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384B1 -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384B1
KR100343384B1 KR1019990011752A KR19990011752A KR100343384B1 KR 100343384 B1 KR100343384 B1 KR 100343384B1 KR 1019990011752 A KR1019990011752 A KR 1019990011752A KR 19990011752 A KR19990011752 A KR 19990011752A KR 100343384 B1 KR100343384 B1 KR 10034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inger
die
pi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451A (ko
Inventor
김진배
Original Assignee
김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배 filed Critical 김진배
Priority to KR101999001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3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특히 그 머리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해딩머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성형용의 제1다이에서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하고 또 이와 동시에 제1다이에는 새로운 피성형물을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펀치와 제2펀치에 의한 성형공정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머신바디(1)와,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구동축(2)과,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 1,2,3 캠(3,4,5)과,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자동조심베어링(6a)에 결합되어 승강 작동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요동 가능한 승강로드(6)와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측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작동레버(8)와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는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밸런스레버(10)와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 밸런스스프링(10)으로 된 승강작동수단(7)과, 상기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 결합된 레버홀더(14)와 상부에 산부(15a)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홀더(14)에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레버홀더(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핑거레버(15)와 하부에 개방형 장공(16a)이 형성되어 하부핑거레버(15)와 대각선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레버홀더(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핑거레버(16)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산부(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16)의 장공(1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핀(17))과, 하부핑거레버(15)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1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1쌍의 핑거(18,18')와 상기 중심핀(17)에 핑거(18,18')쪽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9)으로 된 홀딩수단(13)과,└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푸싱핀작동레버(21)와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부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부는 상기 홀딩수단(13)쪽 가까이로 신장되어 있는 푸싱핀(23)과 상측 선단부가 상기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상기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하측 선단부에 대향하는 푸싱레버(25)로 된 홀딩작동수단(20)으로 되어, 상기 제 1캠의 회전에 의해 승각작동레버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반복 회전함으로서 승강로드와 함께 홀딩수단이 반복하여 승강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제 3캠에 의해 작동하는 푸싱핀작동레버가 상기 푸싱핀을 밀어 푸싱레버가 하부핑거레버의 하단부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 상호의 홀딩해제상태가 유지되고 또 상기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상기 푸싱핀이 후퇴하고 상기 중심핀에 핑거쪽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핑거의 홀딩상태가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딩머신에 설치되면 제1다이로의 피성형물 공급과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제2다이로 공급하는 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또 제 1,2 다이에 공급된 피성형물의 성형을 제1,2펀치에 의해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펀치의 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생상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특히 그 머리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해딩머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나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의 머리부를 성형함에 있어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분의 일부를 1차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하고 다시 남은 부분을 2차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하며, 이러한 성형공정은 성형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크기에 따라서 그 회수를 가감하여 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여러 회의 성형공정에 의해 머리부를 성형하는 것은 1회의 공정에 의해 머리부를 성형할 경우에는 큰 힘이 요구되어 해딩머신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금속조직이 파괴되어 체결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에 머리부분을 직접 성형하는 부분과 관련된구성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행정를 수평 이동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펀치홀더(100)의 측부에 1차 성형용의 제1펀치(101)가 펀치홀더(100)쪽으로 약간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펀치(101)의 하부에는 2차 성형용의 제2펀치(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홀더(100)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다이(104)를 고정하고 있는 다이홀더(10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에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다이구멍(105)의 위치에 이르면 피성형물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100)가 다이홀더(1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24에서와 같이 제1펀치(101)가피성형물(110)을 다이구멍(1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1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형상의 일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1차 성형공정이 완료되면 펀치홀더(100)는 원래의 위치로 후퇴한 후 다시 전진하면서 상승하는 것에 의해 제2펀치(102)와 피성형물(110)의 축중심이 일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펀치(102)가 다시 피성형물(110)을 타격하는 것에 의해 머리부의 성형을 완료하는 것이며 이렇게 머리부의 성형이 완료되면 배출핀(106)에 의해 피성형물은 다이구멍(105)으로 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101,102)와 함께 펀치홀더(100)가 2회 왕복하는 동작에 의해 원하는 품질의 1개의 제품을 얻는 것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제1펀치(101)에 의한 성형과 제2펀치(102)에 의한 성형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홀더(100)의 1회 전진(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얻을 수 없고 2회 왕복하는 동작마다 1개의 제품을 얻는 것이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1차 성형용의 제1다이에서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하고 또 이와 동시에 제1다이에는 새로운 피성형물을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펀치와 제2펀치에 의한 성형공정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서 제 1다이스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1차 성형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에 있어 제 1다이스에서 피성형물이 1차 성형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7은 제 1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제 1다이에서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홀딩수단이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제 2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제 1, 2다이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성형된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확대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f-f선 확대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의 g-g선 확대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서 제 1다이스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1차 성형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8은 제 1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9는 제 1다이에서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홀딩수단이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h-h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21은 제 2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2는 제 1, 2다이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성형된 상태의 정면도
도 23은 피성형물의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4는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을 1차 성형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25는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을 2차 성형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머신바디 2. 구동축
3,4,5. 제 1,2,3 캠 6. 승강로드
7. 승강작동수단 8. 승강작동레버
13. 홀딩수단 15. 하부핑거레버
16. 상부핑거레버 18,18'. 핑거
17. 중심핀 19. 스프링
20. 홀딩작동수단 21. 푸싱핀작동레버
30. 제 4캠 31. 가이드부싱
32. 회전링크 33. 홀딩수단
34. 레버홀더 38. 하부핑거레버
39. 상부핑거레버 40. 중심핀
42. 인장스프링 45. 피성형물스토핑수단
46. 로드작동레버 48. 스토핑암
49.연결로드 MD,MD'. 피성형물 이송장치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지시부호 1은 머신바디이며, 지시부호 2는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이다.
상기의 구동축(2)에는 뒤에 설명하는 승강작동수단(7)과 홀딩작동수단(13)을 구동하기 위한 제 1,2,3캠(3,4,5)이 구비되어 있다.
지시부호 6은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자동조심베어링(6a)에 결합되어 승강 작동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요동 가능한 승강로드이다.
상기 승강로드(6)는 승강작동수단(7)의해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승강작동하는 것이며 승강작동수단(7)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시부호 8은 ┤형상으로 된 승강작동레버이다. 이 승강작동레버(8)는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쪽에 결합된 롤러(8a)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음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시부호 10은 ┌ 형상으로 된 밸런스레버이다. 이 밸런스레버(10)는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에 결합된 롤러(10a)가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승강작동레버(8)의 하단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리미트플레이트(11)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이 리미트플레이트(11)의 타단부는 밸런스레버(10)쪽으로 신장되어 있고 리미트플레이트(11)와 밸런스레버(10) 사이에는 밸런스스프링(12)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리미트플레이트(11)와 밸런스레버(1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 받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8a,10a)는 항상 제 1,2캠(3,4)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제 1,2캠(3,4)의 형상은 제 1,2캠(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 항상 밸런스스프링(11)이 일정한 압착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작동수단(7)의 구성에 의해 제 1캠(3)이 제 2캠(4)과 함께 회전하면 승강작동레버(8)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반복 회전하며 이러한 승강작동레버(8)의 작동에 의해 승강로드(6)는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승강작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밸런스스프링(11)이 항상 일정한 압착력을 부여받고 이 밸런스스프링(11)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롤러(8a,10a)가 항상 제 1,2캠(3,4)의 외면에 동일한 압찹력으로 접촉됨으로 상기 제 1,2캠(3,4)이 고속으로 회전한다 하여도 제 1,2캠(3,4)에 의해 작동되는 각 작동부는 진동 없이 원활하게 작동된다.
상기 승강로드(6)의 상부에는 피성형물을 직접 홀딩하거나 홀딩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13)이 설치되며 이 홀딩수단(13)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는 레버홀더(14)가 결합되어 있다. 이 레버홀더(14)에는 상부에 산부(15a)가 형성된 하부핑거레버(15)가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중심핀(15b)에 의해 레버홀더(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핑거레버(15)의 하측 선단부에는 롤러(15c)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 개방형의 장공(16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핑거레버(16)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와 대각선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핑거레버(16)의 상단부는 상기 레버홀더(14)에 중심핀(1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하부핑거레버(16,15)는 중심핀(17)이 하부핑거레버(15)의 산부(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16)의 장공(1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16)의 하단부에는 핑거(18,18')의 일측 선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심핀(17)은 스프링(19)에 의해 핑거(18,18')쪽으로의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중심핀(17)이 스프링(19)에 의해 핑거(18,18')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으므로 상부핑거레버(16)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하부핑거레버(15)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받는 것에 의해 핑거(18,18') 상호는 고정단쪽과 반대되는쪽의 선단이 항상 근접된 대향상태 즉 홀딩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홀딩수단(13)은 홀딩작동수단(20)에 의해 홀딩상태 또는 홀딩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며 홀딩작동수단(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시부호 21은 └ 형상으로 된 푸싱핀작동레버이다. 이 푸싱핀작동레버(21)는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에 결합된 롤러(21b)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또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측에는 서부푸싱핀(22)이 고정되어 있다.
지시부호 23은 머신바디(1)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스프링(24)에 의해 서부푸싱핀(22)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아 그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가 항상 상기 서부푸싱핀(22)에 접촉되어 있는 푸싱핀이다. 이 푸싱핀(23)의 길이방향의 타측 선단부는 상기 홀딩수단(13)쪽 가까이로 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지시부호 25는 상측 선단부는 홀딩수단(13) 상측의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상기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하단부에 결합된 롤러(15c)에 근접되게 대향하고 있는 푸싱레버이다.
상기와 같은 홀딩작동수단(20)의 구성에 있어 푸싱핀작동레버(2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3캠(5)의 형상은 제 3캠(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13)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푸싱핀작동레버(21)가 상기 푸싱핀(23)을 밀어 푸싱레버(25)가 하부핑거레버(15)의 하단부에 결합된 롤러(15c)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18,18')의 홀딩해제상태가 유지되고 또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13)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푸싱핀(23)이 후퇴하여 상기 중심핀(17)이 스프링(19)의 탄발력에 의해 핑거(18,18')쪽으로 이동함으로서 핑거(18,18')의 홀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를 적용하는 해딩머신은 도 6에서와 같이 펀치홀더(200)의 측부에 1차 성형용의 제1펀치(201)와 2차 성형용의 제2펀치(202)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펀치홀더(200)는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종래와 같이 반복되는 수평운동은 하나 승강운동은 요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펀치홀더(2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는 다이홀더(203)가 고정되며 이 다이홀더(203)에는 상기 제1,2펀치(201,202)와 각각 동일한 축중심을 갖는 1차 성형용의 제1다이(204)와 2차 성형용의 제2다이(205)가 고정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는 핑거(18,18')의 선단부가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각각 상기 제1,2다이(204,205)의 다이구멍(204',205') 앞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 의해 피성형물에 머리부를 성형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위치에 이르면 절단이송수단에 의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5 및 6에서와 같이 제1펀치(201)가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2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일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1차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홀딩수단(13)은 도 7에서와 같이 승강로드(6)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하며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면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에 의해 피성형물(210)이 다이구멍(204')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13)의 핑거(18,18')는 도 8에서와 같이 배출되는 피성형물(210)을 홀딩한다.
상기와 같이 핑거(18,18')가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하는 시점은 홀딩수단(13)의 상승동작 완료 후 하강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이며 이와 같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 홀딩수단(13)의 핑거(18,18')는 도 9에서와 같이 제2다이(205)쪽으로 하강한다.
홀딩수단(13)이 하사점, 즉 제2다이(205)의 다이구멍(205) 위치에 이르면 상기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은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앞에는 앞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에 의해 새로운 피성형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6) 및 홀딩수단(13)의 상승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과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되면 이와동시에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10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1,2펀치(201,202)가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과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2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상기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일부분을 그리고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전체를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260')에 의해 피성형물(210',210)이 다이구멍(204',205')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은 앞에서 같은 작동에 의해 제2다이(205)쪽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피성형물의 머리부 성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소형의 피성형물을 성형하기에 적당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즉 피성형물이 소형인 경우에는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피성형물이 적당한 배출경로(다이구멍과 동일 축선방향의 배출경로를 말함)를 벗어나 홀딩수단에 의한 홀딩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성형이 완료된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함으로서 홀딩수단에 의한 홀딩공정을 정확히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를,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확대단면도를,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 1,2,3 캠(3,4,5)과,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승강 작동 가능한 승강로드(6)와,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측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작동레버(8)와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는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밸런스레버(10)와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 밸런스스프링(10)으로 된 승강작동수단(7)과, 홀딩작동수단(15')에 있어└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푸싱핀작동레버(21)와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부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싱핀(23)에 관한 것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로드(6)를 승강 작동하기 위한 구성과, 승강로드(6)의 상부에 결합되는 홀딩수단(13)과,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 푸싱레버에 관한 구성을 제 1실시예와 달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성형완료 후 배출되는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피성형물스토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동축(2)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에 설명하는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을 구동하기 위한 제 4캠(3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드(6)는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싱(31)에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승강로드(6)의 하측 선단부와 승강작동레버(8)의 측방향 선단에는 회전링크(32)의 양 선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작동레버(8)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상하로 반복 회전하면 승강작동레버(8)의 작동과 함께 회전링크(32)가 좌우로 반복 회전하면서 승강하는 것이므로 이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6)는 상기 가이드부싱(31)에 안내되어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승강로드(6)의 상부에는 피성형물을 직접 홀딩하거나 홀딩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33)이 설치며 이 홀딩수단(33)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시부호 34는 레버홀더이며 이 레버홀더(34)의 하부에는 장공(3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34a)를 향하여 상단부에서 하측으로는 핀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레버홀더(34)는 상기 장공(34a)를 통하는 고정구(35)에 의해 승강로드(6)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핀구멍(34b)에는 높이조절핀(36)이 삽입되어 있으며 레버홀더(34)의 상부로 노출된 높이조절핀(36)의 상부에는 높이조절용너트(3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구(35)를 풀은 상태에서 높이조절용너트(37)를 회전시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홀더(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레버홀더(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레버홀더(34)에 고정되는 핑거(41,41')의 홀딩상태에서의 중심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레버홀더(34)에는 상부에 산부(38a)가 형성된 하부핑거레버(38)가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하부핑거레버(38)의 하단부는 중심핀(38b)에 의해 레버홀더(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하부에 개방형의 장공(39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핑거레버(39)가 상기 하부핑거레버(38)와 대각선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핑거레버(39)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상기 레버홀더(34)에 중심핀(39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부핑거레버(39)의 상측 선단부에는 롤러(39c)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하부핑거레버(39,38)는 중심핀(40)이 하부핑거레버(38)의 산부(38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장공(39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고, 하부핑거레버(38)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39)의 하단부에는 핑거(41,41')의 일측 선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상단에 연장하여 형성된 스프링스테이(39d)와 레버홀더(34) 사이에는 인장스프링(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부핑거레버(39)는 인장스프링(42)에 의해 항상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하부핑거레버(38)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으므로 핑거(41,41') 상호는 고정단쪽과 반대되는쪽의 선단이 항상 근접된 대향상태 즉 홀딩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4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서의 푸싱레버이다. 이 푸싱레버(43)는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홀딩수단(33) 상측의 머신바디(1)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압축스프링(44)에 의해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상측 선단부에 결합된 롤러(39c)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서도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33)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푸싱핀작동레버(21)가 푸싱핀(23)을 밀어 푸싱레버(25)가 상부핑거레버(39)의 상단부에 결합된 롤러(39c)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41,41')의 홀딩 해제상태가 유지되고 또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33)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푸싱핀(23)이 후퇴하여 상기 중심핀(17)이 스프링(19)의 탄발력에 의해 핑거(41,41')쪽으로 이동함으로서 핑거(41,41')의 홀딩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성형완료 후 배출되는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시부호 46은 └ 형상으로 된 로드작동레버이다. 이 로드작동레버(46)는 그 중앙부가 중심축(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로드작동레버(46)와 머신바디(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7)에 의해 로드작동레버(46)의 하단측에 결합된 결합된 롤러(46a)가 상기 제 4캠(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지시부호 48은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가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핑암이며, 이 스토핑암(48)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피성형물을 직접 스토핑하기 위한 스토핑핀(48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로드작동레버(46)와 스토핑암(48)의 상단부는 연결로드(49)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에 의해 연결로드(49)가 스토핑암(48)을 밀면 스토핑암(48)의 하단에 결합된 스토핑핀(48a)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에 있어 로드작동레버(4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4캠(30)의 형상은 제 4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작동레버(46)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이 배출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작동레버(46)가 상기 연결로드(49)를 밀어 스토핑암(48)이 하측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토핑암(48)의 하단에 결합된 스토핑핀(48a)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의 배출방향쪽 앞쪽으로 이동하여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성형물 이송장치(MD')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은 해딩머싱에 설치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가 설치된 해딩머신에 의해 피성형물에 머리부를 성형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위치에 이르면 절단이송수단에 의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17 및 제 1실시예의 도 6에서와 같이 제1펀치(201)가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2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일부를 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1차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홀딩수단(33)은 도 18에서와 같이 승강로드(6)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하며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면 이와 동시에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핀(206)에 의해 피성형물(210)이 다이구멍(204')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피성형물(210)의 배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의 스토핑암(48)이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스토핑핀(48a)이 피성형물의 배출방향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서 피성형물의 배출은 저지되고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한 상기 홀딩수단(33)의 핑거(41,41')는 배출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다.
상기와 같이 핑거(41,41')가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하는 시점은 홀딩수단(13)의 상승동작 완료 후 하강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이며 이와 같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 홀딩수단(13)의 핑거(41,41')는 도 21에서와 같이 제2다이(205)쪽으로 하강한다.
홀딩수단(13)이 하사점, 즉 제2다이(205)의 다이구멍(205)의 위치에 이르면 상기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은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앞에는 앞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에 의해 새로운 피성형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6) 및 홀딩수단(33)의 상승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1차성형된 피성형물(210)과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되면 이와동시에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22 및 제 1실시예의 도 11에서와 같이 제1,2펀치(201,202)가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과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2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일부분을 그리고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전체를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260')에 의해 피성형물(210',210)이 다이구멍(204',205')에서 배출되고, 이후 앞에서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서 피성형물의 머리부 성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른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딩머신에 설치되면 제1다이로의 피성형물 공급과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제2다이로 공급하는 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또 제 1,2 다이에 공급된 피성형물의 성형을 제1,2펀치에 의해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펀치의 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생상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홀더가 반복된 수평동작만 계속하는 것이므로 펀치홀더가 수평동작과 승강동작을 동시에 하는 종래의 해딩머신에 비하여 장치의 진동을 현져하게 줄일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이로인해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펀치홀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을 생략함으로서 장치의 생상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1차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의 배출공정에 있어 피성형물이 적정 배출위치에 이르면 피성형물스토핑수단에 의해 피성형물의 배출이 저지되고 이 상태에서 홀딩수단에 의한 피성형물의 홀딩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제 1실시예의 피성형물 이송장치가 갖는 효과 외에 특히 배출경로를 벗어나기 쉬운 소형의 피성형물을 성형하기에 적당한 해딩머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피성형물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하도록 한 것이므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4)

  1. 머신바디(1);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 1,2,3 캠(3,4,5);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자동조심베어링(6a)에 결합되어 승강 작동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요동 가능한 승강로드(6);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측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작동레버(8)와,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는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밸런스레버(10)와,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 밸런스스프링(12)으로 된 승강작동수단(7);
    상기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 결합된 레버홀더(14)와, 상부에 산부(15a)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홀더(14)에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레버홀더(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핑거레버(15)와, 하부에 개방형 장공(16a)이 형성되어 하부핑거레버(15)와 대각선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레버홀더(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핑거레버(16)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산부(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16)의 장공(1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핀(17))과, 하부핑거레버(15)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1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1쌍의 핑거(18,18')와, 상기 중심핀(17)에 핑거(18,18')쪽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9)으로 된 홀딩수단(13);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푸싱핀작동레버(21)와,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부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부는 상기 홀딩수단(13)쪽 가까이로 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는 푸싱핀(23)과, 상측 선단부가 상기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상기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하측 선단부에 대향하는 푸싱레버(25)로 된 홀딩작동수단(20);
    으로 되어, 상기 제 1,2캠의 회전에 의해 승각작동레버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반복 회전함으로서 승강로드와 함께 홀딩수단이 반복하여 승강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제 3캠에 의해 작동하는 푸싱핀작동레버가 상기 푸싱핀을 밀어 푸싱레버가 하부핑거레버의 하단부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 상호의 홀딩해제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상기 푸싱핀이 후퇴하고 상기 중심핀에 핑거쪽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핑거의 홀딩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동조심베어링(6a)은 승강로드(6)를 상하방향으로만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싱(31)으로 대체하고 승강로드(6)의 하측 선단부와 승강작동레버(8)의 측방향 선단에는 회전링크(32)의 양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홀딩수단은(33), 상기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 결합된 레버홀더(34)와, 상부에 산부(38a)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홀더(34)에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부가 레버홀더(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핑거레버(38)와, 하부에 개방형 장공(39a)이 형성되어 하부핑거레버(38)와 대각선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레버홀더(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핑거레버(39)와, 상기 하부핑거레버(38)의 산부(38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장공(39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핀(40)과, 하부핑거레버(38)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39)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1쌍의 핑거(41,41')와, 상부핑거레버(39)에 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부핑거레버(39)의 상단부와 레버홀더(34)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2)으로 되고,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 푸싱레버(43)는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상측 선단부에 대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4. 제 1항에서 제 4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축(2)에는 제 4캠(30)을 설치하고 이 제 4캠(30)에 의해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를 구동시킴으로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되, 상기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은,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4캠(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로드작동레버(46)와,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가 홀딩수단(33) 상측의 머신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핑암(48)과,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상기 로드작동레버(46)의 상단부에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스토핑암(48)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로드(49)로 되어,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의 배출완료 시점에서 상기 제 4캠에 의해 작동하는 로드작동레버가 연결로드를 밀어 스토핑암의 하단부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KR1019990011752A 1999-04-03 1999-04-03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KR10034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52A KR100343384B1 (ko) 1999-04-03 1999-04-03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52A KR100343384B1 (ko) 1999-04-03 1999-04-03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51A KR20000065451A (ko) 2000-11-15
KR100343384B1 true KR100343384B1 (ko) 2002-07-15

Family

ID=1957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752A KR100343384B1 (ko) 1999-04-03 1999-04-03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3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51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524B2 (en) Negative-angle press-working die
KR100343384B1 (ko)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KR102462242B1 (ko) 프레스기 및 프레스 성형 방법
US4513600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US3605479A (en) Forming press
JP2748309B2 (ja) 圧造成形機における素材供給装置
KR100366555B1 (ko)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US5127252A (en) Apparatus for the working of wire pieces and the use of such apparatus
JP2002102992A (ja) 下ノックアウト装置
US4627264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JP2815843B2 (ja) 座金成形機及び座金製造方法
JPH0910862A (ja) かしめ装置
CN2654256Y (zh) 粉末冶金整形压机的装压坯、卸制品装置
CN220406895U (zh) 冲床的下部顶料装置
JP2002282990A (ja) 多段式圧造成形機
JP3129792U (ja) 素材移送用チャック装置
JPH09122817A (ja) プレスモーションを利用したアプセット装置
JP3771757B2 (ja) トランスファ装置
JP3995344B2 (ja) 遊戯盤の釘打ち機械
JP4664522B2 (ja) フィンガ開閉機構付きトランスファ装置
SU108091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штучных заготовок в штамп
JPS6056428A (ja) 被加工物の自動送り装置
JPH09182931A (ja) 圧造成形機
JP3517132B2 (ja) 圧造機におけるワークの飛び出し防止及び押し込み装置
US1246455A (en) Staple making and se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