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574B1 - 하이브리드 서포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574B1
KR102402574B1 KR1020210163353A KR20210163353A KR102402574B1 KR 102402574 B1 KR102402574 B1 KR 102402574B1 KR 1020210163353 A KR1020210163353 A KR 1020210163353A KR 20210163353 A KR20210163353 A KR 20210163353A KR 102402574 B1 KR102402574 B1 KR 10240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rotation control
inner tube
support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진
Original Assignee
서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진 filed Critical 서효진
Priority to KR102021016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 외주면에 고정구가 결합된 내관이 외관 내부에 삽입되되, 외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가 고정구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인장과 압축에 대해 지지 가능하여 시스템 서포트 적용에 유리하고, 서포트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서포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외관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정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구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 및 상기 제2고정공과 복수의 제1고정공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서포트{hybrid support}
본 발명은 일단 외주면에 고정구가 결합된 내관이 외관 내부에 삽입되되, 외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가 고정구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인장과 압축에 대해 지지 가능하여 시스템 서포트 적용에 유리하고, 서포트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서포트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파이프 서포트와 같은 가설재가 사용되는데, 층고가 높고 작용 하중이 큰 경우에는 파이프 서포트를 조립하여 프레임화한 시스템 서포트가 사용된다.
종래 파이프 서포트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 형성부에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된 외관 상부에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내관을 삽입한 후, 외관의 나사산 형성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조절너트에 의해 고정공과 장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파이프 서포트는 기본적으로 압축하중에 대해서만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인장력에는 저항할 수 없는 구조이다. 그런데 외부 충격이나 횡력 작용 시 서포트에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또는 해체 과정에서 시스템 서포트가 붕괴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종래 파이프 서포트는 조절너트 상부에 고정핀이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하중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높이 조절이 어렵다. 이에 시스템 서포트 적용 시 설치 및 해체 과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KR 10-2021-0100062 A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장과 압축에 대해 모두 지지 가능하여 시스템 서포트 적용에 유리하고, 서포트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중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 등에 있어서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외관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정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구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 및 상기 제2고정공과 복수의 제1고정공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 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조절구의 고정구 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걸림단턱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관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것으로 회전조절구 측 단부 외측에는 지지단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내측링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는 내측에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의 일단이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단턱부와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걸림단턱부가 삽입되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외측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공이 상기 내측링과 외측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내관은 외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내관은 상기 고정구, 회전조절구 및 고정핀에 의해 외관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외관은 내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외관은 상기 고정구, 회전조절구 및 고정핀에 의해 내관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의 일단 내부에 내관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내관의 외주면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구가 결합되고, 일단이 고정구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외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조절구가 외관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조절구를 회전하면, 고정구는 내관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고, 회전조절구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조절구 내부에 나사 결합된 외관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서포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핀이 고정구를 관통하여 내관과 결합되고, 고정구 하부의 회전조절구는 외관과 나사 결합되므로, 압축 및 인장의 양방향 하중에 대해 모두 지지 가능하다. 따라서 시스템 서포트로 사용 시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고정구와 회전조절구에 의한 내관과 외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3은 고정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4는 회전조절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5는 좌우 분할형 회전조절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내외 분할형 고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고정구를 이용한 내관과 외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9는 연결링에 의한 고정구와 회전조절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10은 외관의 양단에 내관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본 발명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내관의 양단에 외관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구와 회전조절구에 의한 내관과 외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하이브리드 서포트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11)이 형성된 외관(1);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고정공(21)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외관(1)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2);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공(31)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정구(3);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구(3)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1)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4); 및 상기 제2고정공(31)과 복수의 제1고정공(2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장과 압축에 대해 모두 지지가 가능하여 시스템 서포트 적용에 유리하고, 서포트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서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하이브리드 서포트는 외관(1)과 내관(2), 상기 외관(1)과 내관(2)을 연결하는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 및 고정구(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1)과 내관(2)은 각각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1 등에서는 외관(1)이 하부, 내관(2)이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외관(1)이 상부, 내관(2)이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 제시된 도면을 기준을 설명한다.
상기 외관(1)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외관(1)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산(11)이 형성된다.
상기 내관(2)은 일단이 상기 외관(1)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다.
즉, 상기 내관(2)은 하단이 상기 외관(1)의 상단을 통해 외관(1) 내부로 삽입되어 외관(1)과 내관(2)이 일정 길이 중첩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상기 내관(2)의 인출 또는 인입을 통해 전체 서포트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다.
상기 내관(2)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고정공(21)이 복수 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관(1)과 내관(2)은 별도의 변형 없이 기존 파이프 서포트에 사용되는 외관과 내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관(1) 상부 위치에서 내관(2)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에는 제2고정공(3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공(31)을 통해 고정핀(5)이 삽입되어 내관(2)에 형성된 복수의 제1고정공(21) 중 서포트의 높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고정공(21)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고정구(3)를 내관(2)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구(3)의 외부에는 조작돌부(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절구(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외관(1)의 일단이 삽입된다.
상기 회전조절구(4)의 하부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이 형성되어 외관(1)의 상단 나사산(11)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회전조절구(4)의 상단은 고정구(3)의 하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축 회전은 서포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도 1).
상기 회전조절구(4)의 외부에도 조작돌부(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서포트는 외관(1) 상부에 내관(2)이 삽입되고, 고정구(3)는 고정핀(5)으로 내관(2)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조절구(4)가 외관(1)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조절구(4)를 회전시키면, 고정구(3)는 내관(2)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고, 회전조절구(4)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조절구(4) 내부에 나사 결합된 외관(1)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 파이프 서포트는 고정핀의 하부를 조절너트가 지지하였다. 이에 따라 파이프 서포트에 하중이 작용하면, 고정핀이 조절너트를 강하게 가압하여 조절너트의 회전이 어려웠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회전조절구(4)가 고정구(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의 결합부에 윤활제 등을 도포하면,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도 회전조절구(4)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서포트의 높이 조절이나 해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고정핀의 하부를 조절너트가 지지하여 압축력만 지지 가능한 종래 파이프 서포트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핀(5)이 고정구(3)를 관통하여 내관(2)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3) 하부의 회전조절구(4)는 외관(1)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압축 및 인장의 양방향 하중에 대해 지지 가능하므로, 시스템 서포트로 사용 시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고정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4는 회전조절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조절구(4)의 고정구(3) 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걸림단턱부(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의 회전조절구(4) 측 단부 외측에는 상기 걸림단턱부(43)가 삽입되는 회전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조절구(4)를 고정구(3)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다.
상기 고정구(3)의 내부에는 내관(2)이 삽입되고, 회전조절구(4)에는 외관(1)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외관(1)의 외경이 내관(2)의 외경보다 크므로, 회전조절구(4)의 내경이 고정구(3)의 내경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3)의 하단을 회전조절구(4)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하고, 회전조절구(4)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단턱부(43)를 형성하며, 고정구(3)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단턱부(43)가 삽입되는 회전홈(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걸림단턱부(43)가 회전홈(33)에 삽입되면, 회전조절구(4)의 상하 이동은 제한하면서 회전은 자유롭게 허용된다.
도 5는 좌우 분할형 회전조절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조절구(4)는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조절구 유닛(4a, 4b)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의 조립 및 사용 중 자재를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회전조절구(4)와 고정구(3)는 상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조절구(4)는 좌우로 분할된 반원통 형상의 조절구 유닛(4a, 4b) 한 쌍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구 유닛(4a, 4b)의 양단에는 각각 결합편(40)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호 대면하는 결합편(40)을 볼트 등으로 결합하여 회전조절구(4)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40)은 각 조절구 유닛(4a, 4b)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 가능하다.
분할된 조절구 유닛(4a, 4b)은 고정구(3)의 하단 측방에서 걸림단턱부(43)가 고정구(3)의 회전홈(33)에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이후 한 쌍의 조절구 유닛(4a, 4b)을 상호 고정하여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내외 분할형 고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고정구를 이용한 내관과 외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관(2)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것으로 회전조절구(4) 측 단부 외측에는 지지단턱부(34)가 돌출 형성되는 내측링(3a)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3a)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는 내측에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3a)의 일단이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단턱부(34)와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걸림단턱부(43)가 삽입되는 회전홈(33)이 형성되는 외측링(3b)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공(31)이 상기 내측링(3a)과 외측링(3b)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조절구(4)를 고정구(3)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이다.
상단 내측에 걸림단턱부(43)가 돌출된 회전조절구(4)를 고정구(3)와 결합하기 위해 고정구(3)를 내측링(3a)과 외측링(3b)으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링(3a)은 외경이 회전조절구(4)의 걸림단턱부(43)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되, 하단 외측으로 회전조절구(4)의 걸림단턱부(43)가 걸리는 지지단턱부(3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링(3a)은 회전조절구(4)의 하부를 통해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구(4)와 내측링(3a)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링(3a)의 외부에 외측링(3b)을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링(3b)의 하단은 내측링(3a)의 지지단턱부(34)와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회전홈(3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구(3)에 형성되는 제2고정공(31)은 내측링(3a)과 외측링(3b)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연결링에 의한 고정구와 회전조절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는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의 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연결링(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조절구(4)를 고정구(3)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3)의 하단을 회전조절구(4)의 상단에 삽입하지 않고, 고정구(3)의 하단과 회전조절구(4)의 상단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의 접합부 외부를 연결링(6)으로 감싸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3)의 단부 외측에는 지지단턱부(34)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조절구(4)의 단부 외측에는 걸림단턱부(4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링(6)의 내주면에는 지지단턱부(34)와 걸림단턱부(43)가 삽입되는 수용홈(61)이 형성되어, 회전조절구(4)의 회전은 허용하면서 수직 방향 이동은 제한한다.
상기 연결링(6)은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연결링 유닛(미도시)을 상호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링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한 쌍의 연결링 유닛은 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할 수 있으며, 연결링 유닛 자체를 고정구(3)의 외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0은 외관의 양단에 내관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시스템 서포트에 적용된 본 발명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은 외관(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내관(2)은 상기 고정구(3), 회전조절구(4) 및 고정핀(5)에 의해 외관(1)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서포트는 수직 서포트들이 수평 비계(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이웃하는 수직 서포트에 수평 비계(7)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포트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관(1)의 양단에 내관(2)을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관(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내관(2)이 삽입되고, 각 내관(2)은 고정구(3)와 회전조절구(4) 및 고정핀(5)에 의해 외관(1)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관(1)과 내관(2)의 결합은 앞서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외관(1)에는 수평 비계(7)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가 중간에 위치된 외관(1)에 결합되면, 수평 비계(7)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하부의 회전조절구(4)를 회전시켜 외관(1)을 인출 또는 인입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서포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내관의 양단에 외관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1)은 내관(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외관(1)은 상기 고정구(3), 회전조절구(4) 및 고정핀(5)에 의해 내관(2)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의 상하 양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른 실시예로, 중간에 내관(2)을 배치하고, 내관(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외관(1)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동 관계는 도 10, 도 11에 도시된 중간에 외관(1)이 배치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수평 비계(7) 결합을 위한 연결구는 중간에 위치된 내관(2)에 결합한다.
1: 외관 11: 나사산
2: 내관 21: 제1고정공
3: 고정구 3a: 내측링
3b: 외측링 31: 제2고정공
32: 조작돌부 33: 회전홈
34: 지지단턱부 4: 회전조절구
4a, 4b: 조절구 유닛 40: 결합편
41: 암나사산 42: 조작돌부
43: 걸림단턱부 5: 고정핀
6: 연결링 61: 수용홈
7: 수평 비계

Claims (7)

  1.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11)이 형성된 외관(1);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고정공(21)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외관(1)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2);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공(31)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정구(3);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고정구(3)의 일단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1)의 일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절구(4); 및
    상기 제2고정공(31)과 복수의 제1고정공(2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5); 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조절구(4)의 고정구(3) 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걸림단턱부(4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관(2)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것으로 회전조절구(4) 측 단부 외측에는 지지단턱부(34)가 돌출 형성되는 내측링(3a)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3a)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는 내측에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3a)의 일단이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단턱부(34)와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걸림단턱부(43)가 삽입되는 회전홈(33)이 형성되는 외측링(3b)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공(31)이 상기 내측링(3a)과 외측링(3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내관(2)은 외관(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내관(2)은 상기 고정구(3), 회전조절구(4) 및 고정핀(5)에 의해 외관(1)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
  7. 제1항에서,
    상기 외관(1)은 내관(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외관(1)은 상기 고정구(3), 회전조절구(4) 및 고정핀(5)에 의해 내관(2)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서포트.
KR1020210163353A 2021-11-24 2021-11-24 하이브리드 서포트 KR10240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353A KR102402574B1 (ko) 2021-11-24 2021-11-24 하이브리드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353A KR102402574B1 (ko) 2021-11-24 2021-11-24 하이브리드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574B1 true KR102402574B1 (ko) 2022-05-25

Family

ID=8180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353A KR102402574B1 (ko) 2021-11-24 2021-11-24 하이브리드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5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2B1 (ko) * 2003-11-21 2004-12-17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중량물 지지용 서포터
KR200433089Y1 (ko) * 2006-09-28 2006-12-07 서정돈 길이가변형 지지대
KR20210031109A (ko) * 2019-09-11 2021-03-19 정은용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2B1 (ko) * 2003-11-21 2004-12-17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중량물 지지용 서포터
KR200433089Y1 (ko) * 2006-09-28 2006-12-07 서정돈 길이가변형 지지대
KR20210031109A (ko) * 2019-09-11 2021-03-19 정은용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20210100062A (ko) 2019-09-11 2021-08-13 정은용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290B1 (ko) 안전 서포트
KR100595965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US10480202B1 (en) Vertical formwork with tie rod and tie rod anchor
CN110984572A (zh) 一种建筑加固用模板夹紧设备
KR102402574B1 (ko) 하이브리드 서포트
KR101783387B1 (ko) 안전 파이프 서포트의 제작 방법 및 안전 파이프 서포트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JPH0642166A (ja) 支え足場
KR2018000063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100834130B1 (ko) 서포트
KR101600750B1 (ko) 인장재의 긴장완화 보완용 앵커장치
KR101783388B1 (ko) 고정구가 구비된 안전 서포트
KR102316745B1 (ko) 수평재 일체형 스마트 h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200384367Y1 (ko) 건축용 서포트
KR101171822B1 (ko) 드롭어셈블리
KR20180082104A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CN212176550U (zh) 一种锥壳型屋顶支模体系
KR20100002500A (ko)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용 가설보강대
CN21065927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模板支护结构
EA032612B1 (ru)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6587111B2 (ja) ブレースおよびブレース取付構造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1171823B1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KR101788650B1 (ko) 이중 안전 고정 서포트
KR20080071413A (ko) 유압식 스크류 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