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555B1 -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555B1
KR100366555B1 KR1020000025457A KR20000025457A KR100366555B1 KR 100366555 B1 KR100366555 B1 KR 100366555B1 KR 1020000025457 A KR1020000025457 A KR 1020000025457A KR 20000025457 A KR20000025457 A KR 20000025457A KR 100366555 B1 KR100366555 B1 KR 10036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upled
pushing
cam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062A (ko
Inventor
김진배
Original Assignee
김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배 filed Critical 김진배
Priority to KR102000002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55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555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의 머리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해딩머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성형용의 제1다이에서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할 수 있는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제1펀치와 제2펀치에 의한 성형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배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머신바디(1)와,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1,2캠(3,4)과, 피성형물을 이송하기 위한 홀딩수단(7)과, 상기 제1캠(3)의 회전 작동에 의해 홀딩수단(7)을 상하로 소정의 행정만큼 반복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작동수단(5)과, 상기 제2캠(4)의 회전 작동에 의해 홀딩수단(7)이 상승하는 상태에서는 홀딩수단(7)을 홀딩 해제상태로 하고 홀딩수단(7)이 하강하는 상태에서는 홀딩수단(7)을 홀딩상태로 하기 위한 홀딩작동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딩머신에 설치되면 제1다이로의 피성형물 공급과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제2다이로 공급하는 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또 제 1,2 다이에 공급된 피성형물의 성형을 제1,2펀치에 의해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펀치의 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생상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특히 그 머리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해딩머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나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의 머리부를 성형함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분의 일부를 1차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하고 다시 남은 부분을 2차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형공정은 성형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크기에 따라서 그 회수를 가감하여 행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여러 회의 성형공정에 의해 머리부를 성형하는 것은 1회의 공정에 의해 머리부를 성형할 경우에는 큰 힘이 요구되어 해딩머신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금속조직이 파괴되어 체결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서 피성형물에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부분과 관련된 구성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행정을 수평 이동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펀치홀더(100)의 측부에 1차 성형용의 제1펀치(101)가 펀치홀더(100)쪽으로 약간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펀치(101)의 하부에는 2차 성형용의 제2펀치(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홀더(100)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다이(104)를 고정하고 있는 다이홀더(10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에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다이구멍(105)의 위치에 이르면 피성형물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100)가 다이홀더(1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24에서와 같이 제1펀치(101)가 피성형물(110)을 다이구멍(1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1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형상의 일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1차 성형공정이 완료되면 펀치홀더(100)는 원래의 위치로 후퇴한 후 다시 전진하면서 상승하는 것에 의해 제2펀치(102)와 피성형물(110)의 축중심이 일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펀치(102)가 다시 피성형물(110)을 타격하는 것에 의해 머리부의 성형을 완료하는 것이며 이렇게 머리부의 성형이 완료되면 배출핀(106)에 의해 피성형물은 다이구멍(105)으로 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101,102)와 함께 펀치홀더(100)가 2회 왕복하는 동작에 의해 원하는 품질의 1개의 제품을 얻는 것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제1펀치(101)에 의한 성형과 제2펀치(102)에 의한 성형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홀더(100)의 1회 전진(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얻을 수 없고 2회 왕복하는 동작마다 1개의 제품을 얻는 것이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1차 성형용의 제1다이에서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하고 또 이와 동시에 제1다이에는 새로운 피성형물을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펀치와 제2펀치에 의한 성형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서 제 1다이스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1차 성형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D-D선에 있어 제 1다이스에서 피성형물이 1차 성형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8은 제 1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제 1다이에서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홀딩수단이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제 2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제 1, 2다이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성형된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E-E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피성형물의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을 1차 성형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15는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을 2차 성형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머신바디
2. 구동축
3,4. 제1,2캠
5. 승·하강작동수단 --- 51.푸싱레버, 52. 중심축, 53. 롤러
54. 푸싱로드, 55. 핑거레버홀더
6. 가이드암
7. 홀딩수단 --- 71. 핑거레버, 72. 스프링, 73. 롤러
74. 핑거
8. 홀딩작동수단 --- 81. 푸싱레버, 83. 롤러, 84. 푸싱로드
85. 캠홀더, 86. 핑거레버작동캠
MD. 피성형물 이송장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머신바디와, 머신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고정되는 제1,2캠과, 피성형물을 이송하기 위한 홀딩수단과, 상기 제1캠의 회전 작동에 의해 홀딩수단을 상하로 소정의 행정만큼 반복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작동수단과, 상기 제2캠의 회전 작동에 의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에서는 홀딩수단을 홀딩 해제상태로 하고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에서는 홀딩수단을 홀딩상태로 하기 위한 홀딩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C-C선 확대단면도를 각각나타낸다.
지시부호 1은 머신바디이며, 지시부호 2는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이다.
상기 구동축(2)에는 뒤에 설명하는 승·하강작동수단(5)과 홀딩작동수단(8)을 구동하기 위한 제 1,2캠(3,4)이 구비되어 있다.
승·하강작동수단(5)은 피성형물을 이송하는 홀딩수단(7)을 상하로 소정의 행정만큼 반복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시부호 51은 〈 형상으로 된 푸싱레버이다. 이 푸싱레버(51)는 그 길이방향의 하단부는 중심축(52)에 회동 가능하게 머신바디(1)에 고정되고 그 중간부에 결합된 롤러(53)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단부에는 푸싱로드(54)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푸싱로드(54)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핑거레버홀더(55)가 결합되어 있다.
핑거레버홀더(55)는, 중공의 축 형상인 중심축부(55a)와 중심축부(55a)의 축방향 일측 선단부에 중심축부(55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동레버부(55b)와 중심축부(55a)의 축방향 타측 선단부에 중심축부(55a)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핑거레버(71) 홀딩용의 홀딩판부(55c)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핑거레버홀더(55)는 중심축부(55a)가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 회동레버부(55b)의 하단부가 상기 푸싱로드(54)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시부호 56은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상기 핑거레버홀더(55)의회동레버부(55b)에 밀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부 가까이는 머신바디(1)에 고정된 가이드암(6)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로드이고, 이 가이드로드(56)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형성된 스톱돌기(56a)와 상기 가이드암(6) 사이의 가이드로드(56)에는 스프링(57)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로드(56)는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레버부(55b)에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므로 회동레버부(55b)와 푸싱로드(54)로 연결된 푸싱레버(51)는 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푸싱레버(51)에 결합된 롤러(53)는 항상 제1캠(3)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캠(3)의 외주면 형상은 제1캠(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싱레버(5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작동수단(5)의 구성에 의해 제1캠(3)이 회전하면 푸싱레버(51)가 중심축(5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회동하며 이러한 푸싱레버(51)의 작동에 의해 푸싱레버(51)에 결합된 푸싱로드(54)는 핑거레버홀더(55)에 있어 회동레버부(55b)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핑거레버홀더(55)의 홀딩판부(55c)는 중심축부(55a)를 중심으로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반복 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작동수단(5)에 있어서 홀딩판부(55c)에는 피성형물을 직접 홀딩하거나 홀딩 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7)이 설치되며 이 홀딩수단(7)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핑거레버홀더(55)의 홀딩판부(55c)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1쌍의 핑거레버(71,71)의 길이방향 중간부가 중심축(71a)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각 핑거레버(71,71)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각 핑거레버(71,71)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 가까이는 ×형으로 교차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핑거레버(71)의 길이방향 타측 선단부는 스프링(72)의 의해 상호 연결되어 탄성적인 인장력을 부여받고 있음과 함께 각 핑거레버(71)의 길이방향 타측 선단부 가까이에는 롤러(73)가 결합되어 있다. 또 각 핑거레버(71)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에는 피성형물을 홀딩하기 위한 핑거(7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홀딩수단(7)에 있어서 핑거(74) 상호는 스프링(72)의 탄성적인 인장력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근접하려는 방향)으로 회동력을 부여받는 것이므로 핑거(74) 상호의 고정단쪽과 반대되는쪽의 선단은 항상 근접된 대향상태 즉 홀딩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다. 또 홀딩수단(7) 전체는 상기 핑거레버홀더(55)에 있어서 홀딩판부(55c)의 승강 동작과 함께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딩수단(7)은 홀딩작동수단(8)에 의해 피성형물을 홀딩하거나 홀딩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며 홀딩작동수단(8)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시부호 81은 〈 형상으로 된 푸싱레버이다. 이 푸싱레버(81)는 그 길이방향의 하단부는 중심축(52)에 회동 가능하게 머신바디(1)에 고정되고 그 중간부에 결합된 롤러(83)가 상기 제2캠(4)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단부에는 푸싱로드(84)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푸싱로드(84)는 상기 가이드암(6)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푸싱로드(84)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캠홀더(85)가 결합되어 있다.
캠홀더(85)는, 원형의 봉 형상인 중심축부(85a)와 중심축부(85a)의 축방향 일측 선단부에 중심축부(85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동레버부 (85b)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캠홀더(85)는 중심축부(85a)가 상기 핑거레버홀더(55)의 중심축부(55a) 내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캠홀더(85)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85a)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가 핑거레버홀더(55)의 중심축부(55a)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선단부에 상기 핑거레버(71)를 홀딩상태 또는 홀딩해제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한 핑거레버작동캠(86)이 결합되어 있다.
핑거레버작동캠(86)은 그 외주에 산부(86a)와 골부(86b)가 연접하여 형성되어 이 산부(86a)와 골부(86b)에 상기 각 핑거레버(71)에 결합된 롤러(73)가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지시부호 84a는 푸싱로드(84)에 형성된 스톱돌기이고 이 스톱돌기(84a)와 상기 가이드암(6) 사이의 푸싱로드(84)에는 스프링(88)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푸싱로드(84)는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싱레버(81)에 시계방향으로의 탄성적인 회동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므로 푸싱레버(81)에 결합된 롤러(83)는 항상 제2캠(4)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홀딩작동수단(8)의 구성에 있어서 푸싱레버(81)를 작동시키기위한 제2캠(4)과 홀딩수단(7)의 핑거레버(71)를 작동시키기 위한 핑거레버작동캠(86)의 외주면 형상 및 고정 각도는, 제2캠(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싱레버(8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홀딩수단(7)이 상승하는 동안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푸싱레버(81)가 푸싱로드(84)를 밀어 캠홀더(8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과 함께 캠홀더(85)에 결합된 핑거레버작동캠(86)의 산부(86a)가 핑거레버(71)에 결합된 롤러(73)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74)의 홀딩 해제상태가 유지되고 또 홀딩수단(7)이 하강하는 동안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레버(81)가 푸싱로드(84)를 당겨 캠홀더(85)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과 함께 캠홀더(85)에 결합된 핑거레버작동캠(86)의 골부(86b)에 핑거레버(71)에 결합된 롤러(73)가 지지 안내되는 것에 의해 핑거(74)의 홀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를 적용하는 해딩머신은 도 7에서와 같이 펀치홀더(200)의 측부에 1차 성형용의 제1펀치(201)와 2차 성형용의 제2펀치(202)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펀치홀더(200)는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종래와 같이 반복되는 수평운동은 하나 승강운동은 요하지 않는다.
또 상기 펀치홀더(2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는 다이홀더(203)가 고정되며 이 다이홀더(203)에는 상기 제1,2펀치(201,202)와 각각 동일한 축중심을 갖는 1차 성형용의 제1다이(204)와 2차 성형용의 제2다이(205)가 고정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는 핑거(74,74)의 선단부가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각각 상기 제1,2다이(204,205)의 다이구멍(204',205') 앞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 의해 피성형물에 머리부를 성형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위치에 이르면 절단이송수단에 의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1펀치(201)가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210)에 머리부의 일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1차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홀딩수단(7)은 도 8에서와 같이 승·하강작동수단(5)에 있어서 핑거레버홀더(55)의 홀딩판부(55c)가 상승하는 동작과 함께 상승하여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면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에 의해 피성형물(210)이 다이구멍(204')에서 배출되고, 배출완료와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7)의 핑거(74,74)는 홀딩작동수단(8)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배출되는 피성형물(210)을 홀딩한다.
상기와 같이 핑거(74,74)가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하는 시점은 홀딩수단(7)의 상승동작 완료 후 하강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이며 이와 같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 홀딩수단(7)의 핑거(74,74)는 도 10에서와 같이 승·하강작동수단(5)에 의해 제2다이(205)쪽으로 하강한다.
홀딩수단(7)이 하사점, 즉 제2다이(205)의 다이구멍(205) 위치에 이르면 상기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은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앞에는 앞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에 의해 새로운 피성형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승·하강작동수단(5)에 의한 홀딩수단(7)의 상승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과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되면 이와 동시에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제1,2펀치(201,202)가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과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2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상기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일부분을 그리고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전체를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260')에 의해 피성형물(210',210)이 다이구멍(204',205')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은 앞에서 같은 작동에 의해 제2다이(205)쪽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피성형물의 머리부 성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연속하여 이송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딩머신에 설치되면 제1다이로의 피성형물 공급과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제2다이로 공급하는 공정을 동시에 하고 또 제 1,2 다이에 공급된 피성형물의 성형을 제1,2펀치에 의해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펀치의 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연속하여 반복 생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송장치를 해딩머싱에 적용하면 종래에 비하여 생상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홀더가 반복된 수평동작만 계속하는 것이므로 펀치홀더가 수평동작과 승·하강동작을 동시에 하는 종래의 해딩머신에 비하여 장치의 진동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이로 인해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펀치홀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을 생략함으로서 장치의 생산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피성형물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하도록 한 것이므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머신바디(1);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 1,2캠(3,4);
    〈 형상으로 되어 하단부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중간부에 결합된 롤러(53)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캠(3)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는 푸싱레버(51)와, 푸싱로드(54)의 상단부에 길이방향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푸싱로드(54)와, 중공의 축 형상인 중심축부(55a)와 중심축부(55a)의 축방향 일측 선단부에 중심축부(55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동레버부(55b)와 중심축부(55a)의 축방향 타측 선단부에 중심축부(55a)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핑거레버(71) 홀딩용의 홀딩판부(55c)로 되어 중심축부(55a)가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 회동레버부(55b)의 하단부가 상기 푸싱로드(54)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핑거레버홀더(55)로 된 승·하강작동수단(5);
    핑거레버홀더(55)의 홀딩판부(55c)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의 중간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상기 홀딩판부(55c)에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 가까이는 ×형으로 교차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타측 선단부는 스프링(72)의 의해 상호 연결되어 탄성적인 인장력을 부여받고 있는 1쌍의 핑거레버(71,71)와, 각 핑거레버(71)의 길이방향 타측 선단부 가까이에 결합된 롤러(73)와, 피성형물을 홀딩하기 위하여 각 핑거레버(71)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에 대칭되게 결합된 1쌍의 핑거(74)로 된 홀딩수단(7);
    〈 형상으로 되어 그 길이방향의 하단부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중간부에 결합된 롤러(83)가 상기 제2캠(4)의 외면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는 푸싱레버(81)와,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푸싱레버(8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푸싱로드(84)와, 원형의 봉 형상인 중심축부(85a)와 중심축부(85a)의 축방향 일측 선단부에 중심축부(85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동레버부(85b)로 되어 중심축부(85a)가 상기 핑거레버홀더(55)의 중심축부(55a) 내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있는 캠홀더(85)와, 외주에 산부(86a)와 골부(86b)가 연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캠홀더(85)의 중심축부(85a)에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산부(86a)와 골부(86b)에 각 핑거레버(71)에 결합된 롤러(73)가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된 핑거레버작동캠(86)을 포함하는 홀딩작동수단(8);
    으로 되어, 상기 제1캠(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작동수단(5)의 푸싱레버(51)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반복 회동함으로서 핑거레버홀더(55)의 홀딩판부(55c)에 결합된 홀딩수단(7)이 반복하여 승·하강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7)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승·하강작동수단(8)의 푸싱레버(81)가 푸싱로드(84)를 밀어 캠홀더(85)에 결합된 핑거레버작동캠(86)의 산부(86a)가 핑거레버(71)에 결합된 롤러(73)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74)의 홀딩 해제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홀딩수단(7)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푸싱레버(81)가 푸싱로드(84)를 당겨 캠홀더(85)에 결합된 핑거레버작동캠(86)의 골부(86b)에 핑거레버(71)에 결합된 롤러(73)가 지지 안내되는 것에 의해 핑거(74)의 홀딩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핑거레버홀더(55)의 회동레버부(55b)에 가이드로드(56)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밀착시키고 가이드로드(56)의 길이방향의 타단부 가까이는 머신바디(1)에 고정된 가이드암(6)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과 함께 가이드로드(56)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형성된 스톱돌기(56a)와 상기 가이드암(6) 사이의 가이드로드(56)에는 스프링(57)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푸싱레버(51)에 결합된 롤러(53)가 항상 제1캠(3)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푸싱로드(84)는 머신바디(1)에 고정된 가이드암(6)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푸싱로드(84)에 형성된 스톱돌기(84a)와 상기 가이드암(6) 사이의 푸싱로드(84)에는 스프링(88)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푸싱레버(81)에 결합된 롤러(83)가 항상 제2캠(4)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KR1020000025457A 2000-05-12 2000-05-12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KR10036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457A KR100366555B1 (ko) 2000-05-12 2000-05-12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457A KR100366555B1 (ko) 2000-05-12 2000-05-12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062A KR20010104062A (ko) 2001-11-24
KR100366555B1 true KR100366555B1 (ko) 2002-12-31

Family

ID=4581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457A KR100366555B1 (ko) 2000-05-12 2000-05-12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5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570A (en) * 1978-01-11 1979-08-01 Greenbat Ltd Improvement of cold head striking machine
JPS5611131A (en) * 1979-07-11 1981-02-04 Yoshihara Jidoki Kk Continuous forming machine for head of flanged bol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570A (en) * 1978-01-11 1979-08-01 Greenbat Ltd Improvement of cold head striking machine
JPS5611131A (en) * 1979-07-11 1981-02-04 Yoshihara Jidoki Kk Continuous forming machine for head of flanged bo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062A (ko) 200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555B1 (ko)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KR20020086818A (ko) 양방향 단조 성형장치
CN109759512A (zh)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CN110756667B (zh) 一种小空间摇摆打凸结构及其摇摆打凸方法
US4513600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CN217296270U (zh) 一种往复压料装置
CN217018416U (zh) 一种开合式两方向运动的镦头机构
CN215998329U (zh) 一种连续冲压模具系统产品翻转机构
CN113857349B (zh) 一种连续冲压模具系统产品翻转机构
KR100343384B1 (ko)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
US4479290A (en) Space forming and stop fixing apparatus for fastener chains
CN107470459A (zh) 一种冲压模具
KR930007617B1 (ko) 체결류 부품이나 전자부품 등의 단조성형장치
JPH09122817A (ja) プレスモーションを利用したアプセット装置
US3371514A (en) Indexing apparatus
JPS5820336A (ja) プレス型における製品押出装置
US4627264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JPH03272Y2 (ko)
CN214023045U (zh) 新型抽芯结构的五金冲压模具
JPS6328171Y2 (ko)
CN2360186Y (zh) 一种制造马口铁易开瓶盖盖体的设备
CN219188361U (zh) 一种标志凹模模具
KR100470157B1 (ko) 브라켓을 파이프형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기구
CN117983714A (zh) 一种旋转凸轮自锁式阻止弹性元件瞬时弹起的延时机构
JPS6023081Y2 (ja) プレス機における材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