정보를 간헐 순차제어유닛(Si)의 순차제어기(52)에 저장한 후에 순차과정은 S201단계에서 신호를 판독하는 과정으로 다시 복귀한다. 그런데, 상기 답변이 "NO"이면 S204 단계에서는 터미널 제어유닛(Ci)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작업편에 대한 작업이 한회에 걸쳐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작업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면 즉 대답에 "NO"이면 순차 과정은 S201단계의 신호 판단과정으로 다시 복귀한다. 한편, S204단계에서의 판단에 대한 답변이 "YES"이면, S205 단계에서 간헐 순차제어유닛(Si)은 적어도 헤드번호, 공구번호, 계수지령을 포함하는 작업공구의 서비스회수 정보를 간헐 순차제어유닛(Si)의 순차제어기(52)로 송신한다. 이후, 또다른 사이클의 서비스회수 정보관리 순차루틴이 S201단계의 신호판독과정과 함께 다시 시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회수 정보관리 순차루틴은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 Sn)의 순차제어기(52)에 의해 작업기(W1, W2,··, Wn) 각각에 대해서 정규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주 작동 제어유닛(57)은 작업기(W1, W2,··, Wn)의 각각의 공구 헤드의 모든 공구에 대해 작업서비스 회수를 계수한다. 작업서비스 회수를 계수하기 위해서, 주 작동 제어유닛(57)은 각각의 공구의 서비스 회수를 계수하도록 각각의 작업기(W1, W2,··, Wn)의 각각의 공구헤드에 부착된 공구와 같은 갯수의 계수기를 가진다. 제11도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기(W1, W2,··,Wn)의 작동동안에 매우 짧은 기간에 걸쳐 반복되는 서비스회수계수 제어루틴의 플로우 챠트이다. 순차논리는 개시되어 제어과정은 곧장 기능블럭(S301)으로 진행한다. 상기 기능블럭에서는간헐 순차제어유닛(Si)으로부터 여러 신호가 전송되어 주 작동 제어유닛(57)에서 판독된다. 이어서, S302단계에서는 작업공구의 서비스 계수정보가 판독되었는지의 여부가 각 작업기(Wi)의 각 작업공구에 대해 판단된다. 만약, 답변이 "NO" 이면 순차과정은 S301 단계에서 신호를 판독하는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한편, 상기 결정에 대한 답변이 "YES"이면 작업 공구가 관련된 계수기는 S303단계에서 그 계수를 1만큼 증가시키며, 또다른 사이클의 서비스회수계수 제어루틴이 S301단계에서 신호를 판독하면서 시작된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의 최종 회수는 각각의 작업기(W1, W2, ··, Wn)의 각 공구헤드의 공구에 대해서 미리 확정되어 있다.
제12도에 의하면, 주 작동 제어유닛(57)의 메모리는 다수의 작업기(No.1, No.2··)에 각각 지정된 밴드를 가진다. 각각의 밴드는 그 관련 작업공구의 계수된 서비스회수 데이타 및 미리 설정된 작업공구 고유의 서비스 최종회수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 각각의 서비스 최종 회수는 변경가능하며 키보드(58)를 통해 입력된다. 서비스회수계수 제어루틴을 수행하는 것이외에도, 주 작동 제어유닛(57)은 미리 설정된 작업공구의 최종 서비스회수에 도달했을 때에 사용중인 작업공구가 새공구로 교환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경고신호를 상기 간헐 순차제어유닛(Si)에 공급한다. 동시에, 사용자가 참고하도록 표시장치(54)상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주 작동 제어유닛(57)은 미리 설정된 공구에 대한 최종 서비스회수, 계수된 서비스회수, 공구번호, 헤드번호 등의 정보를 간헐 순차제어유닛(Si)으로 송신한다. 또한, 주 작동 제어유닛(57)은 사용자가 참고할 정보를 표시장치(54)에 제공하도록 상기 간헐 순차제어유닛(Si)으로부터 요청을 받은 때에, 임의 공구에 관한 헤드번호, 공구번호, 계수된 절단서비스회수, 미리 설정된 최종 서비스 회수에 대한 정보를 그 관련 간헐 순차제어유닛(Si)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새공구로 교체된 때에, 계수된 서비스 회수 및/또는 미리 설정된 서비스최종회수는 키보드(53)를 통해 재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정보는 주 작동 제어유닛(57)으로 송신되고, 작업공구에 관련된 밴드내의 이전 정보를 덮어 쓴다.
제13도는 변경되어야 할 작업공구를 목록화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62)에 의해 수행되는 목록화 순차루틴의 플로우 챠트이다. 호스트 컴퓨터(62)는 각각의 다수 타입의 작업에 대해서 작업공구의 타입등을 포함하여 이들 작업공구의 서비스가능 작업회수 등의 정보 및 일간, 주간, 월간 생산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공구목록화 순차루틴이 개시되면, 제어과정은 S401 단계의 기능블럭으로 곧장 진행된다. 상기 S401단계에서 또다른 8시간(즉, 다음날)에 대한 일간 생산스케줄 정보를 불러온다. 상기 일간 생산스케줄에 기초하여, S402단계에서는 공구헤드 및 작업기에 의해서 공구를 작업시키는 8시간동안의 서비스 회수(ΔN)를 견적하는 계산이 수행된다. 이어서, S403 단계에서는 각 작업공구의 실제 서비스회수(N)에 대한 정보를 불러오며, S404단계에서는 이들 실제적인 견적된 서비스회수(N, ΔN)의 합계로서 작업공구에 대한 견적된 총 서비스 번호(NE)를 계산한다.
S405단계에서, 주컴퓨터(62)는 공구헤드 및 작업기에 의해 그 소정 최종서비스회수(NL)보다 큰 견적된 총 서비스회수(NE)를 가지는 작업공구를 목록화한다. 최종적으로, S406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최종서비스회수(NL)보다 큰 그 견적된 총 서비스회수(NE)를 가지는 작업공구의 타입목록이 프린터(65)에 의해 출력된다. 상기 작업공구 타입목록을 잠깐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는 임의의 작업 스테이션(ST1, ST2,··)으로 필요한 타입 및 갯수의 작업공구를 공급 및 운반할 수 있다.
제14도는 작업기(W1, W2,··,Wn)가 작동하는 동안에 장기 간헐 순차제어유닛(Si) 각각에서 매우 짧은 기간에 반복적으로 수행된 고장정보관리 순차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순차 루틴이 개시되면, 제어과정은 S501단계의 기능블럭으로 진행된다. 이단계에서 정보는 터미널 제어유닛(Ci)으로부터 그 관련 간헐 순차제어유닛(Si)으로 송신된다. 이어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S502단계에서는 작업기(Wi)에 기계적 고장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답변이 "NO" 이면, 순차과정은 S501단계에서 정보를 판독하는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한편, 상기 판단에 대한 답변이 "YES"이면, 즉 고장이 발생하였으면 S503 단계에서는 키보드(53)를 통한 데이타 입력이 행해진다. 상기 데이타 입력에 있어서, 사용하는 먼저 기계고장의 타입 및 고장부품을 구체적으로 기입하고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장 코드표를 참고하여 2종류의 고장 코드, 즉 고장부품코드 및 고장타입코드를 입력한다. 상기 고장코드표에는 "수선가능" 또는 "교체"등의 고장 타입 및 고장부품(부품명, 부품번호)을 표시하는 각종 고장코드가 기입되어 있다.
이어서, S504단계에서는 고장코드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고장코드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된다. 일단 고장코드가 입력되면, S505단계에서 상기 고장 코드에 관한 데이타를 주 작동 제어유닛(57)으로 송신한 후 S506단계에서 간헐 순차제어유닛(Si)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회복시킨다. 최종적으로, S507단계에서는 상기 회복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상기 고장 요인이 제거 또는 수리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이애 대한 답변이 "NO" 이면 고장요인이 제거되거나 수리될 때까지 상기 데이타 회복 및 판단은 S506단계 및 S507단계에서 다시 반복된다. 한편, 답변이 "YES"이면, 고장정보관리 순차루틴은 복귀되어 반복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부품교체시마다 새로 작성되는 부품재고표를 서치하여 고장부품을 대체하는 공급부품을 찾을 수 있도록 각각의 작업기(W1, W2,··,Wn)에 대한 고장정보는 주 작동 제어유닛(57)으로 전송된다. 공급 부품의 품명 및 번호를 포함하는 공급부품에 대한 데이타는 한편으로는 각각의 순차제어유닛(S1, S2,··,Sn)의 순차제어기(52)로 송신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호스트 컴퓨터(62)로 송신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62)는 입하 또는 구입될 필요가 있는 부품 목록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제공한다. 서비스회수 계수기를 갖춘 생산라인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주 작동 제어유닛(57)은 각각의 간헐 순차제어유닛(S1, S2,··,Sn)의 순차제어기(52)로부터 전송된 작업공구의 서비스 번호에 대한 정보를 공구 헤드 및/또는 작업스테이션에 의해서 수신 및 통합하므로 상기 시스템에는 공구교환 정보처리부하가 훨씬 덜 로딩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62)는 주 작동 제어유닛(57)으로부터 전송된, 실제의 작업 서비스 회수 및 유용한 작업서비스 회수에 대한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교체되어야 할 작업공구목록을 제공하므로, 서비스 회수에 대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공구교체시마다. 간헐 순차제어유닛 및 주 작동 제어유닛을 통해서 작업서비스 회수는 재설정되거나 회복될 수 있다. 주작동 제어유닛에서 이루어지는 각각의 작업기에 대한 고장정보의 통합된 제어에는 고장정보처리 부하가 훨씬 덜 로딩된다.
고장회복에 대한 정보가 간헐 순차제어유닛 및 통합제어수단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수리 부품의 운반 및 구입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사용되는 작업공구가 다수의 작업을 서비스했을 때에, 즉 최종작업회수의 약 95%를 서비스했을 때에 공구교환경고가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분야의 전문인에 의한 여러 변형 및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산설비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터미널 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주 작동 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데이타통신 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부대설비 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6도는 부품장치 작동제어 순차루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7도는 공구교환 순차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산설비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9도는 간헐 순차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서비스회수 정보관리의 순차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1도는 서비스회수계수 제어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2도는 주 작동 제어유닛의 메모리를 도시한 개략도,
제13도는 공구목록화 순차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4도는 고장 정보관리 순차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15도는 고장 코드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편 반송라인 5 : 제어장치
6-10 : 부품장치 11-15 : 터미널 제어유닛수단
16 : 주작동 제어수단 19 : 데이타통신 제어유닛

Claims (18)

  1. 다수의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를 가지는 작업기와, 상기 작업기가 작업편에 지정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작업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업기 제어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편 반송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작업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가 지정작동을 각각 수행하도록 상기 각각의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 제어수단과,
    상기 작업 스테이션들간의 상기 작업기의 작동에 관한 데이타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타통신 제어수단과,
    상기 터미널 제어수단 및 상기 데이타통신 제어수단을 관리하고 상기 작업 스테이션의 상기 작업기의 작동에 대한 데이타를 통합하고, 이것에 의해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타가 각각의 상기 작업기의 상기 작동에 반영되도록 하는 작동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터미널 제어수단은 교체가능한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터미널 제어수단은 그와 관련된 각각의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의 기동조건의 일치여부를 검출하고, 그와 관련된 각각의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에 기동지령신호를 공급하며, 그와 관련된 각각의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의 작동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동제어가능 부품장치용 상기 터미널 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타통신 제어수단과, 상기 작동제어수단을 서로 인터페이스시키는 데이타통신 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은 각각의 상기 터미널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타통신라인에 전송된 데이타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번호부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실비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편 반송라인이 작업편을 반송하도록 상기 데이타통신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작업기 각각의 작동조건에 관한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지령신호를 공급하는 구동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편 반송라인이 다른 작업스테이션과는 독립된 인접 작업스테이션으로 작업편을 반송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타통신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작업기 각각의 작동 조건에 관한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지령신호를 공급하는 구동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통신 제어수단은 다른 작업스테이션에 전송되는 데이타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8. 다수의 작업기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작업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지정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작업기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작업기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작업기 제어수단과,
    각각의 상기 작업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각각의 작업기의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들을 관리하며, 미리 설정된 데이타 특성을 표현하도록 상기 각각의 작업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상기 작업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각각의 작업기의 작동에 대한 데이타를 통합하기 위해 상기 작업스테이션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간헐 제어수단과,
    상기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을 위하여 상기 간헐 제어수단을 관리하며, 상기간헐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통합하는 통합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헐 제어수단은 상기 관련 작업기 제어수단에 각각의 상기 작업기의 고유한 특성인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타 특성 중에서의 데이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통합제어수단에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간헐제어수단은 상기 작업기들의 작동에 관한 데이타를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타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에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데이타를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타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상기 각각의 간헐 제어수단에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호스트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에 관한 데이타는 각각의 상기 작업기의 공구의 작업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작업기 제어수단은 상기 간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의 상기 미리 설정된 특성중에서 상기 작업기의 공구의 작업회수에 관한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수단은 상기 간헐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의 상기 미리 설정된 특성중에서 상기 각각의 작업기의 공구교환에 관한 데이타를 목록화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에 관한 데이타는 각각의 상기 작업기의 공구가 서비스한 작업회수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타의 특성은 각각의 상기 작업기의 공구가 서비스할 것으로 예측되는 미리 설정된 최종작업회수 및 상기 서비스한 작업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제어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최종작업회수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에 관한 데이타는 각각의 상기 작업기의 고장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데이타 특성은 고장 타입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제어시스템.
KR1019950006946A 1994-03-29 1995-03-29 생산설비제어시스템 KR100346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59169 1994-03-29
JP05916994A JP3320891B2 (ja) 1994-03-29 1994-03-29 生産設備制御装置
JP6289099A JPH08126940A (ja) 1994-10-27 1994-10-27 生産設備の制御装置
JP94-289099 199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85A KR960035185A (ko) 1996-10-24
KR100346144B1 true KR100346144B1 (ko) 2002-11-30

Family

ID=2640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946A KR100346144B1 (ko) 1994-03-29 1995-03-29 생산설비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87002A (ko)
KR (1) KR100346144B1 (ko)
DE (1) DE19511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21266T3 (es) * 1998-06-24 2004-12-16 Feintool International Holding Maquina de fabricacion y montaje.
US6325198B1 (en) 1998-06-26 2001-12-0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speed manufacturing system
US6615091B1 (en) * 1998-06-26 2003-09-0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6804569B1 (en) 1999-04-30 2004-10-12 Sony Corporation Distributed manufacturing with feedback
US6374195B1 (en) * 1999-06-29 2002-04-1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tracking tool and tool performance
DE19935319A1 (de) * 1999-07-28 2001-02-08 Schneider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des Werkstückflusses in einem Produktionssystem
US6801821B2 (en) 1999-08-03 2004-10-05 Honda Canada Incorporated Assembly line control system
DE10042481A1 (de) * 2000-08-29 2002-06-27 Schneider Automation Gmbh Produktionssystem
ITBO20000577A1 (it) 2000-10-03 2002-04-03 Gd Spa Macchina automatica
US6516280B2 (en) * 2000-12-20 2003-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recycle inventory tracking
KR100742896B1 (ko) * 2001-04-09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장치,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방법
JP2003195921A (ja) * 2001-12-26 2003-07-11 Makita Corp 電動工具、電動工具による作業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US7010386B2 (en) * 2002-03-22 2006-03-07 Mcdonnell Ryan P Tool wear monitoring system
US7346973B2 (en) * 2002-09-09 2008-03-25 Nissin Manufacturing Co., Ltd. Processing cell of automatic machining system and automatic honing system
DE10349725A1 (de) * 2003-10-23 2005-06-09 Schunk Ultraschalltechnik Gmbh Ultraschallschweiß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KR20060124244A (ko) * 2005-05-3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제조 라인내 무선 통신 시스템 및그 방법
US7904182B2 (en) * 2005-06-08 2011-03-08 Brooks Automation, Inc. Scalable motion control system
AT503450B1 (de) * 2006-04-28 2007-10-15 Mach Relationship Man Llc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produktionsabläufen
KR100829206B1 (ko) * 2006-12-13 2008-05-13 세메스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설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8793114B2 (en) 2010-12-29 2014-07-29 Athens Group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drilling rig testing using virtualized components
CN106774198B (zh) * 2016-12-06 2019-01-15 潍坊路加精工有限公司 一种工业生产线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2019115455A (ja) * 2017-12-27 2019-07-18 Dgshape株式会社 切削加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0814B2 (ja) * 1989-06-22 1998-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産管理システム
US5150288A (en) * 1989-12-18 1992-09-2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5088045A (en) * 1990-01-02 1992-02-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JPH03246704A (ja) * 1990-02-26 1991-11-05 Hitachi Vlsi Eng Corp 製造工程の管理システム
GB2245387B (en) * 1990-04-19 1994-03-02 Honda Motor Co Ltd Automated management system for car frames and production method
US5347463A (en) * 1990-07-03 1994-09-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line production management
US5321619A (en) * 1990-09-17 1994-06-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3023251B2 (ja) * 1992-09-22 2000-03-21 株式会社日平トヤマ トランスファマ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87002A (en) 1998-07-28
KR960035185A (ko) 1996-10-24
DE19511452A1 (de) 199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144B1 (ko) 생산설비제어시스템
US5150288A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46163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spare tools for a machine tool
US4608645A (en) Numerical control system for a machine tool with a tool dimension compensation function
US11156990B2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EP0100684A2 (en) Cel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488564A (en) Numerical control unit with schedule skip capability
JP2980182B2 (ja) 工具管理装置
WO2022269673A1 (ja) 工具搬送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Primrose et al. Selecting technology for investment in flexible manufacturing
US20230415287A1 (en) Tool Transport System, Control Method for Tool Transport System, and Control Program for Tool Transport System
JP2577600B2 (ja) フレキシブル生産システム
JPH03245949A (ja) 工具寿命管理方法
JP3246360B2 (ja) 自動加工装置および自動加工方法
JP3748975B2 (ja) トランスファラインにおける工具交換方法及び工具交換装置を備えたトランスファライン
JPH06246599A (ja) Fmsにおける加工スケジュール制御方法
JPH02284841A (ja) 数値制御装置における工具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223849A (ja) 多品種少量生産システム
JPH08126940A (ja) 生産設備の制御装置
Parrish Opening a dialogue between FMS and CIM
JP3320891B2 (ja) 生産設備制御装置
JPH10328980A (ja) 工程管理装置及び方法
JPH05345262A (ja) 作業情報表示装置
JPH0756623A (ja) セルコントローラ
JPH07186012A (ja) 工具交換時期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