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141B1 - 지보공용 받침금구 - Google Patents

지보공용 받침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141B1
KR100342141B1 KR1019990012576A KR19990012576A KR100342141B1 KR 100342141 B1 KR100342141 B1 KR 100342141B1 KR 1019990012576 A KR1019990012576 A KR 1019990012576A KR 19990012576 A KR19990012576 A KR 19990012576A KR 100342141 B1 KR100342141 B1 KR 10034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ain rod
length
subro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857A (ko
Inventor
박준욱
신이찌 노가미
Original Assignee
박준욱
주식회사 세양
신이찌 노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욱, 주식회사 세양, 신이찌 노가미 filed Critical 박준욱
Priority to KR101999001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14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건설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형틀 등의 구축용 부재를 가고정하는 등의 지보공(동바라공:Timbering)에 이용하기 위한 사용편리성을 대폭 개선한 길이 가변형의 지보공용 받침금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타설형틀의 지보공 등에 이용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상형의 금구로써,
파이프형의 메인로드(1)의 선단측에 서브로드(2)의 선단측을 움직임 및 회동이 자유롭도록 안으로 끼우고, 메인로드의 선단에는 길이 조절기구(20)를, 서브로드의 기단측에는 길이미세조절기구로써의 나선봉(3)을 나사 결착한다.
길이 조절기구(20)는, 서브로드(2)의 외주면 길이방향의 복수개소에 만든 결합오목부(5)와,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 축방향 이동을 저지한 상태에서 유감되어, 서브로드(2)를 회동시킴으로써 메인로드(1)에 형성한 도려낸 구멍(7)을 통하여 결합오목부(5)에 탈착시킬 수 있는 결합돌부(8a) 및 확경용 눈금(8b)을 갖춘 괘지환(8)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탈착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수단(21)을 설치하여도 좋다.

Description

지보공용 받침금구{Support Metallic Tool for Timbering}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건설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타설형틀 등의 구축용 부재를 가고정하는 등의 지보공(동바리공:Timbering)에 이용하기 위한 사용편리성을 대폭 개선한 길이 가변형의 지보공용 받침금구(金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15와 같이 고층주택의 베란다를 타설하는 바닥타설형틀(50)의 앞단에 연결한 옹벽타설형틀(60)을 수직방향으로 가고정시키는데, 도16에 나타낸 구조의 받침금구(B)를 사용하였다.
길이 가변의 이 받침금구(B)는,소정길이의 파이프형의 본체(71)의 일단측에, 길이 조절봉(72)의 일단측을 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우고, 각각의 자유단에 연결용 부재(73, 74)를 연결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받침금구(B)의 길이를 대강 조절하는데는,길이 조절봉(7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핀구멍(72a)중 어느 것인가를, 파이프형 본체(71)의 한군데에 만든 핀구멍(71a)에 맞추어서 고정핀(75)을 끼우면 된다.
연결용 부재(73)는 좌판(73a)의 하면에, 바닦타설형틀(50)에 고정할 2개의 볼트(73b)를 돌설하고, 좌판(73a)의 윗쪽에는, 나선봉(73c)의 하단을 핀연결하며,이 나선봉(73c)의 상단에는, 드래프트가 달린 연결봉(73d)의 하단측에는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회전시켜 삽입결합하는 방식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봉(73d)의 상단을 연결핀(76)을 사용하여, 파이프형 본체(71)의 자유단에 착탈이 용이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받침금구(B)의 길이 미세조절은, 나선봉(73c)으로 연결하는 연결봉(73d)을 회전시켜 삽입하는 정도에 따라 행한다.
길이 조정봉(72)의 자유단 연결용 부재(74)는, 옹벽타설형틀(60)을 구성하는 단태재(端太材)(61)에 착탈이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단태재(61)가 각(角)파이프나 둥근 파이프, 혹은 형강 인가에 따라서, 쐐기로 박아넣는식이나 나사고정식 등의 연결금구를 나누어 사용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받침금구(B)에는, 아래에 열거한 바와 같은 몇가지 개선의 여지가 있다.
(a) 각 형틀(50, 60)의 크기에 따라서, 받침금구(B)의 길이를 대강 조절할 때의 고정핀(75)을 꽂는 위치를 바꾸는 조작이 매우 번거롭다.
(b) 이 조절조작에는 두손을 필요로 하므로, 받침금구(B)의 부착은 혼자하기에 어렵다.
(c) 받침금구(B) 길이의 미세조절은, 나선봉(73c)에 연결하는 연결봉(73d)을 회전시켜 삽입하는 정도에 따라서 행하는데, 이 조절은 연결용 부재(73)의 구조로 되어, 받침금구(B)를 형틀에 부착한 후에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d) 파이프형 본체(71)와 연결용 부재(74)의 연결부는, 유니버설 조인트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공장소의 상황에 따라 부착각도를 바꾸고 싶어도 용이하지가 않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의 받침금구(B)의 적지 않은 결점을 거의 해소시킨 길이가변형의 받침금구를 창안하여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지보공용 받침금구는, 콘크리트타설형틀의 지보공 등에 이용하는 길이가변형의 로드상의 금구로써, 소정길이의 파이프형의 메인로드(1)와, 상기 메인로드(1)의 선단측에서 그 내공부에 움직임 및 회동이 자유롭도록 안으로 끼운 소정길이의 파이프형의 서브로드(2)와, 상기 서브로드(2)를 임의의 상기 습동위치에서 상기 메인로드(1)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결합고정 시키는 길이조절기구(20)와, 상기 서브로드(2)의 기단측에 형성한 암나사(2a)에 그 선단측을 나사결합시킨 길이미세조절기구로써의 나선봉(3) 및 그 회전수단 과, 상기 나선봉(3)의 기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시키는 자유손잡이(4)와, 상기 메인로드(1)의 기단 및 상기 자유손잡이(4)의 자유단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타설형틀 등에 연결 또는 당접시키는 연결부재(30, 40)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 조절기구(20)는 상기 서브로드(2)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결합오목부(5)와, 상기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태에서 유감(遊嵌)되어 상기 서브로드(2)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로드(1)에 설치한 도려낸구멍(7)을 통하여 상기 결합오목부(5)에 착탈시킬 수 있는 결합돌부(8a) 및 확경용(擴徑用)눈금(8b)을 구비한 괘지환(8)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괘지환(8)의 결합돌부(8a)를 서브로드(2)의 결합오목부(5)에 결합시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부설하면 된다.
고정수단은, U자형 내지 ㄷ자형의 고정용 레버(21)로 이루어지며 그 양다리단을 각각 직각으로 절곡한 지축(21b)을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 만든 축구멍으로 지지하고 있고, 약 90도의 각도범위에서 회동 조작함으로써 그 양다리의 압압부 (21a, 21a)사이에서 괘지환(8)을 끼워 넣어 축경상태(縮徑狀態)로 유지하고 또 축경해제(縮徑解除)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 나선봉(3)의 회전수단으로 스패너 등의 회전용공구를 걸기 위한 오목부(3b)를 나선봉(3)의 외주면에 형성하면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받침금구의 평면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받침금구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길이 조절기구의 부착개소(箇所) 근방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로드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및 부분 파단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괘지환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로드의 선단부에 형성한 환상의 공극에 괘지환을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길이조절기구의 부착개소 근방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7의 W-W선을 따라 자른 종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용 레버를 고정해제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의 메인로드의 선단부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용 레버를 고정해제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의 도 8의 상당도(相當圖)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길이미세조절기구로써의 나사봉의 회동수단의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V-V선을 따라 자른 종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나사봉과 자유손잡이와의 연결개소를 나타내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로드측의 연결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5는 종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베란다의 옹벽을 타설하는 형틀을 종래의 받침금구로 유지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16은 종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분해한 받침금구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받침금구 1: 메인로드
2: 서브로드 2a: 암나사
3: 나선봉(길이미세조절기구) 3b: 오목부(회동수단)
4: 자유 손잡이 5: 결합오목부
6: 외투관(外套管) 6a: 축구멍
7: 도려낸구멍 8: 괘지환(掛止環)
8a: 결합돌부 8b: 확경용 눈금
8c: 안정용돌부 20: 길이 미세조절기구
21: 고정용 레버(고정수단) 21a: 압압부
21b: 지축 a: 환상공극
b: 평행눈금 30: 연결용 부재
31: 좌판 32: 연결수단
32a: 편평부 32b: 핀구멍
33: 볼트 34: 컵
35: 연결핀 c: 절취용 장홈
40: 연결용 부재 41, 42: ㄷ자형 브라켓
43: 연결파이프 44: 연결핀
45, 46: 쐐기 구멍 47: 쐐기
50: 바닥타설형틀 60: 옹벽타설형틀
61: 단태재(端太材) B: 종래의 받침금구
71: 파이프형 본체 71a: 핀구멍
72: 길이조절봉 72a: 핀구멍
73: 연결부재 73a: 좌판
73b: 볼트 73c: 나선봉
73d: 연결봉 74: 연결부재
75: 고정핀 76: 연결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1 내지 도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보공용 받침금구(이하, 단순히 받침금구라고 한다)(A)의 개략적인 구성은, 소정 길이의 파이프형의 메인로드(1)의 선단(도1에서는 좌단)측에 소정길이의 파이프형의 서브로드(2)의 선단(도1에서는 우단)측을 습동 및 회동이 자유롭게 유감하고,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는 받침금구(A)전체의 길이를 대강 조절하는 길이 조절기구(2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형의 서브로드(2)의 기단측에 만든 암나사(2a)에는 받침금구 (A)의 전체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미세조절기구로써의 나선봉(3)의 선단측을 나사결합시키고 있다. 이 나선봉(3)의 기단측에는 자유손잡이(4)가 연결되어 있다.
또, 메인로드(1)의 기단 및 자유손잡이(4)의 자유단에는, 연결용 부재(30, 40)를 각각 핀으로 연결하고 있다. 양 연결용 부재(30, 40)는 콘크리트타설형틀 등의 구축용 부재에 일시적으로 연결 내지는 당접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받침금구(A)의 구체적인 구조를 차례대로 설명한다.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진 메인로드(1)는 어느 정도 축경(縮經)되어 있는 기단으로부터 소정깊이의 슬릿(1a)(도 2 참조)이 칼집을 낸 모양으로 되어 있다.
슬릿(1a)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14에 나타낸 연결용 부재(30)가 핀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브로드(2)의 외주면에는 도1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띄운 복수개소에 각 1쌍의 결합오목부(5, 5)를 대각선으로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결합오목부(5)는 도3과 같이 외주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한 2조의 평행눈금 b, b사이를 만곡형상으로 눌려져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길이조절기구(20)의 구성은 도4 내지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 4와 같이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는 이 부분을 뒤집어 절곡 가공하는 등으로 하여 짧은 외투관(外套管)(6)을 설치함으로써 이 외투관(6)과 메인로드(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공극(a)을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메인로드(1)의 선단부의 주연벽에는 1쌍의 결합오목부(5, 5)의 배치에 대응한 배치로 1쌍의 직사각형의 도려낸구멍(7, 7)을 환상공극(a)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환상공극(a)안에는, 도 5와 같은 괘지환(8)을 끼운다.
판스프링재로 이루어진 짧은 원통형의 괘지환(8)에는 서브로드(2)에 만든 복수쌍의 결합오목부(5, 5)의 어느 것인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1쌍의 내향 결합돌부(8a, 8a)와, 경사진방향의 확경용 눈금(8b)을 갖추고 있다. 8 c는, 환상공극(a)안에 수납된 괘지환(8)을 안정시키기 위한 안정용돌부이다.
괘지환(8)은 그 결합돌부(8a)를 도려낸구멍(7)에 삽통시킴으로써 메인로드(1) 의 축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길이조절기구(20)는 상기 복수쌍의 결합오목부(5)와, 메인로드(1)의 선단부의 외투관(6)과, 그 내측의 환상공극(a)에 수납되어 어느 것인가 결합오목부(5)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키는 결합돌부(8a)를 갖춘 괘지환(8)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외투관(6)에는 괘지환(8)을 메인로드(1)의 외주면으로 밀어붙여 축경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고정수단은 도 4와 같이 선재를 구부려 가공하여 만들어진 ㄷ자형의 고정용 레버(21)로 이루어지며, 그 양 다리단 근처의 각각을 평행하게 직각으로 구부려 괘지환(8)을 눌러 붙인 1쌍의 압압부(21a, 21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양 압압부(21a, 21a)의 선단부분은 외투관(6)의 외측을 향하도록 각각 직각으로 구부려 1쌍의 지축(21b, 21b)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용 레버(21)는 도 4, 6, 7과 같이 각지축(21b)을 외투관(6)에 만든 1쌍의 축구멍(6a)에 끼운다.
이것으로 , 고정용 레버(21)를 지축(21b)주위에 회동시켜 메인로드(1)의 외주면에 평행상태로 바짝 붙인 고정작동위치(도6 내지 도8참조)와, 메인로드(1)에 대해서 직교상으로 일으켜 세운 고정해제위치(도9, 10참조)를 채용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길이미세조절기구로써의 나선봉(3)을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나선봉(3)의 기단근처에는 도 12, 13과 같이 환상홈(3a)을 형성하였다. 나선봉(3)의 기단측에는 자유손잡이(4)의 일단측이 유감상태로 끼워져 있으며, 이 외감(外嵌)부분의 2군데에 설치한 요입부(4a)를 환상홈(3a)안에 유감 시키고 있다.
이것으로써, 나선봉(3)은 자유손잡이(4)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상태가 된다. 자유손잡이(4)의 자유단에는 핀구멍(4b)을 만들었다.
또, 나선봉(3)의 기단개소의 외주면에는, 도 1, 2 및 도11과 같이 나선봉(3)의 회동수단이 되는 1쌍의 오목부(3b, 3b)를 대각선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부(3b, 3b)에 도 11에서와 같이 스패너 등의 너트돌림기구(80)를 걸면, 나선봉(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메인로드(1)의 기단부에 연결시킨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30)는 도 14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횡단면ㄷ자형의 채널형상을 한 좌판(31)의 중앙부에, 파이프제의 연결수단(32)을 T자형으로 연결시켜 그 본체로 하고 있다.
좌판(31)의 양단근처에는 볼트(33, 33)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돌출시킨다. 이 볼트(33)는 좌판(31)을 형틀 등의 구축용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34는 볼트(33)에 장착한 컵으로 스페이서로써의 역할을 한다.
연결수단(32)은 그 상단측을 평평하게 하여 편평부(32a)로 하고 있다. 이 편평부(32a)에는 상하로 적절히 간격을 둔 복수개소로써 2개소에 절취용 장홈(c)을형성하고, 편평부(32a)가 상단측을 적절한 길이만큼 자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편평부(32a)의 선단에는 연결핀(35)(도2참조)을 통하는 핀구멍(32b)이 있다.
또한, 비교적 두꺼운 파이프제의 연결수단(32)을 편평하게 하기 쉽도록, 편평부(32a)의 하측부분에 파이프의 중심에 달하는 2조의 잘린 홈을 상하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하고, 이 눈금간을 반원통형으로 찌부러뜨린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연결용 부재(40)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등을 마주보게 당접시킨 2개의 ㄷ자형 브라켓(41, 42)을, 그 당접부분을 관통하는 연결파이프(43)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시킨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한쪽 브라켓(41)의 양다리를 연결핀(44)을 통해 자유손잡이(4)의 자유단측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연결용금구(40)는 유니버셜 죠인트처럼 작용한다.
다른쪽의 ㄷ자형 브라켓(42)에는, 도1과 같이, 그 양다리부분에 2쌍의 쐐기구멍(45, 46)을 만든다. 이것에 의해 연결용 부재(40)를 그 단면형상이 다른 2종류의 구축용 부재(단태재61등)에 각각 설치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받침금구(A)의 작용을 종래의 예를 나타낸 도15와 같이 고층주택의 베란다부분을 타설하는 바닦타설형틀(50)의 앞단에 연결한 옹벽타설형틀(60)을 기립상태로 가고정하는 지보공에 이용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 기술하는 지보공의 순서는, 그 일례를 든 것에 지나지 않는다.
길이가변형의 받침금구A는, 보관시에는 취급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에 매우 짧은 길이로 고정시켜 두면 좋다.
이렇게 하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이 조절기구(2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서브로드(2)를 메인로드(1)의 안쪽단까지 밀어 넣어, 90도 회동시키면, 맨안쪽의 결합오목부(5)에 메인로드(1)에 설치된 괘지환(8)의 결합돌부(8a)가 끼워진다.
그래서, 도 7, 8에서와 같이 고정용 레버(21)를 메인로드(1)를 향해서 넘어뜨려가면, 그 양다리의 압압부(21a, 21a)사이에서 끼워져 부착된 괘지환(8)이 축경상태로 유지되어 받침금구(A)는 최단 길이로 고정된다.
이 받침금구(A)를 버팀목처럼 사용하여 옹벽타설형틀(60)을 직립상태로 받치려면, 우선, 고정용 레버(21)를 도 9, 10과 같이 고정해제위치를 향해 90도 회동시켜 기립시킨다.
이것에 의해 괘지환(8)은 도10과 같이 하여 1쌍의 압압부(21a, 21a)에 의해 꼭 끼어져 있던 것으로부터 개방된다.
그래서, 서브로드(2)를 그 축주위에 약 90도 회동시켜 가면, 서브로드(2)의 외주면이 괘지환(8)의 결합돌부(8a)를 바깥쪽으로 눌러주는 상태가 되어 지금까지 결합오목부(5) 안에 있었던 결합돌부(8a)는 도10과 같이 밖으로 압출된다.
이 상태가 되면 메인로드(1)와의 결합을 풀었던 서브로드(2)는 메인로드(1)안에 끼워 넣어져 있던 부분을 자유롭게 꺼낼 수가 있다.
이 인출조작에 의한 길이 조절은 인접한 결합오목부(5, 5)사이의 길이를 조절의 1단위로서 단계적으로 밖에 조절할 수 없다.
이 단계에서 연결용 부재(30)를 바닦타설형틀(50)에 고정한다. 그리고, 받침금구(A)의 길이 미세조절조작으로 옮긴다. 이것을 하려면 나선봉(3)의 오목부(3a)에 스패너 등을 걸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선봉(3)을 서브로드(2)의 기단측으로부터 나선 탈출시키거나 또는 나선 삽입하면 된다.
이것으로써, 받침금구(A)를 원하는 정확한 길이로 간단, 신속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받침금구(A)의 길이를 모두 조절하였으면 서브로드(2)측의 연결용 부재(40)를 쐐기(47)로써 단태재(61)에 연결시키면 옹벽타설형틀(60)을 올바로 직립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무엇보다도 받침금구(A)를 첫 조절단계에서 소정의 길이에 매우 근접시킨 경우에는 연결용 부재(40)를 단태재(61)에 부착하고 나서 상기의 미세조절조작을 해도 좋다.
조립이 끝난 형틀(50, 60)에 주입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받침금구(A)와 형틀(50, 60)을 제거하는데, 이때 바닥면측의 연결용 부재(30)는 메인로드(1)와의 연결핀(35)을 제거하면 콘크리트 안에 남는다.
이대로는 연결수단(32)의 편평부(32a)의 상단부분이 콘크리트면 위로 돌출하여 바닥면의 마무리가 안 좋아진다.
그래서, 이 돌출부분을 햄머 등으로 타격하면 상하 어느쪽인가의 절취용 장홈(c)의 개소에서 간단히 절취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해졌듯이, 본 발명에 의한 지보공용의 받침금구는 도16에 나타낸 종래의 것에 비해서,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뛰어난 특장점을 구비한다.
(a) 받침금구의 길이를 대강 조절하려면, 서브로드를 그 축 주위에 회동시키면서 메인로드로 출입하는 조작만으로도 충분하다.
(b) 길이 조절기구는 그 구성이 대폭 간소화 되어 있다.
(c) 따라서 사용현장에서 부품이 파손되거나 움직이지 않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현저히 줄어들고 내구성도 증가한다.
(d) 이 회동조작은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혼자서 받침금구를 부착할 수 있어 조작능률이 대폭 향상된다.
(e) 조절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려면 고정용 레버를 회동조작하기만 해도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f) 길이의 미세조절은 스패너 등을 나선봉의 오목부에 걸어 회전시키면 되므로 매우 간단히 할 수 있다.
(g) 이 미세조절은 받침금구의 부착 후에도, 적은 힘을 들이고도 쉽게 할 수 있다.
(h) 받침금구의 말단에 부착한 연결용 부재가 유니버설 조인트로써의 기능을 갖추므로 부착장소의 상황이 다양하여도 지장 없이 부착할 수 있다.

Claims (4)

  1. 콘크리트 타설형틀의 지보공 등에 이용하는 길이 가변형의 로드형의 금구로써, 소정길이의 파이프형의 메인로드(1)와, 상기 메인로드(1)의 선단측에서 그 내공부에 습동 및 회동이 자유롭도록 안으로 끼운 소정길이의 파이프형의 서브로드 (2)와, 상기 서브로드(2)를 임의의 상기 움직임위치에서 상기 메인로드(1)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결합고정 시키는 길이조절기구(20)와, 상기 서브로드(2)의 기단측에 형성한 암나사(2a)에 그 선단측을 나사결합시킨 길이미세조절기구로써의 나선봉(3) 및 그 회전수단과, 상기 나선봉(3)의 기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시키는 자유손잡이(4)와, 상기 메인로드(1)의 기단 및 상기 자유손잡이(4)의 자유단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타설형틀 등에 연결 또는 당접시키는 연결부재(30, 40)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 조절기구(20)는 상기 서브로드(2)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결합오목부(5)와, 상기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태에서 유감(遊嵌)되어 상기 서브로드(2)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로드(1)에 설치한 도려낸구멍(7)을 통하여 상기 결합오목부(5)에 착탈시킬 수 있는 결합돌부(8a) 및 확경용(擴徑用)눈금(8b)을 구비한 괘지환(8)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용 받침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환(8)의 결합돌부(8a)를 상기 서브로드(2)의 결합오목부(5)에 결합시킨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지보공용 받침금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U자형 내지 ㄷ자형의 고정용 레버(21)로 이루어지며, 그 양다리단을 각각 직각으로 구부린 지축(21b)을 상기 메인로드(1)의 선단부에 형성한 축구멍에 지지되어있고, 약 90도의 각도범위에서 회동 조작함으로써 그 양다리의 압압부(21a, 21a)사이에 상기 괘지환(8)을 끼워 넣어 축경상태(縮徑狀態)로 유지하거나, 또는 축경해제(縮經解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용 받침금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봉(3)의 회동수단은 스패너 등의 회전용 공구를 걸기 위해 상기 나선봉(3)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공용 받침금구.
KR1019990012576A 1999-04-09 1999-04-09 지보공용 받침금구 KR10034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576A KR100342141B1 (ko) 1999-04-09 1999-04-09 지보공용 받침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576A KR100342141B1 (ko) 1999-04-09 1999-04-09 지보공용 받침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857A KR20000065857A (ko) 2000-11-15
KR100342141B1 true KR100342141B1 (ko) 2002-06-27

Family

ID=1957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576A KR100342141B1 (ko) 1999-04-09 1999-04-09 지보공용 받침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04B1 (ko) * 2020-05-25 2020-11-04 대호공구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의 간격 유지용 지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45B1 (ko) * 2000-11-07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피이더용 인식 장치
DE102017216383A1 (de) * 2017-09-15 2019-03-21 Fwr Solutions Gmbh Verlorene schalung für den betonbau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04B1 (ko) * 2020-05-25 2020-11-04 대호공구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의 간격 유지용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857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9000711A (nl) Schroefstempel voor het ondersteunen van bekistingen in de bouw.
KR100342141B1 (ko) 지보공용 받침금구
US4749170A (en) Method of arranging a splice sleeve to receive reinforcing bars
KR101487964B1 (ko) 시스템 서포트
KR100749048B1 (ko) 건축용 수직 서포트
JP4046259B2 (ja) 支保工用の部材連結装置
JPH11303423A (ja) 支保工用の支承金具
JP2018510280A (ja) 連結式分解可能なモジュラー足場
KR100611532B1 (ko)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JP2007321340A (ja) 棒状足場材の突合せ部連結金具
JP2995006B2 (ja) 建物と足場の連結具
KR20020050321A (ko) 안전발판 시스템
JP3074601B2 (ja) 仮設工事用支持装置
JPH0932314A (ja) ジャッキ式支承金具
CN219033545U (zh) 一种装配式建筑钢结构连接构件
KR102402574B1 (ko) 하이브리드 서포트
KR102644853B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CN215564374U (zh) 钢管脚手架连墙件
JP2537584Y2 (ja) スラブ型枠用仮設ビーム
CN220319103U (zh) 一种可调节斜拉杆
KR20200050118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JP3031388U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貫通孔形成用ホースの変形防止具
JP3973763B2 (ja) 工事用サポート
CN220365290U (zh) 连墙件及脚手架连墙结构
KR200375157Y1 (ko) 거푸집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